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568B1 -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568B1
KR100476568B1 KR1020040040051A KR20040040051A KR100476568B1 KR 100476568 B1 KR100476568 B1 KR 100476568B1 KR 1020040040051 A KR1020040040051 A KR 1020040040051A KR 20040040051 A KR20040040051 A KR 20040040051A KR 100476568 B1 KR100476568 B1 KR 100476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rame
aluminum door
hol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강
Original Assignee
(주) 알루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루피아 filed Critical (주) 알루피아
Priority to KR102004004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틀체(1)와 횡방향틀체(2)의 모서리 부분을 45°각도로 절단하여 경사면(3)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3)의 끝단을 경사면(3)과 90°가 되도록 절단하여 완충구 안치부(4)를 구성한 후 연결구(10)와 모서리 완충구(40)의 라운딩부분(41)의 끝단(42)이 틀체(1, 2)의 안치부(4)에 안치 되도록 구성한 후 나사를 체결 고정하여 알루미늄 문틀(100)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의 외면 폭이 틀체(1, 2)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구성하거나, 연결구(10)의 외면에 미세 돌기(11)를 틀체(1, 2)의 내경보다 0.1㎜내지 0.2㎜정도 크게 구성하고, 상기 틀체(1, 2)에는 적어도 한면 이상에 체결공(6)을 구성하고, 연결구(10)에 탄성력을 가지는 걸림돌기(20)를 구성하여 상기 걸림돌기(20)가 체결공(6)에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를 제공하여 연결구를 조립한 후에 나사로 체결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와 나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Aluminum door of corner combiner}
본 발명은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도구 없이 종방향틀체와 횡방향틀체를 조립하면서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도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종방향틀체와 횡방향틀체를 의 사이에 결합구를 넣고 외부에서 나사를 사용하여 조립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종방향 틀체와 횡방향틀체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연결구를 끼우기 위하여 45°경사각으로 면을 절단하여 이들을 서로 맞닿게 하여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서로 맞닿은 모서리 부분이 매우 날카롭게 되기 때문에 사용중이나 조립 작업중에 작업자나 사용자가 손을 다치게 되는 폐단이 발생되고 조립시 사용되는 나사 머리가 외부로 표출되기 때문에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폐단중 모서리 부분을 날카롭지 않게 하기 위한 고안이 타인에 의해 고안되었다.
이 고안은 종방향 틀체와 횡방향틀체의 끝 부분을 일정폭만큼 절단하여 그 절단된 면 부분이 조립시에 90°가 되도록 한 다음 그 부분에 라운딩된 모서리 완충구를 끼우고 종방향틀체와 횡방향틀체에는 기억자형 연결구를 끼워넣어 나사로 조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은 모서리 완충구를 틀체에 끼워 넣을때 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결함이 발생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구에 모서리완충구를 일체로 구성한 실용신안과 연결구와 모서리완충구를 별도로 구성한 다음 이들이 서로 조립되도록 하여 조립성을 간편하게 한 실용신안이 출원되고 등록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이 구성 역시 조립성이 종래에 비해 진보 되고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되게 되었지만 조립시 나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사머리가 정면으로 표출되게 되어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특히 한 모서리당 적어도 2개의 나사로 조립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문에 8개의 나사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조립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서리 완충구를 가지는 연결구, 또는 모서리완충구가 결합되는 연결구, 또는 완충구가 분리 구성된 연결구 모두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연결구모두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기 위해서는 연결구의 외면폭이 틀체의 내경과 같아야 하며 그 외면에 0.1㎜내지 0.2㎜ 정도의 미세 돌기를 구성하여 압착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틀체에는 체결공을 그리고 연결구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걸림돌기를 구성하여 조립후에 탄성력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구와 틀체가 분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걸림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의 걸림돌기를 구성할 수 있는 데 그 예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방향틀체(1)와 횡방향틀체(2)의 모서리 부분을 45°각도로 절단하여 경사면(3)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3)의 