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385B1 -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385B1
KR101808385B1 KR1020150161756A KR20150161756A KR101808385B1 KR 101808385 B1 KR101808385 B1 KR 101808385B1 KR 1020150161756 A KR1020150161756 A KR 1020150161756A KR 20150161756 A KR20150161756 A KR 20150161756A KR 101808385 B1 KR101808385 B1 KR 101808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oligosaccharide
extract
powde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042A (ko
Inventor
허원석
Original Assignee
허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원석 filed Critical 허원석
Priority to KR102015016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3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원료의 준비단계; 곡물원료를 홍삼 추출액에 침지시켜 홍삼성분을 흡수시키는 단계;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단계; 건조단계; 로스팅 단계; 및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과 현미, 찹쌀, 옥수수, 보리, 흑미, 맵쌀, 수수, 조, 흰콩, 검은콩, 율무, 통밀 등의 곡물 중 1종 이상의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분말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및 기능성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홍삼미숫가루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홍삼미숫가루는 홍삼 본래의 기능과 효과를 내재하고, 풍미가 우수하고, 소화가 용이하여 저작기능 또는 소화기능이 불량하거나 제한적인 환자용 음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은 홍삼박 추출물을 이용하여 경제성이 현저히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ROAST GRAIN POWDER CONTAINING RED JINSENG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I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용한 곡물을 섭취할 때 맛의 풍미가 뛰어나고, 소화효과가 우수하며, 제조시 비용절감에 따라 경제성이 우수한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삼은 인삼의 재배적지에서 생산된 6년근 수삼 중에서 좋은 품질의 수삼을 정선하고 증숙, 건조 등의 한의학적인 법제과정을 거쳐 인체에 흡수가 잘 되도록 제조한 담황갈색의 인삼으로, 그 제조과정 중에 노화 억제 효능이 뛰어난 말톨(maltol)과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 파낙시트리올 등 홍삼만이 가지는 특수성분이 생성되며 가장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고 장기간 보존시에도 유효성분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홍삼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혈액순환개선, 신체기능 항상성유지 등과 같이 세포활성화 및 피로회복, 강장, 심박수 감소, 면역력 증진의 탁월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홍삼을 이용하여 홍삼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홍삼박은 홍삼을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여 호화전분(糊精 또는 dextrin) 성분이 추출되고 남은 잔사로서 1회 추출 후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단백질 등의 유효성분이 약 20 내지 40% 다량 남게 된다. 또한, 홍삼을 수회 반복 추출하더라도 내부의 유효성분을 모두 추출할 수 없고, 추출용매에 따라 물 또는 알코올에 용해되는 성분만 추출되고 용해되지 않은 유효성분이 잔류하게 되며, 더욱이 추출 비용상(가열비용, 용매비용, 공정반복비용 등) 홍삼의 유효성분이 남아 있더라도 더 이상 추출할 수 없으므로 홍삼박에는 유효성분이 대략 15% 정도 남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효성분이 잔류되어 있는 홍삼박은 재활용하기 어렵고 그 활용범위가 제한적이어서 현재에는 대부분 경마장에서 경마의 사료나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조성물의 첨가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만 단순히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숫가루는 현미, 보리, 콩, 율무, 찹쌀, 깨, 들깨 등 몸에 좋은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최대한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게 볶아 가루 낸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웰빙 열풍이 불면서 건강식 또는 다이어트식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곡물식품 본연의 텁텁한 맛과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이 다소 약하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4811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강에 유익한 홍삼 성분을 포함하는 홍삼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소화가 용이하여 저작기능 또는 소화기능이 불량하거나 제한적인 환자용 음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홍삼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풍미가 우수한 홍삼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홍삼박 추출물을 이용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곡물원료의 준비단계; 상기 곡물원료를 홍삼 추출액에 침지시켜 홍삼성분을 흡수시키는 단계;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단계; 건조단계; 로스팅 단계; 및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홍삼 추출액은 홍삼 농축액 및 홍삼박 추출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홍삼박 추출액은 홍삼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주정 추출용매 400 내지 700 중량부를 투입하고 65℃ 내지 85℃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며, 상기 주정 추출용매는 물과 주정(ethyl alcohol)을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 