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066B1 - 떡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떡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066B1
KR101804066B1 KR1020160110204A KR20160110204A KR101804066B1 KR 101804066 B1 KR101804066 B1 KR 101804066B1 KR 1020160110204 A KR1020160110204 A KR 1020160110204A KR 20160110204 A KR20160110204 A KR 20160110204A KR 101804066 B1 KR101804066 B1 KR 10180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ight
rice
rice flou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6011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떡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타공판의 하부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타공판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타공판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타공판지지판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타공판과 상기 떡시루 상단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판높이조절부와; 상기 지지판높이조절부를 내부에 은폐하고, 상면에 상기 떡시루가 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높이조절부는, 상기 타공판지지판의 하부에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된 승강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조작핸들과;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축의 상하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떡높이조절장치{TTEOK HEIGH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떡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떡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해 떡을 형성하는 각 층의 높이를 희망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떡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우리 민족은 다양한 형태의 떡을 제조하여 먹었다. 이 중, 무지개떡은 서로 다른 색상의 쌀가루를 이용하여 층을 형성하여 맛은 물론이고 보기에도 예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떡이으로 자기매김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무지개떡(A)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무지개떡(A)은 사각 함체 형상의 떡시루(10)에 서로 다른 색상의 쌀가루(M)를 층층이 뿌려서 형성한다.
즉, 작업자는 제1색상의 쌀가루(M)를 떡시루(10) 내부에 일정 높이만큼 뿌리고, 그 위에 제2색상의 쌀가루를 다시 도포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 경우 떡시루(10)는 금속재질이라 내부가 보이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본인의 눈대중 또는 감으로 각 층을 형성하는 쌀가루(M)를 도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무지개떡(A)은 제1층(a)의 높이(d1)와 제2층(b)의 높이(d2)가 서로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각 층의 경계영역의 수평이 맞지 않아 울퉁불퉁한 형상이 형성되기도 하여, 깔끔하고 먹음직스러운 외관을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5620호 "떡시루" 공개특허 제10-2008-0059127호 "무지개떡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된 떡의 각 층의 높이를 희망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떡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떡의 상부에 과하게 도포된 쌀가루를 회수하여 쌀가루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떡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떡 상면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추어 떡 경계영역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는 떡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떡시루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면에 쌀가루가 도포되는 타공판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떡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떡높이조절장치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타공판의 하부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타공판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타공판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타공판지지판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타공판과 상기 떡시루 상단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판높이조절부와; 상기 지지판높이조절부를 내부에 은폐하고, 상면에 상기 떡시루가 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높이조절부는, 상기 타공판지지판의 하부에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된 승강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조작핸들과;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축의 상하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동변환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축의 하부를 수용하는 승강축하우징과; 상기 조작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게 배치된 핸들결합축과; 상기 핸들결합축의 단부에 배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승강축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축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방향전환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떡시루의 하단을 접촉지지하는 시루안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루안착판에 안착된 떡시루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판과 상기 떡시루 사이로 뿌려진 후 수평조절을 위해 상기 떡시루 외부로 낙하되는 쌀가루를 회수하는 쌀가루회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쌀가루회수부는, 상기 떡시루의 3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회수암결합지그와; 상기 회수암결합지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떡시루로부터 낙하되는 쌀가루를 내부에 수용하는 쌀가루회수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떡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색깔의 층을 갖는 무지개떡을 제조하는 떡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떡 제조방법은, 상기 떡시루를 상기 하우징의 시루안착판 상에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타공판을 타공판지지판의 상면에 적재하고, 상기 타공판의 표면에 면보를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핸들을 회전시켜 타공판이 상기 떡시루의 상단과 상기 무지개떡의 한층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차를 갖도록 상기 타공판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떡시루의 외주연에 쌀가루회수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공판에 제1색의 쌀가루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떡시루의 상단과 접촉되게 수평자를 이동시켜 쌀가루의 높이를 떡시루의 상단과 평평하게 조절하고, 과적된 쌀가루를 상기 쌀가루회수부에 회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조작핸들을 회전시켜 상기 타공판을 한 층의 떡의 높이만큼 다시 하강시키는 단계와; 제1색의 쌀가루 위에 제2색의 쌀가루를 다시 도포하는 단계와; 제2색의 쌀가루의 상면을 다시 평평하게 조절하고, 과적된 쌀가루를 쌀가루회수부에 회수시키는 단계와; 떡시루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고, 스팀을 이용해 떡을 찌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는 복수개의 층을 갖는 떡을 제조할 때, 각 층을 형성하는 쌀가루의 투입높이를 타공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지개떡과 같이 다양한 층을 갖는 떡의 각 층의 높이를 희망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정확성과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는 떡시루의 테두리로 쌀가루회수부를 결합시켜 수평을 맞추면서 외부로 낙하되는 쌀가루를 회수하여 버려지는 쌀가루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는 작업자가 조작핸들을 회전시키는 량과 타공판의 승하강높이가 일정하게 계량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무지개떡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의 쌀가루회수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쌀가루회수부가 떡시루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떡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해 떡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떡높이조절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100)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무지개떡과 같은 떡을 제조할 때, 각 층의 높이를 작업자가 희망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떡높이조절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떡(B)은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b1,b2)의 높이(h1,h2)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명에 앞서 떡을 찌기 위해서는 떡시루(10)와 타공판(20)이 요구된다. 떡시루(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떡시루(10)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은 떡을 찌기위해 스팀기 위에 떡시루(10)가 올려질 때, 스팀이 떡시루(10) 내부의 쌀가루로 골고루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떡시루(10)의 하부 내측벽면에는 내부단턱(11)이 일정 면적 형성된다. 내부단턱(11)은 타공판(20)을 지지하며 쌀가루의 하중을 지지한다.
