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646B1 -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646B1
KR101803646B1 KR1020160066931A KR20160066931A KR101803646B1 KR 101803646 B1 KR101803646 B1 KR 101803646B1 KR 1020160066931 A KR1020160066931 A KR 1020160066931A KR 20160066931 A KR20160066931 A KR 20160066931A KR 101803646 B1 KR101803646 B1 KR 10180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liquid
plating
water
tank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교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선테크
Priority to KR102016006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4Heav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e.g. merc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3/041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4Paint 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i.e. from the production, refining or treatment of metals, e.g. galvanic w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설비의 수질 및 대기 오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금 공장과 같은 산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하고, 불순 유기물을 제거하여 유해폐수로 인한 수질오염 폐해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도금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수세조와; 상기 도금조 및 수세조에서 발생하는 오염 대기 및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스크러버 및 폐액 처리기와; 폐액 처리기 내부 담체 표면에 도포한 중금속 흡착 조성물에 의하여 중금속을 흡착 제거한 폐액을 폐수 처리부로 이송시켜 배출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 및 수세조와 폐액 처리기 사이에 윤활유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를 설치하여 폐액에 포함된 중금속 및 유기물을 분해 및 제거하여 중금속의 흡착능력 향상 및 수질개선을 대폭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Air and Water Pollution from Plating Facilities}
본 발명은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금 공장과 같은 산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하고, 불순 유기물을 제거하여 유해폐수로 인한 수질오염 폐해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 공장과 같은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그 양의 많고 적음을 떠나서 다양한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문제가 된다. 특히 도금 공정 중에서 도금조나 수세조에서 도금 대상물을 액체에 담구어 처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폐수에는 적은 양일지라도 치명적일 수 있는 중금속이 포함될 수 밖에 없다.
한편, 대기오염의 관점에서 보면 동 도금조에서 발생하는 증기상태의 구리화합물의 경우 미량을 흡입하더라도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거나 눈이나 피부에 심한 자극을 줄 수 있다. 납과 같은 중금속 역시 대기중에 1 미크론 정도의 입자 형태로 존재하여 인체에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어 축적됨으로써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금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오염 대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도금 공장에 다양한 시설을 갖추도록 하고 있는데,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10-1373903호 등록특허공보에 개재된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금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 및 오염 대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기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도금조 및 수세조에서 발생하는 오염 대기는 각각 도금조 후드 및 수세조 후드에서 집진되어 송풍기가 연결되어 있는 덕트를 통해 스크러버 내부로 유입된다.
스크러버의 유입구를 통해 스크러버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 대기는 배기 후드 측으로 상승하는데, 담체조를 통과할 때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접촉되며, 담체조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단위 담체인 콘(cone) 또는 다공성 매체 등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악취나 오염물이 하부의 저장조로 물과 함께 저장되고, 정화된 공기는 배기 후드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금조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별도로 채수되어 전문적인 처리 장치로 보내지고, 건조 등의 처리가 되어 고형분이 별도의 배출 시설에 의해 처리된다. 수세조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배수관을 통해 외부의 폐수 처리부로 보내져 처리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폐수 및 오염 대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서는 스크러버에서 처리되는 오염 대기 중의 악취 등의 처리에는 적합하지만 대기 중의 중금속 처리에 있어 배기 후드에서 배출되는 대기 중에 여전히 미량의 중금속이 함유되어 나오는 실정이다. 또한, 도금조에서 발생하는 폐액을 폐수 처리부로 직접 보내지 않고 별도로 보관하여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 비용이 발생하며 도금 공정 상 불리한 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제시한 등록특허 제10-1373903호를 통하여 담체의 표면을 중금속을 흡착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코팅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폐수 및 오염 대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즉, 도금조 및 수세조에서 발생하는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폐액 처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액 처리기는 상기 도금조 및 수세조에서 발생하는 폐액이 유입되는 폐수 유입구; 상기 폐액 처리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급 파이프; 상기 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 상기 노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담체조; 상기 담체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에 설치되어 처리된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담체조에는 박형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콘 형상의 단위 담체로 채워져 있으며, 상기 단위 담체의 표면에는
