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040B1 -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 Google Patents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040B1
KR101804040B1 KR1020160026809A KR20160026809A KR101804040B1 KR 101804040 B1 KR101804040 B1 KR 101804040B1 KR 1020160026809 A KR1020160026809 A KR 1020160026809A KR 20160026809 A KR20160026809 A KR 20160026809A KR 101804040 B1 KR101804040 B1 KR 10180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 member
sliding
lock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098A (ko
Inventor
서규선
Original Assignee
서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규선 filed Critical 서규선
Priority to KR102016002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0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에 관한 것으로, 본체(10)와; 잠금부재(20) 및; 락커로 이루어지는 안전 훅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본체(1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H2)에 의해 결합되며 본체(10)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이 회전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양측면에 각각 장공의 가이드공(31)이 형성되는 누름레버(30) 및;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핀(41)이 구비되면서 잠금부재(20)에 설치되는 제3스프링(S3)에 의해 잠금부재(20)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된 다음,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레버(4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도할 때에는 안전 훅의 잠금을 쉽게 해제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실수나 외력에는 구조적으로 잠금이 쉽게 해제되지 못하면서 안전 훅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Industrial Safety Hook with Double locks}
본 발명은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 시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전벨트를 로프나 링크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의 실수나 작업 간의 외력에 의해 안전 훅의 잠금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안전성이 향상된 산업용 안전 훅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교량과 같은 고층 구조물을 건설하는 공사 현장이나 대형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 또는 전신주나 철탑의 보수현장 등에서 고소 작업자를 추락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산업용 안전 훅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산업용 안전 훅은 일반적으로 크게 후크 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에 힌지로 결합되는 잠금부재 및 잠금부재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속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업자가 구속부재에 의한 잠금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킨 다음, 잠금부재에 의한 훅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안전 훅은 사용자의 실수나 작업 간에 외력이 작용하여 안전 훅의 구속부재가 눌리게 되면, 구속부재에 의한 잠금부재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잠금부재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고, 이렇게 잠금부재의 구속이 해제되면 안전 훅의 최대 인장하중이 감소하면서 안전 훅이 파손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를 추락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안전 훅을 파지하거나 설치할 때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되며, 사용자가 안전 훅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더라도 순간적인 실수나 부주의로 안전 훅의 잠금이 의도치 않게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실수로 안전 훅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이에 민감한 사용자는 작업 중에도 안전 훅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게 되면서 작업의 집중도가 떨어지면서 작업의 능률이 저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 결과에 대한 신뢰성도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잠금부재의 구속을 해제할 때에는 쉽게 해제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실수나 외력에는 구조적으로 잠금이 쉽게 해제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시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 담보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전감을 높일 수 있는 산업용 안전 훅을 개발하였다.
JP 2014-0217519 A JP 2014-0239724 A JP 2015-0080548 A KR 10-1031762 B1 KR 10-2015-0084023 A KR 20-0478295 Y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 훅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 시 잠금부재의 잠금을 쉽게 해제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실수나 외력에는 구조적으로 잠금이 쉽게 해제되지 못하여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용 안전 훅을, 상부에는 후크 형상의 로프걸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로프설치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에 일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면서 본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이 회전 동작되어 로프걸이부를 잠긴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부재 및; 잠금부재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잠금부재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락커로 이루어지는 안전 훅에 있어서, 락커는 본체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본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이 회전 동작되도록 설치되면서 양측면에 각각 장공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누름레버 및;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핀이 구비되면서 잠금부재에 설치되는 제3스프링에 의해 잠금부재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된 다음,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레버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잠금부재의 구속을 해제할 때, 누름레버를 눌러 가이드공의 위치를 이동시켜 가이드핀이 슬라이딩레버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슬라이딩레버를 하향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가이드핀이 잠금부재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잠금부재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이드공이 누름레버와 슬라이딩레버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의 가이드핀이 위치되는 정지위치를 시작으로 누름레버가 눌리는 회전 각도만큼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누름레버 동작구간과; 누름레버 동작구간에서 누름레버가 최대로 눌려 이동된 제1이동위치를 시작으로 슬라이딩레버가 잠금부재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레버 동작구간과; 슬라이딩레버 동작구간에서 슬라이딩레버가 최대로 하향 이동된 제2이동위치를 시작으로 잠금부재와 가이드핀이 함께 회전 동작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잠금부재 동작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지위치에 직선 형상의 장공 또는 잠금부재의 힌지를 중심으로 호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누름레버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부재의 잠금을 해제하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가이드핀이 누름레버 동작구간을 따라 제1이동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고 걸림 고정되는 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락이 구비된 안전 훅은 누름 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2개의 레버가 순차적으로 동작되면서 잠금부재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구속이 해제되므로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 및 작업간에 발생하는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레버의 잠금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레버에 의해 잠금부재의 잠금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 간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 훅의 잠금이 임의로 쉽게 해제되지 못하면서 안전 훅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3스프링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재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레버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공의 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9(a, b)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의 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10(a, b)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레버의 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의 누름레버가 동작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의 누름레버와 슬라이딩레버가 동작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의 누름레버와 슬라이딩레버가 동작되어 잠금부재의 잠금이 해제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도할 대에는 잠금부재의 구속을 쉽게 해제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 및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안전 훅의 잠금이 쉽게 해제되지 않는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잠금부재(20), 누름레버(30) 및 슬라이딩레버(40)로 이루어진다.
