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667B1 -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667B1
KR101971667B1 KR1020180097302A KR20180097302A KR101971667B1 KR 101971667 B1 KR101971667 B1 KR 101971667B1 KR 1020180097302 A KR1020180097302 A KR 1020180097302A KR 20180097302 A KR20180097302 A KR 20180097302A KR 101971667 B1 KR101971667 B1 KR 10197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charge
cone
fr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근
Original Assignee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Arrangements of access openings or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25Constructional features the tank being part of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탱크 내 잔여 시멘트를 최소화하고, 시멘트 적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소재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탱크유닛; 상기 탱크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소재가 모아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배출유닛; 및 상기 탱크유닛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유닛에 모아진 상기 소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토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탱크유닛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탱크유닛의 하부에 단일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ONE CONE TYPE BULK TRAILER}
본 발명은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탱크 내 잔여 시멘트를 최소화하고, 시멘트 배출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대형 수송 트레일러 중에서 벌크 트레일러(Bulk trailer)는 시멘트 플라이 애쉬 및 파우더 등의 분말류를 운송하는 특수차량이다. 트레일러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적재함 및 히치(트랙터 연결부)로 구성되는데, 벌크 트레일러는 적재함 역할을 대신하는 탱크가 구비된다.
이러한 탱크는 상단부에는 적재물을 인입시키기 위한 맨홀이 설치되고, 하단부는 배출구가 형성된 깔대기 형상으로 되어 분말형의 소재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벌크 트레일러는 배출구가 탱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벌크 트레일러는 복수개의 배출구에 시멘트를 배출 하기 위해 배출 작동이 번거롭고, 완전 배출시까지 잔량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벌크 트레일러는 배출구의 모서리 부분에 시멘트가 잔류하여 배출되지 않아 인력을 이용하여 직접 잔류한 시멘트를 긁어내어 배출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원콘형 벌크는 탱크 바닥면에 캔버스 재질의 천을 깔아서 잔여물질을 처리했으나, 호퍼 경사각도가 완만하여 마찰력으로 인해 여전히 시멘트가 배출되지 않고, 잔량이 많이 남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탱크 내 시멘트가 모두 배출될 수 있고, 시멘트 배출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벌크 트레일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60673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내 잔여 시멘트를 최소화하고, 시멘트 적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소재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탱크유닛; 상기 탱크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소재가 모아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배출유닛; 및 상기 탱크유닛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유닛에 모아진 상기 소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토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탱크유닛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탱크유닛의 하부에 단일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탱크유닛은, 중앙에 마련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며, 양측이 상기 제2 프레임과 면접하도록 마련된 제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은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탱크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콘; 상기 제1 콘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콘; 상기 제2 콘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콘; 및 상기 제3 콘의 중앙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콘, 제2 콘 및 제3 콘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에 잔류한 소재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된 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제1 콘 및 상기 제2 콘의 바닥면을 덮도록 마련된 캔버스; 및 상기 캔버스에 마련되는 분사홀을 포함하며, 상기 캔버스는 상기 탱크유닛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배출유닛측에 마련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배출유닛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에 위치한 소재를 배출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유닛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 노즐; 및 상기 진동부와 연결된 제2 노즐울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은 제공하는 공기의 압력이 제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은 상기 분사홀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에 잔류한 소재를 분산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진동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배출유닛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재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제1 콘 및 상기 제2 콘에 공기를 공급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탱크유닛 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압부; 및 일단이 상기 배출구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측에 모아진 소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배출유닛이 탱크유닛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원콘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한 개의 배출유닛만으로도 시멘트 등의 소재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이 원콘형으로 이루어지고, 종래의 원콘 형태의 탱크유닛 보다 내부 경사도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탱크유닛 내 소재를 모두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며, 종래보다 배출속도도 더 빠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에 분사홀 및 진동부를 구비하여 배출유닛의 내측에 있는 소재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유닛 및 배출유닛이 알루미늄 소재로 마련되어 종래의 스틸(steel) 소재의 탱크보다 경량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출유닛은 종래의 스틸(steel)탱크보다 진동부에 의해 진동이 더 크게 발생하여 진동에 따른 소재의 이동 효과가 더 크다.