(A) 열경화성수지 100 중량부; (B) 경화개시제 0.1 ~ 20 중량부; (C) 용매 80 ~ 180 중량부; (D) 3-아미노프포필트리에톡시실란, 헥사메틸다이실라젠, 및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자기조립 유기화합물 3 ~ 35 중량부; 및 (E) 젤라틴,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결합제 0.03 ~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금속 흡착을 위한 담체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금조 및 수세조에서 발생하는 폐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흡착능력을 향상시켜 방출되는 수질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중금속 흡착을 위한 담체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능력은 뛰어날 수 있으나, 도금조 에 담겨진 피도금물에는 가공재료, 가공방법, 가공조건 등에 따라 비수용성 유분으로 이루어진 윤활유 등이 피착 되어 있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세정조에서 발생하는 세정 폐액에도 유지(oil and fat)가 포함되어 중금속과 함께 혼합되어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도금 시 발생하는 슬러지(침전물)도 포함되어 있어 중금속이 상기 비수용성 유분, 유지 및 슬러지와 혼합된 상태로 담체로 내부로 공급되므로 중금속 표면에 중금속 흡착을 위한 담체 코팅용 조성물에 상기 비수용성 유분 및 슬러지로 인하여 중금속과 흡착용 코팅 조성물 사이에 막현상이 발생하여 흡착을 방해하게 되므로 중금속 흡착능력을 크게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금공장에서는 열연코일을 소재로 하여 산세, 냉간압연, 전기청정, 소둔 및 도금공정을 통하여 미려한 냉연 및 도금제품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때 도금 폐액 속에는 난분해성 유기물 성분(COD)을 다량 함유한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의 폐액 속의 유기물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종전에는 화학적 산화법 및 응집 침전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화학적 산화법은 과산화수소, 과망간삼칼륨 등과 같은 산화제를 사용하여 폐수 중의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이고, 응집 침전법은 알루미늄염이나 철염을 사용하여 폐수 중의 유기물을 응집, 침전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응집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함으로써 약품 비용으로 인한 비용이 발생 되어 폐수처리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슬러지가 다량 발생할 뿐만 아니라 별도로 발생하는 슬러지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지적된다.
본 발명은 콘 형상의 담체의 표면에 도포한 중금속 흡착을 위한 코팅용 조성물에 폐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하여 배출되는 폐액의 수질을 크게 개선하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 폐액 속에 함유된 불순 유기물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분해하여 배출시켜 도금 폐액의 수질을 크게 개선하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도금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수세조와; 상기 도금조 및 수세조에서 발생하는 오염 대기 및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스크러버 및 폐액 처리기와; 폐액 처리기 내부 담체 표면에 도포한 중금속 흡착 조성물에 의하여 중금속을 흡착 제거한 폐액을 폐수 처리부로 이송시켜 배출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 및 수세조와 폐액 처리기 사이에 유지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를 설치하여 폐액에 포함된 유지 제거 및 및 유기물을 분해 처리하여 중금속의 흡착능력 향상 및 수질개선을 대폭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금조 및 수세조에서 발생한 폐액 속에 포함된 윤활유 등과 같은 비수용성 유분 및 유지를 제거하여 중금속이 중금속과 흡착 조성물 사이의 윤활막에 의하여 흡착능력을 저해하는 것을 해소하게 하므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중금속 흡착 능력을 크게 함양시키고, 폐액 속에 함유된 난분해성 유기물 성분(COD)을 분해시켜 폐액 처리기로 공급 처리하게 하므로서 배출되는 폐액의 수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비수용성 유지 제거 및 유기물 분해를 위한 유지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를 하나의 함체로 제공하여 도금 시설 공간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특히 유기물을 화약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분해 처리하게 하므로서 약품 비용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시켜 폐수처리 비용을 대폭 낮추고, 화약약품에 의한 슬러지 발생을 배제시켜 별도로 발생하는 슬러지 처리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폐수 및 오염대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폐수 및 오염대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도금조(10), 최소한 하나 이상의 수세조(20)와; 상기 도금조(10) 및 수세조(20)에서 발생하는 오염대기 및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스크러버(30) 및 폐액 처리기(40)와; 폐액 처리기(40) 내부 담체 표면에 도포한 중금속 흡착 조성물에 의하여 중금속을 흡착 제거한 폐액을 폐수 처리부(50)로 이송시켜 배출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10) 및 수세조(20)와 폐액 처리기 (40) 사이에 유지(oil and fat)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60)를 설치하여 폐액에 포함된 유지 및 유기물을 분해 및 제거하여 중금속의 흡착능력 향상 및 수질개선을 증대 시키키 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금조(10) 및 수세조(20)에서 발생하는 폐액은 도금조(10) 및 수세조(20) 각각의 드레인(10')(20')을 통하여 배관라인에 설치한 펌프(P1)에 의하여 상기 유지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60) 측으로 유입시키고, 유지 및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60)에서 처리된 폐액은 펌프(P2)에 의하여 후술하는 폐액 처리기(40)의 폐수 유입구로 유입시켜 처리하게 한다.
