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112B1 -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112B1
KR101805112B1 KR1020150125711A KR20150125711A KR101805112B1 KR 101805112 B1 KR101805112 B1 KR 101805112B1 KR 1020150125711 A KR1020150125711 A KR 1020150125711A KR 20150125711 A KR20150125711 A KR 20150125711A KR 101805112 B1 KR101805112 B1 KR 10180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unit
parking position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726A (ko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짱
Priority to KR102015012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1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앱)이 설치된 주차휴대단말기로 주차공간에 주차된 자동차(차량)의 주차위치를 자동 인식시키고 주차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균일한 단위간격 마다 고정 설치되어 무선신호가 전송되는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서비스 영역이 다수 모여서 주차장 전체 면적을 커버하며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된 주차정보를 방송하는 하나 이상 다수의 주차위치방송부 및 주차위치방송부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다운로드 받은 주차위치어플의 운용에 의하여 주차정보를 수신 저장하고 주차시간, 주차요금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주차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간편하며 신속 정확하게 주차휴대단말기에 기록 저장하므로 별도 기억, 메모하지 않아도 되고 주차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Recognition apparatus of car parking position with beacon in real ti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앱)이 설치된 주차휴대단말기로 주차공간에 주차된 자동차(차량)의 특정 주차위치를 자동 인식시키고 필요한 때에 신속하게 확인하며 주차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연산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커지고 여가시간 증가로 인하여 국민 2.6 명당 1 대의 차량(자동차)이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최근에 집계 및 통계 되었다고 한다.
이하의 본 발명 설명에서 차량과 자동차는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에 건설된 아파트의 경우 대단위 지하 주차장이 건설되어 있고 할인매장이나 백화점 및 건물 등에서도 주차공간이 넓은 대형 지하 주차장, 노상주차장, 주차빌딩이 이미 건설되었거나 신규 건물의 경우 필수적으로 건설, 확보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대형 주차장 특히, 지하 주차장 또는 주차빌딩 등의 주차공간은 각각의 층마다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차위치를 운전자가 기억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동차의 주차위치를 찾기 위해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차위치를 매번 메모, 관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상의 도로변 소규모 주차장이거나 지역별 소규모 주차장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이하의 설명에서 지하 주차장, 주차빌딩, 노상주차장, 도로변 소규모 주차장, 지역별 주차장 등이 포함되는 모든 주차장을 주차장으로 기재하고 설명과 이해를 돕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결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14767호(2005.09.07.)에 의한 “주차위치 인식 기억장치”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대형주차장(10), 주차장 층 수(20), 층에 위치한 호수명(30), 호수명에 각각 붙여진 번호(40), 수동기계전자식 기억 기록장치(50), 자동차(60), 사용자(70)이다.
일 예로, 대형주차장(10)에 주차를 시키기 위하여 사용자(70)는 대형 주차장(10)에 가서 자동차(60)를 주차시킨다.