또한, 본 발명의 탱크유닛은 종래의 탱크보다 경량화되기 때문에 용량의 다양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내부를 투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를 상부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외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분사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분사유닛 및 공기공급유닛을 나타낸 상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분사유닛의 캔버스 재질의 천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내부를 투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를 상부에서 바라본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외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100)는 탱크유닛(110), 배출유닛(120) 및 토출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유닛(110)은 내부에 소재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2) 및 제3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재는 시멘트일 수 있으나, 소재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프레임(111)은 상기 탱크유닛(110)의 중앙 및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12)은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프레임(111)과 면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13)은 상기 제1 프레임(111)의 하부에 마련되며, 양측이 상기 제2 프레임(112)과 면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프레임(111) 내지 제3 프레임(113)은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탱크유닛(110)은 전체 형상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유닛(110)은 지지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2) 및 제3 프레임(113)은 면접하는 부분이 일체화되도록 용접되어 결합된다. 이때, 면접하여 용접되는 부위는 상기 탱크유닛(110)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때, 압력에 의해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14)는 상기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2) 및 제3 프레임(113)이 용접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2) 및 제3 프레임(113)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유닛(110)은 알루미늄 소재로 마련되어 종래의 스틸(steel) 소재로 마련된 탱크보다 경량화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경량의 상기 탱크유닛(110)은 용량의 다양화가 가능하다.
상기 배출유닛(120)은 상기 탱크유닛(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소재가 모아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닛(120)은 제1 콘(121), 제2 콘(122), 제3 콘(123) 및 배출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121)은 상기 탱크유닛(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콘(122)은 상기 제1 콘(12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3 콘(123)은 상기 제2 콘(12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콘(121) 내지 제3 콘(123)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4)는 상기 제3 콘(123)의 중앙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콘(121), 제2 콘(122) 및 제3 콘(123)은 상기 탱크유닛(110)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탱크유닛(110)의 하부 중앙에 단일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배출유닛(120)은 탱크유닛(110)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배출유닛(120)의 원콘형 형상으로 시멘트 등의 소재가 걸려서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120)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유닛이 단일개로 마련됨에 따라, 탱크유닛(110) 내부 경사도가 커져 탱크유닛(110) 내 소재를 모두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닛(110)은 알루미늄 소재로 마련되어 종래의 스틸(steel) 소재로 마련된 탱크보다 경량화 및 적재 용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130)은 상기 탱크유닛(110)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유닛(120)에 모아진 상기 소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가압부, 공압부(131) 및 분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콘(121) 및 상기 제2 콘(122)에 마련되어 상기 탱크유닛(110) 내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압부(131)는 상기 가압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탱크유닛(110) 내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출부(132)는 일단이 상기 배출구(124)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124)측에 모아진 소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출부(132)는 상기 공압부(131)에 의해 상기 탱크유닛(110) 내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개방되어 압력차로 인해 상기 탱크유닛(110) 내 소재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분사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분사유닛 및 공기공급유닛을 나타낸 상면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의 분사유닛의 캔버스 재질의 천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100)는 분사유닛(140) 및 공기공급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유닛(140)은 상기 배출유닛(120)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에 소재를 상기 배출구(124)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유닛(140)은 캔버스(141), 볼트(142), 분사홀(143) 및 진동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버스(141)는 상기 제1 콘(121) 및 상기 제2 콘(122)의 바닥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유닛(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탱크유닛(110)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캔버스(141)는 상기 볼트(142)에 의해 상기 제1 콘(121) 및 상기 제2 콘(122)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볼트(142)는 상기 캔버스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캔버스(141)를 통해 공기가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으로 공급될 때, 상기 캔버스(141)가 상기 배출유닛(1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홀(143)은 상기 캔버스(141) 또는 상기 캔버스(14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캔버스(141)의 천을 통해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으로 분사된 공기는 상기 배출유닛(120) 내측에 위치한 소재를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124)측으로 상기 소재가 더 잘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홀(143)은 상기 탱크유닛(110) 내의 소재를 분출할 때에만 공기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탱크유닛(110) 내의 소재를 분출하기 전인 상기 탱크유닛(110) 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분사유닛(140)은 상기 토출유닛(130)을 보조하여 상기 탱크유닛(110) 내 소재를 분출하기 위한 압력 값이 보다 신속하게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144)는 상기 배출유닛(120)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에 위치한 소재를 배출구(124)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탱크유닛(110) 및 배출유닛(120)은 알루미늄 소재로 마련되어 종래의 스틸(steel) 소재의 탱크보다 경량화되고 마찰력이 적어 소재가 상기 배출구(124)를 향해 더 잘 미끄러져 내려오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출유닛(120)은 종래의 스틸 소재의 탱크보다 진동부(144)에 의해 진동이 더 크게 발생하여 진동에 따른 소재의 이동 효과가 더 크다.
