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818B1 -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 Google Patents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818B1
KR101802818B1 KR1020160140796A KR20160140796A KR101802818B1 KR 101802818 B1 KR101802818 B1 KR 101802818B1 KR 1020160140796 A KR1020160140796 A KR 1020160140796A KR 20160140796 A KR20160140796 A KR 20160140796A KR 101802818 B1 KR101802818 B1 KR 10180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ized air
raw material
air supply
pressurizing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덕
Original Assignee
우민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민기술(주) filed Critical 우민기술(주)
Priority to KR1020160140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B65G2812/1658Air pressure systems with fluidisa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하단에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연결관이 마련되는 통형의 탱크본체; 탱크본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원료에 가압공기를 추가 공급하는 보조가압유니트; 탱크본체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어 탱크본체의 내부 외곽의 원료를 탱크본체의 내부 중심부로 이송하는 외곽가압유니트;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탱크본체 내부의 모든 원료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고, 탱크본체의 내부 표면에 원료가 엉겨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 RAW MATERIAL TRANSFER TANK }
본 발명은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탱크본체 내부에 적재된 원료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탱크본체의 표면에 원료가 점착되지 않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입자상의 분체 파우더 등의 입자상 원료는 차량 등의 운송수단으로 운송한 후 메인 사일로에 하역하고, 메인 사일로의 원료를 다시 원거리에 있는 다수의 서브 사일로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예가 많다.
이와 같이 메인 사일로의 원료를 원거리의 서브 사일로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원료 이송 및 적재 시스템은 주로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원료를 이송하는 트랜스퍼 탱크를 이용하게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메인 사일로에 충전된 입자상의 원료를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트랜스퍼 탱크를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서브 사일로에 효율적으로 이송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원료 이송 및 적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원료 이송 및 적재 시스템은 메인 사일로에 충전된 원료가 그에 부설된 정량공급기를 통해 트랜스퍼 탱크로 공급되고, 트랜스퍼 탱크가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원료를 서브 사일로 쪽으로 토출하는 형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에 관계하는 것으로, 트랜스퍼 탱크는 원통형 충전부의 상단 중앙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원통형 충전부의 하부에 원추형 배출유도부가 마련되고, 배출유도부의 하단에 배출연결관이 마련되는 탱크본체를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4907호 (2015년 12월 02일 공개)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는 탱크본체의 내부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원료가 단면적이 큰 원통형 충전부에서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원추형 배출유도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공기압력이 점차 약화되어 원료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는 원료이송을 위한 가압공기가 주로 탱크본체의 중심부위에 집중되므로 원료에 포함된 수분이 많거나 점착성분을 가지는 원료의 경우 탱크본체의 외곽부위인 원추형 배출유도부 내부 표면에 원료가 점착되거나 고착되어 일부의 원료가 배출되지 않게 되는 등 원료이송에 많은 애로가 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탱크본체 내부의 충전된 원료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탱크본체의 원추형 배출유도부 내부 표면에 원료가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는 상단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하단에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연결관이 마련되는 통형의 탱크본체; 탱크본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원료에 가압공기를 추가 공급하는 보조가압유니트; 탱크본체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어 탱크본체의 내부 외곽의 원료를 탱크본체의 내부 중심부로 이송하는 외곽가압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탱크본체는 상부에 원통형 충전부가 마련되고, 원통형 충전부의 상단 중앙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원통형 충전부의 하부에 원추형 배출유도부가 마련되고, 배출유도부의 하단에 배출연결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보조가압유니트는 링형 매니폴드의 하단에 다수의 분사노즐이 마련되고, 링형 매니폴드의 외측에 제1 가압공기 공급관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외곽가압유니트는 탱크본체의 외부 표면에 가압공기 공급챔버가 마련되고, 가압공기 공급챔버의 내측의 탱크본체에 다수의 분사구멍이 마련되고, 가압공기 공급챔버의 외측에 제2 가압공기 공급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외곽가압유니트의 가압공기 공급챔버는 다수개가 원추형 배출유도부에 방사상으로 배열 설치되거나 한 개의 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외곽가압유니트의 가압공기 공급챔버 및 분사구멍은 보조가압유니트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에 의하면, 원료의 성상에 따라 보다 큰 공기가압력이 필요할 경우 보조가압유니트를 통해 추가 가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탱크본체 내부의 모든 원료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에 의하면, 원료의 성상에 따라 탱크본체의 내부 표면에 원료가 점착될 우려가 있을 경우 외곽가압유니트를 통해 탱크본체 내부 표면의 원료를 탱크본체 내부 중심부위로 이송시킴으로써 탱크본체 내부의 모든 원료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원료가 탱크본체의 내부 표면에 엉겨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정면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제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100)는 탱크본체(110), 보조가압유니트(120), 외곽가압유니트(130)를 포함한다.