및 기능성 올리고당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에 상기 곡물원료 100 중량부를 침지시킨 후 증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단계는 80℃ 내지 10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침지 증숙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은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FOS),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 IMO),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GOS),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 XOS), 키토올리고당(chito-oligosaccharide), 셀로올리고당 (cello-oligosaccharide), 및 대두올리고당(soy oligosacchar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리고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로스팅 단계는 100℃ 내지 150℃에서 15 내지 40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분쇄단계는 곡물원료를 150 내지 200 메쉬(mesh)로 분쇄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현미, 찹쌀, 옥수수, 보리, 흑미, 맵쌀, 수수, 조, 흰콩, 검은콩, 율무, 통밀 등의 곡물 중 1종 이상의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분말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및 기능성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홍삼미숫가루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홍삼미숫가루는 진세노사이드 0.01 내지 1 중량%,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0.2 내지 0.5 중량%, 및 기능성 올리고당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미숫가루는 홍삼 본래의 기능과 효과를 내재하고, 풍미가 우수하고, 소화가 용이하여 저작기능 또는 소화기능이 불량하거나 제한적인 환자용 음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은 홍삼박 추출물을 이용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홍삼미숫가루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은 (S1) 곡물원료의 준비단계; (S2) 곡물원료를 홍삼 추출액에 침지시켜 홍삼성분을 흡수시키는 단계; (S3)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단계; (S4) 건조단계; (S5) 로스팅 단계; 및 (S6) 분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1) 곡물원료의 준비단계
상기 곡물원료의 준비단계는 미숫가루 원료가 되는 혼합곡물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곡물은 현미, 찹쌀, 옥수수, 보리, 흑미, 맵쌀, 수수, 조, 흰콩, 검은콩, 율무, 통밀 등의 곡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혼합곡물은 현미, 보리, 흑미, 검정콩 및 흰콩을 포함하는 5곡일 수 있고, 다른 예로는 현미, 찹쌀, 옥수수, 보리, 흑미, 맵쌀, 수수 및 흰콩을 포함하는 8곡일 수 있다.
상기 혼합곡물은 세척 후 12 내지 16시간 상온의 물속에서 숙성된 후, 체로 건져져 물기가 제거됨으로써 곡물원료가 준비된다.
(S2) 곡물원료를 홍삼 추출액에 침지시켜 홍삼성분을 흡수시키는 단계
덱스트린이 포함된 홍삼은 조직이 매우 단단하여 홍삼을 기계적으로 분말화하여 미숫가루에 혼합하더라도 홍삼의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체내에 흡수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홍삼의 유효성분을 체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곡물원료를 홍삼 추출액에 침지시켜 홍삼성분을 흡수시키는 단계를 제조방법에 포함하고 있다.
곡물원료를 홍삼 추출액에 침지시켜 홍삼성분을 흡수시키는 단계(S2)는 상기 (S1)단계에서 준비된 곡물원료를 홍삼 추출액에 완전히 잠기도록 한 후, 2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시켜 홍삼 추출액의 홍삼 성분을 곡물원료 내로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홍삼 성분으로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조사포닌, 산성다당체 등의 수용성 성분, 및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등의 지용성 성분을 예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홍삼 추출액은 홍삼 농축액과 홍삼박 추출액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홍삼 농축액은 홍삼을 열수추출, 알코올추출 등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수득된 홍삼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홍삼박 추출액은 홍삼을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고 남은 잔사인 홍삼박을 재추출하여 수득된 홍삼 추출액을 의미한다.
상기 홍삼 추출액은 홍삼 농축액과 홍삼박 추출액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홍삼 추출액은 홍삼 농축액과 홍삼박 추출액을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홍삼박 추출액은 홍삼박 내에 포함된 지용성 성분의 추출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추출시 주정(ethyl alcohol)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성분은 항암활성, 면역증강활성과 같은 생리활성을 갖는 물질로서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을 대표적으로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파낙시놀, 파낙시돌, 파낙시트리올 등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홍삼박 추출액은 반응기에 주정 추출용매를 투입한 후 홍삼박 원료를 넣고 65℃ 내지 85℃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진세노사이드 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주정 추출용매는 홍삼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내지 700 중량부로 투입하여 추출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주정 추출용매는 물과 주정을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홍삼박 내에 포함된 지용성 성분을 높은 용출율로 추출함과 동시에 조사포닌이나 산성다당체와 같은 수용성 성분도 함께 추출할 수 있다.