상기 폐액 처리기(40)는 상기 도금조(10) 및 수세조(20)에서 발생하는 폐액을 유입시켜 상기 폐액 처리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급 파이프(41)로부터 공급되는 물 탱크(T)의 물을 펌프(42)를 가동시켜 노즐(43)을 통하여 분사하고, 상기 노즐(43)의 하부에는 담체조(44) 및 저장조(45)을 설치하되, 상기 담체조(44)를 구성하는 단위 담체 표면에 본 출원인이 선등록 받은 등록특허 제10-1373903호의 중금속 흡착용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구성되며, 상기 담체조(44)에는 박형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콘 형상의 단위 담체로 채워져 있고, 폐액에 포함된 중금속을 상기 중금속 흡착용 코팅 조성물에 의하여 흡착시켜 수질이 개선된 폐액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의 중금속 흡착용 코팅 조성물은 본 출원인이 선등록 받은 등록특허 제10-1373903호의 등록특허공보 및 상기 배경기술에서 개진하고 있어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금조(10) 및 수세조(20)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대기는 각각 도금조 후드(11) 및 수세조 후드(21)를 통해 덕트를 지나 송풍기(70)의 작동에 의하여 스크러버(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스크러버(30)는 담체조(31)를 포함하는데, 담체조(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32)은 펌프(33)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담체조(31)의 상부로 분사한다. 분사된 물은 오염 대기와 함께 담체조(31) 내부에서 혼합되고, 이후 물은 하부의 저장조(34)로 이동하고, 오염 대기는 정화되어 배기 후드(35)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며, 폐액 처리기(40) 내부의 담체조(44)에 코팅된 중금속 흡착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물이 상기 담체조(31) 표면에 도포시켜 오염대기 중에 포함된 중금속을 흡착 제거한다.
