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570B1 -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570B1
KR101805570B1 KR1020150145194A KR20150145194A KR101805570B1 KR 101805570 B1 KR101805570 B1 KR 101805570B1 KR 1020150145194 A KR1020150145194 A KR 1020150145194A KR 20150145194 A KR20150145194 A KR 20150145194A KR 101805570 B1 KR101805570 B1 KR 10180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lting
powder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767A (ko
Inventor
박상윤
Original Assignee
박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윤 filed Critical 박상윤
Priority to KR102015014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5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는 유골 분체가 투입된 다수의 성형틀체를 다단 적층하기 위한 트레이유닛 및 상기 유골 분체가 담긴 성형틀체를 수용한 후, 고온 가열을 통해 성형틀체 내의 유골 분체를 용융하는 용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융유닛은 유골분체가 주입된 성형틀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과 개폐도어가 마련된 챔버;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성형틀체가 안착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틀체에 주입된 유골분체를 용융하는데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골 분체를 용융점이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용융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용융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절약함은 물론, 챔버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켜 용융과정에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골 분체의 용융과정에서 성형틀체가 선반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진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유골 분체가 비산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Ashes powder crystal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유골 분체 결정화를 위한 자동화장치용 용융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 분체를 용융 및 냉각시켜 유골 분체를 결정체로 성형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 개선을 통해 작업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업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서 늙고, 병들어 결국은 자연으로 돌아가는 유한한 존재이다. 이를 먼저 깨달아 죽음에 대하여 가장 큰 의미를 부여해 온 것 또한 바로 우리 인간이다. 지역에 따라 절차나 방법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각 민족은 나름대로 죽음에 대한 의식을 행해왔다.
불교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는 불교의 본질인 생명의 연속성을 중요시하였으며, 장례문화는 유교적 전통과 도교적 풍수지리의 영향으로 시신을 매장하는 장례문화를 전통적으로 행하였다. 이러한 장례문화가 조상의 음덕을 받을 수 있으며, 후손의 출세와 번영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형적인 농경시대의 유산인 매장문화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매년 여의도 면적의 3배에 달하는 임야가 묘지화됨으로써 서울은 2년, 수도권은 5년, 전국적으로 10년 이내에 묘지공급에 한계가 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산과 평야가 만나는 지역이면 어디에나 묘지가 있어 국토개발에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묘지 1기가 도로의 개통을 방해하는 일은 다반사이며, 역으로 일부 부유층의 불법 호화분묘는 계층간의 위화감까지 조성하고 있다.
지난 98년 여름의 집중호우와 산사태로 인한 묘지 수해는 전국적으로 약 9,400기에 이르며, 수목이 없는 묘지가 산사태의 원인이 됨은 자명한 일이다. 이외에도 후손들의 무관심과 관리소홀로 벌초를 하지 않아 황폐화된 묘, 떼가 벗겨진 묘, 동절기를 거치며 붕괴된 묘, 개인주의의 만연과 전통적인 집안 의식 및 친족, 이웃 간의 상호 부조의식 해이로 전국의 무연고 묘는 총 묘지 2천 만기의 40%인 800만기에 이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장례문화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다른 나라의 장례문화를 살펴보면 서양의 경우 영국은 68%, 스위스는 67%, 네덜란드는 98%가 화장을 채택하고 있으며, 동양의 경우 중국이 모택동 시대 이후 대부분 화장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가정책으로 화장문화가 정착된 일본이 97%, 태국이 90%, 홍콩이 72% 등 높은 화장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각 나라의 일반적인 화장문화는 시체를 화장하여 유골을 일정용기에 넣고 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인데, 이 또한 유골을 수습하여 보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유골이 시각적으로 흉하기 때문에 납골당이 활성화되지 못하였으며, 골분 상태로 장기간 보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428호에서는 유족들이 화장으로 장례를 치르는데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장례를 지낸 뒤에도 자연스럽게 유골을 자화 사리로 만들어 납골당이나 가정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돌아가신 분과 격리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유골을 결정체로 만드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62722호에서는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화장로는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로 만들고, 이를 고온으로 재 연소하여 연소시킨 다음 용융액을 결정체로 재결정하는 화장로와 화장방법에 관하여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유골 분체를 용융하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의 열이 필요하며, 그 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요된다. 이에 장치의 작동만으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유골 분체의 용융은 고온에서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작동 후 기다리는 과정에서 시간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4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627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골 분체의 용융과정에서 챔버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유골 분체를 원래의 용융점 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열 생성에 소요되는 에너지 사용 절감 및 용융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골 분체의 용융에 필요한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유골 분체의 결정화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골 분체의 용융과정이 이루어지는 챔버 내부에 별도의 산소공급유닛을 통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챔버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진공유닛을 이용한 챔버 내부의 진공과정에서 챔버의 상방으로 작용하는 흡입력에 비해 챔버의 하방으로 작용하는 흡입력을 크게 조절함으로써, 유골분체의 용융과정에서 하방으로 작용하는 흡입력을 통해 성형틀체를 선반에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흡입력에 의해 유골 분체가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온으로 가열되는 챔버에 별도의 냉각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챔버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유골 분체가 투입된 다수의 성형틀체를 다단 적층하기 위한 트레이유닛 및
