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187A -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187A
KR20140137187A KR1020130057804A KR20130057804A KR20140137187A KR 20140137187 A KR20140137187 A KR 20140137187A KR 1020130057804 A KR1020130057804 A KR 1020130057804A KR 20130057804 A KR20130057804 A KR 20130057804A KR 20140137187 A KR20140137187 A KR 20140137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rice
ginseng
sapon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271B1 (ko
Inventor
손홍정
Original Assignee
성신비에스티(주)
손홍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비에스티(주), 손홍정 filed Critical 성신비에스티(주)
Priority to KR2013005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27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홍삼의 인삼 사포닌을 산, 열 및 압력을 이용하여 체내 흡수율이 높은 저분자의 인삼 사포닌으로 변환시키고 아이들을 포함하여 누구나 쉽게 접하고 먹을 수 있는 홍삼 추출물이 함유된 떡 및 뻥튀기의 제조하여 기능성,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RICE CAKE AND POPPED RICE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 처리를 하여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삼을 증삼하면 홍삼이 되고 이를 다시 가온 추출하면 홍삼 농축액을 만들 수 있다. 이때 갈변 물질이 생성되어 색이 유백색 또는 담황색에서 담적갈색 또는 다갈색으로 바뀌게 된다. 또, 2 ~ 3 %만 존재하던 산성 다당체가 7 ~ 8%로 증가한다. 가장 큰 변화는 사포닌의 구조의 변화이다. malonyl-Rb1 , Rb2 , Rc, Rd가 Rb1 , Rb2 , Rc, Rd로 변하고, Rb1 , Rb2 , Rc, Rd가 Rg3 , Rh2 , 컴파운드-K,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PD)로 변하고, Re, Rf는 Rg2 , Rh1 ,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PT)로 변한다.
Figure pat00001
인삼 사포닌은 그 종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다. 홍삼으로 만드는 과정에서는 성분의 변화를 일으켜 우리 몸에 유익한 새로운 사포닌이 더 생성된다. 예를 들면, Rh1 , Rh2 , 컴파운드-K 등이다.
이와 같이 유익한 성분을 포함하는 홍삼을 이용한 식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2528호에서는 영양 성분을 곡물에 주입하여 가공한 건강 식품에 관한 기술로 기존의 기술에 과실 등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775848호에서는 과자의 앙금에 홍삼 분말을 함유하는 홍삼 과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단순히 홍삼의 성분을 함유한 과자에 관한 기술이고 홍삼의 성분을 특정 처리를 통하여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키는 기술과 접목시킨 과자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추출물 특히,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를 제조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홍삼의 효능을 접하게 하는 것이다.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의 제조방법으로서,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을 이용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 농축액에 산을 처리하여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홍삼 추출물을 쌀 가루와 혼합하여 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떡의 제조방법이다.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추출단계, 여과단계, 농축단계, 혼합·숙성단계 및 검사단계로 이루어지고, 추출단계는 65~75%의 주정으로 70~75℃에서 20~30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25~35% 주정으로 70~75℃에서 10~15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정제수로 80~90℃에서 10~14시간 동안 1회 이상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로 이루어진다.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구연산, 주석산, 락트산 및 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을 상기 홍삼 농축액의 중량대비 0.1~1 중량%로 처리한다. 산을 처리한 홍삼 추출물은 Rg1 , Rg2 , Rg3, Rh1, Rh2, Rh3 , Rh4 , Rf, F1, PPT, PPD 및 컴파운드-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저분자의 인삼 사포닌을 포함한다.
입도가 100~150 메쉬인 쌀 가루와 0.1~1 중량%의 홍삼 추출물을 혼합하여 떡을 제조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떡을 일정 크기로 자른 다음 팝핑기에 넣은 후 200~250℃로 가열하여 팽화시켜 뻥튀기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떡 및 뻥튀기의 형태를 취하여 홍삼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쉽게 홍삼을 접할 수 있고 간식 또는 식사 대용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나아가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함유하여 항암 효과 및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떡 및 뻥튀기 제조공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뻥튀기"란 쌀, 감자, 옥수수, 떡 따위를 불에 단 틀에 넣어 밀폐하고 가열하여 튀겨 낸 막과자로 한국 전통 과자의 일종이다. 또, "팝핑기(popper machine)"란 뻥튀기를 만드는 기계이다. 기계의 원리는 곡물을 밀폐시킨 용기에 넣고 외부에서 열을 가하면 내부의 공기가 고온고압의 상태가 되고 곡물의 내부 압력도 함께 고압의 상태가 된다. 이때 갑자기 뚜껑을 열면 외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고압 상태의 내부 압력에 의해 곡물이 급격히 팽화 현상을 일으키며 다공질로 변하며 부풀어 올라 부피가 팽창하는 원리이다. 또, "홍삼"이란 수삼의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로 수증기에서 찐 다음 익혀서 건조시킨 담적갈색의 인삼이다. 또, "주정"이란 전분이 함유된 원료 또는 당분이 함유된 원료를 발효시켜 알코올 성분이 85% 이상으로 증류한 것이다.