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후크(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 로프(와이어, 강선, 추락 방지기구) 또는 링크 등이 걸리는 로프걸이부(11)와, 로프걸이부(11)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사용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된 로프 등이 연결되는 로프설치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로프걸이부(11)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잠금부재(20)의 자유단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11A)이 형성되며, 이때 로프걸이부(11)의 선단에 걸림홈(11A)이 형성되는 대신에 잠금부재(20)의 자유단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잠금부재(20)의 자유단이 로프걸이부(11)의 선단에 걸림 고정되거나 끼움 고정되면, 로프걸이부(11)와 로프설치공(12)의 양측 방향으로 인장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로프걸이부(11)와 잠금부재(20)가 전체적으로 폐곡선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로프걸이부(11)가 큰 하중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그리고 로프설치공(12)의 상부 양측에는 잠금부재(20)와 후술하는 누름레버(30)가 힌지(H1, H2)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3, 14)가 구비된다.
또한 잠금부재(20)가 설치되는 힌지결합부(13)에는 잠금부재(20)가 로프걸이부(11)의 선단에 잠금부재(20)의 자유단이 걸려 잠긴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S1)이 설치되는 스프링설치홈(15)이 형성된다. 이때 스프링설치홈(15)은 제1스프링(S1)이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대신에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으로 변경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에 맞추어 변경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누름레버(30)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4)의 위쪽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누름레버(30)의 자유단과 본체(10)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나 로프(와이어, 강선, 링크) 등이 끼이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돌기(16)가 로프걸이부(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이때 커버돌기(16)는 로프걸이부(11)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로프걸이부(11)의 강성이 더욱 보강된다.
본체(10)의 일측 힌지결합부(13)에 힌지(H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자유단이 로프걸이부(11)의 선단에 걸려 고정되는 잠금부재(20)는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하부에는 힌지(H1)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잠금부재(2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걸림홈(11A)에 삽입되는 고정핀(22)이 설치된다.
그리고 잠금부재(20)의 내측에는 설치부(23)가 구비되어 이 설치부(23)에 의해 제3스프링(S3)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3스프링(S3)의 일단은 설치부(23)에 고정되며 타단은 후술하는 슬라이딩레버(40)에 고정 설치됨으로서 슬라이딩레버(40)가 하향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면서도 제3스프링(S3)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 복귀된다.
이때 제3스프링(S3)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레버(40)가 더 이상 상향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누름레버(3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부재(20)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슬라이딩레버(40)가 상향 이동하지 못하여 잠금부재(2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따라서 잠금부재(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위에서는 제3스프링(S3)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레버(40)가 더이상 상향 슬라이딩 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잠금부재(20)의 내측에 슬라이딩레버(40)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또는 걸림 돌기 등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레버(40)는 이 스토퍼 또는 걸림 돌기에 의해 상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슬라이딩레버(40)가 제3스프링(S3)이 적절하게 인장된 상태에서 스토퍼 또는 걸림돌기와 탄성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20)가 본체(10)의 스프링설치홈(15)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스프링(S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됨으로서 잠금부재(20)가 항상 로프걸이부(11)의 선단에 밀착 유지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제1스프링(S1)의 탄성력을 상쇄시키는 힘으로 잠금부재(20)를 로프걸이부(11)의 안쪽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잠금부재(20)의 자유단이 로프걸이부(11)의 선단에서 이격되면서 잠금이 해제되었다가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다시 잠금부재(20)가 제1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되면서 로프걸이부(11)의 선단에 잠금부재(20)의 자유단이 밀착되거나 걸려 잠긴 상태로 복귀 된다.