끝단을 경사면(3)과 90°가 되도록 절단하여 완충구 안치부(4)를 구성한 후 연결구(10)와 모서리 완충구(40)의 라운딩부분(41)의 끝단(42)이 틀체(1, 2)의 안치부(4)에 안치 되도록 구성한 후 나사를 체결 고정하여 알루미늄 문틀(100)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외면 폭이 틀체(1, 2)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구성하거나, 연결구의 폭이 0.2㎜ 범위내에서 적게 구성할 수 있으며, 연결구(10)의 외면에 미세 돌기(11)를 구성하여 틀체(1, 2)의 내경보다 0.1㎜내지 0.2㎜정도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틀체(1, 2)에는 4면중 적어도 한면 이상에 체결공(6)이 사각이나 원형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6)이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연결구(10)에 탄성력을 가지는 걸림돌기(2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돌기(20)의 두께는 틀체(1, 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적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력을 가지는 걸림돌기(20)는 다양한 구성이 제출될 수 있는 것으로 각 실시예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각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5a는 연결구(10)에 관통공(21)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21)에 의해 형성된 탄성살(22)에 삼각이나 사각, 또는 원형의 걸림돌기(23)를 구성하여 연결구(10)가 틀체(1, 2)에 끼워질 때 탄성살(22)이 관통공(21) 부분으로 압착되어 걸림돌기(23)가 끼워질 때 간섭받지 않도록 끼워지고 삽입후 자체 탄성살(2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23)가 틀체(1, 2)의 체결공(6)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구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5b는 연결구(10)에 관통홈(24)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21)에 의해 형성된 탄성바(25)에 삼각이나 사각의 걸림돌기(23)를 구성하여 체결하는 구조를 보인것이다.
도5c는 연결구(10)에 작동홈(26)과 에 관통되는 작동공(27)을 형성하여 작동공(27)과 작동홈(26)에 끼워져 연결구(10)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8)가 탄성편(29)에 의해 탄성 지지 되도록 구성된 상태를 보인것이다.
도5d는 연결구(10)에 작동홈(26)과 에 관통되는 작동공(27)을 형성하여 작동공(27)과 작동홈(26)에 끼워져 연결구(10)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8)가 탄성스프링(30)에 의해 탄성 지지 되도록 구성된 상태를 보인것이다.
도5e는 걸림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구(10)에 홈(35)을 구성하고 홈(35)에 의해 형성된 고정간(36)에 단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면(37)이 구성된 작동공(38)을 구성하여 그 내부에 탄성스프링(31)에 의해 탄성되는 볼(32)을 내장한후 마개(33)로 밀봉하여 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5f는 연결구(10)의 양끝단 부분에 작은 요홈(39)를 형성하고 틀체(1, 2)에 요홈 부분에 일치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작은 돌기(1a)를 구성하여 체결시 작은돌기(1a)가 요홈(39)에 끼워지도록 하여 연결구(10)가 체결후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5g는 걸림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탄성력을 가지는 걸림돌기(20)를 연결구(10)의 몸체 정면에 구성하고 틀체(1, 2)의 정면에 상기 걸림돌기(20)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공(6)을 구성하여 걸림돌기(20)가 체결공(6)에 끼워지도록 구성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공(6)을 미려하게 하기위한 마개나 스티커(101)를 별도로 구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구(10)와 모서리완충구(4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 연결구(10)를 틀체(1, 2)에 끼워 넣으면 연결구(10)는 공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를 사용하여 끼워 넣거나 고무망치 등을 사용하여 가볍게 가격하면 끼워지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20)부분에 도달하였을 경우 걸림돌기(20)는 각 실시예 모두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구(10) 방향으로 압착되게 되어 걸림돌기(20)가 틀체(1, 2)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며 완전히 삽입되면 걸림돌기(20)의 위치가 체결공(6)의 위치와 일치하게 되며 이때 걸림돌기(20)는 압착하는 힘이 제거 되기 때문에 복원되어 체결공(6)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로서 연결구(10)와 모서리완충구(40)가 분리 구성되는 경우는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와 동일하나 연결구(10)를 어느정도 끼운 다음에 모서리완충구(40)를 끼워 넣으면 연결구(10)와 모서리완충구(40)를 조립할 수 있게 되며 걸림돌기(20)는 일체로 되는 구성과 동일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연결구(10)와 모서리완충구(40)가 서로 조립 되도록 구성되는 경우는 먼저 연결구(10)와 모서리완충구(40)를 조립 구성한 다음 연결구(10)와 모서리완충구(4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돌기(2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을 