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588B1 - 욕실장 - Google Patents

욕실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588B1
KR101807588B1 KR1020160063921A KR20160063921A KR101807588B1 KR 101807588 B1 KR101807588 B1 KR 101807588B1 KR 1020160063921 A KR1020160063921 A KR 1020160063921A KR 20160063921 A KR20160063921 A KR 20160063921A KR 101807588 B1 KR101807588 B1 KR 101807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protrusion
gripping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021A (ko
Inventor
신칠호
Original Assignee
신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칠호 filed Critical 신칠호
Priority to KR102016006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5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5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o a surface other than a flat wall, e.g. room corner, ceiling,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5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전면에 부착되는 유리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위해 손잡이의 구비를 생략하고, 대신 도어의 개폐를 위한 파지홈을 도어의 후면에 구비하여 수납부의 공간 손실을 방지하고, 도어의 몸체를 사출 성형하여 기존의 압출 성형 방식에 따르는 여러 작업 과정을 생략하고, 도어의 결합 방향성을 제거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부가하고, 효과적인 유리 접착이 가능한 욕실장에 관한 것으로,
수납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사출 성형 되고, 상기 하우징 전면에 힌지 결합된 도어와, 상기 도어 전면에 부착되되, 상기 도어와 유사한 크기를 갖는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는 후면 일 측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실장{BATHROOM CABINET}
본 발명은 물품 수납을 위해 욕실에 구비되는 욕실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전면에 부착되는 유리(거울을 포함)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위해 손잡이의 구비를 생략하고, 대신 도어의 개폐를 위한 파지홈을 도어의 후면에 구비하여 수납부의 공간 손실을 방지하고, 도어의 몸체를 사출 성형하여 기존의 압출 성형 방식에 따르는 여러 작업 과정을 생략하고, 도어의 결합 방향성을 제거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부가하고, 효과적인 유리 접착이 가능한 욕실장에 관한 것이다.
욕실장은 욕실에서 사용되는 타월, 비누, 치약, 칫솔, 면도기, 샴푸, 방향제 등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욕실 벽면 일 측에 고정되는 수납장이다.
이러한 욕실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도어(2), 유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욕실장에 대해 살펴보면, 종래에는 도어(2)를 압출 성형된 프레임을 절단하여 이음새 부분을 용접하거나 또는 별도의 결합 방식을 활용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하였는데, 이러한 압출 방식 도어(2)는 도어(2)와 하우징(1) 간의 결합을 위한 브래킷(결합수단)을 구비해야 하고, 힌지 경첩용 구멍(h)을 천공해야 하고, 쿠션부재(도어(2) 폐쇄 시 도어(2)와 하우징(1) 간의 충돌 방지) 도입을 위한 장착부의 형성 작업을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또한 유리(3)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유리(3)의 크기를 최대화하여 도어의 크기와 유사하게 구비하는 경우, 손잡이의 구성 생략에 따른 파지용 공간(g)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파지용 공간(g)의 구비는 수납부(10)의 크기를 줄여 수납부(10)의 활용성을 제한하고, 또한 도어(2) 개폐를 위해 유리(3)를 직접 만져야 하기 때문에 유리(3)에 지문이 묻어 시야를 방해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욕실장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28918호 (2014년08월04일) [욕실장](이하 종래기술)이 있는데, 종래기술 역시 손잡이를 유리의 측단부에 구비함으로써 유리의 활용성에 제한이 존재하고, 손잡이 파지가 쉽지 않아 유리 표면에 지문이 묻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도어의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은 되어 있지 않는 바, 종래의 압출 성형 방식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압출 성형 방식에 따르는 여러 작업 과정을 생략하여 도어(2) 제작을 위한 시간 및 공임 등을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수납부 및 유리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욕실장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하여, 기존의 압출 성형 방식에 따르는 여러 작업 과정(브래킷 구비 작업, 힌지 경첩용 구멍 천공 작업, 쿠션부재 도입을 위한 장착부 형성 작업)을 생략하여 도어 제작을 위한 시간 및 공임 등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욕실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어 전면에 부착되는 유리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위해 손잡이의 구비를 생략하는 대신 도어의 개폐를 위한 파지홈을 도어의 후면에 구비하여 수납부의 공간 손실을 방지하고. 유리 표면에 이물질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한 쌍의 대칭형 파지홈 도입을 통해 도어의 결합 방향성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하나의 금형을 통해 좌문 우문을 모두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도어의 조립이 용이한 욕실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고유의 도어 구조를 통해, 접착제의 접착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효과적인 유리 접착을 제공하고, 나아가 접착제의 노출을 방지하여 도어와 유리 간의 접착에 있어서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한 욕실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수납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사출 성형 되고, 상기 하우징 전면에 힌지 결합된 도어와, 상기 도어 전면에 부착되되, 상기 도어와 유사한 크기를 갖는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는 후면 일 측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홈은 상기 도어 상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제1파지홈과, 상기 도어 하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제2파지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상하 