사용자(70)는 주차위치를 파악을 한 후 자동차 열쇠에 붙어있는 수동 기계전자식 기억 기록장치(50)를 꺼내 버튼 또는 톱니바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주차장의 이름, 층 수, 호수명, 번호를 선택하므로 기억하지 않아도 자동차의 주차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주차위치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이름, 층, 호, 번호 등을 운전자가 일일이 확인하고 직접 메모 또는 기록하여 저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운전자(사용자)의 실수로 잘못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저장된 오류정보에 의하여 주차위치 확인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주차장에 입고한 시간과 출고한 시간을 계산하여 무상주차 허용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시간에 대하여 규정된 시간 단위로 주차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주차한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자신의 자동차를 찾기 위하여 시간을 불필요하게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차한 위치를 운전자가 직접 확인한 후 메모 또는 기록하는 번거로움 없이 주차위치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자동으로 기록 저장하며 주차시간과 주차요금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14767호(2005.09.07.) “주차위치 인식 기억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비콘이 설치된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된 정확한 위치정보를 어플(앱)이 설치된 주차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 저장 및 확인하고, 주차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은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균일한 단위간격 마다 고정 설치되어 무선신호가 전송되는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서비스 영역이 다수 모여서 상기 주차장 전체 면적을 커버하며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된 주차정보를 방송하는 하나 이상 다수의 주차위치방송부; 및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다운로드 받은 주차위치어플의 운용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수신 저장하고 주차시간, 주차요금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주차휴대단말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와 접속하고 상기 주차정보의 내용을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제어와 감시하며 상기 주차위치어플을 상기 주차휴대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최신 버전 다운로드로 제공하고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의 비정상적 운용이 확인되면 해당 경고 메시지를 발생 출력하는 주차장서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휴대단말기는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와 무선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방송되는 상기 주차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비콘무선부; 상기 단말비콘무선부와 접속하고 설치 운용되는 주차위치어플과 입력되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며 주차시간을 연산 출력하고 각 기능부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단말제어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주차위치어플을 저장하고 설치하여 운용하는 주차위치어플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주차정보와 입고시간을 각각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주차정보저장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와 입고시간, 현재시간, 주차시간을 출력하고 터치에 의한 특정의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터치입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방송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근거리통신(NFC), 적외선 방식의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무선 통신과 방송하는 비콘무선부; 상기 비콘무선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방송 또는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비콘제어부; 상기 비콘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 중 지명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지명부; 상기 비콘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 중 층수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층수부; 및 상기 비콘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 중 지역구획번호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지역구획번호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의 특정 위치는 주차장의 천장, 벽, 기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운용방법은 주차위치방송부와 주차휴대단말기와 주차장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주차장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주차위치어플을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며 주차위치위젯으로 설치하여 운용하는 제 1 단계; 상기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위치위젯이 선택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차위치어플을 활성화 상태로 운용시키고 주변의 다수 주차위치방송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수신신호세기값(RSSI)이 가장 큰 값의 주차위치방송부가 방송하는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입고시간과 함께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위치위젯으로부터 주차위치의 확인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주차정보와 실시간에 의한 주차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정보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 위치의 지역명, 주차층수, 지역구획번호와 안내메시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휴대단말기는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와 블루투스, 와이파이, 근거리통신(NFC), 적외선 통신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구비된 통신수단을 동시에 활성화 상태로 구동하여 무선 통신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주차관리앱이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주차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 단위로 비콘이 설치된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간편하며 신속 정확하게 기록 저장하므로 주차위치 확인을 위하여 기억하거나 메모하지 않아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주차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도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차위치방송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차휴대단말기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주차위치방송부를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설치한 상태 도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주차위치방송부를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설치한 상태 도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수신신호세기 값이 가장 높은 주차위치방송부가 방송하는 주차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상태 설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그리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송신과 방송은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필요에 의하여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하며, 주차장은 지하주차장을 위주로 도면도시와 설명하고 있으나 주차빌딩, 지상 또는 노상 주차장, 도로변 주차장, 지역 소규모 주차장이 포함 및 적용되는 것은 매우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 설명에 있어서 주차휴대단말기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차량을 운전하여 주차장에 파킹 한 후에 주차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차정보를 기록 저장 및 확인하는 것이므로 주차휴대단말기가 차량과 같이 이동하고 주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주차휴대단말기와 차량(자동차)을 같은 구성으로 설명할 수 있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선별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위젯은 앱과 같은 기능 또는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도시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차위치방송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차휴대단말기의 세부 기능 구성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주차위치방송부를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설치한 상태 도시도 이며,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주차위치방송부를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설치한 상태 도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수신신호세기 값이 가장 높은 주차위치방송부가 방송하는 주차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상태 설명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900)은 주차위치방송부(1000), 주차휴대단말기(2000), 주차장서버(3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주차위치방송부(1000)는 하나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고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균일한 단위간격 마다 고정 설치된다.
주차장의 특정 위치는 천장, 벽, 기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노상 주차장, 지역 소규모 주차장의 경우 주변에 전신주, 가로등, 각종 표지판, 임의로 세운 기둥 등의 설치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설치물이 특정 위치에 포함됨은 매우 당연하다.
