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152A -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 Google Patents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152A
KR20130141152A KR1020120064327A KR20120064327A KR20130141152A KR 20130141152 A KR20130141152 A KR 20130141152A KR 1020120064327 A KR1020120064327 A KR 1020120064327A KR 20120064327 A KR20120064327 A KR 20120064327A KR 20130141152 A KR20130141152 A KR 20130141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ntenna
communication cable
assembl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한
Original Assignee
대한특허개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특허개발 (주) filed Critical 대한특허개발 (주)
Priority to KR102012006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152A/ko
Publication of KR2013014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의 소선이 피복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접지부재의 접속부 내주면에 접촉되고, 고정부재의 피복 수용부, 접속부재 수용부, 코어 수용부, 접촉부재 수용부에는 각각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통신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고, 접촉부재 수용부에는 이탈 방지용 돌기와 코일 고정용 돌기를 형성하여 접속부재와 안테나 코일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및 그 조립 방법{omited}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무선통신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코일과 통신 케이블이 통신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되면서,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자동차의 안테나가 설치되는 위치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함께 조립되도록 하여 조립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접지를 위한 부재들 사이에서 양호한 상태의 접촉이 유지되어 통신 시스템의 안전 확보와 오동작을 방지하여 통신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안테나는 무선통신에 있어서, 전기신호를 자유공간에 전자기 신호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자유공간에 존재하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테나는 전자기 신호를 전기신호로 전환하거나 전기신호를 전자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전자기 신호가 전기 신호로 바뀌는 과정에서 주전기 신호가 지나가는 선에 노이즈가 개입되기 때문에 전자기파가 잘 전송되게 하고 통신 효율을 높이려면 접지를 통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통신 케이블의 소선에 전자기파 접지를 걸어서 안테나 엘리먼트에 전자기파 접지인 마이너스 전하가 발생되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성 엘리먼트 사이에 정확한 접속이 항구적으로 유지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관점에서 종래의 안테나 고정 장치는 성능과 작업성에서 만족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고정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고정 장치는 접지부재(100)에 통신 케이블(200)의 소선(201)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접속부(101)가 형성되어 소선(201)과 접속부(10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부(101)의 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접지단부(102)가 형성되어 어스를 구현할 수있게 된다.
한편 통신 케이블(200)의 심선(202)은 안테나 코일(30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안테나 코일(300)을 안착시키는 접속부재(400)의 중앙에 천공되는 관통공(401)에 삽입되어 상기 통신 케이블(200)과 접지부재(100)와 접속부재(400) 및 안테나 코일(300)을 수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600)에 의하여 안테나 어셈블리를 이루게 되고, 고정부재(600)의 하단부에 브라켓(도시되지 아니함)을 끼워서 접지를 위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은 통신 케이블(200)을 접지부재(100)에 삽입하여 상기 소선(201)과 상기 접지부재(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접속부재(400)의 관통공(401)에 심선(202)을 삽입한 다음, 상기 접속부재(400)에 안테나 코일(300)을 결합하며, 상기 접속부재(400)와 상기 통신 케이블(200)과 상기 접지부재(100)를 한 쌍의 고정부재(600)가 감싸도록 일체로 결합하여 초음파로 융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테나 어셈블리는 서로 초음파 융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600) 내부에 통신 케이블(200)의 단부와 접지부재(100), 접속부재(400), 안테나 코일(300)이 내설되는데, 고정부재(600)에는 상기 통신 케이블(200)과 접지부재(100), 고 접속부재(400), 그리고 안테나 코일(300)이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여, 조립 상태에 따라서 통신 신호의 전송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케이블(200)의 단부와 접지부재(100) 접속부재(400, 안테나 코일(300)이 접촉하는 고정부재(600)의 내주면이 단순히 원통형의 면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각각의 부재들을 고정시킬 수 없다. 