역전 시 상기 제1파지홈의 위치에 상기 제2파지홈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는 상호 이격되어 중간에 이격부를 형성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부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상면에 접착제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리브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제1돌부와 이 제1돌부보다 높이가 낮은 제2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돌부 및 제2돌부의 상면에 상기 접착제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존의 압출 성형 방식에 따르는 여러 작업 과정을 생략하여 도어 제작을 위한 시간 및 공임 등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전면에 부착되는 유리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위해 손잡이의 구비를 생략하는 대신 도어의 개폐를 위한 파지홈을 도어의 후면에 구비하여 수납부의 공간 손실을 방지하고. 유리 표면에 이물질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의 결합 방향성이 제거되어. 하나의 금형을 통해 좌문 우문을 모두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나아가 도어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 접착제의 접착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나아가 접착제가 노출되지 않고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욕실장.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구성도(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전면에 부착되는 유리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위해 손잡이의 구비를 생략하고, 대신 도어의 개폐를 위한 파지홈을 도어의 후면에 구비하여 수납부의 공간 손실을 방지하고, 도어의 몸체를 사출 성형하여 기존의 압출 성형 방식에 따르는 여러 작업 과정을 생략하고, 도어의 결합 방향성을 제거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부가하고, 효과적인 유리 접착이 가능한 욕실장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장(이하 본 욕실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한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의 상태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를 나누고, 도어(2)의 설치 방향을 전면, 그 반대를 후면으로 설정한다.
이는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를 고려한 것이고,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 이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욕실장으로 한정한 것은 유리가 결합된 수납장의 대표적인 예가 욕실장이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는 단순한 욕실장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유리가 결합된 수납장과 관련한 모든 기술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래의 욕실장에 대한 일반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욕실장은 하우징(1), 도어(2), 유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본 욕실장 역시 기본적으로 하우징(1), 도어(2), 유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각 구성 별로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은 물품 수납을 위한 수납부(10)를 구비한다. 이러한 하우징(1)은 일반적인 욕실장의 하우징(1)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는 하우징(1)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은 이 도어(2)의 제작이 사출 성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2)는 압출 성형된 프레임을 절단하여 이음새 부분을 용접하거나 또는 별도의 결합 방식을 활용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압출 방식 도어(2)는 도어(2)와 하우징(1) 간의 결합을 위한 브래킷(결합수단)을 구비해야 하고, 힌지 경첩용 구멍(h)을 천공해야 하고, 쿠션부재(260)(도어(2) 폐쇄 시 도어(2)와 하우징(1) 간의 충돌 방지) 도입을 위한 장착부(26)의 형성 작업을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어(2)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하여, 상기한 브래킷 작업 과정을 생략하고, 힌지 경첩용 구멍 천공 작업 생략, 장착부(26) 형성 작업 생략 등 기존의 압출 성형 방식에 따르는 여러 작업 과정을 생략하여 도어(2) 제작을 위한 시간 및 공임 등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3)는 도어(2) 전면에 부착되는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유리(3)는 최대한 크게 구비되어 넓은 시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리(3)와 도어(2)의 크기를 유사하게 구성(최대 크기)하여, 유리(3)의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이처럼 유리(3)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도어(2)에 결합되는 손잡이의 구성을 생략해야 하는데, 종래의 방식에서는 이러한 손잡이를 대신하기 위해 수납부(10)의 최하단에 파지용 공간(g)을 마련하여 '유리(3)가 결합된 도어(2)'를 손으로 잡아서 도어(2)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도 1 참조)
그러나 파지용 공간(g)을 통한 도어(2)의 개폐 방식은 수납부(10)의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수납부(10)의 활용성을 제한하고, 사용자의 지문 등이 유리(3)에 묻어 시야를 방해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욕실장은 도어(2) 후면 일 측에 형성된 파지홈(25)을 포함하여, '유리(3)가 결합된 도어(2)'를 직접 만지지 않고도 도어(2)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및 특징을 통해, 기존의 압출 성형 방식에 따르는 여러 작업 과정을 생략하여 도어(2) 제작을 위한 시간 및 공임 등을 효과적으로 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유리(3)의 크기를 최대화하여 유리(3)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손잡이 생략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욕실장은 도어(2)에 구비된 파지홈(25)이 도어(2) 상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제1파지홈(251)과, 도어(2) 하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제2파지홈(25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러한 제1파지홈(251) 및 제2파지홈(252)은 도어(2)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도어(2)의 상하 역전 시 제1파지홈(251)의 위치에 제2파지홈(252)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은 도어(2) 제조비용 절감 및 도어(2) 조립 용이성을 제공한다.