떡시루(10)의 하부 외측벽면에는 외부단턱(15)이 일정면적 형성된다. 외부단턱(15)은 스팀기(미도시)에 적재되거나, 복수개의 떡시루(10)를 적층할 때 사용된다.
타공판(20)은 떡시루(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쌀가루가 도포된다. 종래 타공판(20)은 내부단턱(11)에 적재된 상태로 상면에 쌀가루가 도포되나, 본 발명의 떡높이조절장치(100)는 타공판지지판(120)이 타공판(20)을 지지하여, 타공판(20)의 떡시루(10) 내부에서의 높이가 가변된다.
떡높이조절장치(100)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11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타공판(20)을 지지하는 타공판지지판(120)과, 타공판지지판(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판높이조절부(130)와, 베이스판(110)의 상부를 커버하며 내부에 지지판높이조절부(130)를 수용하는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10)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지지판높이조절부(130)가 상면에 결합된다.
타공판지지판(120)은 떡시루(10)의 내부단턱(11) 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떡시루(10) 내부로 삽입되어 타공판(20)의 하부를 접촉지지한다. 타공판지지판(120)은 하면에 지지판높이조절부(130)와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가 조절된다. 타공판지지판(120)의 높이조절에 의해 타공판(20)이 떡시루(10) 내부에서 갖는 높이도 조절될 수 있다.
타공판지지판(120)의 중심영역에는 지지판높이조절부(130)의 승강축(131)과 체결하는 승강축체결부재(122)가 체결부재삽입공(121)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승강축(131)과 타공판지지판(120)이 일체로 결합된다.
타공판지지판(120)의 외주연에는 타공판지지리브(123)가 복수개 구비된다. 타공판지지리브(123)는 상방향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어 타공판(20)을 접촉지지한다. 복수개의 타공판지지리브(123)는 타공판(20)의 하부의 테두리영역을 각각 지지하여 지지판높이조절부(130)에 의해 타공판(20)의 높이가 가변될 때 타공판(2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지지판높이조절부(130)는 타공판(20)이 떡시루(10)의 상단과 갖는 높이를 조절하여, 떡을 형성하는 각 층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지지판높이조절부(130)는 타공판지지판(120)의 하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승강축(131)과, 하우징(15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핸들(132)과, 조작핸들(132)의 회전운동을 승강축(131)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부(140)를 포함한다.
승강축(131)은 상단이 승강축체결부재(122)에 의해 타공판지지판(120)에 고정된다. 승강축(131)은 축방향을 따라 외주연에 제1나사산(131a)이 형성된다. 승강축(131)의 하부는 승강축하우징(144)에 결합된 방향전환기어(145)의 승강축결합링(145a)과 나사결합된다.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축결합링(145a)의 내벽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45b)과 제1나사산(131a)이 서로 나사결합된다.
이에 의해 방향전환기어(145)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연동하여 승강축(131)이 상하로 승강하게 되고, 승강축(131)의 승강에 연동하여 타공판(20)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조작핸들(132)은 하우징(150)의 외부로 노출된다. 작업자는 조작핸들(132)를 회전시켜 타공판지지판(120)과 이에 적재된 타공판(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작핸들(132)에는 손잡이(132a)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운동변환부(140)는 조작핸들(132)과 결합된 핸들결합축(141)과, 핸들결합축(141)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142)와, 핸들결합축(141)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평하우징(143)과, 베이스판(110)에 결합되며 승강축(131)과 방향전환기어(145)를 내부에 수용하는 승강축하우징(144)을 포함한다.