즉,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주차장(지하주차장 또는 건물 형식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되거나 벽에 설치되거나 기둥에 설치되거나 천장과 벽에 설치되거나 천장과 기둥에 설치되거나 벽과 기둥에 설치될 수 있고, 노상주차장과 지역 소규모 주차장 등의 경우 전신주, 가로등, 표지판 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방송(송신)하는 주차정보를 주차휴대단말기(2000)가 해당 신호를 유효한 레벨(level)로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을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이라 하고, 서비스 영역은 무선신호가 전송(전파)되는 경로를 차단시키는 방해물 또는 방해전파가 없는 경우 일정한 반경의 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각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이 20 미터인 경우 최외곽 지점의 수신불량율과 무선신호(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그늘지역(shadow area)를 보상하기 위하여 직선거리에 의한 반경 70 % 범위를 초과하는 영역을 중복시키게 되면 인접한 주차위치방송부(1000)와의 단위간격은 직선거리 약 30 미터이어야 한다.
각 주차위치방송부(1000)는 해당 생산자, 모델, 출력 등에 의하여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거리에 차이가 있고 또한, 설치되는 주변환경에 의하여 신호의 도달거리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단위 간격은 선택된 주차위치방송부(1000)와 설치되는 주변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 동시에 설계자, 시공자의 의도에 의하여 다르게 지정,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위간격을 특정 값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하나 이상 다수의 주차위치방송부(1000)를 설치하여 넓은 영역의 주차장에서 무선신호의 그늘지역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방해물이 없는 경우 전후좌우 30 미터를 단위 간격으로 설정하고, 각 단위간격 마다 주차위치방송부(1000)를 반복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무선신호의 전송(전파, 송신, 방송)을 방해하는 시설(기둥, 벽, 적재물 등)이 위치하는 뒷부분은 그늘지역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지역을 커버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설치되는 단위 간격은 줄어들어야 한다.
주차장의 형상, 기둥의 위치, 벽의 위치 등에 의하여 하나 이상 다수의 주차위치방송부(1000)를 설치하는 경우,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설치되는 주차장의 특정 위치는 천장, 벽, 기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각 주차위치방송부(1000)는 고유한 일련번호 또는 ID(idenrification NO.)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유 일련번호에 의하여 구분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는 주차장의 천장에 소정의 규격화된 거리 단위로 상하좌우 동일한 간격마다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설치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하고 있고, 도 6 은 주차장의 벽, 기둥을 위주로 설치하고 그늘지역의 해소를 위하여 천장에 일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은 일 예에 의한 것이며 각 주차장의 환경에 적합하게 그늘지역이 없도록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설치되어야 한다.
주차위치방송부(1000)는 비콘무선부(1010), 비콘제어부(1020), 지명부(1030), 층수부(1040), 지역구획번호부(1050)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안내메시지부(10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콘무선부(101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근거리통신(NFC), 적외선 방식의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무선 통신과 방송한다.
블루투스와 와이파이와 근거리통신(NFC)과 적외선 통신방식에 대하여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블루투스의 경우 버전 4.0 급을 사용하는 경우 전력소모량이 적도록 개선되었고 최대 반경 50 미터를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고, 5 센티미터 오차 범위 이내에서 주차휴대단말기(2000)와의 직선거리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비콘무선부(1010)에 블루투스 4.0 버전의 무선부를 구비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할 수 있다.
블루투스 버전 4.0의 무선부를 비콘(beacon)으로 사용하는 경우 알려진 삼각측량 연산 방식을 이용하여 다수의 비콘무선부(1010) 중에서 주차휴대단말기(2000)가 위치한 서비스 영역 및 각 비콘무선부(1010)와의 직선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수신신호세기(RSSI :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비콘(beacon)은 ISM 밴드의 2.4 GHz 대역 무선주파수(RF)를 사용한다.
블루투스, 와이파이, 근거리통신(NFC), 적외선 방식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통신하면서 방송할 수 있다.
