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713B1 -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713B1
KR101801713B1 KR1020170078474A KR20170078474A KR101801713B1 KR 101801713 B1 KR101801713 B1 KR 101801713B1 KR 1020170078474 A KR1020170078474 A KR 1020170078474A KR 20170078474 A KR20170078474 A KR 20170078474A KR 101801713 B1 KR101801713 B1 KR 101801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veyor
discharge
un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석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메카테크시스템
정진석
김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카테크시스템, 정진석, 김상민 filed Critical (주)메카테크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07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oaking alone
    • B08B9/24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oaking alone and hav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8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suction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2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캔용기 개봉부 세척장치는, 컨베이어부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를 이송하는 용기이송부와, 컨베이어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를 홀딩하는 용기홀더부와, 용기공급라인과 용기이송부 사이에 설치되어 용기공급라인으로부터 캔용기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컨베이어부에 설치된 용기홀더부에 캔용기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용기투입부와, 용기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의 컬링부가 형성된 개봉부를 세척액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로 세척하는 용기세척부와, 용기배출라인과 용기이송부 사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용기세척부에서 세척된 캔용기가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캔용기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용기배출라인에 캔용기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용기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APPARATUS FOR CLEANING CAN BOTTLE}
본 발명은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커피와 같은 음료용 캔용기의 경우 알루미늄으로 용기를 제작하고 캔용기의 상단에 캔의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개봉부를 형성하고, 개봉부를 마개로 밀폐하게 된다.
또한, 캔용기의 개봉부에는 알루미늄을 절개한 개봉부의 끝단부를 외측으로 말아감는 형태로 컬링부를 형성함으로써, 캔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그런데, 캔용기의 개봉부 외측면과 컬링부의 끝단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이러한 틈에 먼지, 기름때 등 각종 오염물질이 끼게 되는데, 소비자는 이러한 사실을 모른 채 캔을 개봉하여 오염물질이 집적된 개봉부를 입에 접촉시키게 됨으로써, 개봉부의 컬링부에 집적된 오염물질과 함께 캔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하게 되므로 건강 및 위생 상으로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의 오염물질을 세척할 필요가 있는데, 다량의 캔용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척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므로 작용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1308호(2001.04.1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다수의 캔용기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세척조에서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를 초음파로 세척하여 컬링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는, 컨베이어부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를 이송하는 용기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를 홀딩하는 용기홀더부; 용기공급라인과 상기 용기이송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캔용기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된 상기 용기홀더부에 상기 캔용기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용기투입부; 상기 용기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의 컬링부가 형성된 개봉부를 세척액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로 세척하는 용기세척부; 및 용기배출라인과 상기 용기이송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용기세척부에서 세척된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캔용기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배출라인에 상기 캔용기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용기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홀더부는, 상기 캔용기의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홀더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몸체는 양측면부에 오목곡면부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홀더몸체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오목곡면부 사이에 상기 캔용기가 삽입되어 홀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몸체는 상기 오목곡면부의 상단부에 이탈방지돌기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오목곡면부에 삽입된 상기 캔용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투입부에서 상기 용기홀더부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의 회전경로에서 상기 홀더몸체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생긴 공간으로 상기 캔용기가 투입되고, 상기 컨베이어부가 회전경로에서 직선경로로 전환될 때 상기 홀더몸체들 사이가 좁아지면서 상기 캔용기를 홀딩하며,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홀더부에서 상기 용기배출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가 직선경로에서 회전경로로 전환될 때 상기 홀더몸체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상기 캔용기의 홀딩이 해제되면서 상기 캔용기가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투입부는, 상기 용기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투입홈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개구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용기투입몸체; 및 다수의 상기 투입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용기투입몸체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일렬로 이송 공급되어 상기 투입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용기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공급라인을 통해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상기 투입홈에 삽입된 후 상기 용기투입몸체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투입홈으로부터 상기 캔용기가 분리되면서 상기 용기홀더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배출부는, 상기 용기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배출홈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개구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용기배출몸체; 및 다수의 상기 배출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홈에 삽입된 다수의 상기 캔용기를 분리하여 일렬로 배출시키는 용기배출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배출홈에 삽입된 후 상기 용기배출몸체가 회전하고, 상기 배출홈으로부터 상기 캔용기가 분리되어 상기 용기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홈의 내측단부에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끼움홈에 석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배출부는, 다수의 상기 배출홈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상기 석션홀과 연결되도록 다수의 석션연결홀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석션파이프; 및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회전 시 다수의 상기 석션파이프의 회전반경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배출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다수의 상기 석션파이프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석션파이프에 석션을 제공하는 석션주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배출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용기배출몸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배출홈에 