상기 유골 분체가 담긴 성형틀체를 수용한 후, 고온 가열을 통해 성형틀체 내의 유골 분체를 용융하는 용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융유닛은
유골분체가 주입된 성형틀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과 개폐도어가 마련된 챔버;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성형틀체가 안착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틀체에 주입된 유골분체를 용융하는데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용융유닛에는 수용공간의 진공상태 조성을 위한 진공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챔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1 진공라인,
상기 선반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2 진공라인 및
상기 제1,2 진공라인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공유닛의 제1 진공라인과 제2 진공라인 중 제2 진공라인에 더 큰 흡입력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용융유닛에는 수용공간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챔버의 외면에 갈지자형태로 형성된 배관로,
상기 배관로에 배선된 냉각수공급라인 및
상기 냉각수공급라인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용융유닛에는 수용공간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산소공급유닛은,
상기 챔버에 형성된 산소공급라인 및
상기 산소공급라인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용융유닛에는 수용공간의 대기압 상태 조성을 위한 진공해제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진공해제유닛은
상기 챔버에 대기압 상태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라인 및
상기 가스공급라인을 통해 N2 또는 He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공유닛에는 압력게이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게이지는 챔버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가 진공유닛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는 챔버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가 냉각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골 분체를 용융점이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용융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용융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절약함은 물론, 챔버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켜 용융과정에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골 분체의 용융과정에서 성형틀체가 선반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진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유골 분체가 비산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 중 용융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 중 용융유닛의 챔버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 중 용융유닛의 선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 중 용융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 중 용융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 중 용융유닛의 챔버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 중 용융유닛의 선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100)는 트레이유닛(110), 용융유닛(120), 냉각유닛(160), 산소공급유닛(170) 및 진공해제유닛(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유닛(110)은 다수의 성형틀체(10)를 다단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으로 그 내측에 다단의 수납부(111)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틀체(10)는 유골 분체의 수납 또는 결정체의 결정화를 위하여 상부에 유골 분체가 투입되는 다수의 수용홈(11)들 다수가 바둑판 배열로 형성된다.
이때, 유골 분체는 용융된 후 냉각시 일정량씩 응집되어 결정화되며, 이러한 결정의 형상과 크기는 상기 수용홈(11)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성형틀체(10)는 유골 분체의 결정화 시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알루미나 등을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용융유닛(120)은 상기 트레이유닛(110)의 인접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골 분체가 담긴 성형틀체(10)를 수용한 후, 고온 가열을 통해 성형틀체(10) 내의 유골 분체를 용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용융유닛(120)은 프레임의 상부에 챔버(121)가 마련되고, 상기 챔버(121) 내에 선반(122)이 구비되며, 상기 선반(122)의 상부에 히터(123)가 구비된다.
상기 챔버(121)는 유골분체가 주입된 성형틀체(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수용공간(124)이 마련되고, 그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124)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25)가 마련된다.
상기 수용공간(124)에는 단열재(126)가 설치된다. 상기 단열재(126)는 히터(123)에 의해 발열된 열을 신속하게 유골 분체 용융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반(122)은 수용공간(124) 내에서 성형틀체(10)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24) 내에 구비된다.
이에, 상기 수용공간(124) 내부로 진입한 성형틀체(10)는 상기 선반(122)에 안착된다.
상기 히터(123)는 유골 분체를 용융하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히터(123)는 열을 발산하는 열선이 상기 선반(122) 내에 배선되어 선반(122)에 안착된 성형틀체(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용융유닛(120)에는 수용공간(124)의 진공상태 조성을 위한 진공유닛(1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진공유닛(150)은 유골 분체의 용융과정에서 챔버(121)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승화 작용에 의한 증발을 촉진시켜 유골 분체의 용융점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진공유닛(150)은 챔버(121)에 형성된 제1,2 진공라인(151,153)과 진공펌프(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진공라인(151)은 상기 챔버(1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한다.
상기 제2 진공라인(153)은 상기 선반(122)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한다.