상기 공기공급유닛(150)은 상기 분사유닛(14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노즐(151) 및 제2 노즐(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151)은 상기 분사홀(143)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유닛(120)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노즐(151)은 상기 분사홀(143)을 통해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에 잔류한 소재를 분산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노즐(152)은 상기 진동부(144)와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144)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노즐(152)은 상기 진동부(144)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배출유닛(120)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분산된 소재를 상기 배출구(124)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151) 및 제2 노즐(152)은 각각 연결된 상기 분사홀(143) 및 상기 진동부(144)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더해, 공급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공급유닛(150)은 상기 분사유닛(140)에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하여 상기 배출유닛(120)측에 위치한 소재를 상기 배출구(124)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배출유닛(120)에 분사홀(143) 및 진동부(144)을 구비하여 배출유닛(120)에 잔여 소재가 남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토출유닛(130)의 상기 공압부(131)가 상기 가압부를 통해 상기 탱크유닛(1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탱크유닛(11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탱크유닛(110)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분출부(132)를 개방하여 상기 배출구(124)측에 위치한 상기 소재를 상기 분출부(132)를 통해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분사유닛(140), 상기 공기공급유닛(150) 을 작동시켜 상기 분출부(134)를 통해 상기 소재가 모두 배출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유닛(150)이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를 상기 분사유닛(140)에 주입하고, 분사유닛(140)은 공급된 공기를 상기 탱크유닛(110)의 내부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배출유닛(120)에 소재가 상기 배출구(124)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상기 진동부(144)는 상기 배출유닛(120)에 진동을 가해 상기 소재가 상기 배출구(124)측으로 더 신속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100)는 상기 탱크유닛(110) 내 소재가 모두 분출부(134)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배출유닛(120)이 타원형으로 구비된 특징과, 상기 배출유닛(120)에 마련된 분사유닛(140)에 의해 상기 탱크유닛(110)의 내부에 소재가 잔류하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출부(132)는 일단이 상기 배출유닛(120)의 상기 배출구(124)측에 위치하며, 인접한 위치에 상기 배출유닛(120)의 내측으로 공기가 계속 공급되는 분사유닛(140)이 마련되기 때문에 소재의 배출 효율이 더 높은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110: 탱크유닛 111: 제1 프레임
112: 제2 프레임 113: 제3 프레임
114: 지지부재 120: 배출유닛
121: 제1 콘 122: 제2 콘
123: 제3 콘 124: 배출구
130: 토출유닛 131: 공압부
132: 분출부 140: 분사유닛
141: 캔버스 142: 볼트
143: 분사홀 144: 진동부
150: 공기공급유닛 151: 제1 노즐
152: 제2 노즐

Claims (10)

  1. 내부에 소재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탱크유닛;
    상기 탱크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소재가 모아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배출유닛; 및
    상기 탱크유닛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유닛에 모아진 상기 소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토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유닛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탱크유닛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탱크유닛의 하부에 단일개로 마련되고,
    상기 배출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에 잔류한 소재를 상기 배출유닛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된 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배출유닛의 바닥면을 덮도록 마련된 캔버스; 및
    상기 캔버스에 마련되는 분사홀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홀은 상기 캔버스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분사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상기 캔버스의 천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유닛은,
    중앙에 마련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며, 양측이 상기 제2 프레임과 면접하도록 마련된 제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은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탱크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콘;
    상기 제1 콘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콘;