통신은 지정된 하나의 상대방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고, 방송은 수신 상대방의 숫자가 이론적으로 무한대인 방식이지만, 송신에 방송의 의미가 포함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비콘무선부(1010)에 블루투스, 와이파이, 근거리통신(NFC), 적외선 방식의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경우 구비된 통신 기능을 모두 활성화 시켜 동일한 내용이 송수신, 송신 또는 방송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비콘제어부(1020)는 비콘무선부(1010)를 제어하여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방송 또는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주차정보에는 주차하는 지역의 지명정보와 층수정보와 지역구획번호 정보가 포함된다. 필요에 의하여 안내메시지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안내메시지 정보에는 상업성, 공익성, 공공성, 교육성, 계도성, 홍보성, 선전성 등의 메시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지명부(1030)는 비콘제어부(102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주차정보 중 지명 정보(일 례로, 신세계 백화점, 인천공항, 문학경기장, 고수부지 주차장 등)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여 저장하거나 검색하여 출력한다.
층수부(1040)는 비콘제어부(102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주차정보 중 층수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여 저장하거나 검색하여 출력한다.
지역구획번호부(1050)는 비콘제어부(102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주차정보 중 지역구획번호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여 저장하거나 검색하여 출력한다.
층수 정보와 지역구획번호는 각각 단독 사용되거나 혼합되어 하나의 정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례로 2층 3구역을 203으로 표시할 수 있고, A 단지 506구역을 A-506 등과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응용예는 매우 다양하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안내메시지부(1060)는 비콘제어부(102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주차정보 중 안내메시지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기록하여 저장하거나 검색하여 출력한다.
주차휴대단말기(200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되어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에서 언제 어디서나 통신할 수 있는 개인무선통신용 휴대단말기와 자동차 시동키에 연결되는 전용 악세사리 또는 소형 장식품 또는 자동차 시동키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주차휴대단말기(2000)는 주차위치방송부(1000)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다운로드 받은 주차위치어플의 운용에 의하여 주차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주차시간, 주차요금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어플(appl)은 응용(applecation) 소프트웨어(software) 프로그램의 일종이며, 앱(app) 또는 애플릿(applit)으로도 호칭되고, 소형 컴퓨팅 기능이 있는 장치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양이 작은 소규모의 응용프로그램이고,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동통신용 주차휴대단말기의 제조사에서 사용하는 OS가 상이함에 따라 특정 OS에서는 앱 그리고 다른 특정 OS에서는 위젯으로 호칭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앱과 위젯은 같은 기능, 의미로 설명하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어플은 응용프로그램이므로 매우 다양하게 많은 응용분야가 있고, 각 응용분야에 적합하거나 부르기 쉽게 사용자 또는 개발자에 의하여 임의 선택된 이름이 주어진다.
그러므로 주차위치어플은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900)을 위하여 개발되고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이라는 의미로써 사용하기로 한다.
주차휴대단말기(2000)는 단말비콘무선부(2100), 단말제어부(2200), 주차위치어플부(2300), 주차정보저장부(2400), 터치입출력부(2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동통신무선부(2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비콘무선부(2100)는 주차위치방송부(1000)와 무선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방송되는 주차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비콘무선부(2100)는 비콘무선부(1010)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단말비콘무선부(210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근거리통신(NFC), 적외선 방식의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구비된 각 통신 기능을 모두 활성화 시켜 동일한 내용이 각각의 통신 기능부를 통하여 동시에 송수신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단말제어부(2200)는 단말비콘무선부(2100)와 접속하고 설치 운용되는 주차위치어플과 입력되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며 주차시간, 주차요금 등을 연산 출력하고 각 기능부의 운용상태를 감시한다.
주차위치어플부(2300)는 단말제어부(22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주차위치어플을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설치하여 운용한다.
주차휴대단말기(2000)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어플이 저장 설치되고 운용된다.