탱크본체(110)는 이송할 원료가 충전되는 것으로, 공급사일로 및 정량공급기에 접속된다.
탱크본체(110)는 상부에 원통형 충전부(111)가 마련되고, 원통형 충전부(111)의 상단 중앙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12)가 마련되고, 원통형 충전부(112)의 하부에 원추형 배출유도부(113)가 마련되고, 배출유도부(113)의 하단에 배출연결관(114)이 마련된다.
탱크본체(110)의 배출연결관(114)은 이송관을 통해 적재사일로에 접속되고, 이송관에는 원료를 와류형으로 회전시키는 토네이도 펌프나 이송되는 원료에 추가적으로 강한 공기압을 추가 공급하는 플러그 제네레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가압유니트(120)는 탱크본체(110)의 내부 하부에 가압보조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본체 배출유도부(113)의 내부에 마련된다.
보조가압유니트(120)는 링형 매니폴드(121)의 하단에 다수의 분사노즐(122)이 마련되고, 링형 매니폴드(121)의 외측에 제1 가압공기 공급관(123)이 접속된 형태이다.
보조가압유니트(120)의 각 분사노즐(122)의 가압공기 분사방향은 배출연결관(114)이 위치하는 원통형 배출유도부(113)의 하단 중심쪽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제1 가압공기 공급관(123)의 일단은 탱크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어 가압공기 공급펌프(150)와 접속된다.
외곽가압유니트(130)는 탱크본체(110)의 내부 외곽쪽의 원료를 탱크본체(110)의 내부 중심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탱크본체(110)의 원추형 배출유도부(113)의 외부에 마련된다.
외곽가압유니트(130)는 탱크본체(110)의 원추형 배출유도부(113)의 외부에 가압공기 공급챔버(131)가 마련되고, 가압공기 공급챔버(131)의 내측의 원추형 배출유도부(113)에 다수의 분사구멍(132)이 마련되고, 가압공기 공급챔버(131)의 외측에 제2 가압공기 공급관(133)이 마련된 형태이다.
제2 가압공기 공급관(133)의 일단부는 가압공기 공급챔버(131)와 접속되고, 제2 가압공기 공급관(133)의 타단부는 가압공기 공급펌프(150)와 접속된다.
외곽가압유니트(130)의 가압공기 공급챔버(131)는 다수개가 원추형 배출유도부(113)에 방사상으로 배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횡단면도이다.
외곽가압유니트(130)의 가압공기 공급챔버(131)는 도 3과 같이 링 형태의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외곽가압유니트(130)의 가압공기 공급챔버(131) 및 분사구멍(132)은 보조가압유니트(120)의 링형 매니폴드(121)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의 제어구성도이다.
보조가압유니트(120)의 제1 가압공기 공급관(123)에는 제1 가압공기 공급밸브(141)가 설치되고, 외곽가압유니트(130)의 제2 가압공기 공급관(133)에는 제2 가압공기 공급밸브(142)가 설치되고, 제1 가압공기 공급밸브(141)와 제2 가압공기 공급밸브(142)는 제어유니트(140)에 접속된다.
제어유니트(140)는 가압공기 공급펌프(150) 및 제1 가압공기 공급밸브(141)와 제2 가압공기 공급밸브(142)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100)를 통해 원료가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통형 충전부(111)의 상단 중앙에 마련된 투입구(112)를 통해 탱크본체(110)의 내부에 정량공급기에서 계량된 일정량의 원료가 충진(Filling)된다.
다음에 가압공기 공급유니트(미도시)를 통해 탱크본체(110)의 내부 상부에 가압공기가 공급되고, 그에 따라 탱크본체(110)에 충진된 원료가 탱크본체(110)의 원추형 유도배출부(113) 쪽으로 가압(Pressurizing)되고, 원추형 유도배출부(113)의 하단에 마련된 배출연결관(114)을 통해 적재사일로 쪽으로 이송(Conveying)된다.