상기 진공펌프(154)는 상기 제1 진공라인(151)과 제2 진공라인(153)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챔버(121) 내부의 기체를 흡입함으로써, 챔버(121) 내부의 진공상태를 조성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유닛(150)의 제1 진공라인(151)과 제2 진공라인(153) 중 하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2 진공라인(153)에 더 큰 흡입력이 생성된다. 이에, 챔버(121)의 진공상태 조성과정에서 제1 진공라인(151)의 흡입력에 의해 성형틀체(10)에 투입된 유골 분체가 날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상기 성형틀체(10)를 제2 진공라인(153)을 통해 생성된 흡입력을 통해 성형틀체(10)를 선반(122)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용융유닛(120)에는 수용공간(124)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닛(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냉각유닛(160)은 상기 히터(123)를 통해 가열된 챔버(121) 내부를 냉각시켜 유골 분체의 용융액이 결정화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냉각유닛(160)은 상기 챔버(121)의 외면에 배관로(16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로(161)에 냉각수공급라인(163)이 배선되며, 상기 냉각수공급라인(163)에는 상기 냉각수공급라인(163)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165)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관로(161)는 냉각수공급라인(163)이 챔버(121)의 외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갈지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냉각유닛(160)에는 온도센서(16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166)는 챔버(121)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각유닛(16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융유닛(120)에는 수용공간(124)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유닛(1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산소공급유닛(170)은 챔버(121)의 내부 온도가 빠르게 유골 분체의 용융온도까지 오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산소공급유닛(170)은 상기 챔버(121)의 상부에 산소공급라인(171)이 형성되고, 상기 산소공급라인(171)의 단부에 상기 산소공급라인(171)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탱크(173)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용융유닛(120)에는 수용공간(124)의 대기압 상태 조성을 위한 진공해제유닛(1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진공해제유닛(180)은 유골 분체의 용융작업이 끝난 진공상태의 챔버(121)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챔버(121) 내부를 대기압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진공해제유닛(180)은 상기 챔버(121)의 상부에 대기압 상태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라인(181)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라인(181)의 단부에 상기 가스공급라인(181)을 통해 N2 또는 He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탱크(18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진공유닛(150)에는 압력게이지(15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게이지(156)는 챔버(121)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공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는 그 구조개선을 통해 장치의 가동시간 및 소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골 분체의 결정화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 중 용융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유닛(110)에 다단 형태로 적층된 다수의 성형틀체(10) 중 어느 한 성형틀체(10)를 용융유닛(120)의 챔버(121) 내부로 투입된다.
이후, 히터(123)의 발열에 의해 챔버(12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챔버(121) 내부는 진공유닛(150)을 통해 그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며, 상기 산소공급유닛(170)을 통해 챔버(121)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챔버(121)의 내부 온도가 빠르게 유골 분체의 용융온도까지 이르게 한다.
또한, 상기 압력게이지(156)는 챔버(121)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가 전달된 신호를 분석하여 진공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용융유닛(120)에 의해 챔버(121) 내부에서 용융된 유골 분체의 용융액은 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되어 결정체가 된다.
상기 온도센서(166)는 챔버(121) 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가 전달된 신호를 분석하여 냉각유닛(16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유골 분체의 결정화장치는 유골 분체의 용융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용융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절약함은 물론, 챔버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켜 용융과정에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골 분체의 용융과정에서 성형틀체가 선반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진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유골 분체가 비산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도록 한다.