주차정보저장부(2400)는 단말제어부(22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수신된 주차정보와 입고시간을 각각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
단말제어부(2200)가 주차장에서 징수하는 단위 시간당 주차료를 입력받는 경우 경과된 주차시간과 주차시간에 대응되는 주차료(주차비용, 주차요금)이 연산되어 함께 저장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터치입출력부(2500)는 단말제어부(22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주차정보와 입고시간, 현재시간, 주차시간, 주차요금(주차비용)을 출력하고 터치에 의한 특정의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한다.
터치입출력부(2500)는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오디오신호에 의한 안내메시지를 입력과 출력하는 구성이 포함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동통신무선부(2600)는 이동통신사업자가 형성한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선택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에 의하여 통신하는 구성으로, CDMA 방식, W-CDMA 방식, TRS 방식, SSB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주차장서버(3000)는 하나 이상 다수의 주차위치방송부(10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주차정보의 내용을 전송하여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와 감시한다.
다른 일 예로, 주차장서버(3000)와 접속하지 않고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가 직접 주차위치방송부(10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주차정보의 내용을 전송하여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와 감시할 수 있다.
주차장서버(3000)는 주차위치어플을 버전(version) 별로 저장 관리하고, 주차휴대단말기(2000)의 요청에 의하여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로 제공한다. 주차위치어플의 다운로드를 유상 또는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은 운용자의 결정에 의거한다.
일 예로, 주차위치어플을 완전 무상으로 제공하거나, 완전 유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주차위치 자동인식을 위한 기본기능을 구비한 주차위치어플은 무상으로 제공하고 업그레이드되거나 부가서비스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 유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주차장서버(3000)는 주차위치방송부(1000)의 동작을 감시하면서 오류가 있어 비정상적으로 운용되는 것이 확인되면, 주차위치방송부(1000)에 저장된 자체진단프로그램을 활성화 시켜 알려진 CRC 방식으로 오류 복구, 프로그램 자체 리셋시키거나 재설치 등으로 복구를 진행한다.
주차장서버(3000)는 주차위치방송부(1000)의 오류(장애)를 자체 복구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정도의 비정상적 운용 또는 오류로 확인되면 해당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해당 경고메시지의 정보는 원격지에 위치한 지정 관리자 또는 운용자에게 무선, 유선으로 통보될 수 있다. 해당 경고메시지에는 주차위치방송부(1000)에 오류(장애)가 발생된 시간, 설치된 위치(좌표정보, 지명, 고유번호 포함), 확인된 장애증상, 트래픽 밀도에 의한 중요성 등이 포함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운용방법의 신호 흐름을 상세히 설명하면, 주차장서버(3000)는 다수의 주차위치방송부(10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해당 주차정보와 운용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저장 및 운용되도록 설치한다(ST10, ST20).
필요한 경우 작업자에 의하여 각 주차위치방송부가 위치한 현장에서 유선접속된 라인을 통하여 해당 주차정보와 운용 데이터를 직접 다운로드 또는 입력시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주차휴대단말기(2000)는 주차위치어플을 설치하여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주차장서버에 접속하여 주파위치어플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 설치하므로 운용상태로 설정한다(ST30, ST40).
한편, 주차위치방송부는 주차장 위치의 지역명, 주차층수, 지역구획번호와 안내메시지 등이 포함되는 주차정보를 항상 방송한다(ST50).
주차휴대단말기가 탑재된 차량이 주차장에 입고되어 주차를 하는 경우(ST60), 주차위치방송부가 방송하는 주차정보를 수신하여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주차장에 입고된 입고시간을 저장하여 주차시간의 계수를 시작한다(ST70).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ST80), 저장된 주차정보를 출력하는 동시에 주차시간, 주차요금을 연산하여 출력한다(ST90).
한편,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주차위치방송부와 주차휴대단말기와 주차장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위치어플이 설치되었는지 판단한다(S1010).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위치어플이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장서버에 접속하고 주차위치어플을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며 주차위치위젯 또는 주차위치앱으로 설치하여 운용 상태로 설정한다(S1020).
차량에 탑승된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장에 입고되고 주차위치 확인을 위하여 설치된 위젯(앱)이 선택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30), 주차위치어플을 활성화 상태로 제어한다(S1040).