(S3)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단계
(S2) 단계를 통해 홍삼 성분이 침지 흡수된 곡물원료를 건져 낸 후, 정제수 100 중량부 및 기능성 올리고당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에 상기 곡물원료 100중량부를 침지시킨 후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침지 증숙시켜 기능성 올리고당 성분을 곡물원료를 코팅하거나 곡물원료 내로 흡수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기능성 올리고당(functional oligosaccharides)은 프리바이오틱스의 일종으로 단당류가 3 내지 10개 연결된 형태의 올리고당 중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식이섬유와 유사하게 작용하여 대장으로 내려가 장내 유익균의 영양원이 되어 대장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능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은 장내 환경 개선 이외에도 대장암 예방, 게실염 예방, 변비 개선 등이 효과를 나타내며, 설탕과 비슷한 단맛을 내지만 단맛의 정도가 덜하고 부드러운 미감을 갖는다.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은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FOS),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 IMO),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GOS),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 XOS), 키토올리고당(chito-oligosaccharide), 셀로올리고당 (cello-oligosaccharide), 및 대두올리고당(soy oligosacchar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리고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능성 올리고당으로 곡물원료를 코팅하는 경우에는 후술할 로스팅 단계(S5)에서 곡물원료에 가해지는 고온 조건과 분쇄단계(S6)를 통해서 전달되는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곡물원료에 흡수된 유효성분을 보호할 수 있으며, 기능성 올리고당이 본래적으로 함유하는 식이섬유를 다량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S4) 건조단계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단계(S3)를 거친 곡물원료는 건조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건조단계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가온 건조 또는 열풍 건조하여 곡물원료 내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곡물원료 내 수분 함유율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5) 로스팅 단계
상기 건조단계(S4) 이후에는 건조된 곡물원료를 로스팅 장치에 투입한 후 100℃ 내지 150℃에서 15 내지 40분간 로스팅(roasting)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로스팅 단계는 생목 현상과 같은 소화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에 해로운 성분은 제거하고, 제조된 미숫가루의 풍미를 보다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다.
(S6) 분쇄단계
상기 로스팅 단계(S5) 이후에는 곡물원료를 150 내지 200메쉬(mesh)로 분쇄하는 단계를 거쳐 곡물원료를 분말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는 완성될 수 있다.
홍삼미숫가루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홍삼미숫가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홍삼미숫가루는 일 구체예로서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홍삼미숫가루는 분말상(powder)로서, 상기 분말은 현미, 찹쌀, 옥수수, 보리, 흑미, 맵쌀, 수수, 조, 흰콩, 검은콩, 율무, 통밀 등의 곡물 중 1종 이상의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홍삼미숫가루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조사포닌, 산성다당체 등의 수용성 성분,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등의 지용성 성분, 및 기능성 올리고당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홍삼미숫가루는 전체중량 100 중량% 중 진세노사이드 0.01 내지 1 중량%,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0.2 내지 0.5 중량%, 및 기능성 올리고당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미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우수한 소화효과와 더불어 홍삼 본래의 효능을 발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 및 그 제조예
(A) 곡물원료
국내산 현미 20 중량%, 보리 40 중량%, 흑미 5 중량%, 검정콩 15 중량% 및 흰콩 2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5곡 원료를 사용하였다.
(B) 홍삼 추출액
(b1) 홍삼박 추출액
반응기에 주정(ethyl alcohol) 추출용매를 투입한 후 홍삼박 원료를 넣고 70℃에서 8시간 추출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홍삼박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주정 추출용매는 홍삼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중량부 투입하였으며, 주정 추출용매는 물과 주정을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b2) 홍삼 농축액
진세노사이드 Rg1+Rg2+Rg3가 6mg/g인 홍삼 농축액을 사용하였다.
(C) 기능성 올리고당
이소말토 올리고당(청정원社)을 사용하였다.
관능평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 50명(금산군 홍삼전문제조마스터 양성과정 2015 수료생)을 대상으로 검사방법과 평가특성을 교육시킨 후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기호와 만족도를 얻고자 할 때 많이 이용되는 검사방법으로 식품이나 식품재료의 특징이 오감에 의해서 감지될 때 야기되는 반응을 주관적 관점에서 기록, 분석하는 평가방법으로 미리 계획된 조건하에서 실시하여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1) 기호도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홍삼미숫가루를 향미의 기호도(taste quality)와 맛의 기호도(taste quality)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우수: ○, 보통: △, 미흡: X)
(2) 소화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홍삼미숫가루를 섭취 후 메스꺼움 및 더부룩함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우수: ○, 보통: △, 미흡: X)
실시예 1-3 내지 비교예 1-2
실시예 1
상기 혼합5곡 원료를 곡물원료로 준비하였다. 반응기에 준비된 곡물원료 100 중량부를 넣고 홍삼박 추출액(b1) 400 중량부를 투입하여 곡물원료가 완전히 잠기게 한 후 8 시간 동안 홍삼 성분을 침지 흡수시켰다. 이후, 홍삼 성분이 침지 흡수된 곡물원료를 반응기에서 꺼낸 후 곡물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중량부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 25 중량부를 투입한 후 8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침지 증숙시켜 기능성 올리고당 성분을 코팅시켰다. 이후 50℃에서 열풍 건조하여 수분 함유율을 10% 이하로 건조하였으며, 125℃에서 15분 동안 로스팅 후 200메쉬로 분쇄하여 홍삼미숫가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홍삼 추출액으로 홍삼 농축액(b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홍삼미숫가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홍삼 추출액으로 홍삼 농축액(b1)과 홍삼박 추출액(b2)을 1:1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홍삼미숫가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능성 올리고당을 코팅하는 단계를 생략하였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홍삼미숫가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홍삼 추출액 침지 흡수 단계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숫가루를 제조한 후, 제조된 미숫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 분말 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2