    상기 제2 콘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콘; 및
    상기 제3 콘의 중앙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콘, 제2 콘 및 제3 콘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는 상기 탱크유닛의 길이 방향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배출유닛측에 마련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배출유닛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에 위치한 소재를 배출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공기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유닛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 노즐; 및
    상기 진동부와 연결된 제2 노즐울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은 제공하는 공기의 압력이 제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은 상기 분사홀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배출유닛의 내측에 잔류한 소재를 분산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진동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배출유닛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재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제1 콘 및 상기 제2 콘에 공기를 공급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탱크유닛 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압부; 및
    일단이 상기 배출구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측에 모아진 소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KR1020180097302A 2018-08-21 2018-08-21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KR10197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02A KR101971667B1 (ko) 2018-08-21 2018-08-21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02A KR101971667B1 (ko) 2018-08-21 2018-08-21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667B1 true KR101971667B1 (ko) 2019-05-16

Family

ID=6667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02A KR101971667B1 (ko) 2018-08-21 2018-08-21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092B1 (ko) 2021-10-29 2022-04-27 주식회사 빅트레일러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의 조립식 프레임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474A (ja) * 1994-11-07 1996-05-28 Ishimaru Seisakusho:Kk 圧送加圧タンクと粉体定量圧送装置及び方法
JP4084714B2 (ja) * 2003-07-11 2008-04-30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粉粒体タンクのキャンバス取付構造
KR101760673B1 (ko) 2016-05-13 2017-08-16 (주)두성특장차 벌크 트레일러
KR101802818B1 (ko) * 2016-10-27 2017-12-04 우민기술(주)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474A (ja) * 1994-11-07 1996-05-28 Ishimaru Seisakusho:Kk 圧送加圧タンクと粉体定量圧送装置及び方法
JP4084714B2 (ja) * 2003-07-11 2008-04-30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粉粒体タンクのキャンバス取付構造
KR101760673B1 (ko) 2016-05-13 2017-08-16 (주)두성특장차 벌크 트레일러
KR101802818B1 (ko) * 2016-10-27 2017-12-04 우민기술(주)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092B1 (ko) 2021-10-29 2022-04-27 주식회사 빅트레일러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의 조립식 프레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212756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laden von Pulver aus einem Behälter
KR101971667B1 (ko) 원콘형 벌크 트레일러
JP5064845B2 (ja) ホッパー
KR101802818B1 (ko) 원료이송 트랜스퍼 탱크
KR101311200B1 (ko) 분체 정전 도장용 스프레이 건
CN110976168A (zh) 上粉系统
CN104339458A (zh) 混凝土骨料上料及储料系统
US11345538B2 (en) Air blaster
EP2196409B1 (de) Behälter für rieselfähiges Schüttgut mit mindestens einem an dem Behälter befestigten Auslaufkonus
JP4126270B2 (ja) 微小バイオマスの供給装置
JP5561990B2 (ja) ニューマチックアンローダの先端ノズル用荷役促進装置
JP6548424B2 (ja) 粉体混合機及び粉体混合方法
JPH05330652A (ja) 粉粒体の空気輸送装置
KR102128539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KR101659166B1 (ko) 소결기의 통기바 장치
JP4393205B2 (ja) ミキサ車
JP5775427B2 (ja) 流動化処理土の圧送方法
JP2556339Y2 (ja) 空気輸送装置
DE19538622C1 (de) Vorrichtung zum Dosieren und Fördern von pulvrigen und rieselfähigen Feststoffen
CN113000361B (zh) 一种烧结矿混合筛分方法及装置
CN111659308B (zh) 包括空气吹扫的粉体输送料斗
KR102585139B1 (ko) 벌크화물 하역을 위한 쉐이킹 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JP2000053187A (ja) 粉粒体運搬車
JP6835364B2 (ja) 粉体混合機及び粉体混合方法
KR102223647B1 (ko) 벌크 탱크 배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