주차휴대단말기는 주변의 다수 주차위치방송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또는 수신신호세기값(RSSI)을 분석하여 가장 큰 값으로 분석되는 주차위치방송부가 방송하는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장에 입고된 입고시간을 확인하여 각각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한다(S1050).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주차휴대단말기(2000, 차량)는 주차된 상태에서 주변의 다수 주차위치방송부(1000)로부터 각각 수신된 신호의 세기(RSSI)를 분석하여 가장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level)이 높은 주차위치방송부(1000)를 선택하고 선택된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방송하는 주차정보를 수신 입력하고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각 주차위치방송부(1000)는 고유한 일련번호(ID)를 가지고 있으므로 주차휴대단말기(2000)는 특정한 어느 하나의 주차위치방송부(1000)가 방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주차휴대단말기가 수신한 주차정보와 주차휴대단말기에서 연산한 주차시간 정보가 일예로 표시되는 상태도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주차휴대단말기는 해당 주차장의 단위 시간당 주차요금을 별도로 입력 받아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할 수 있다.
주차휴대단말기는 주차위치위젯 또는 주차위치앱을 통하여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60), 저장된 주차위치 정보와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 정보를 출력한다(S1070).
주차휴대단말기는 주차위치 정보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주차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은 주차관리앱이 설치된 주차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 단위로 비콘이 설치된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간편하게 자동 저장하고 주차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0 :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1000 : 주차위치방송부 1010 : 비콘무선부
1020 : 비콘제어부 1030 : 지명부
1040 : 충수부 1050 : 지역구획번호부
1060 : 안내메시지부 2000 : 주차휴대단말기
2100 : 단말비콘무선부 2200 : 단말제어부
2300 : 주차위치어플부 2400 : 주차정보제어부
2500 : 터치입출력부 2600 : 이동통신무선부

Claims (9)

  1.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단위간격 마다 고정 설치되어 무선신호가 전송되는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서비스 영역이 다수 모여서 상기 주차장 전체 면적을 커버하며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된 주차정보를 방송하는 하나 이상 다수의 주차위치방송부; 및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주차위치어플의 운용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출력하는 주차휴대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위치방송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근거리통신(NFC), 적외선 방식의 통신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무선 통신과 방송하는 비콘무선부;
    상기 비콘무선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방송 또는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비콘제어부;
    상기 비콘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 중 지명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지명부;
    상기 비콘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 중 층수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층수부; 및
    상기 비콘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 중 지역구획번호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지역구획번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위치방송부는 고유한 일련번호를 가지며 고유 일련번호에 의하여 구분 또는 선택되고,
    상기 주차위치방송부는 수신신호세기와 삼각측량 연산 방식으로 상기 주차휴대단말기가 위치한 서비스 영역을 측정하고,
    상기 주차위치방송부는 구비된 통신기능을 모두 활성화시켜 동일한 내용을 송신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와 접속하고 상기 주차정보의 내용을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제어와 감시하며 상기 주차위치어플을 상기 주차휴대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다운로드로 제공하고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의 비정상적 운용이 확인되면 해당 경고 메시지를 발생 출력하는 주차장서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차장서버는
    상기 주차위치방송부가 설치된 현장에서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와 접속하고 상기 주차정보의 내용을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제어와 감시하고,
    상기 주차장서버는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의 동작을 감시하면서 오류가 있어 비정상적으로 운용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에 저장된 자체진단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CRC 방식으로 오류 복구, 프로그램 자체 리셋시키거나 재설치로 복구를 진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휴대단말기는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와 무선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방송되는 상기 주차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비콘무선부;
    상기 단말비콘무선부와 접속하고 설치 운용되는 주차위치어플과 입력되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며 주차시간을 연산 출력하고 각 기능부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단말제어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주차위치어플을 저장하고 설치하여 운용하는 주차위치어플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주차정보와 입고시간을 각각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주차정보저장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주차정보와 입고시간, 현재시간, 주차시간을 출력하고 터치에 의한 특정의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터치입출력부; 를 포함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특정 위치는