핸들결합축(141)은 일단에는 조작핸들(132)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구동기어(142)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조작핸들(132)의 회전조작이 구동기어(142)의 회전으로 직접 전달된다.
수평하우징(143)은 지지프레임(143a)에 의해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평하우징(143)의 내부에 핸들결합축(141)이 수평하게 수용된다. 핸들결합축(141)의 일단은 하우징(150)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핸들(132)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구동기어(142)가 결합된다.
방향전환기어(145)는 구동기어(142)와 맞물려 회전한다. 여기서, 구동기어(142)는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되고, 방향전환기어(145)는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방향전환기어(145)는 승강축하우징(144)에 결합되고, 방향전환기어(145)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축결합링(145a)은 승강축하우징(144)과 동축상에 위치한다. 승강축결합링(145a)의 내벽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45b)은 승강축(131)의 제1나사산(131a)과 나사결합된다.
작업자가 조작핸들(132)을 조작하여 구동기어(142)가 회전하면, 수평하게 형성된 방향전환기어(145)가 회전하고 승강축결합링(145a)에 나사결합된 승강축(131)은 방향전환기어(145)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의 조작핸들(132)의 회전수에 따른 승강축(131)의 승하강 높이가 작업자가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떡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조작핸들(132)을 1회전할 때, 승강축(131)이 1cm 만큼 상승 또는 하강되게 설계되어, 작업자가 떡의 높이계량을 간편하게 산출할 수 있다.
하우징(150)은 내부에 지지판높이조절부(130)를 수용하며, 상면에 떡시루(10)를 지지한다. 하우징(150)은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150)의 하부는 베이스판(1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하우징(150)의 일측벽에는 핸들결합축(141)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결합축노출공(151)이 형성된다. 조작핸들(132)은 하우징(150)의 외부에서 핸들결합축(141)에 결합된다.
하우징(150)의 상면에는 승강축(131)을 상부로 노출시키는 축노출공(153)이 관통형성된다.
하우징(150)의 상부에는 시루안착판(155)이 양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시루안착판(155)은 떡시루(10)의 외부단턱(15)을 접촉지지하여 떡시루(10)가 떡높이조절장치(100)에 안착되도록 한다.
떡시루(10)의 위치는 시루안착판(155)에 의해 고정되고, 타공판(20)은 타공판지지판(12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떡을 형성하는 쌀가루층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100)는 떡시루(10)에 도포된 쌀가루의 높이와 수평을 조절할 때, 외부로 떨어지는 쌀가루를 다시 회수하기 위한 쌀가루회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쌀가루회수부(16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쌀가루회수부(160)가 떡시루(1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쌀가루회수부(160)는 떡시루(10)로부터 낙하되는 쌀가루를 회수하는 쌀가루회수함(161)과, 쌀가루회수함(161)을 떡시루(1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회수함결합지그(163)를 포함한다.
통상 떡을 만들기 위해 떡시루(10)로 쌀가루를 투입할 때 정확한 양이 투입되지 못하고 과하게 투입되게 된다. 이에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시루(10)에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쌓여지게 되는 쌀가루(M)를 수평자(30)를 이용하여 상면을 수평하게 만든다.
이 때, 떡시루(10) 보다 높게 쌓여있던 쌀가루(M)들은 외부로 낙하되어 버려지는데, 본 발명의 쌀가루회수함(161)은 낙하되는 쌀가루(M)를 회수하여 버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쌀가루회수함(161)은 쌀가루(M)가 담겨지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쌀가루회수함(161)의 양측 상단에는 회수함결합지그(163)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그결합암(161a)이 구비된다. 지그결합암(161a)은 쌀가루회수암(161)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결합프레임(163a)의 암결합공(163b)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쌀가루회수암(161)이 회수함결합지그(16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떡시루(10)로부터 낙하되는 쌀가루(M)를 회수할 수 있다.
회수함결합지그(16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시루(10)의 외부를 감싸게 배치되며, 쌀가루회수함(161)과 결합된다. 회수함결합지그(163)는 막대 형태의 세 개의 결합프레임(163a)이 "ㄷ"자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회수함결합지그(163)는 떡시루(10)의 외벽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결합된다.
쌀가루회수함(161)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결합프레임(163a)의 단부에는 지그결합암(161a)이 삽입되는 암결합공(163b)이 구비된다. 지그결합암(161a)은 억지끼워맞춤되게 암결합공(163b)에 결합된다.