잠금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잠금부재(2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락커는 크게 누름레버(30)와 슬라이딩레버(40)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락커에 의한 잠금부재(20)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누름레버(30)와 슬라이딩레버(40)를 차례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들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누름레버(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H2)에 의해 결합되며, 본체(10)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이 회전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양측면에 각각 장공의 가이드공(31)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공(31)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레버(30)와 슬라이딩레버(40)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의 가이드핀(41)이 위치된 정지위치(A)를 시작으로 누름레버(30)가 눌리는 회전 각도만큼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누름레버 동작구간(31A)과, 누름레버 동작구간(31A)에서 누름레버(30)가 최대로 눌려 이동된 제1이동위치(B)를 시작으로 슬라이딩레버(40)가 잠금부재(20)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레버 동작구간(31B) 및 슬라이딩레버 동작구간(31B)에서 슬라이딩레버(40)가 최대로 하향 이동된 제2이동위치(C)를 시작으로 잠금부재(20)와 가이드핀(41)이 함께 회전 동작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잠금부재 동작구간(31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공(31)의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누름레버(30)를 눌러 일정 각도 회전 동작시키지 않으면, 가이드핀(41)이 하향 이동되거나 일정 반경으로 회전 동작이 제한되면서 슬라이딩레버(40)의 슬라이딩 이동과 잠금부재(20)의 회전 동작이 동시에 제한된다.
이때 가이드공(31)의 정지위치(A)에는 누름레버(3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부재(20)의 잠금을 해제하는 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가이드핀(41)이 누름레버 동작구간(31A)을 따라 제1이동위치(B)로 더욱 확실하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부(31A')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걸림부(31A')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20)의 힌지(H1)를 중심으로 호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걸림부(31A')의 구조에 의해 누름레버(3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부재(20)가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려 하면, 가이드핀(41)은 잠금부재(20)의 회전 유동에 의해 가이드공(31)의 누름레버 동작구간(31A)이 아닌 걸림부(31A')로 진입하게 되면서 잠금부재(20)의 잠금이 해제되지 못하게 되고, 이때 잠금부재(20)에 가해지는 힘이 더욱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가이드핀(41)이 걸림부(31A')에 의해 더욱 강하게 밀착되면서 잠금부재(20)의 구속이 유지될 뿐, 누름레버 동작구간(31A)으로 가이드핀(41)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에 더해 누름레버(3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또는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레버(40)가 하향 슬라이딩되도록 힘이 작용하더라도 잠금부재(20)와 동일하게 가이드핀(41)이 걸림부(31A')로 진입하면서 슬라이딩레버(40)의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잠금부재(20)가 구속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누름레버(30)가 사용자 또는 외력에 의해 눌리면서 가이드공(31)의 위치가 이동하여 가이드핀(41)이 누름레버 동작구간(31A)의 제1이동위치(B)로 위치되더라도 슬라이딩레버(40)의 슬라이딩 동작이 연계되지 않으면 잠금부재(20)의 회전 동작은 제한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핀(41)이 구비되면서 잠금부재(20)에 설치되는 제3스프링(S3)에 의해 잠금부재(20)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레버(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잠금부재(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잠금부재(20)가 관통 삽입되는 슬라이딩본체(40A)와, 슬라이딩본체(40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가이드공(31)을 관통하도록 가이드핀(41)이 설치되는 한 쌍의 연장판(40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딩본체(40A)의 내측에는 제3스프링(S3)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설치부(40A')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슬라이딩레버(40)는 잠금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된 제3스프링(S3)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면서 슬라이딩레버(40)에 힘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의 정지위치를 기준으로 상향 슬라이딩은 억제되면서 이와 반대로 하향 슬라이딩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안전 훅을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엄지손가락 부분은 누름레버(30)쪽에 위치되며, 다른 손가락들은 잠금부재(20)와 슬라이딩레버(40)쪽에 위치되도록 손에 쥐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부재(20)의 잠금을 해제할 때에는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또는 엄지 두덩을 이용하여 누름레버(30)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누름레버(30)의 