    주차장의 천장, 벽, 기둥 및 노상주차장과 지역 소규모 주차장의 전신주, 가로등, 표지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7. 삭제
  8. 주차위치방송부와 주차휴대단말기와 주차장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주차장서버에 접속하고 주차위치어플을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며 주차위치위젯으로 설치하여 운용하는 제 1 단계;
    상기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위치위젯이 선택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차위치어플을 활성화 상태로 운용시키고 주변의 다수 주차위치방송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수신신호세기값(RSSI)이 가장 큰 값의 주차위치방송부가 방송하는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입고시간과 함께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주차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위치위젯으로부터 주차위치의 확인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주차정보와 실시간에 의한 주차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정보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 위치의 지역명, 주차층수, 지역구획번호와 안내메시지;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정보에는 안내메시지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안내메시지 정보에는 상업성, 공익성, 공공성, 교육성, 계도성, 홍보성, 선전성의 메시지 내용이 포함되며,
    상기 주차위치방송부는 인접한 주차위치방송부와 직선거리 30 미터의 단위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휴대단말기는
    상기 주차위치방송부와 블루투스, 와이파이, 근거리통신(NFC), 적외선 통신방식을 구비하고 구비된 통신수단을 동시에 활성화 상태로 구동하여 무선 통신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50125711A 2015-09-04 2015-09-04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0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711A KR101805112B1 (ko) 2015-09-04 2015-09-04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711A KR101805112B1 (ko) 2015-09-04 2015-09-04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26A KR20170028726A (ko) 2017-03-14
KR101805112B1 true KR101805112B1 (ko) 2018-01-02

Family

ID=5846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711A KR101805112B1 (ko) 2015-09-04 2015-09-04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376A1 (ko) * 2017-03-22 2018-09-27 (주)참슬테크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KR101969638B1 (ko) * 2017-03-22 2019-04-16 (주)참슬테크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KR102161380B1 (ko) * 2019-06-12 2020-09-29 장기헌 주차 자동인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598B1 (ko) 2014-03-26 2015-03-13 (주)리더라이텍 주차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535773B1 (ko) * 2015-03-05 2015-07-24 노명섭 Ble 비콘 신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자동 산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767B1 (ko) 2003-02-04 2005-09-13 김성태 주차위치 인식 기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598B1 (ko) 2014-03-26 2015-03-13 (주)리더라이텍 주차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535773B1 (ko) * 2015-03-05 2015-07-24 노명섭 Ble 비콘 신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자동 산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26A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763B1 (ko) 내비게이션 장치와 연동하여 자율 주차와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037330B (zh) 导航设备和方法
KR101094153B1 (ko)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US7253747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LAN system
US20150130642A1 (en) System and device for parking management
KR10121137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화 주차 시스템
CN108717802A (zh) 停车场车位无线导引自助管理系统
CN103700277A (zh) 停车位置记录系统、移动终端和停车位置记录方法
CN102027324A (zh) 用于确定停车信息的设备和方法
KR101805112B1 (ko) 실시간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3199898A (zh) 一种基于蓝牙和二维码的位置标识及引导方法
CN204965770U (zh) 停车场导航系统
CN113310495B (zh) 一种室内定位方法、系统、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8717801B (zh) 停车管理系统、停车方法以及停车管理方法
KR102585581B1 (ko) 주차관리시스템
CN111161557A (zh) 一种智能停车场管理系统及寻车方法
JP6348438B2 (ja) 歩車間通信装置及び歩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接近通知方法
JP2002262331A (ja) 屋内用位置座標取得システム及び移動側通信機
JP2005345200A (ja) 誘導情報通知システム、誘導情報通知装置および誘導情報通知方法
JP2021044003A (ja) 集合体選択用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KR20120058281A (ko)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및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주차 정보 확인 방법
CN115641747A (zh) 停车导航方法、系统和电子设备
JP2005190448A (ja) 駐車場管理・誘導システム
JP2013033423A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402030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車載端末及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