따라서 통신 케이블(200)과 접지부재(100) 및 접속부재(400)의 외주면 직경과, 상기 부재들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고정부재(600)의 내주면에서 치수공차가 헐겁게 형성되면 심한 유동에 의하여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고자 억지로 끼워 맞출 수 있게 할 경우에는 조립 작업이 쉽게 않아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60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금형의 정밀한 치수관리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최적의 치수공차를 유지하더라도 결합된 통신 케이블(200)을 잡아당기는 장력이 작용할 경우 통신 케이블이 분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조립 작업상의 어려움은 수작업으로 조립할 때는 물론이고, 자동화에 의한 조립작업을 할 경우에도 어느 순간에 조립 라인에서 부품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어서 조립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물론, 종래의 구조에서 조립된 통신 케이블(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부재(400)에 관통공(401)을 형성하여 통신 케이블(200)의 심선(202) 단부가 상기 관통공(401)을 통과하게 한 다음 외부로 노출된 단부를 형태로 절곡하여 접속부재(400)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할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심선(202)은 연신률이 좋은 구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 케이블(200)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절곡된 부분이 쉽게 변형하여 펴지면서 접속부재(400)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에 있어서도 조립 공정이 단지 조립만 하는 공정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별도의 물리적 가공 작업을 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 및 작업상의 문제점은 통신 케이블(200)의 구조상 자동화 라인에 의한 조립 공정이 곤란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즉, 자동화 조립 라인에서 접속부재(400)에 삽입된 통신 케이블(200)의 심선(202)을 절곡하기 위해서는 통신 케이블(200)을 고정하고 절곡할 수 있는 별도의 지그와 벤딩기구를 자동화 조립 라인에 포함시켜야 하므로 자동화 조립 시스템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안테나는 통신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접지를 통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접지를 위한 접속 구조에서 접속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우선, 통신 케이블(200)과 접지부재(100)의 접속구조에서는 통신 케이블(200)의 소선(201)이 노출된 상태에서 단순히 접지부재(100)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지부재(100)에 소선(201)을 삽입하는 조립 과정에서 소선(201)의 끝부분이 접지부재()에 닿으면서 바깥쪽으로 밀려나 헝클어지면서 접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접지부재(100)와 브라켓이 접속되는 구조에서는 접지부재(100)에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접지단부(102)와 그 아래쪽에 끼워지는 브라켓이 서로 대향하는 면접촉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접지단부(102) 브라켓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접지가 불가능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특허 10-457111 대한민국 특허 10-108651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테나 고정 장치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 엘리먼트와 통신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통신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고정 장치와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어셈블리가 안테나가 설치되는 장소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압입 방식으로 직접 조립되도록 하여 조립공정 및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고정 장치와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지를 위한 안테나 엘리먼트들 사이에서 양호한 접촉 상태가 유지되어 원활한 접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조립 불량을 방지하고, 노이즈 감소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고정 장치와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고정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은 통신 케이블의 소선이 삽입되는 접속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접속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접속부의 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접지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소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재와, 통신 케이블의 심선이 삽입되어 안테나 코일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안테나 코일을 안착시키는 접속부재와, 상기 통신 케이블과 접지부재와 접속부재 및 안테나 코일을 수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의 소선이 피복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접지부재의 접속부 내주면에 접촉되고, 접속부재 수용부에 안착되는 접속부재가 접속부재 수용부로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부재 고정수단과, 상기 접속부재와 함께 접속부재 수용홈에 안착되는 안테나 코일이 접속부재 수용부로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테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통신 케이블을 유동없이 고정시키는 통신 케이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접속부재 고정수단은 접속부재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어 접속부재의 플랜지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안테나 고정수단은 접속부재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안테나 코일을 수용하는 고일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어 안테나 코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신 케이블 고정수단은 고정부재의 피복 수용부와 접지부재 수용부와 코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가 피복과 접지부재와 코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접지부재의 접지단부에는 브라켓과 접촉하는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정확한 접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고정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은 통신 케이블을 접지부재에 삽입하여 상기 소선과 상기 