도 1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욕실장의 도어(2)는 좌문과 우문, 즉 2개의 도어(2)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한 '제1파지홈(251)과 제2파지홈(252) 구조'로 인해 좌문과 우문을 구별하여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하나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하우징(1)과 도어(2)의 결합 작업에서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도어(2) 조립이 용이하다.
또 다른 특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욕실장은 도어(2) 후면에 구비된 장착부(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착부(26)는 도어(2)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와 이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쿠션부재(260)가 결합되는 홈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2)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구비되고,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욕실장에 포함된 장착부(26) 추가 구비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 [A]는 도어(2)와 유리(3) 부분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 [B]는 도어(2)의 일부를 상측 시점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 [C]는 도어(2) 및 유리(3)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욕실장은 도어(2)가 상호 이격되어 중간에 이격부(23)를 형성하는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격부(23)에는 다수의 리브(24)가 구비되는데, 이 리브(24)는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상면에 접착제(40) 안착부(24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2)는 이격된 제1몸체(21)와 제2몸체(22)로 이루어져 이 제1몸체(21)와 제2몸체(22) 중간에 이격부(23)를 형성하는데, 이격부(23)의 구성은 후술하는 리브(24)와 더불어 접착제(40)의 도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접착제(40)는 유리(3)와 도어(2)의 접착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리브(24)는 각각 이격 배치되어 일 리브(24)와 타 리브(24)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안착부(24a)에 안착된 접착제(40) 외, 여분의 접착제(40)가 스며들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격부(23) 및 리브(24)의 틈새는 여분의 접착제(40)가 유리(3)와 도어(2)의 결합 부위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어 도어(2)와 유리(3) 간의 접착에 있어서 깔끔한 마감처리를 제공한다.
특히 도어(2)와 유리(3) 간의 접착에 있어서, 마감처리를 보다 깔끔하게 하기 위해 리브(24)의 높이가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안착부(24a)가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욕실장은 제2몸체(22)가 외곽에 구비된 지지턱(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지지턱(221)은 유리(3)의 접착제(40)를 통한 접착 외에 유리(3)를 도어(2)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유리(3)와 도어(2) 간의 결합력을 부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실시예는 리브(24)의 변형예를 제시하고 있고, 도 4는 도 3 [C]와 동일한 구도인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욕실장은 리브(24)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제1돌부(241)와 이 제1돌부(241)보다 높이가 낮은 제2돌부(2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제1돌부(241) 및 제2돌부(242)의 상면에 접착제(40)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241a) 및 제2안착부(242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는 총 4개의 리브(24) 중 외곽 2개는 제1돌부(241) 및 제2돌부(242)로 이루어진 리브(24)를, 중앙 2개는 일반적인 리브(24)를 도입한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1돌부(241) 및 제2돌부(242) 구조'를 갖는 리브(24)는 다수의 리브(24) 중 일부 또는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제1돌부(241) 및 제2돌부(242) 구조'를 갖는 리브(24)는 제1돌부(241)의 상면에 제1안착부(241a)를 형성하고, 제2돌부(242)의 상면에 제2안착부(242a)를 형성하여, 접착제(40)의 도포를 가이드 한다.
특히 제2안착부(242a)를 통해, 본 발명은 도포되는 접착제(40)의 양을 늘려주고, 리브(24) 간의 틈새로 스며드는 접착제(40)를 최소화하여 효과적인 접착 효율을 제공한다.