자유단이 힌지(H2)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면서 가이드공(31)의 위치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딩레버(40)에 구비된 가이드핀(41)의 위치가 가이드공(31)의 정지위치(A)에서 제1이동위치(B)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누름레버(30)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누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누름레버(30)와 잠금부재(20) 또는 슬라이딩레버(40)를 동시에 쥐면서 힘을 가하여 누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잠금부재(20)와 슬라이딩레버(40)는 회전 또는 슬라이딩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도 이루어지지 못하는 반면, 누름레버(30)는 상대적으로 누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한 손으로 사용자가 누름레버(30)와 잠금부재(20) 또는 슬라이딩레버(40)를 동시에 쥐어 누름레버(30)를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검지, 중지, 약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레버(40)를 아래로 밀게 되면, 가이드핀(41)이 가이드공(31)의 제1이동위치(B)에서 슬라이딩레버 동작구간(31B)을 따라 제2이동위치(C)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가이드핀(41)이 제2이동위치(C)에 도달하는 순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레버(30)를 누르기 위해 훅을 쥐고 있는 힘이 잠금부재(20)에 작용하면서 가이드핀(41)이 잠금부재 동작구간(31C)을 따라 제3이동위치(D)로 이동하면서 잠금부재(20)가 회전 동작되어 잠금이 해제된다.
위와 같이 잠금부재(2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훅을 쥐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제1, 2, 3스프링(S1, S2, S3)의 탄성력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위의 역순(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위치복귀가 가능한 구성 순서) 즉, 잠금부재(20) -> 슬라이딩레버(40) -> 누름레버(30) 순서로 빠르게 위치가 복귀되어 잠금부재(20)에 의해 로프걸이부(11)가 잠긴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은 사용자가 잠금부재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누름레버를 누른 다음, 슬라이딩레버를 하향 슬라이딩시키면서 잠금부재를 누름레버 방향으로 누르는 동작이 순차적, 연속적으로 행해야 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실수나 작업 간에 발생하는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서는 이러한 잠금부재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순차적, 연속적인 동작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잠금부재의 잠금이 임의로 해제되지 못하는 반면, 사용자가 의도할 때에는 누름레버와 슬라이딩레버를 한 손에 쥐고 손을 오므리면 누름레버와 슬라이딩레버가 동시에 눌리면서 누름레버만이 눌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레버가 하향 슬라이딩되도록 손가락을 이용하여 움직이면 슬라이딩레버가 하향 이동됨과 동시에 잠금부재가 눌리면서 잠금이 해제되며, 이러한 잠금 해제 동작은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순차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안전 훅의 잠금이 쉽고 빠르게 해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은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의 산업용 안전 훅에 비해 안전성은 더욱 향상된다.
10: 본체 11: 로프걸이부
11A: 걸림홈 12: 로프설치공
13, 14: 힌지결합부 15: 스프링설치홈
16: 커버돌기 20: 잠금부재
21: 관통공 22: 고정핀
23: 설치부 30: 누름레버
31: 가이드공 31A: 누름레버 동작구간
31A': 걸림부 31B: 슬라이딩레버 동작구간
31C: 잠금부재 동작구간 32: 힌지결합공
40: 슬라이딩레버 40A: 슬라이딩본체
40A': 스프링설치부 40B: 연장판
41: 가이드핀 A: 정지위치
B: 제1이동위치 C: 제2이동위치
D: 제3이동위치 H1, H2: 힌지
S1: 제1스프링 S2: 제2스프링
S3: 제3스프링

Claims (3)

  1. 상부에는 후크 형상의 로프걸이부(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로프설치공(12)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일단이 힌지(H1)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이 회전 동작되어 상기 로프걸이부(11)를 잠긴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부재(20) 및; 상기 잠금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부재(2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락커로 이루어지는 안전 훅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H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이 회전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양측면에 각각 장공의 가이드공(31)이 형성되는 누름레버(30) 및;
    상기 가이드공(3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핀(41)이 구비되면서 상기 잠금부재(20)에 설치되는 제3스프링(S3)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0)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된 다음,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레버(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공(31)은 상기 누름레버(30)와 상기 슬라이딩레버(40)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가이드핀(41)이 위치된 정지위치(A)를 시작으로 상기 누름레버(30)가 눌리는 회전 각도만큼 형성되는 누름레버 동작구간(31A)과;
    상기 누름레버 동작구간(31A)에서 상기 누름레버(30)가 최대로 눌려 이동된 제1이동위치(B)를 시작으로 상기 슬라이딩레버(40)가 상기 잠금부재(20)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레버 동작구간(31B)과;