접지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접속부재의 관통공에 심선을 삽입한 다음, 상기 접속부재에 안테나 코일을 결합하여, 상기 접속부재와 상기 통신 케이블과 상기 접지부재를 한 쌍의 고정부재가 감싸도록 일체로 결합하여 초음파로 융착시키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고정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 내부 중앙의 심선으로부터 코어와 피복을 계단상으로 절단하여 노출시키고, 상기 코어와 피복 사이에서 노출되어 코어를 덮고 있는 소선이 피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바깥쪽으로 절곡시켜서 정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 따라 소선이 피복에 감싸여진 통신 케이블의 단부를 접지부재의 접속부에 삽입하여 피복의 외주면에 위치한 소선이 접속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제 1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1 조립체의 심선을 접속부재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심선과 접속부재가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제 2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2 조립체의 접속부재가 안테나 코일의 하단부 공간에 삽입되게 하여 접속부재와 안테나 코일이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제 3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3 조립체의 접지부재에 형성된 접지단부를 한쪽편의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홈에 삽입하면서, 접속부재의 플랜지 상부면을 이탈 방지용 돌기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키고, 안테나 코일을 코일 고정용 돌기에 안착시켜서 제 4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4 조립체의 고정부재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대향하는 다른 한편의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결합하여,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가압돌기가 통신 케이블의 코어와 피복, 그리고 접지부재 접속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 5 조립체를 형성하고 고정부재를 초음파로 융착시키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5 조립체의 고정부재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홈에 브라켓을 끼워 넣어서 접지부재의 접속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돌기와 브라켓이 전기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 6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제 7 단계에 의하여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쪽의 고정부재에 형성된 가압돌기가 통신 케이블의 피복과 코어, 그리고 접지부재를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접속부재는 이탈 방지용 돌기에 의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수 없게 되면서, 안테나 코일은 코일 고정용 돌기에 의하여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조립 불량이 방지되고 통신 신호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의 소선이 피복을 감싸는 형태로 접지부재와 결합되어 접지부재와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접지단부에 형성된 접촉돌기는 브라켓과 접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노이즈 감소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통신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안테나 고정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분리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쪽 고정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양쪽 고정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B부 확대도
도 12는 도 9의 C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조립 과정에서 통신 케이블의 준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조립 과정에서 통신 케이블과 접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c는 본 발명의 조립 과정에서 접속부재에 안테나 코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d는 본 발명의 조립 과정에서 통신 케이블, 접지부재, 접속부재 안테나 코일이 한쪽 고정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e는 본 발명의 조립 과정에서 한 쌍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통신 케이블, 접지부재, 접속부재 안테나 코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f는 본 발명의 조립 과정에서 고정부재에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통신 케이블(1), 접지부재(2), 접속부재(3), 안테나 코일(4), 한 쌍의 고정부재(5,5a), 그리고 브라켓(6)으로 구성된다.
통신 케이블(1)은 주지된 바와 같이 안테나 코일(4)에서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차량 등의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금속재의 심선(10)과, 절연 소재로 되어 상기 심선의 외주를 감싸서 절연을 시키는 코어(11)와, 상기 코어(11)의 외주면을 따라 가늘고 길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소선(12)과, 상기 소선을 감싸는 피복(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소선(12)이 노출되는 단부는 접지부재(2)에 삽입되어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접속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무선통신기기(도시되지 아니함)에 접속되는 잭(14)이 형성되어 있다.
접지부재(2)는 양도체로 되면서 통신 케이블(1)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접속부(20) 상부에 플랜지(21)가 형성되고, 브라켓(6)과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21)로부터 양쪽 수평 방향으로 넓고 길게 연장되는 접지단부(22,22a)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20)는 노이즈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어스(earth)를 하기 위한 것으로, 내주면이 통신 케이블(1)의 소선(12)과 접촉하게 된다.