인삼이 독특한 효능을 발휘하는 이유는 인삼 사포닌(ginsenoside)때문이다. 사포닌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스테로이드(steroids), 스테로이드 알칼로이드(steroid alkaloids), 트리테펜(triterpenes)화합물과 여기에 당이 붙어 있는 화합물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인삼이 속하는 파낙스(Panax) 종에서 합성되는 사포닌의 경우가 인삼 사포닌이다. 인삼 사포닌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분리할 수 있고 인삼 사포닌의 이름도 화학적 구조와 관련없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나오는 순서에 따라서 지어졌다.
인삼 사포닌은 구조적 특성에 따라 파낙사디올(panaxadiol, PD)계, 파낙사트리올(panaxatriol, PT)계 및 올레아네인(oleanane)계로 구분되는데 각각 19종, 10종, 1종의 화합물이 분리 정제되었다. PD계는 중추신경 진정효과가 있어 신체를 안정화시키고, PT계는 중추신경 흥분작용으로 피로회복, 콜레스테롤의 함량저하효과 등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원기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인삼 사포닌은 대장에서 장내세균에 의하여 대사되어서 화학적인 형태가 바뀌면서 우리 몸에 흡수되고 간을 거쳐서 온몸에 퍼진다. 사포닌 흡수율은 사람에 따라서 차이가 크다. 일반인은 100명 중 62명 정도만이 사포닌을 흡수할 수 있으며, 특히 당뇨환자군은 100명 중 4명(4%), 암환자군은 100명 중 8명(8%)정도만이 사포닌을 대사하여 흡수할 수 있고, 흡수하는 비율도 사람에 따라 개인차가 크다. 일반인의 약 40%에 달하는 사람들은 사포닌을 즉, 인삼이나 홍삼에 많이 들어있는 Rg1, Rb1 같은 일반 사포닌들은 그 상태로는 인체에 흡수되지 않고, 사포닌 대사물(PPT, PPD, 컴파운드-K) 및 사포닌중간대사물(Rg3, Rh1, Rh2)로 변환되어야 인체에 흡수되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고분자의 인삼 사포닌의 글리코시딕 결합을 끊어 인체의 홉수가 용이한 형태의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만들어야 한다.
인삼 사포닌 PPD의 비제한적인 예로 하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인삼 사포닌 R1 R2
Rb1 Glc1-2Glc- Glc1-6Glc-(S)
Rb2 Glc1-2Glc- Ara(p)1-6Glc-(S)
Rb3 Glc1-2Glc- Xyl1-6Glc-(S)
Rc Glc1-2Glc- Ara(f)1-6Glc-(S)
Rd Glc1-2Glc- Glc-(S)
Rg3 Glc1-2Glc- H-(R,S)
Rh2 Glc- H-(R,S)
컴파운드-K H- Glc-(s)
인삼 사포닌 PPT의 비제한적인 예로 하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인삼 사포닌 R1 R2
Re Rha1-2Glc- Glc-(s)
Rf Glc1-2Glc- Glc-(s)
Rg1 Glc- Glc-(s)
Rg2 Rha1-2Glc- H-(R,S)
Rh1 Glc- H-(R,S)
분자량 1000 이상 되는 성분들은 Rb1. Rb2, Rb3, Ra1 등이며, 1000 미만의 성분은 Rg1 , Rg2 , Rg3, Rh1, Rh2, Rh3 , Rh4 , Rf, F1, PPT, PPD 및 컴파운드-K 등이다.
본 발명은 산, 열 및 압력을 처리하여 인체에 흡수가능한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S11), 홍삼을 이용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홍삼 농축액에 산을 처리하여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3) 및 홍삼 추출물을 쌀 가루와 혼합하여 떡을 제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하는 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떡을 이용하여 뻥튀기를 제조하는 단계(S15)를 포함한다.