기호도
평가
×
향미 ×
소화력 평가 × ×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듯이, 홍삼 추출액 침지 흡수 단계와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 단계를 거친 실시예 1 내지 3의 홍삼미숫가루는 기능성 올리고당 코팅 단계를 거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맛과 향미가 좋으며 소화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홍삼미숫가루는 홍삼 분말 자체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으로 맛과 향미가 본래의 미숫가루보다 저하되고 소화력이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곡물원료의 준비단계; 상기 곡물원료를 홍삼 추출액에 침지시켜 홍삼성분을 흡수시키는 단계; 홍삼 성분이 흡수된 곡물원료를 건져낸 후 기능성 올리고당으로 코팅하는 단계; 건조단계; 로스팅 단계; 및 분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홍삼 추출액은 홍삼 농축액 및 홍삼박 추출액을 포함하고,
    상기 홍삼박 추출액은 홍삼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주정 추출용매 400 내지 700 중량부를 투입하고 65℃ 내지 85℃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고,
    상기 주정 추출용매는 물과 주정(ethyl alcohol)을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으로 코팅하는 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 및 기능성 올리고당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에 상기 홍삼 성분이 흡수된 곡물원료 100중량부를 침지시킨 후 증숙하는 것을 포함하는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으로 코팅하는 단계는 80℃ 내지 10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침지 증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올리고당은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FOS),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 IMO),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GOS),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 XOS), 키토올리고당(chito-oligosaccharide), 셀로올리고당 (cello-oligosaccharide), 및 대두올리고당(soy oligosacchar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로스팅 단계는 100℃ 내지 150℃에서 15 내지 40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분쇄단계는 곡물원료를 150 내지 200 메쉬(mesh)로 분쇄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미숫가루의 제조방법.
  8. 제1항, 제5항, 및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미숫가루.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61756A 2015-11-18 2015-11-18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56A KR101808385B1 (ko) 2015-11-18 2015-11-18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56A KR101808385B1 (ko) 2015-11-18 2015-11-18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42A KR20170058042A (ko) 2017-05-26
KR101808385B1 true KR101808385B1 (ko) 2017-12-14

Family

ID=5905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756A KR101808385B1 (ko) 2015-11-18 2015-11-18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65B1 (ko) * 2019-03-12 2019-06-28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진창미(陳倉米)를 이용한 대용식 개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72B1 (ko) * 2006-08-16 2007-11-29 두보식품 주식회사 베타글루칸, 홍삼추출액 및 칼슘이 함유된 곡물의 제조방법 및 그 곡물.
KR100796558B1 (ko) * 2007-07-05 2008-01-21 두보식품 주식회사 통곡물 볶음식 제조방법 및 그 통곡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72B1 (ko) * 2006-08-16 2007-11-29 두보식품 주식회사 베타글루칸, 홍삼추출액 및 칼슘이 함유된 곡물의 제조방법 및 그 곡물.
KR100796558B1 (ko) * 2007-07-05 2008-01-21 두보식품 주식회사 통곡물 볶음식 제조방법 및 그 통곡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42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KR101671017B1 (ko) 도토리 시루떡 및 그 제조방법
CN105942333A (zh) 一种鲜魔芋丝的加工方法
KR101331889B1 (ko) 선식 재료의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선식
KR20140137187A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
KR102368671B1 (ko) 사과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 분말형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585637A (zh) 一种紫薯燕麦冲调粥及其制备方法
CN102440352A (zh) 一种抹茶杂粮面条的制备方法
Kaur et al. Minor millets: a review on nutritional composition, starch extraction/modification, product formulation, and health benefits
KR101300378B1 (ko) 혈당강하 기능성 쌀 백일미 및 그 제조방법
CN105146324A (zh) 一种糖尿病肾病患者专用低蛋白马铃薯全粉面条及其制备方法
KR101497643B1 (ko) 선식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8385B1 (ko)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KR101420756B1 (ko) 가공 혼합쌀의 제조방법
CN107594276B (zh) 无糖型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74451A (ko) 식이섬유가 함유된 양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8153B1 (ko)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101473342B1 (ko) 반건조묵의 제조방법
KR102018559B1 (ko) 곡물 혼합물
KR20110101971A (ko) 사과를 함유한 쌀국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204B1 (ko) 인삼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52713A (zh) 一种牛蒡子柿霜饼山药咀嚼片及制备方法
KR101590858B1 (ko) 천연과즙 및 팥분말을 이용한 항혈전 활성 강화 과립형 팥분말 및 그 제조방법
JP7236169B2 (ja) 組成物
KR20140092110A (ko) 무가당 인삼떡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