KR101300430B1 -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430B1
KR101300430B1 KR1020130013272A KR20130013272A KR101300430B1 KR 101300430 B1 KR101300430 B1 KR 101300430B1 KR 1020130013272 A KR1020130013272 A KR 1020130013272A KR 20130013272 A KR20130013272 A KR 20130013272A KR 101300430 B1 KR101300430 B1 KR 10130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ble
terminal
rear end
communica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3001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lastomeric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케이블(2)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단자(2a)가 끼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2)의 코어(2b)가 삽입되며, 내주연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0b)이 선단부에 형성되어 후단부가 커넥터의 본체에 연결되는 외측관(110); 상기 외측관(110)에 삽입되어 선단이 돌출되고, 상기 걸림턱(110b)에 걸리는 단턱(122a)이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코어(2b)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관(110)에 결합된 상기 케이블단자(2)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는 부쉬(122);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으로 선단부가 삽입되고, 측면에 절개슬롯(123b)이 형성되며,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에서 선단부가 오므려지는 내측관(123); 및 상기 코어(2b)가 선단부(124a)의 중앙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내주연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코어(2b)와 접속하며, 측면에 절개노치(124b)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관(123)에 의해 오므려지면서 상기 코어(2b)를 파지하고, 후단부(124d)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 내부에 통전가능하게 접합되는 통전관(124);을 포함하며, 코어(2b)가 견고하게 파지된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Terminal plug for coupling cable terminal of tele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과 같은 통신케이블의 단부에 마련된 케이블단자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단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단자의 결합력에 의해 통신케이블의 코어를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케이블(C)은 단부에 장착된 너트형태의 케이블단자(통상의 F형 커넥터)가 도시된 바와 같은 분배기 또는 미도시된 커넥터(케이블 커넥터나 아답터 커넥터 등)의 본체에 설치된 볼트형 단자플러그(10)에 결합된다.
상기 단자플러그(10)는 도 2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1)에 돌출상태로 설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수나사(10a)가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의 내측에 돌출턱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플러그(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중앙에 관통공(10b)이 형성된 절연판(10c)이 선단의 내부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밴딩된 전도성 금속판(12)이 상기 절연판(10c)의 후방에 내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본체(1)에 접합되거나 고정되어 연결된다.
상기 금속판(1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절곡된 파지부(12a, 12b)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막대형 통전선(13)이 연결되며, 통전선(13)이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솔더링(S)됨에 따라 상기 본체(1)의 내부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통전선(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통공(1c)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PCB(1a)에 솔더링(S)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형태의 상기 케이블단자(2)가 상기 단자플러그(10)의 상기 수나사(10a)에 체결되고, 상기 케이블단자(2)의 중앙에 돌출되는 코어(2b)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플러그(10)의 상기 절연판(10c)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0b)에 삽입된다.
상기 코어(2b)는 상기 케이블단자(2)의 내부에 플라스틱이나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가 충전됨에 따라 외주연이 절연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플러그(10)의 상기 절연판(10c)을 관통한 후 상기 금속판(12)의 중앙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12)은 상기 파지부(12a, 12b)가 벌어지면서 상기 코어(2b)의 외주연을 파지하며, 상기 파지부(12a, 12b)를 통해 상기 코어(2b)와 통전되어 상기 코어(2b)의 통신신호를 상기 PCB(S)로 전달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기 단자플러그(10)는 상기 파지부(12a, 12b)가 상기 코어(2b)와 선접촉하므로 상기 본체(1)가 바람에 의해 흔들리거나 할 경우 접속불량이 발생되어 통신신호를 원활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나 디지털신호는 접속률이 미흡할 경우 방송을 아예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의 미설명부호 W는 상기 분배기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1)가 고정되는 강선이고, 미설명부호 3은 상기 강선(W)에 고정되는 클램프이며, 4는 클램프(3)에 고정된 링이고, 미설명부호 5는 상기 링(4)에 끼워지는 걸고리(5)이며, 미설명부호 6은 상기 걸고리(5)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통신케이블(C)을 파지하여 상기 통신케이블(C)의 유동을 제한하는 케이블홀더이다.