먼저,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S11)는 다음과 같다. 수삼을 세척기로 세척하여 크기별로 선별하고, 93℃~97℃에서 2~4시간 증숙한 후, 50℃~60℃에서 약 4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0~50%가 될 때까지 건조한 후 수분함량이 12~18%가 될 때까지 자연건조한다. 다만, 공지된 홍삼을 제조하는 과정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과정으로 제조된 홍삼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97℃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증숙하는 경우에는 홍삼의 고미가 강하여 과자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홍삼을 이용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12)는 추출단계, 여과단계, 농축단계, 혼합·숙성단계 및 검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출단계는 65~75%의 주정으로 70~75℃에서 20~30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25~35% 주정으로 70~75℃에서 10~15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정제수로 80~90℃에서 10~14시간 동안 1회 이상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과단계는 원심분리여과를 하며 15,000rpm으로 20℃이하로 냉각한다. 농축단계는 45~55℃의 온도에서 농축한다. 혼합·숙성단계는 70~80℃에서 12시간 이상 혼합·숙성한다. 이후 일정량의 인삼 사포닌이 함유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와 같은 농축과정을 거치는 경우 기존의 농축과정을 거치는 경우보다 고미가 적고 저분자의 인삼 사포닌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홍삼 농축액에 산을 처리하여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3)이다. 구연산, 주석산, 락트산 및 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을 상기 홍삼 농축액의 중량대비 0.1~1 중량%로 처리한다. 1 중량% 초과의 산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다른 유효한 사포닌이 크게 파괴되고, 0.1 중량% 미만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산을 처리하면 글리코시딕 결합이 일부 절단되어 저분자 인삼 사포닌으로 변환될 수 있다. 특히, 산을 처리하는 경우 인삼 사포닌 중 저분자 인삼 사포닌인 Rg3가 증가한다. Rg3는 암세포전이억제 작용과, 혈관 이완 작용, 항혈전 작용 등의 생리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상기 홍삼 추출물을 쌀 가루와 혼합하여 떡을 제조하는 단계(S14)이다. 입도가 100~150 메쉬인 쌀 가루와 홍삼 추출물을 혼합한다. 홍삼의 효능이 발휘되고 홍삼의 고미가 적은 떡 및 과자를 얻기 위하여 홍삼 추출물은 0.1~1 중량%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호에 따라 쌀 가루 이외의 현미 가루, 맵쌀 가루, 참쌀 가루 등의 곡물 가루를 포함하며, 녹차 가루, 코코아 가루 또는 과일이나 채소 등을 건조하여 만든 가루도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혼합된 가루를 5시간~7시간 건조한 후 100~150 메쉬로 한번 더 분쇄한 가루를 이용하여 떡을 제조함으로써 식감을 더 좋게 할 수 있고 인삼 성분의 혼합성,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된 가루를 이용하여 반죽을 하여 떡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반죽 후에 약 15℃의 온도에서 약 3~5 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경우 떡의 설 쪄짐이 방지되고 부드러운 떡의 제조가 가능하다. 제조된 떡은 떡의 용도에 따라 원하는 크기 및 형태로 절단 및 처리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떡국용 떡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25℃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고 떡국 떡의 형태 및 크기로 절단하여 포장하고, 떡볶이용 떡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옥수수 기름 등을 스프레이 처리하여 포장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떡을 이용하여 뻥튀기를 제조하는 단계(S15)이다. 떡의 종류는 다양한 형태를 이용할 수 있으나, 가래떡이 바람직하다. 제조한 떡을 일정 크기로 자른 후, 수분 함량이 10 내지 20 중량%가 되도록 건조한다. 건조한 떡을 팝핑기(popper machine)에 넣은 후 200~250℃로 가열하여 팽화시킨다. 200~25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경우 조직감과 맛이 우수하며 성분의 파괴가 적은 뻥튀기를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고온 및 고압 과정을 거치면서 인삼 사포닌의 글리코시딕 결합이 일부 끊어져서 저분자의 인삼 사포닌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삼 사포닌의 흡수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의 제조방법으로서,
    (a)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홍삼을 이용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홍삼 농축액에 산을 처리하여 저분자 인삼 사포닌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홍삼 추출물을 쌀 가루와 혼합하여 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떡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추출단계, 여과단계, 농축단계, 혼합·숙성단계 및 검사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추출단계는 65~75%의 주정으로 70~75℃에서 20~30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25~35% 주정으로 70~75℃에서 10~15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정제수로 80~90℃에서 10~14시간 동안 1회 이상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구연산, 주석산, 락트산 및 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을 상기 홍삼 농축액의 중량대비 0.1~1 중량%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인삼 사포닌은 Rg1 , Rg2 , Rg3, Rh1, Rh2, Rh3 , Rh4 , Rf, F1, PPT, PPD 및 컴파운드-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입도가 100~150 메쉬인 쌀 가루와 0.1~1 중량%의 홍삼 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것을 5시간~7시간 건조하여 100~150 메쉬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떡을 건조하여 팝핑기에 넣은 후 200~250℃로 가열하여 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의 제조방법.