탱크본체(110) 내부의 원료가 모두 이송된 후에는 탱크본체(110)를 통기(Venting)시켜 탱크본체(110)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100)는 비중, 입자크기의 분포, 최대입자의 크기, 수분함량, 통기성, 공기함유성 등의 원료의 성상을 감안하여 원료의 이송에 필요한 큰 공기 가압력이 요구될 때에 상기 원료의 가압 및 이송과정에서 보조가압유니트(120)의 분사노즐(122)를 통해 원추형 유도배출부(113) 쪽으로 가압공기를 추가 분사함으로써 원료 이송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100)는 수분이 많고 점착성이 강한 원료를 이송할 경우 외곽가압유니트(130)를 통해 원추형 유도배출부(113)의 내부 표면쪽의 원료를 원추형 유도배출부(113)의 중심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료 이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원료가 원추형 유도배출부(113)의 내부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110 : 탱크본체
120 : 보조가압유니트
130 : 외곽가압유니트

Claims (6)

  1. 상단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12)가 마련되고, 하단에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연결관(114)이 마련되는 통형의 탱크본체(110);
    탱크본체(11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원료에 가압공기를 추가 공급하는 보조가압유니트(120);
    탱크본체(110)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어 탱크본체(110)의 내부 외곽의 원료를 탱크본체(110)의 내부 중심부로 이송하는 외곽가압유니트(130);를 포함하되;
    탱크본체(110)는 상부에 원통형 충전부(111)가 마련되고, 원통형 충전부(111)의 상단 중앙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12)가 마련되며, 원통형 충전부(112)의 하부에 원추형 배출유도부(113)가 마련되고, 배출유도부(113)의 하단에 배출연결관(114)이 마련되며,
    보조가압유니트(120)는 링형 매니폴드(121)의 하단에 다수의 분사노즐(122)이 마련되고, 링형 매니폴드(121)의 외측에 제1 가압공기 공급관(123)이 접속되며,
    외곽가압유니트(130)는 탱크본체(110)의 외부 표면에 가압공기 공급챔버(131)가 마련되고, 가압공기 공급챔버(131)의 내측의 탱크본체(110)에 다수의 분사구멍(132)이 마련되고, 가압공기 공급챔버(131)의 외측에 제2 가압공기 공급관(133)이 마련되되;
    외곽가압유니트(130)의 가압공기 공급챔버(131)는 다수개가 원추형 배출유도부(113)에 방사상으로 배열 설치되고,
    외곽가압유니트(130)의 가압공기 공급챔버(131) 및 분사구멍(132)은 보조가압유니트(120)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며,
    배출연결관(114)은 이송관을 통해 적재사일로에 접속되고, 이송관에는 원료를 와류형으로 회전시키는 토네이도 펌프가 설치되고,
    보조가압유니트(120)의 각 분사노즐(122)의 가압공기 분사방향은 배출연결관(114)이 위치하는 원통형 배출유도부(113)의 하단 중심쪽으로 설정되며,
    보조가압유니트(120)의 제1 가압공기 공급관(123)에는 제1 가압공기 공급밸브(141)가 설치되고, 외곽가압유니트(130)의 제2 가압공기 공급관(133)에는 제2 가압공기 공급밸브(142)가 설치되며, 제1 가압공기 공급밸브(141)와 제2 가압공기 공급밸브(142)는 제어유니트(140)에 접속되되;
    외곽가압유니트(130)를 통해 원추형 유도배출부(113)의 내부 표면쪽의 원료를 원추형 유도배출부(113)의 중심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40796A 2016-10-27 2016-10-27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KR10180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796A KR101802818B1 (ko) 2016-10-27 2016-10-27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796A KR101802818B1 (ko) 2016-10-27 2016-10-27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818B1 true KR101802818B1 (ko) 2017-12-04

Family

ID=6092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796A KR101802818B1 (ko) 2016-10-27 2016-10-27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667B1 (ko) * 2018-08-21 2019-05-16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KR102398149B1 (ko) * 2021-12-17 2022-05-1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재 원료 이송용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덴서베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667B1 (ko) * 2018-08-21 2019-05-16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KR102398149B1 (ko) * 2021-12-17 2022-05-1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재 원료 이송용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덴서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3167B (zh) 利用真空式填充的粉末泵
KR101802818B1 (ko)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CN101495363B (zh) 用于从船上卸载散装材料的系统和方法
CZ299946B6 (cs) Zpusob a zarízení pro distribuci fluidizovatelných materiálu
WO2003099685B1 (en) An assembly for delivering solid particulate matter for loading
CN205151191U (zh) 罐车装料气力输送系统
JP2010058030A (ja) 粉粒体の混合装置
US51784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solid particles to abrasive cutting apparatuses
CN111661657A (zh) 使用真空输送机的粉体自动输送系统
KR101099660B1 (ko) 연마재 이송관을 구비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재 이송방법
KR101971667B1 (ko)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CN209275657U (zh) 一种碎焦粉粒料的气力输送系统
JPH05330652A (ja) 粉粒体の空気輸送装置
CN106672467B (zh) 一种适合多点供料的流态化料斗
JP2556339Y2 (ja) 空気輸送装置
KR102004860B1 (ko)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CN208233824U (zh) 一种增加结构刚度的钢筒仓送气结构
KR101603525B1 (ko) 원료 이송 및 적재 시스템
KR101412233B1 (ko) 분체 저장장치
US8152028B2 (en) Activation and fluidification system for granular material silos and containers
CN111659308B (zh) 包括空气吹扫的粉体输送料斗
CN219326321U (zh) 一种送料辅助气推装置和辅助气推送料设备
KR20190107389A (ko)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KR200185984Y1 (ko) 입상물 이송용 베셀
CN213201497U (zh) 卸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