그리고, 도 4의 미설명부호 1b는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PCB(1a)를 지지하는 리브이다.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가 결합됨에 따른 결합력을 이용하여 통신케이블의 코어를 파지하는 부위를 오므려지게 함으로써 코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선단부를 절연시킬 수 있고, 코어를 파지하는 기구의 후단부를 절연할 수 있고, 코어를 파지하는 기구를 밴딩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단자가 끼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의 코어가 삽입되며, 내주연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걸림턱이 선단부에 형성되어 후단부가 커넥터의 본체에 연결되는 외측관; 상기 외측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외측관의 외측으로 선단이 돌출되고, 상기 외측관의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단턱이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통신케이블의 상기 코어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관에 결합된 상기 케이블단자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는 부쉬; 상기 부쉬의 후단부 내측으로 선단부가 삽입되고, 측면에 절개슬롯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며, 이동하는 상기 부쉬의 후단부 내측에서 상기 절개슬롯에 의해 선단부가 오므려지도록 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의 상기 코어가 선단부의 중앙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내주연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코어와 접속하며, 측면에 절개노치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관의 오므려짐에 의해 상기 내측관과 함께 오므려지면서 상기 코어를 파지하고, 후단부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 내부에 통전가능하게 접합되어 상기 코어의 통신신호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인가하도록 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관체형의 통전관(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가 결합될 때 부쉬가 케이블단자의 가압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내측관의 선단이 오므려져서 통전관의 선단부를 오므림으로써 통전관의 선단부가 코어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코어의 유동을 강력하게 제한할 수 있고, 외측관의 선단에 절연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외측관의 선단을 절연 및 실링할 수 있고, 내측관의 선단부 끝부분이 경사형성되어 내측관의 선단을 용이하게 오므릴 수 있고, 내측관의 후단부에 마개가 설치되므로 내측관에 삽입된 통전관을 보호할 수 있고, 통전관이 금속판의 프레스금형의 밴딩으로 조관된 후 스웨이징으로 후단부가 가공됨으로써 통전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분배기에 설치된 종래기술의 단자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에 설치된 종래기술의 단자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실내용 커넥터에 설치된 종래기술의 단자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분배기나 커넥터에 설치된 종래기술의 단자플러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단자플러그에 내장되는 금속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의 작동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의 작동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110), 부쉬(122), 내측관(123) 및 통전관(124)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관(1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케이블(2)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단자(2a)가 끼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2)의 코어(2b)가 삽입되며, 내주연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걸림턱(110b)이 선단부에 형성되어 후단부가 후술되는 커넥터의 본체(1)에 연결된다.
상기 외측관(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관체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10b)이 선단의 내주연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됨으로써 선단의 내경이 후단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통신케이블(2)의 너트형 상기 케이블단자(2a)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110a)이 외주연에 형성된다.
상기 외측관(1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가 커넥터(분배기나 케이블 커넥터 또는 아답터 커넥터 등을 칭함)의 상기 본체(1: 케이스나 하우징을 칭함)에 접합된다.
여기서, 전술한 상기 외측관(110)에 결합되는 상기 통신케이블(2)의 상기 케이블단자(2a)는 통상의 F형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부쉬(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관체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122a)이 상기 외측관(1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측관(110)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부쉬(122)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에 의해 캡형태로 형성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1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외측관(110)의 외측으로 선단이 돌출되며,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걸리는 단턱(122a)이 외주연에 형성된다.
상기 부쉬(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케이블(2)의 상기 코어(2b)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10)에 결합된 상기 케이블단자(2)의 가압에 의해 이동한다.(후술됨)
상기 부쉬(122)는 상기 단턱(122a)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10)의 내부에 후술되는 삽입링(121)으로 이루어진 절연부재에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삽입링(121)이 없이 구성되어 상기 단턱(122a)이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직접 걸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부쉬(122)는 상기 삽입링(121)으로 이루어진 상기 절연부재를 통해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걸려서 상기 외측관(110)의 내부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상기 단턱(122a)이 직접 걸려서 상기 외측관(110)의 내부에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삽입링(1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링(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10)의 후단부를 통해 상기 외측관(110)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된 후 선단부(앞쪽)가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걸려서 고정되고, 내주연에 상기 부쉬(122)의 상기 단턱(122a)이 걸리는 단차(121a)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121a)에 의해 후단부의 내경이 선단부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부쉬(1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링(121)이 상기 외측관(110)의 내부에 고정될 경우 상기 단턱(122a)이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직접걸리지 않고, 상기 삽입링(121)에 상기 단턱(122a)이 걸리므로 상기 삽입링(121)으로 구성된 상기 절연부재를 통해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걸려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내측관(123)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로 구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으로 선단부가 삽입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절개슬롯(123b)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관(1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에서 상기 절개슬롯(123b)에 의해 선단부가 오므려진다.