접지단부(22,22a)는 브라켓(6)과 양호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촉돌기(23,23a)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돌기(23,23a)는 바람직하게 접지단부(22,22a)의 상부면을 가압 성형하여 아래쪽으로 반구형상으로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접속부재(3)는 단차로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통신 케이블(1)의 심선(10)이 삽입되는 삽입홈(30)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의 하단부에는 고정부재(5,5a)에 안착되는 플랜지(3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30)은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구간이 천공되어 상부는 막혀있는 상태로서 삽입홈(30)에 삽입되는 심선(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접속부재(3)는 안테나 코일(4)과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안테나 코일(4)과 함께 고정부재(5,5a)에 안착되어 고정되면서 고정부재(5,5a)에 마련된 접지부재 고정수단에 의하여 조립된 이후에 고정부재(5,5a)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안테나 코일(4)은 전기신호를 자유공간에 전자기 신호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고정부재(5,5a)에 마련되는 안테나 고정수단에 의하여 조립된 이후에 고정부재(5,5a)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한 쌍의 고정부재(5,5a)는 부전도성 재질로 되면서 반원형으로 이등분되는 원통형 절연체로서, 통신 케이블(1)의 피복(13)이 놓여지는 피복 수용부(50,50a)와,
상기 피복 수용부(50,50a)의 상부로 연속된 반원형 공간을 형성하여 접지부재(2)가 안착되는 접지부재 수용부(51,51a)와, 상기 접지부재 수용부(51,51a)의 상부로 연속된 반원형 공간을 형성하여 통신 케이블(1)의 코어(11)가 놓여지는 코어 수용부(52,52a)와, 상기 코어 수용부(52,52a)의 상부로 연속된 공간을 형성하여 통신 케이블(1)의 심선(10)이 삽입된 접속부재(3)가 안착되는 접속부재 수용부(53,53a)와,
외주면의 대략 중앙 부위에서 양쪽으로 형성되어 접지부재(2)의 접지단부(22,22a)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54,54a,54b,54c)과, 상기 제1가이드홈(54,54a,54b,54c)의 아래쪽에서 제1가이드홈(54,54a,54b,54c)과 동일한 공간을 형성하여 브라켓(6)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홈(55,55a,55b,55c)과, 서로 마주보는 수평면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결합돌기(56,56a,56b,56c)와 결합홈(57,57a,57b,57c)이 형성되어 서로 끼워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피복 수용부(50,50a)는 통신 케이블(1)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내주면에는 피복(13)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는 가압돌기(500,500a)가 형성되어 있다.
접지부재 수용부(51,51a)는 접지부재(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접지부재(2)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는 가압돌기(510,510a)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 수용부(52,52a)에는 통신 케이블(1)의 코어(11)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코어(11)에 가압 밀착되는 가압돌기(520,520a)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재 수용부(53,53a)에는 접속부재(3)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이탈 방지용 돌기(530,530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안테나 코일(4)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안테나 코일(4) 하단부의 외형과 대응하는 코일 고정용 돌기(540,540a)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6)은 자동차의 프레임(도시되지 아니함)에 고정되는 고정부(60)의 상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고정부재(5,5a)의 제2가이드홈(55,55a,55b,55c)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부(61,61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엘리먼트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 13 내지 도 13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신 케이블(1)은 심선(10)으로부터 코어(11)가 계단상으로 노출되도록 피복(13)을 절단하고, 코어(11)와 피복(13) 사이의 소선(12)이 피복을 감싸도록 절곡하여 가지런하게 정렬한다.<도 13 참조>
그 다음, 소선(12)이 피복(13)에 감싸여진 통신 케이블(1)과 접속부재(2)를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통신 케이블(1)의 단부를 접지부재(2)의 접속부(20)에 삽입하여 피복(13)의 외주면에 위치한 소선(12)이 접속부(2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 조립체(A1)를 형성한다. <도 13a 참조> 이때, 소선(12)이 피복을 감싸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접속부(20)에 삽입됨에 따라 소선(12)이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엉키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뿐만 아니라, 삽입된 상태의 외관도 미려하고, 접지를 위한 접촉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 1 조립체(A1)의 통신 케이블(1) 심선(10)을 접속부재(3)의 삽입홈(30)에 삽입하여 심선(10)과 접속부재(3)가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제 2 조립체(A2)를 형성한다. <도 13b 참조>
그 다음, 상기 제 2 조립체(A2)의 접속부재(3)가 안테나 코일(4)의 하단부 공간에 삽입되게 하여 접속부재(3)와 안테나 코일(4)이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제 3 조립체를 형성한다. <도 13c 참조>
그 다음, 상기 제 3 조립체(A3)의 접지부재(2)에 형성된 접지단부(22,22a)를 한쪽편의 고정부재(5)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홈(54,54a)에 삽입한다.
이렇게 접지단부(22,22a)가 제1가이드홈(54,54a)에 삽입됨에 따라, 접속부재(2)의 접속부(20) 외주면은 고정부재(5)의 접지부재 수용부(51)에 안착되고, 통신케이블(1)의 피복(13)은 피복 수용부(50)에 안착된다.