정렬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정렬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가이드부는, 상기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삽입되는 상기 배출홈과 인접하면서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자중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봉; 및 상기 회동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배출홈을 향해 돌출 연장되며, 상기 회동봉이 회전함에 따라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배출홈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다수의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가 다수의 상기 배출홈의 끼움홈에 각각 대응되게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정렬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세척부는, 상기 용기이송부의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세척액이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조; 및 상기 세척조의 내부 저면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세척액에 침수된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의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캔용기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소정 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이러한 이동 및 정지 동작을 반복하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간헐적인 기동을 통해 상기 캔용기가 이동할 때 보다 상기 캔용기가 정지할 때 초음파에 의한 상기 캔용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서로 다른 초음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발진기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초음파발진기는 상기 캔용기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는,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측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다수의 노즐이 온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를 세척 및 예열시키는 제 1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하측 컨베이어의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용기세척부에서 초음파로 세척된 후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다수의 노즐이 온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컬링부에 남아있는 이물질 및 세척액을 제거하는 제 2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캔용기 개봉부 세척장치에 따르면, 용기투입부가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를 용기이송부에 공급하고, 용기이송부의 컨베이어부가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를 무한궤도 형태로 이송하고,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캔용기의 개봉부를 세척조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세척함으로써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처럼 캔용기 컬링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용기배출부가 회전하면서 세척된 캔용기를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다수의 캔용기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세척조에서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를 초음파로 세척하여 컬링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연속적인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부가 회전하면서 캔용기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소정 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이러한 이동 및 정지 동작을 반복하는 컨베이어부의 간헐적인 기동을 통해 캔용기가 이동할 때 보다 캔용기가 정지할 때 초음파에 의한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의 이물질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알루미늄 캔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
도 5는 컨베이어부에 설치된 용기홀더부에 캔용기가 홀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용기홀더부의 사시도.
도 8은 용기홀더부의 (a)평면도, (b)정면도 및 (c)측면도.
도 9는 캔용기의 투입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용기투입부의 측면도.
도 10은 캔용기의 배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용기배출부의 측면도.
도 11은 용기배출부의 석션 구조를 나타낸 (a)사시도, (b)측면도 및 (c)확대도.
도 12는 용기배출부에 구비된 정렬가이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초음파발생부에 의한 캔용기의 세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초음파발생부의 초음파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캔용기의 세척 및 예열을 위한 제 1 노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캔용기의 이물질 및 세척액 제거를 위한 제 2 노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는 용기이송부(100), 용기홀더부(200), 용기투입부(300), 용기세척부(400) 및 용기배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이송부(100)는 컨베이어부(110)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10)를 이송하도록 지지프레임(101)에 설치된다. 즉, 용기이송부(100)의 컨베이어부(110)를 통해 다수의 캔용기(10)를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고, 후술할 세척조(410)에서 다수의 캔용기(10)를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11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궤도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로킷(120)에 걸려 서버모터(130)에 의해 스프로킷(120)이 회전함에 따라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10)를 이송시킨다. 컨베이어부(110)는 스프로킷(120)을 기준으로 상측 컨베이어(111)와 하측 컨베이어(112)로 이루어지며, 하측 컨베이어(112)는 한 쌍의 아이들기어(140)에 의해 지지되어 후술하는 세척조(410)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컨베이어부(110)는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컨베이어판(114)이 다수개 연결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부(110)는 공지된 구성으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기홀더부(200)는 컨베이어부(110)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10)를 홀딩한다.
용기홀더부(200)는 캔용기(10)의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컨베이어부(110)의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홀더몸체(210)를 포함하며, 다수의 홀더몸체(210)는 다수의 컨베이어판(114)에 각각 고정되어 컨베이어부(110)의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용기홀더부(200)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용기투입부(300)는 용기공급라인(320)과 용기이송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용기공급라인(320)으로부터 캔용기(10)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컨베이어부(110)에 설치된 용기홀더부(200)에 캔용기(10)를 연속적으로 투입한다. 용기투입부(300)는 용기투입몸체(310) 및 용기공급라인(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용기투입부(300)의 구성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용기세척부(400)는 용기이송부(100)의 하측 컨베이어(112) 하부에 컨베이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10)의 컬링부(12)가 형성된 개봉부(11)를 세척액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로 세척하여 컬링부(12)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용기세척부(400)는 세척조(410) 및 초음파발생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용기세척부(400)의 구성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용기배출부(500)는 용기배출라인(520)과 용기이송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면서 용기세척부(400)에서 세척된 캔용기(10)가 용기홀더부(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캔용기(10)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용기배출라인(520)에 캔용기(10)를 연속적으로 배출한다. 용기배출부(500)는 용기배출몸체(510) 및 용기배출라인(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용기배출부(500)의 구성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컨베이어부에 설치된 용기홀더부에 캔용기가 홀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용기홀더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용기홀더부의 (a)평면도, (b)정면도 및 (c)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홀더부(200)는 컨베이어부(110)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10)를 홀딩한다.