한편, 회수함결합지그(163)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지지레그(163c)가 구비된다. 지지레그(163c)는 떡시루(10)의 외부단턱(15)에 거치되어 회수함결합지그(163)가 떡시루(10)의 외측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한편, 쌀가루회수함(161)과 회수함결합지그(163)의 테두리에는 각각 제1비산방지판(161b)와 제2비산방지판(163d)가 결합된다. 제1비산방지판(161b)와 제2비산방지판(163d)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시루(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쌀가루(M)가 외부로 비산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쌀가루회수함(161)으로 모두 집중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100)를 이용한 떡 제조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본 발명의 떡높이조절장치(100)의 상부에 떡시루(10)를 거치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50)의 시루안착판(155) 상에 떡시루(10)의 외부단턱(15)을 안착시킨다. 떡시루(10)가 고정되면, 떡시루(10)의 내부에 타공판(20)을 삽입한다. 타공판(20)은 내부단턱(11)에 거치된다.
타공판(20)의 상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면보(미도시)를 배치한다.
그리고, 떡시루(10)의 외부에 쌀가루회수부(160)를 결합시킨다. 떡시루(10)의 테두리에 회수암결합지그(163)를 배치하고, 쌀가루회수함(161)을 회수함결합지그(163)의 암결합공(163b)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만들고자 하는 떡의 최하위의 층의 높이에 맞게 조작핸들(132)을 회전시켜 타공판(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떡(B)을 만들고자 할 때, 최하위층(b1)의 높이(h1)에 맞게 타공판(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조작핸들(132)을 한 바퀴 회전시킬 때, 승강축(131)이 이동되는 거리가 미리 정해진다. 일례로, 조작핸들(132)을 한바퀴 회전시킬 때 승강축(131)이 1cm씩 이동된다고 할 때, 떡의 각 층(b1, b2)의 높이(h1,h2)가 2cm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작업자는 승강축(131)을 가장 높이 올려 타공판(20)이 떡시루(1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작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승강축(131)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두 바퀴 회전시켜, 승강축(131)이 2cm 만큼 아래로 하강하게 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20)이 떡시루(10)의 상단으로부터 떡(B)의 최하위층(b1)의 높이인 2cm 만큼 하강되면, 작업자는 떡시루(10) 내부로 쌀가루(M)를 투입한다. 쌀가루(M)를 가득투입하게 되면, 쌀가루(M)가 떡시루(10)의 상단으로 높이 쌓이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수평자(30)의 양단이 떡시루(10)의 상단에 접촉되게 위치시킨 후, 천천히 쌀가루회수함(161)과 대향되는 방향에서 쌀가루회수함(161)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쌀가루(M)의 상면을 수평하게 형성한다.
높이 쌓여있던 쌀가루(M)들은 수평자(30)의 가압에 의해 밀려 쌀가루회수함(161)으로 수거된다.
이렇게 최하위층(b1)의 쌀가루의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2층(b2)의 높이만큼 다시 조작핸들(132)을 조작한다. 제2층(b2)의 높이가 제1층(b1)과 동일하게 2cm 인경우, 조작핸들(132)을 두바퀴 회전시켜 승강축(131)을 2cm 만큼 하강시킨다.
그리고, 앞서와 동일하게 다른 색의 쌀가루를 도포하고, 수평자(30)를 이용해 수평을 맞추는 과정을 반복하다.