상기 도금조(10) 및 수세조(20)와 폐액 처리기(40) 사이에 설치하는 유지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60)는 도 2에 제시한 일 예시와 같이, 처리 함체(61)의 하부박스(61A) 내부 하방에 설치한 여과기(62)와; 처리 함체(61) 상방에 결합시킨 상부박스(61B) 내부에 설치한 유기물 분해기(63); 및 상기 하부박스(61A) 내 하부 바닥면에 폭기장치 또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여과기(62)는 다수의 구멍(62A')이 형성된 내통(62A)과; 다수의 구멍(62B')이 형성된 외통(62B) 및 상기 내통(62A)과 외통(62B)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 여과재(62C)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내통(62A)과 외통(62B) 바닥면은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 분해기(63)는 금속함체(63') 내부에 영구자석(63A)을 삽입하여 상호 달라붙게 결합하고, 상기 금속함체(63') 외부 표면에는 강자성체의 금속망(63B)을 달라붙게 하되, 상기 금속망(63B)에 철 산화물 입자(63C)를 달라붙게 하여 구성하여 유기물을 분해 시켜 유기물에 포함된 독성화학물질을 정화 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폐액 속에 함유된 유기물을 상기 철 산화물 입자(63C)에 의하여 분해처리하게 할 수 있고, 종전과 같은 화약약품을 이용한 유기물 분해방법이 아니어서 유기물 분해시 발생하는 슬러지를 최소화 하게 되어 발생하는 슬러지 제거를 위한 별도의 슬러지 제거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설치비용 절감을 도모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영구자석(63A)에 의하여 철 산화물 입자(63C)를 강하게 금속망(63B)에 붙일 수 있거나 영구자석(63A)을 금속함체(63')로 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철 산화물 입자(63C)를 수월하게 떼어낼 수 있어 철 산화물 입자(63C)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박스(61B)와 여과기(62)의 내통(62A)은 상호 연통 되며, 상부박스(61B)의 상부 일측은 배관라인을 통하여 펌프(P2)에 의하여 폐액 처리기(40)의 폐수 유입구로 유입시켜 처리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금조(10) 및 수세조(20)에서 배출되는 폐액을 펌프(P1)에 의하여 유지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60)의 하부박스(61A) 내부로 유입시키면서 폭기장치 또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80)를 동작하게 하면 하부박스(61A) 내부로 유입된 폐액은 거품상태로서 상승하면서 여과기(62)의 외통(62B)에 뚫은 다수의 구멍(62B')을 통하여 유입하면서 여과재(62C)에 의하여 유지성분은 여과되어 걸려지고, 유지가 여과된 폐액은 내통(62A)에 뚫은 다수의 구멍(62A')을 통하여 내통(62A)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된다, 상기 내통(62A)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폐액은 펌프(P2)의 압력에 의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승되는 폐액은 여과재(62C)를 거쳐 유기물 분해기(63)의 금속망(63B)에 붙은 철 산화물 입자(63C)에 의하여 유기물을 분해처리하여 폐액 처리기(40) 측으로 공급시켜 담체조(44)에 코팅된 중금속 흡착 조성물에 의하여 폐액 속에 포함된 중금속을 흡착제거 하게 하므로서 유지 및 유기물을 분해 및 제거한 폐액 속의 중금속 흡착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수질개선을 증대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정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 지며, 이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도금조 10' : 드레인
11, 21 : 후드 20 : 수세조
20' : 드레인 P1, P2 : 펌프
30 : 스크러버 31 : 담체조
32 : 노즐 33 : 펌프
34 : 저장조 35 : 배기 후드
40 : 폐액 처리기 41 : 공급 파이프
42 : 펌프 43 : 노즐
44 : 담체조 45 : 저장조
50 : 폐수 처리부 60 : 유지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
61 : 처리 함체 61A : 하부 박스
61B : 상부 박스 62 : 여과기
62A', 62B' : 구멍 62A : 내통
62B : 외통 62C : 여과재
63 : 유기물 분해기 63' : 금속함체
63A : 영구자석 63B : 금속망
63C : 철 산화물 입자 70 : 송풍기
80 :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Claims (4)

  1.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도금조(10), 최소한 하나 이상의 수세조(20)와; 상기 도금조(10) 및 수세조(20)에서 발생하는 오염대기 및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스크러버(30) 및 폐액 처리기(40)와; 폐액 처리기(40) 내부 담체 표면에 도포한 중금속 흡착 조성물에 의하여 중금속을 흡착 제거한 폐액을 폐수 처리부(50)로 이송시켜 배출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10) 및 수세조(20)와 폐액 처리기 (40) 사이에 유지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60)를 설치하여 구성하되, 유지 및 유기물 제거 처리기(60)는 처리 함체(61)의 하부박스(61A) 내부 하방에 설치한 여과기(62)와; 처리 함체(61) 상방에 결합시킨 상부박스(61B) 내부에 설치한 유기물 분해기(63); 및 상기 하부박스(61A) 내 하부 바닥면에 폭기장치 또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8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여과기(62)는 