즉 상기 내측관(12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상기 절개슬롯(123b)이 소정길이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의 관체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슬롯(123b)이 선단의 끝에서부터 적어도 중간부분까지 형성되며, 상기 절개슬롯(123b)이 형성됨에 따라 선단부에 탄성력이 확보되므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쉬(122)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선단부가 오므려지면서 상기 부쉬(122)의 내주면으로 선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내측관(123)은 도 7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선단부의 끝부분에 경사면(123')이 형성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내측관(12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의 끝부분이 확관되어 단턱형태의 확관부(123a)가 형성되고, 후술되는 상기 통전관(124)의 후단부(124d)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마개(125)에 의해 상기 확관부(123a)가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관(123)은 상기 마개(125)가 구비되어 후단부가 차폐됨으로써 실링되거나 상기 통전관(124)이 후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125)가 후단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후단부에 상기 확관부(123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12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관체로 형성되어 선단부가 상기 내측관(123)의 후단부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플랜지형상의 스토퍼(125b)가 형성되어 일정깊이만큼만 상기 내측관(123)에 삽입되며, 후술되는 상기 통전관(124)의 상기 후단부(124d)가 관통하는 구멍(125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통전관(124)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관(123)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케이블(C)의 상기 코어(2b)가 선단부(124a)의 중앙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내주연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코어(2b)와 접속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절개노치(124b)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관(123)의 오므려짐에 의해 상기 내측관(123)과 함께 오므려지면서 상기 코어(2b)를 파지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124d)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1) 내부에 통전가능하게 접합되어 상기 코어(2b)의 통신신호를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인가한다.
상기 통전관(12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의 관체이고, 전도성의 금속재로 구성되며, 상기 절개노치(124b)가 상기 선단부(124a)에서부터 적어도 중간부분까지 형성되어 상기 절개노치(124b)에 의해 상기 선단부(124a)에 탄성력이 확보된다.
상기 통전관(12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124a)가 비딩가공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절곡되고, 상기 후단부(124d)가 다른 부위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1)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통전가능하게 접합된다.
상기 통전관(124)은 전도성의 금속판이 프레스금형에 의해 원통형으로 조관되어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124a)의 비딩가공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상기 후단부(124d)가 스웨이징되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단부(124d)가 상기 선단부(124a)보다 가늘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124d)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통신신호를 정합하는 PCB(1a)나 전자소자가 구비될 경우 상기 PCB(1a)나 상기 전자소자에 솔더링 등으로 접합되어 상기 통신케이블(2)의 통신신호를 상기 PCB(1a)나 상기 전자소자에 전달한다.
상기 통전관(124)은 금속판이 프레스금형으로 조관되므로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파팅라인(124c)이 형성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케이블(2)의 상기 코어(2b)의 직경과 대응하거나 이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폭(W)으로 상기 선단부(124a)의 내경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전관(124)은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선단부(124a)로 갈수록 경사(θ)가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전관(124)은 상기 절개노치(124b)에 의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124a)가 오므려질 경우 상기 경사(θ)로 인하여 탄성력이 용이하게 확보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선단부(124a)가 추후에 용이하게 원형복원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의 조립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단자플러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관(123)에 상기 통전관(124)이 삽입되고, 상기 마개(125)가 상기 내측관(123)의 후단부에 결합된 후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삽입링(121)이 상기 상기 외측관(1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마개(12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25b)에 의해 일정 깊이만큼만 선단이 상기 내측관(123)의 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링(121)은 억지끼움으로 상기 외측관(11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부쉬(1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10)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링(121)의 후단을 지지하며, 외주연의 상기 단턱(122a)이 상기 삽입링(121)의 상기 단차(121a)에 걸린다.