110 : 트레이유닛 111 : 수납부
120 : 용융유닛 121 : 챔버
122 : 선반 123 : 히터
124 : 수용공간 125 : 개폐도어
126 : 단열재 150 : 진공유닛
151 : 제1 진공라인 153 : 제2 진공라인
154 : 진공펌프 160 : 냉각유닛
161 : 배관로 163 : 냉각수공급라인
165 : 물탱크 170 : 산소공급유닛
171 : 산소공급라인 173 : 산소탱크
180 : 진공해제유닛 181 : 가스공급라인
183 : 가스탱크

Claims (7)

  1. 유골 분체가 투입된 다수의 성형틀체(10)를 다단 적층하기 위한 트레이유닛(110) 및
    상기 유골 분체가 담긴 성형틀체(10)를 수용한 후, 고온 가열을 통해 성형틀체(10) 내의 유골 분체를 용융하는 용융유닛(120)을 포함하며,
    상기 용융유닛(120)은
    유골분체가 주입된 성형틀체(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24)과 개폐도어(125)가 마련된 챔버(121);
    상기 수용공간(124) 내에 구비되어 성형틀체(10)가 안착되는 선반(122) 및
    상기 선반(1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틀체(10)에 주입된 유골분체를 용융하는데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히터(1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닛(120)에는 수용공간(124)의 진공상태 조성을 위한 진공유닛(150)을 더 구비하되,
    압력게이지(156)와 온도센서(166)를 포함하는 진공유닛(150)은
    상기 챔버(1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1 진공라인(151),
    상기 선반(122)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2 진공라인(153) 및
    상기 제1,2 진공라인(151,153)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15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공유닛(150)의 제1 진공라인(151)과 제2 진공라인(153) 중 제2 진공라인(153)에 더 큰 흡입력이 생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융유닛(120)에는 수용공간(124)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닛(160)을 더 구비하되,
    상기 냉각유닛(160)은
    상기 챔버(121)의 외면에 갈지자형태로 형성된 배관로(161),
    상기 배관로(161)에 배선된 냉각수공급라인(163) 및
    상기 냉각수공급라인(163)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1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닛(120)에는 수용공간(124)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유닛(17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산소공급유닛(170)은,
    상기 챔버(121)에 형성된 산소공급라인(171) 및
    상기 산소공급라인(171)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탱크(17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닛(120)에는 수용공간(124)의 대기압 상태 조성을 위한 진공해제유닛(18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진공해제유닛(180)은
    상기 챔버(121)에 대기압 상태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라인(181) 및
    상기 가스공급라인(181)을 통해 N2 또는 He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탱크(18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7. 삭제
KR1020150145194A 2015-10-19 2015-10-19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KR10180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94A KR101805570B1 (ko) 2015-10-19 2015-10-19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94A KR101805570B1 (ko) 2015-10-19 2015-10-19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767A KR20170045767A (ko) 2017-04-28
KR101805570B1 true KR101805570B1 (ko) 2017-12-07

Family

ID=5870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194A KR101805570B1 (ko) 2015-10-19 2015-10-19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5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55Y1 (ko) * 2006-09-29 2006-12-18 심요섭 수공에 의한 사리 제조 장치
KR101189028B1 (ko) * 2011-12-28 2012-10-08 안요환 골분 사리화 장치
KR101197676B1 (ko) * 2010-01-13 2012-11-07 안요환 다중 도가니 구조의 유골분 결정화 장치
KR101447120B1 (ko) * 2012-08-10 2014-10-06 양송철 유골용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골 살균 방법
KR101450294B1 (ko) * 2014-02-13 2014-10-22 박만우 역진공에 의한 유골을 포함하는 분체의 용융 및 결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55Y1 (ko) * 2006-09-29 2006-12-18 심요섭 수공에 의한 사리 제조 장치
KR101197676B1 (ko) * 2010-01-13 2012-11-07 안요환 다중 도가니 구조의 유골분 결정화 장치
KR101189028B1 (ko) * 2011-12-28 2012-10-08 안요환 골분 사리화 장치
KR101447120B1 (ko) * 2012-08-10 2014-10-06 양송철 유골용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골 살균 방법
KR101450294B1 (ko) * 2014-02-13 2014-10-22 박만우 역진공에 의한 유골을 포함하는 분체의 용융 및 결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767A (ko) 201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570B1 (ko) 유골 분체의 결정화 장치
CN104195640A (zh) 一种用于蓝宝石单晶生长的热场系统
WO19990643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crystal of cremated remains
US20080160472A1 (en) Sinter furnace for sapphire crystal growth
CN204607866U (zh) 利用逆真空的含骨灰粉体熔融及结晶化装置
WO2019122478A1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cenizas de cremación
KR20170045765A (ko) 유골 분체 결정화를 위한 자동화장치
KR19990078565A (ko) 유골의골분만을사용한결정체제조방법및그제조장치
KR100975285B1 (ko)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75865B1 (ko) 골분 용융용 도가니로 및 이를 이용한 골분 용융 결정화 장치
KR20140071087A (ko) 마이크로 웨이브 유골분 성형장치
TWI680259B (zh) 生物骨灰之減容及其長久保存方法
KR100562722B1 (ko)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
KR102525834B1 (ko) 유골을 이용한 사리 제조장치
KR101559702B1 (ko) 유골결정체 제조방법
KR101839134B1 (ko) 유골 분체의 용융 및 결정화 장치
KR100931544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TW202040061A (zh) 生物遺骸減容方法
KR101530996B1 (ko) 립스틱왁스용융통의 히터 및 물 중탕 가온 순환 장치
KR102660532B1 (ko)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TW201947067A (zh) 骨灰水晶成形方法
KR20100008147U (ko) 생숯용기와 관(상자)의 결합
KR20100057981A (ko) 추모물질 결정체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모물질 결정체제조방법
JP3067469U (ja) 火葬用葬儀用具
KR100967934B1 (ko) 유골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