제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모두 걸림돌기(20)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편(29)이나 탄성스프링(30)에 의해 지지 되고 있는 것으로 연결구(10) 자체에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연결구의 외면에 미세한 돌기를 구성하여 돌기에 의해 외경이 틀체의 내경보다 0.1내지 0.2㎜구성하게 되면 돌기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걸림돌기가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구성을 여러가지 제시하였으나 이 구성외에 탄성돌기가 틀체(1, 2)의 체결공에 끼워져 고정 되도록 하고 연결구가 틀체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연결구의 외면에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외경이 0.1내지 0.2㎜정도 크게 구성하여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고정하도록 한것은 본 발명의 목적과 동일하여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연결구를 조립한 후에 나사로 체결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와 나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5a 내지 도 5g 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방향틀체 (2) : 횡방향틀체
(3) : 경사면 (4) : 안치부
(6) : 체결공 (10) : 연결구
(11) : 돌기 (20,23,28) : 걸림돌기
(21) : 관통공 (22) : 탄성살
(24) : 관통홈 (25) : 탄성바
(26) : 작동홈 (27) : 작동공
(29) : 탄성편 (30,31) : 탄성스프링
(32) : 볼 (33) : 마개
(35) : 홈 (36) : 고정간
(37) : 만곡편 (38) : 작동공

Claims (14)

  1. 종방향틀체(1)와 횡방향틀체(2)의 모서리 부분을 45°각도로 절단하여 경사면(3)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3)의 끝단을 경사면(3)과 90°가 되도록 절단하여 완충구 안치부(4)를 구성한 후 연결구(10)와 모서리 완충구(40)의 라운딩부분(41)의 끝단(42)이 틀체(1, 2)의 안치부(4)에 안치 되도록 구성한 후 나사를 체결 고정하여 알루미늄 문틀(100)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의 외면 폭이 틀체(1, 2)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구성하거나, 연결구(10)의 외면에 미세 돌기(11)를 틀체(1, 2)의 내경보다 0.1㎜내지 0.2㎜정도 크게 구성하고, 상기 틀체(1, 2)에는 적어도 한면 이상에 체결공(6)을 구성하고, 연결구(10)에 탄성력을 가지는 걸림돌기(20)를 구성하여 상기 걸림돌기(20)가 체결공(6)에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에 모서리완충구(40)가 끼워져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에 모서리완충구(40)가 분리 구성되어 각각 틀체에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와 모서리완충구(4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외경이 틀체(1, 2)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외면에 구성하는 미세돌기(11)에 의해 틀체(1, 2)의 내경보다 0.1내지 0.2㎜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외경이 틀체(1, 2)의 내경보다 0.2㎜범위 내에서 적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8.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10)에 관통공(21)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21)에 의해 형성된 탄성살(22)에 걸림돌기(23)를 구성하여 연결구(10)가 틀체(1, 2)에 끼워질 때 탄성살(22)이 관통공(21) 부분으로 압착되어 걸림돌기(23)가 끼워질 때 간섭받지 않도록 끼워지고 삽입후 자체 탄성살(2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23)가 틀체(1, 2)의 체결공(6)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9.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10)에 관통홈(24)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21)에 의해 형성된 탄성바(25)에 걸림돌기(2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10.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10)에 작동홈(26)과 에 관통되는 작동공(27)을 형성하여 작동공(27)과 작동홈(26)에 끼워져 연결구(10)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8)가 탄성편(29)에 의해 탄성 지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11.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10)에 작동홈(26)과 에 관통되는 작동공(27)을 형성하여 작동공(27)과 작동홈(26)에 끼워져 연결구(10)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8)가 탄성스프링(30)에 의해 탄성 지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12. 제1항에 있어서, 걸림돌기를 구성할 때 연결구(10)에 홈(35)을 구성하고 홈(35)에 의해 형성된 고정간(36)에 단부가 내측으로 만곡면(37)이 구성된 작동공(38)을 구성하여 그 내부에 탄성스프링(31)에 의해 탄성되는 볼(32)을 내장한후 마개(33)로 밀봉하여 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1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10)의 양끝단 부분에 작은 요홈(39)를 형성하고 틀체(1, 2)에 요홈 부분에 일치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작은 돌기(1a)를 구성하여 체결시 작은 돌기(1a)가 요홈(39)에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14. 