역시 도어(2)와 유리(3)간의 접착에 있어서, 깔끔한 마감처리를 위해 제1돌부(241)의 높이는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제1안착부(241a)가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제2안착부(242a)는 자연히 제제1몸체(21) 및 제2몸체(22)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22) 부분에도 제1안착부(241a)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우징 10: 수납부
2: 도어
21: 제1몸체 22: 제2몸체
23: 이격부
24: 리브 24a: 안착부
241: 제1돌부 241a: 제1안착부
242: 제2돌부 242a: 제2안착부
25: 파지홈 251: 제1파지홈
252: 제2파지홈
3: 유리 40: 접착부재

Claims (4)

  1. 수납부(10)를 구비한 하우징(1);
    사출 성형 되고, 상기 하우징(1) 전면에 힌지 결합된 도어(2);
    상기 도어(2) 전면에 부착되는 유리(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2)는 후면 일 측에 형성된 파지홈(25)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홈(25)은 상기 도어(2) 상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제1파지홈(251)과, 상기 도어(2) 하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제2파지홈(25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파지홈(251)(252)은 상기 도어(2)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2)의 상하 역전 시 상기 제1파지홈(251)의 위치에 상기 제2파지홈(252)이 위치하고,
    상기 도어(2) 후면에 구비된 장착부(2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26)는 상기 도어(2)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와 이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쿠션부재(260)가 결합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2)는 상호 이격되어 중간에 이격부(23)를 형성하는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부(23)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24)가 구비되고,
    상기 리브(24)는 상기 제1몸체(21) 및 상기 제2몸체(22)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상면에 접착제 안착부(24a)를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22)는 유리(3)의 끼움 결합을 위해 외곽에 구비된 지지턱(221)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24)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제1돌부(241)와 이 제1돌부(241)보다 높이가 낮은 제2돌부(2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돌부(241) 및 제2돌부(242)의 상면에는 상기 접착제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241a) 및 제2안착부(24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6)는 상기 도어(2)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24)는, 각각 이격 배치된 일 리브와 타 리브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틈새에는 상기 안착부(24a)에 안착된 접착제(40) 외, 여분의 접착제가 스며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
  4. 삭제
KR1020160063921A 2016-05-25 2016-05-25 욕실장 KR101807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21A KR101807588B1 (ko) 2016-05-25 2016-05-25 욕실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21A KR101807588B1 (ko) 2016-05-25 2016-05-25 욕실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21A KR20170133021A (ko) 2017-12-05
KR101807588B1 true KR101807588B1 (ko) 2017-12-11

Family

ID=6092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921A KR101807588B1 (ko) 2016-05-25 2016-05-25 욕실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5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450A (ja) * 2003-05-16 2004-12-02 Yamaha Livingtec Corp 洗面化粧台
JP2013001277A (ja) * 2011-06-17 2013-01-07 Toyota Auto Body Co Ltd ウィンドガラスと支持部材との間の止水構造及び止水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450A (ja) * 2003-05-16 2004-12-02 Yamaha Livingtec Corp 洗面化粧台
JP2013001277A (ja) * 2011-06-17 2013-01-07 Toyota Auto Body Co Ltd ウィンドガラスと支持部材との間の止水構造及び止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21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4089B2 (ja) ドア体における指挟み防止構造
KR101807588B1 (ko) 욕실장
TWI573927B (zh) 止水橡膠襯件及止水門扉
KR100476568B1 (ko)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KR102147195B1 (ko) 조립식 가구의 선반받침조립체
KR102433888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101189985B1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JP4620855B2 (ja) 額縁用コーナー継ぎ手
JP4863198B2 (ja) 部材取付構造及びテーブル
JP2001340146A (ja) 樹脂製パネルによる組立構造体
KR20180082865A (ko) 붙박이장의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
JP4436157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JP2003235752A (ja) 浴室構造
JP4114042B2 (ja) 間口調整用カウンター
JP5074263B2 (ja) 化粧枠の取付構造及び化粧枠
CN217338491U (zh) 洗碗机门体组件和洗碗机
CN210239358U (zh) 一种手柄换向机构
KR200355667Y1 (ko) 도어류 제품의 조립구조
CN217659723U (zh) 洗碗机门体组件和洗碗机
JP3570205B2 (ja) 鏡付き窓を有する浴室
KR20180135346A (ko) 가구용 측면 몰딩
JP3232476B2 (ja) 壁パネル間への枠体取付構造
JP2000265659A (ja) 住宅の化粧材、内装構造および化粧材の施工方法
JP3086674U (ja) ガラス嵌め込みドアの組み立て構造
JP2006009347A (ja) ドア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