이와 동시에 접속부재(3)를 접속부재 수용부(53)에 안착시키면서, 이탈 방지용 돌기(530)가 형성하는 접속부재 수용부(53)에 플랜지(31)를 삽입하고, 안테나 코일(4)의 하단부를 코일 고정용 돌기(540)에 안착시켜서 제 4 조립체(A4)를 형성한다. <도 13d 참조>
그 다음, 상기 제 4 조립체(A4)의 고정부재(5)에 형성된 결합돌기(56,56a)와 결합홈(57,57a)을 대향하는 다른 한편의 고정부재(5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56b,56c)과 결합돌기(57b,57c)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결합하여 제 5 조립체(A5)를 형성한다. <도 13e 참조>
즉, 고정부재(5)의 결합돌기(56,56a)는 대향하여 결합되는 고정부재(5a)의 결합홈(57b,57c)에 삽입되고, 결합홈(57,57a)에는 고정부재(5a)의 결합돌기(56b,56c)가 삽입된다.
이때, 접지부재(2)의 접지단부(22,22a)는 고정부재(5a)의 제 1 가이드홈(54b,54c)에 삽입되고, 고정부재(5a)의 피복 수용부(50a)와 접지부재 수용부(51a), 코어 수용부(52a), 접속부재 수용부(53a)는 각각 제4조립체(A4)에서 고정부재(5)에 안착되어 상부로 노출되는 피복(13)의 단부와 코어(11), 접지부재(2), 접속부재(53a)를 감싸서 은폐된다. 그리고, 안테나 코일(4)의 하단부는 코일 고정용 돌기(540a)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재(5,5a)가 결합될 때에 각각의 고정부재(5,5a)에 서 피복 수용부(50,50a), 접지부재 수용부(51,51a), 코어 수용부(52,52a)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500,500a,510,510a,520,520a)는 각각 통신 케이블(1)의 피복(13)과 코어(11) 및 접지부재(2)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통신 케이블(1)과 접지부재(2)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고정부재(5,5a)에는 제2가이드홈(55,55c)(55a,55b)이 브라켓(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나란한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고정부재(5,5a)의 접촉 경계면은 바람직하게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제 5 조립체(A5)는 브라켓(6)의 결합부(60,61a)가 결합된 고정부재(4,4a)에 의하여 나란한 공간을 이루는 제2가이드홈(55,55c)(55a,55b)에 각각 끼워지는 제 6 조립체(A6)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3f 참조>
결합부(60,61a)가 제2가이드홈(55,55c)(55a,55b)에 끼워지면서, 결합부(60,61a)의 상부면은 접지단부(22,22a)에 형성된 접촉돌기(23,23a)에 접촉하게 되어 브라켓을 통한 어스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 5 조립체(A5)의 고정부재(5,5)는 러버캡(7)에 끼워져서 안테나 코일(4)을 보호할 수 있다.
1 : 통신 케이블
2 : 접지부재
3 : 접속부재
4 : 인테나 코일
5, 5a : 고정부재
6 : 브라켓
7 : 러버 캡
10 : 심선
11 : 코어
12 : 소선
13 : 피복
14 : 잭
20 : 접속부
21 : 플랜지
22, 22a : 접지단부
23, 23a : 접촉돌기
30 : 삽입홈
31 : 플랜지
50, 50a : 피복 수용부
51, 51 a : 접지부재 수용부
52, 52a : 코어 수용부
53, 53a : 접속부재 수용부
54, 54a, 54b, 54c : 제 1 가이드 홈
55, 55a, 55b, 55c : 제 2 가이드 홈
56, 56a, 56b, 56c) : 결합돌기
57, 57a, 57b, 57c : 결합홈
60 : 고정부
61, 61a : 결합부
510, 510a, 520, 520a : 가압돌기
530, 530a : 이탈 방지용 돌기
540,540a : 코일 고정용 돌기

Claims (6)

  1. 통신 케이블의 소선이 삽입되는 접속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접속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접속부의 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접지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소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재와, 통신 케이블의 심선이 삽입되어 안테나 코일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안테나 코일을 안착시키는 접속부재와, 상기 통신 케이블과 접지부재와 접속부재 및 안테나 코일을 수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의 소선이 피복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접지부재의 접속부 내주면에 접촉되고, 접속부재 수용부에 안착되는 접속부재가 접속부재 수용부로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부재 고정수단과, 상기 접속부재와 함께 접속부재 수용홈에 안착되는 안테나 코일이 접속부재 수용부로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테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통신 케이블을 유동없이 고정시키는 통신 케이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부재 고정수단은 접속부재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어 접속부재의 플랜지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안테나 고정수단은 접속부재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안테나 코일을 수용하는 고일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어 안테나 코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 고정수단은 고정부재의 피복 수용부와 접지부재 수용부와 코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가 피복과 접지부재와 코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접지부재의 접지단부에 브라켓과 접촉하는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6. 