제1항에 있어서, 걸림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탄성력을 가지는 걸림돌기(20)를 연결구(10)의 몸체 정면에 구성하고 틀체(1, 2)의 정면에 상기 걸림돌기(20)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공(6)을 구성하여 걸림돌기(20)가 체결공(6)에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KR1020040040051A 2004-06-02 2004-06-02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KR10047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051A KR100476568B1 (ko) 2004-06-02 2004-06-02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051A KR100476568B1 (ko) 2004-06-02 2004-06-02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6568B1 true KR100476568B1 (ko) 2005-03-18

Family

ID=3738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051A KR100476568B1 (ko) 2004-06-02 2004-06-02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56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505B1 (ko) 2008-11-25 2010-10-22 남궁홍균 도어 프레임
KR101263956B1 (ko) * 2006-10-26 2013-05-13 (주)엘지하우시스 조립식 가변형 문틀
KR101580743B1 (ko) 2014-06-30 2015-12-28 여길봉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GB2534002A (en) * 2014-10-24 2016-07-13 Merlyn Ind Ltd A frame
KR102028460B1 (ko) * 2019-04-03 2019-10-04 (주)신우건업 상호 결합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결합 구조
KR200490980Y1 (ko) * 2019-07-30 2020-01-31 박광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102121125B1 (ko) 2018-12-06 2020-06-10 (주)알루피아코리아 도어 틀체 결합 구조
KR102553676B1 (ko) * 2022-12-08 2023-07-07 이강휘 중문 조립체
KR20230135402A (ko) 2022-03-16 2023-09-25 알에프시스템즈 주식회사 기밀형 하우징 프레임 및 그에 결합되는 기밀형 덮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956B1 (ko) * 2006-10-26 2013-05-13 (주)엘지하우시스 조립식 가변형 문틀
KR100989505B1 (ko) 2008-11-25 2010-10-22 남궁홍균 도어 프레임
KR101580743B1 (ko) 2014-06-30 2015-12-28 여길봉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GB2534002A (en) * 2014-10-24 2016-07-13 Merlyn Ind Ltd A frame
KR102121125B1 (ko) 2018-12-06 2020-06-10 (주)알루피아코리아 도어 틀체 결합 구조
KR102028460B1 (ko) * 2019-04-03 2019-10-04 (주)신우건업 상호 결합 내구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결합 구조
KR200490980Y1 (ko) * 2019-07-30 2020-01-31 박광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20230135402A (ko) 2022-03-16 2023-09-25 알에프시스템즈 주식회사 기밀형 하우징 프레임 및 그에 결합되는 기밀형 덮개
KR102553676B1 (ko) * 2022-12-08 2023-07-07 이강휘 중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568B1 (ko)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US20050247586A1 (en) Attache style toolbox with an outer frame
US6338556B1 (en) Rim lock of glasses frame and glasses frame
KR101900592B1 (ko) 붙박이장의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
KR102121125B1 (ko) 도어 틀체 결합 구조
KR200490980Y1 (ko)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200347419Y1 (ko) 유리도어 안전장치
JP4333918B2 (ja)
KR20210131032A (ko) 창호용 가이드 스토퍼
KR200396780Y1 (ko) 샤시류 제품의 조립구조
KR200196665Y1 (ko) 문틀의 조립구조
KR200344985Y1 (ko) 문틀의 목재 고정구조
CN210639367U (zh) 镜框与镜脚组合结构
KR200221712Y1 (ko) 골조물 고정구
JP7132181B2 (ja) 接合構造及び建具
JP3940347B2 (ja) 枠装置
JP4160854B2 (ja) 家具用扉
CN209497738U (zh) 一种机柜的可拓展型材结构
KR200346709Y1 (ko) 소화전용 도어의 손잡이 구조물
KR102141013B1 (ko) 분할된 안경테의 연결구조체
KR200228945Y1 (ko) 조립식 래핑문틀
KR20220158468A (ko) 착탈 가능한 프레임 고정구
KR200193701Y1 (ko) 창틀프레임 조인트 구조
JPS6016192Y2 (ja) ガラス戸用のパツキン部材
KR100589426B1 (ko) 안경다리와 연결구의 체결부 구조 및 그 체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208

Effective date: 200707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30000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208

Effective date: 200707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