    상기 슬라이딩레버 동작구간(31B)에서 상기 슬라이딩레버(40)가 최대로 하향 이동된 제2이동위치(C)를 시작으로 상기 잠금부재(20)와 상기 가이드핀(41)이 함께 회전 동작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부재 동작구간(31C)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누름레버(30)를 누르고, 상기 슬라이딩레버(40)를 하향 슬라이딩 시킨 다음, 상기 잠금부재(20)를 누르는 연결된 동작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0)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지위치(A)에 직선 형상의 장공 또는 상기 잠금부재(20)의 상기 힌지(H1)를 중심으로 호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걸림부(31A')가 구비되어 상기 누름레버(3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20)의 잠금을 해제하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가이드핀(41)이 누름레버 동작구간(31A)을 따라 상기 제1이동위치(B)로 이동하지 못하고 걸림 고정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KR1020160026809A 2016-03-07 2016-03-07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KR101804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09A KR101804040B1 (ko) 2016-03-07 2016-03-07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09A KR101804040B1 (ko) 2016-03-07 2016-03-07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098A KR20160098098A (ko) 2016-08-18
KR101804040B1 true KR101804040B1 (ko) 2017-12-04

Family

ID=5687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809A KR101804040B1 (ko) 2016-03-07 2016-03-07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936Y1 (ko) * 2024-01-17 2024-04-18 초연결 주식회사 결속 해제가 어려운 안전대용 죔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90Y1 (ko) * 2020-04-17 2020-10-2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송전탑용 안전대
CN112827089B (zh) * 2020-12-31 2022-02-18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攀爬速度的安全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5297A (ja) 2005-03-18 2006-09-28 Sanko Industries Co Ltd 安全帯用フック
KR101031762B1 (ko) * 2009-07-15 2011-04-29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산업용 안전훅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0096B (en) 2012-11-01 2015-08-26 Skanska Uk Plc Safety equipment
JP6046553B2 (ja) 2013-05-07 2016-12-14 ポリマーギヤ株式会社 高所作業用安全帯のフック
JP2014239724A (ja) 2013-06-11 2014-12-25 ポリマーギヤ株式会社 高所作業用安全帯のフック
JP6161507B2 (ja) 2013-10-22 2017-07-12 サンコー株式会社 安全帯用フック
KR200478295Y1 (ko) 2015-02-13 2015-09-15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안전 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5297A (ja) 2005-03-18 2006-09-28 Sanko Industries Co Ltd 安全帯用フック
KR101031762B1 (ko) * 2009-07-15 2011-04-29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산업용 안전훅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936Y1 (ko) * 2024-01-17 2024-04-18 초연결 주식회사 결속 해제가 어려운 안전대용 죔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098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040B1 (ko)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EP1927767B1 (en) Improved safety carabiner
CN108291414B (zh) 具有锁式致动的连接机构的门或其他可关闭的板体
CN107182205B (zh) 安全钩
CA2985919C (en) A load carrier comprising a lock arrangement
EP1954908B1 (en) Child safety gate assemblies
EP1292750B1 (en) Over-centre latch
KR20050021232A (ko) 로드 플로어 래치
JP4927023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JPH06240938A (ja) 掛金装置
US9791885B2 (en) Rotating-lever-position-holding device
EP2420641A1 (en)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and storage cabinet using the same
JP7017941B2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4148495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2012107472A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KR200363556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CN110337704B (zh) 安全开关
KR101051313B1 (ko) 창문 개폐장치의 열림 방지장치
KR20210015797A (ko) 액추에이터 유닛 및 안전 스위치
JP6161507B2 (ja) 安全帯用フック
CN219734387U (zh) 锁止机构及液压操作阀组件
DK2848829T3 (en) Twist- /-trilock carabiner
JP5664082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保持装置
CN219081184U (zh) 超高压杆塔拆除用锁扣组件
JP4989405B2 (ja) 安全帯用フック及び安全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