통신 케이블을 접지부재에 삽입하여 소선과 접지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접속부재의 관통공에 심선을 삽입한 다음, 상기 접속부재에 안테나 코일을 결합하여, 상기 접속부재와 상기 통신 케이블과 상기 접지부재를 한 쌍의 고정부재가 감싸도록 일체로 결합하여 초음파로 융착시키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고정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 내부 중앙의 심선으로부터 코어와 피복을 계단상으로 절단하여 노출시키고, 상기 코어와 피복 사이에서 노출되어 코어를 덮고 있는 소선이 피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바깥쪽으로 절곡시켜서 정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 따라 소선이 피복에 감싸여진 통신 케이블의 단부를 접지부재의 접속부에 삽입하여 피복의 외주면에 위치한 소선이 접속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제 1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1 조립체의 심선을 접속부재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심선과 접속부재가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제 2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2 조립체의 접속부재가 안테나 코일의 하단부 공간에 삽입되게 하여 접속부재와 안테나 코일이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제 3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3 조립체의 접지부재에 형성된 접지단부를 한쪽편의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홈에 삽입하면서, 접속부재의 플랜지 상부면을 이탈 방지용 돌기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키고, 안테나 코일을 코일 고정용 돌기에 안착시켜서 제 4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4 조립체의 고정부재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대향하는 다른 한편의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결합하여,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가압돌기가 통신 케이블의 코어와 피복, 그리고 접지부재 접속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 5 조립체를 형성하고 고정부재를 초음파로 융착시키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 따라 형성된 제 5 조립체의 고정부재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홈에 브라켓을 끼워 넣어서 접지부재의 접속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돌기와 브라켓이 전기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접촉시키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조립 방법
KR1020120064327A 2012-06-15 2012-06-15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KR20130141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27A KR20130141152A (ko) 2012-06-15 2012-06-15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27A KR20130141152A (ko) 2012-06-15 2012-06-15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52A true KR20130141152A (ko) 2013-12-26

Family

ID=4998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327A KR20130141152A (ko) 2012-06-15 2012-06-15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1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119B1 (ko) * 2014-06-18 2014-10-27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친환경성 및 공간 효율성이 향상된 일체형 안테나 모듈
WO2017196011A1 (ko) * 2016-05-12 2017-11-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119B1 (ko) * 2014-06-18 2014-10-27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친환경성 및 공간 효율성이 향상된 일체형 안테나 모듈
WO2017196011A1 (ko) * 2016-05-12 2017-11-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US10847938B2 (en) 2016-05-12 2020-11-24 Kmw Inc. 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9471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固定具
JP5757153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US7601029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it and shielded cable harness
JP5426272B2 (ja) コネクタ
CN102859802A (zh) 连接器
US20130065426A1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11646522B2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4051069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074316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キット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ハーネス
KR101022874B1 (ko) 다중 요철 구조의 연결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와 일괄형 편조차폐선의 결합방법
WO2016158488A1 (ja) コネクタ
KR200441681Y1 (ko) 실드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세트
CN111771307B (zh) 用于网络连接器的电气屏蔽构件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20130141152A (ko)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JP5504639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用の固定部材、ケーブルコネクタ、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光ケーブルコネクタ
WO2014007197A1 (ja) コネクタ
KR20100083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JP4864340B2 (ja) 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JP5772386B2 (ja) シールド部材及びシールド導電体
KR101448031B1 (ko) 와이어하네스의 커넥터 체결구조
KR100993098B1 (ko) 고정용 압착밴드, 이를 이용하여 차폐 커넥터와 일괄형 편조차폐선을 결합하는 방법 및, 차폐 커넥터 구조체
CN107732480B (zh) 线缆连接器组件
JP6762784B2 (ja) 電気コネクタ
WO2018235579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