상기 내측관(12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전관(124)이 삽입되고, 상기 마개(125)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외측관(1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통전관(12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단부(124d)가 상기 마개(125)를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1)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본체(1)에 내장된 상기 PCB(1a)에 통전가능하게 접합된다.
상기 통전관(124)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10)의 후단부가 상기 본체(1)에 접합으로 고정된 후 상기 후단부(124d)가 상기 PCB(1a)에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관(110)은 상기 삽입링(121)과 상기 통전관(124)이 끼워진 상기 내측관(123)이 삽입된 후 용접이나 브레이징 또는 솔더링에 의해 후단부가 상기 본체(1)에 접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링(121)과 상기 통전관(124)과 상기 내측관(123)과 상기 마개(125)는 상기 외측관(110)의 후단부가 상기 본체(1)에 고정되므로 상기 외측관(110)의 내부에 격리된다.
한편, 상기 부쉬(1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앞부분)이 상기 외측관(110)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돌출길이(L)를 갖는다.
상기 부쉬(1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10)에 상기 통신케이블(2)의 너트형 상기 케이블단자(2a)가 결합될 경우 상기 통신케이블(2)의 상기 코어(2b)가 내부로 관통하며, 상기 돌출길이(L)를 형성하는 상기 선단이 상기 케이블단자(2a)의 내부에 설치된 절연재에 가압되어 상기 외측관(11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내측관(123)은 상기 부쉬(122)가 후진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쉬(122)의 내측으로 선단부(앞쪽)가 삽입된다.
상기 내측관(123)은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상기 경사면(123')이 형성되므로 선단부가 상기 부쉬(12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기 부쉬(122)의 내경이 협소하므로 선단부가 오므려진다.
상기 통전관(124)은 오므려지는 상기 내측관(123)의 선단부에 상기 선단부(124a)의 외측이 가압되므로 상기 선단부(124a)가 오므려지면서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통신케이블(2)의 상기 코어(2b)를 파지한다.
따라서 상기 코어(2b)는 바람에 의해 상기 통신케이블(2)이 유동하여도 상기 통전관(124)의 선단에 견고하게 파지됨에 따라 유동되지 않는다.
즉 상기 코어(2b)는 바람이 불어도 상기 통전관(124)과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통신신호를 상기 통전관(124)을 통해 상기 본체(1)의 상기 PCB(1a)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링(121)은 상기 외측관(110)의 선단측 내부를 절연상태로 실링하고, 상기 마개(125)는 상기 내측관(123)의 후단부를 절연상태로 실링하고, 상기 통전관(124)은 프레스금형으로 제조되므로 용이하게 제조된다.
상기 통전관(12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124a)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상기 통신케이블(2)의 상기 코어(2b)가 분리될 경우 상기 선단부(124a)가 다시 원형복원되며, 오므려진 상태에서 상기 경사(θ)에 의해 탄성력이 확보되므로 용이하게 원형복원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2; 통신케이블 2a; 케이블단자
2b; 코어 110; 외측관
110b; 걸림턱 122; 부쉬
122a; 단턱 123; 내측관
123b; 절개슬롯 124; 통전관
124a; 선단부 124b; 절개노치
124d; 후단부

Claims (6)

  1. 통신케이블(2)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단자(2a)가 끼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2)의 코어(2b)가 삽입되며, 내주연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걸림턱(110b)이 선단부에 형성되어 후단부가 커넥터의 본체에 연결되는 외측관(110);
    상기 외측관(11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외측관(110)의 외측으로 선단이 돌출되고,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걸리는 단턱(122a)이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통신케이블(2)의 상기 코어(2b)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관(110)에 결합된 상기 케이블단자(2)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는 부쉬(122);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으로 선단부가 삽입되고, 측면에 절개슬롯(123b)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며, 이동하는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에서 상기 절개슬롯(123b)에 의해 선단부가 오므려지도록 하는 내측관(123); 및
    상기 내측관(123)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고, 상기 통신케이블(C)의 상기 코어(2b)가 선단부(124a)의 중앙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내주연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코어(2b)와 접속하며, 측면에 절개노치(124b)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관(123)의 오므려짐에 의해 상기 내측관(123)과 함께 오므려지면서 상기 코어(2b)를 파지하고, 후단부(124d)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 내부에 통전가능하게 접합되어 상기 코어(2b)의 통신신호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인가하도록 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관체형의 금속성 통전관(1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쉬(122)는 절연부재를 통해 상기 외측관(110)의 걸림턱(110b)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외측관(110)의 후단부를 통해 상기 