KR20130057804A 2013-05-22 2013-05-22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 KR101508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804A KR101508271B1 (ko) 2013-05-22 2013-05-22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804A KR101508271B1 (ko) 2013-05-22 2013-05-22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187A true KR20140137187A (ko) 2014-12-02
KR101508271B1 KR101508271B1 (ko) 2015-04-06

Family

ID=5245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804A KR101508271B1 (ko) 2013-05-22 2013-05-22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2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78A (ko) 2014-12-29 2016-07-08 김일문 고구마와 팥앙금이 포함된 떡소를 가진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KR20180098926A (ko) * 2017-02-27 2018-09-05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팽화 인삼 및 과일 엑기스를 포함하는 인삼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88275A (ko) * 2020-01-06 2021-07-14 의남식품 주식회사 홍삼추출액을 함유한 당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9270A (ko) *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 잔여물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함유 스낵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641B1 (ko) 2015-08-07 2017-06-07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와인 코팅 팽화과자의 제조 방법
KR102051623B1 (ko) 2018-02-22 2019-12-17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홍삼분말을 포함하는 홍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7720B1 (ko) 2021-03-12 2024-02-20 이화발 홍삼 과자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96B1 (ko) 2006-04-13 2007-03-29 길호섭 가래떡편을 파열(破裂)시켜 뻥튀기 쌀떡과자를 제조하는방법
KR101106487B1 (ko) * 2011-07-21 2012-01-20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가 강화된 홍삼농축액 제조방법
KR20130046165A (ko) * 2011-10-27 2013-05-07 이순락 토복령 및 홍삼 함유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1262764B1 (ko) * 2012-09-13 2013-05-09 최성근 홍삼으로부터 홍삼 추출농축액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신규한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78A (ko) 2014-12-29 2016-07-08 김일문 고구마와 팥앙금이 포함된 떡소를 가진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KR20180098926A (ko) * 2017-02-27 2018-09-05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팽화 인삼 및 과일 엑기스를 포함하는 인삼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88275A (ko) * 2020-01-06 2021-07-14 의남식품 주식회사 홍삼추출액을 함유한 당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9270A (ko) *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 잔여물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함유 스낵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271B1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271B1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떡 및 뻥튀기 과자의 제조방법
CN103082265B (zh) 一种辣蒜味番茄辣酱及其制作方法
CN105010976A (zh) 一种减肥降糖营养粉及其制备方法
KR101970659B1 (ko) 발효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775766B1 (ko) 복분자 생면 및 복분자 칼국수 제조 방법
KR101608476B1 (ko) 와송과 모시잎을 함유하는 빵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KR102404589B1 (ko)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20110101660A (ko) 한라봉이 첨가된 즉석빵용 반죽 제조방법 및 그 반죽에 의해 제조된 즉석빵
KR101969202B1 (ko) 옥수수 빵의 제조방법
CN103549261B (zh) 辅助降血脂的保健汤圆及其制作方法
KR102125984B1 (ko) 오미자 발효액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빵
KR100815198B1 (ko) 순무 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603169B1 (ko) 산성다당체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06717B1 (ko) 베리류 및 부재료를 이용한 액상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액상당류를 포함하는 떡류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98054B1 (ko) 홍미를 이용한 기능성 피자 도우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피자 도우
KR20160148870A (ko) 쑥맥이떡의 제조방법
KR20100102277A (ko) 쑥과 호박을 이용한 조청과 그 제조방법
KR20170128009A (ko) 아로니아 및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방법
KR102333230B1 (ko) 산수유 쌀머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0307B1 (ko) 대추, 보리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대추, 보리 고추장
KR101402600B1 (ko) 즉석국수 제조방법
KR101093193B1 (ko) 효소 분해를 이용한 대추 음료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음료
KR101843887B1 (ko) 헛개나무 열매를 이용한 건강식 면류용 육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797226B1 (ko) 와송을 함유하는 빵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KR101808385B1 (ko) 홍삼미숫가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