제2층(b2)의 쌀가루의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3층(b3)의 높이만큼 다시 조작핸들(132)을 조작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층(b3)의 쌀가루의 높이(h3) 조절까지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는 각 층(b1,b2,b3)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게 설명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제1층 떡(b1)의 높이는 2cm, 제2층의 떡(b2)의 높이는 1cm, 제3층의 떡(b3)의 높이는 3cm 등으로 상이할 수 있다. 각 경우마다, 작업자는 조작핸들(132)을 희망하는 높이만큼 회전시켜 희망하는 높이의 떡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쌀가루가 각 층의 높이만큼 도포된 떡시루(10)는 떡높이조절장치(100)로부터 분리된 후, 스팀기(미도시)로 이동하여 찌는 과정을 거치고, 떡(B)이 완성되게 된다. 완성된 떡(B)은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b1,b2,b3)의 높이가 균일하며, 각 층의 수평이 맞춰진 깔끔한 미관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는 복수개의 층을 갖는 떡을 제조할 때, 각 층을 형성하는 쌀가루의 투입높이를 타공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지개떡과 같이 다양한 층을 갖는 떡의 각 층의 높이를 희망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정확성과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는 떡시루의 테두리로 쌀가루회수부를 결합시켜 수평을 맞추면서 외부로 낙하되는 쌀가루를 회수하여 버려지는 쌀가루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높이조절장치는 작업자가 조작핸들을 회전시키는 량과 타공판의 승하강높이가 일정하게 계량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떡높이조절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떡시루 11 : 내부단턱
15 : 외부단턱 20 : 타공판
30 : 수평자 100 : 떡높이조절장치
110 : 베이스판 120 : 타공판지지판
121 : 체결부재삽입공 122 : 승강축체결부재
123 : 타공판지지리브 130 : 지지판높이조절부
131 : 승강축 131a: 제1나사산
132 : 조작핸들 132a : 손잡이
140 : 운동변환부 141 : 핸들결합축
142 : 구동기어 143 : 수평하우징
143a : 지지프레임 144 : 승강축하우징
145 : 방향전환기어 145a : 승강축결합링
145b : 제2나사산 150 : 하우징
151 : 결합축노출공 153 : 축노출공
155 : 시루안착판 160 : 쌀가루회수부
161 : 쌀가루회수함 161a : 지그결합암
161b : 제1비산방지판 163 : 회수함결합지그
163a : 결합프레임 163b : 암결합공
163c : 지지레그 163d : 제2비산방지판

Claims (5)

  1. 떡시루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면에 쌀가루가 도포되는 타공판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떡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타공판의 하부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타공판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타공판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타공판지지판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타공판과 상기 떡시루 상단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단이 승강축체결부재에 의해 타공판지지판에 고정되며, 축방향을 따라 외주연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는 승강축하우징에 결합된 방향전환기어의 승강축결합링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승강축결합링의 내벽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과 상기 제1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되는 승강축과,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조작되며, 상기 승강축을 1cm 만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작업자가 떡의 높이계량을 간편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핸들과,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축의 상하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지지판높이조절부와;
    상기 지지판높이조절부를 내부에 은폐하고, 상면에 상기 떡시루가 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운동변환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축의 하부를 수용하는 승강축하우징과; 상기 조작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게 배치된 핸들결합축과; 상기 핸들결합축의 단부에 배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승강축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축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방향전환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떡시루의 하단을 접촉지지하는 시루안착판과; 상기 시루안착판에 안착된 떡시루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판과 상기 떡시루 사이로 뿌려진 후 수평조절을 위해 상기 떡시루 외부로 낙하되는 쌀가루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떡시루의 3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회수암결합지그와, 상기 회수암결합지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떡시루로부터 낙하되는 쌀가루를 내부에 수용하는 쌀가루회수함으로 구성된 쌀가루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높이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0204A 2016-08-29 2016-08-29 떡높이조절장치 KR10180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04A KR101804066B1 (ko) 2016-08-29 2016-08-29 떡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04A KR101804066B1 (ko) 2016-08-29 2016-08-29 떡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066B1 true KR101804066B1 (ko) 2017-12-01

Family

ID=6092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204A KR101804066B1 (ko) 2016-08-29 2016-08-29 떡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0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1B1 (ko) * 2009-05-06 2010-03-03 임철한 자동 떡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1B1 (ko) * 2009-05-06 2010-03-03 임철한 자동 떡 성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81098U (zh) 配置功能锅盖的多功能锅具
CN101677580A (zh) 配备深油炸糕点用的面团进料器的自动连续面团油炸装置
KR101804066B1 (ko) 떡높이조절장치
US20100116146A1 (en) Height regulating mechanism of grill pan
CN207666468U (zh) 一种升降式煎烤器
CN209391683U (zh) 一种锅盖和烹饪器具
CN110432796B (zh) 一种煎烤机
DE20310328U1 (de) Frittiertopf
CN104688088B (zh) 多功能炊锅
CN207444738U (zh) 一种水杯
CN201683572U (zh) 可沥油汁的食物盛器
CN208925815U (zh) 一种用于自动炒饭机的翻转出饭装置
KR20190098385A (ko) 누룽지 제조장치
CN210810643U (zh) 一种煎烤机
CN204318087U (zh) 一种靠背升降机构
CN216822819U (zh) 一种可升降火锅
CN200954051Y (zh) 多功能电烤盘
CN201223284Y (zh) 蒸笼及使用该蒸笼的电饭煲
CN205215038U (zh) 加热汉堡的食物滑槽烤盘
CN216534785U (zh) 一种用于水壶的滤芯升降结构和水壶
CN205215036U (zh) 侧部加热汉堡的食物滑槽烤盘
CN207370594U (zh) 一种可以调节高度的电饭煲蒸架
CN220327316U (zh) 可调高度的煎烤器
CN212590057U (zh) 一种茶叶炒制机
CN210930986U (zh) 一种煎烤腔高度可调的煎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