외측관(110)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상기 외측관(110)의 상기 걸림턱(110b)에 걸려서 고정되고, 내주연에 상기 부쉬(122)의 상기 단턱(122a)이 걸리는 단차(121a)가 형성되며, 후단부의 내경이 선단부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된 삽입링(12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123)은 상기 부쉬(122)의 후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선단부의 끝부분에 경사면(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123)은 상기 후단부(124d)의 끝부분이 확관되어 단턱형태의 확관부(123a)가 형성되고, 상기 통전관(124)의 상기 후단부(124d)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마개(125)에 의해 상기 확관부(123a)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전관(124)은 전도성의 금속판이 원통형으로 조관되어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124d)가 스웨이징되어 상기 후단부(124d)가 상기 선단부(124a) 보다 가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KR1020130013272A 2013-02-06 2013-02-06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KR10130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72A KR101300430B1 (ko) 2013-02-06 2013-02-06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72A KR101300430B1 (ko) 2013-02-06 2013-02-06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430B1 true KR101300430B1 (ko) 2013-08-26

Family

ID=4922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72A KR101300430B1 (ko) 2013-02-06 2013-02-06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4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7494A4 (en) * 2016-05-12 2020-01-01 KMW Inc. ANTENNA CABLE CONNECTION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TENNA CABLE CONNECTION MODULE
KR20200032535A (ko) * 2018-09-18 2020-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신호전달용 밀폐 플러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562A (ja) * 1997-03-03 1998-09-14 Uro Denshi Kogyo Kk 終端型同軸コネクタ
JP2003282196A (ja) 2002-03-25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妨害高周波コネクター
KR20110017759A (ko) * 2009-08-14 2011-02-22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562A (ja) * 1997-03-03 1998-09-14 Uro Denshi Kogyo Kk 終端型同軸コネクタ
JP2003282196A (ja) 2002-03-25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妨害高周波コネクター
KR20110017759A (ko) * 2009-08-14 2011-02-22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단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7494A4 (en) * 2016-05-12 2020-01-01 KMW Inc. ANTENNA CABLE CONNECTION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TENNA CABLE CONNECTION MODULE
US10847938B2 (en) 2016-05-12 2020-11-24 Kmw Inc. 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KR20200032535A (ko) * 2018-09-18 2020-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신호전달용 밀폐 플러그
KR102141685B1 (ko) * 2018-09-18 2020-08-05 한국원자력연구원 신호전달용 밀폐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11085B (zh) 端子零件
JP6063788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US8083539B2 (en) Connector
JP4456100B2 (ja) 準備工程が不要な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7513796B2 (en) Step up pin for coax cable connector
US20120322307A1 (en) Shield connector
WO2014046085A1 (ja) 端子
JP6304091B2 (ja) コネクタ付電線及びコネクタ付電線の製造方法
WO2007109389B1 (en) Ethernet cable connector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300430B1 (ko)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CN109888560A (zh) 一种用于连接端子的快插接头
CN107408773B (zh) 连接器
JP2010086797A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EP3440742B1 (en) Angled coaxial connectors for receiving electrical conductor pins having different sizes
KR200441681Y1 (ko) 실드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세트
JP2009099478A (ja) コネクタプラグ
US2786095A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2011210414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半田付け冶具及び該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半田付け冶具を用いた半田付けの方法
KR102513547B1 (ko) 코일단말의 접속구조
JP2010056033A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813306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tubular contact pin plugged at open end
JP4544960B2 (ja) 丸型シールドコネクタ
CN210985074U (zh) 一种压接式射频同轴连接器
CN202749523U (zh) 一种微型同轴连接器
CN211377109U (zh) 一种连接器头、连接器座及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