다수의 구멍(62A'))이 형성된 내통(62A)과; 다수의 구멍(62B')이 형성된 외통(62B) 및 상기 내통(62A)과 외통(62B)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 여과재(62C)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유기물 분해기(63)는 금속함체(63') 내부에 영구자석(63A)을 삽입하여 상호 달라붙게 결합하고, 상기 금속함체(63') 외부 표면에는 강자성체의 금속망(63B)을 달라붙게 하되, 상기 금속망(63B)에 철 산화물 입자(63C)를 달라붙게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66931A 2016-05-31 2016-05-31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KR101803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31A KR101803646B1 (ko) 2016-05-31 2016-05-31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31A KR101803646B1 (ko) 2016-05-31 2016-05-31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646B1 true KR101803646B1 (ko) 2017-11-30

Family

ID=6081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931A KR101803646B1 (ko) 2016-05-31 2016-05-31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6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251B1 (ko) 2020-06-24 2021-01-14 주식회사 두원 도금작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금작업방법
CN113526630A (zh) * 2021-07-26 2021-10-22 李爱华 一种先进钢铁材料废水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19Y1 (ko) * 2004-07-26 2004-10-25 문준영 폐수 정화 장치
JP4987900B2 (ja) * 2009-03-31 2012-07-25 株式会社東芝 廃液の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373903B1 (ko) * 2012-06-05 2014-03-12 주식회사 우리선테크 도금 설비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흡착을 위한 담체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한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19Y1 (ko) * 2004-07-26 2004-10-25 문준영 폐수 정화 장치
JP4987900B2 (ja) * 2009-03-31 2012-07-25 株式会社東芝 廃液の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373903B1 (ko) * 2012-06-05 2014-03-12 주식회사 우리선테크 도금 설비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흡착을 위한 담체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한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251B1 (ko) 2020-06-24 2021-01-14 주식회사 두원 도금작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금작업방법
CN113526630A (zh) * 2021-07-26 2021-10-22 李爱华 一种先进钢铁材料废水处理装置
CN113526630B (zh) * 2021-07-26 2023-01-17 金鼎重工有限公司 一种先进钢铁材料废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12413U (zh) 一种焦化废水深度处理系统
US20090152193A1 (en) Drainage water-treating method and drainage water-treating apparatus
KR101803646B1 (ko)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CN105920964B (zh) 一种电镀行业用废气废水处理系统
CN102389680B (zh) 百洁布废气的治理方法
CN108434958A (zh) 一种污泥车间恶臭气体深度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CN109467230A (zh) 一种光催化协同磁分离污水处理装置和方法
KR101897412B1 (ko) 도금설비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KR20100062695A (ko) 나노 펄스 코로나 발생장치와 바이오필터 하이브리드 복합 여과장치
KR101770792B1 (ko) 오폐수정화시스템
KR101561244B1 (ko) 금속가공유 및 세척액 처리시스템
JPS5948651B2 (ja) 有機物含有廃ガス処理方法
JP2014036926A (ja) 排水浄化装置及び排水浄化方法
JP5311432B1 (ja) 塗装廃液処理方法及び塗装廃液処理装置
KR101165708B1 (ko) 산 수용액을 함유한 폐수의 정화 시스템 및 폐수의 정화 방법
JPH09262429A (ja) 硫化物含有ガスの脱硫装置
JP2018089743A (ja) クーラント液の浄化方法及び浄化装置
JP4150975B2 (ja) 排水処理装置
RU97276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ду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и сточных вод
CN110723838A (zh) 集中式液体处理方法
KR102449410B1 (ko) 도금조 폐가스 처리용 싸이클론 응축장치 및 미생물담체부를 갖는 고효율 스크러버 장비
JP2009297679A (ja) 水処理装置
CN215364953U (zh) 一种用于去除cod的厂区的污水处理站
CN220116384U (zh) 一种中水回用装置
KR102614559B1 (ko) 다단의 오염수 기액 반응을 이용한 오염수의 순환 및 배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