용기홀더부(200)는 캔용기(10)의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컨베이어부(110)의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다수의 컨베이어판(114)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홀더몸체(210)를 포함한다.
홀더몸체(210)는 다수의 캔용기(10)가 일렬로 정렬된 상태에서 각각의 캔용기(10)를 홀딩할 수 있도록 홀더몸체(210)의 양측면부에 오목곡면부(211)가 다수 개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웃하는 두 개의 홀더몸체(210)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오목곡면부(211) 사이에 캔용기(10)가 삽입되어 홀딩될 수 있다.
또한, 홀더몸체(210)는 하단 중심에 컨베이어판(114)의 고정핀(115)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213)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몸체(210)는 오목곡면부(211)의 상단부에 이탈방지돌기(220)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홀더몸체(210)의 오목곡면부(211)에 삽입된 캔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몸체(210)의 상단부 양측으로 이탈방지돌기(220)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탈방지돌기(220)의 일측을 타측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홀더몸체(210) 사이 간격이 좁아져 홀딩될 때 캔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한 쌍의 홀더몸체(21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때 홀더몸체(210)로부터 캔용기(10)의 분리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캔용기의 투입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용기투입부의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투입부(300)는 용기공급라인(320)과 용기이송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용기공급라인(320)으로부터 다수의 캔용기(10)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컨베이어부(110)에 설치된 용기홀더부(200)에 다수의 캔용기(10)를 연속적으로 투입한다.
용기투입부(300)는 용기투입몸체(310) 및 용기공급라인(32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투입몸체(310)는 용기이송부(100)의 일측 스프라켓(120)에 회전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부(110)의 상측에 이격되게 위치하며, 용기이송부(1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1)의 일측에 컨베이어부(110)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기투입몸체(310)는 서버모터(330)에 의해 회전하되, 컨베이어부(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예컨대 도 9와 같이 컨베이어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용기투입몸체(3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용기투입몸체(3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투입홈(311)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개구되고 용기투입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용기공급라인(320)으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캔용기(10)가 투입홈(311)에 일렬로 정렬되어 다수 개가 투입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캔용기(10)는 개봉부(11)가 투입홈(311)의 안쪽을 항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투입몸체(310)의 외주면에 투입홈(311)이 8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8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게 형성할 수 있으며, 투입홈(311)의 개수에 따라 용기투입몸체(310)의 회전속도와 컨베이어부(1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회전하는 용기투입몸체(310)로부터 컨베이어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홀더부(200)에 캔용기(10)가 삽입되어 홀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용기공급라인(320)은 다수의 투입홈(31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용기투입몸체(310)의 외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용기투입몸체(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캔용기(10)가 일렬로 이송 공급되어 투입홈(31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용기공급라인(320)은 다수의 캔용기(10)를 용기투입몸체(310)의 투입홈(311)에 일렬로 이송할 수 있도록 리니어 타입의 공급컨베이어(321)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투입부(300)는 용기공급라인(320)을 통해 다수의 캔용기(10)가 용기투입몸체(310)의 투입홈(311)에 삽입된 후 서버모터(330)에 의해 용기투입몸체(31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고, 예컨대 투입홈(311)이 8개일 경우 용기투입몸체(310)는 반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만큼 회전하고, 이렇게 일정 각도로 회전한 투입홈(311)으로부터 캔용기(10)가 분리되면서 용기홀더부(200)로 투입된다.
이때, 캔용기(10)가 용기투입부(300)에서 용기홀더부(200)로 투입되는 경우, 컨베이어부(110)의 회전경로에서 홀더몸체(210)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생긴 공간으로 캔용기(10)가 투입되고, 컨베이어부(110)가 회전경로에서 직선경로로 전환될 때 홀더몸체(210)들 사이가 좁아지면서 캔용기(10)를 홀딩하게 된다.
도 10은 캔용기의 배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용기배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배출부(500)는 용기배출라인(520)과 용기이송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면서 용기세척부(400)에서 세척된 다수의 캔용기(10)가 용기홀더부(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다수의 캔용기(10)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용기배출라인(520)에 다수의 캔용기(10)를 연속적으로 배출한다.
용기배출부(500)는 용기배출몸체(510) 및 용기배출라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배출몸체(510)는 용기이송부(100)의 일측 스프라켓(120)에 회전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부(110)의 하측에 이격되게 위치하며, 용기이송부(1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1)의 타측에 컨베이어부(110)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기배출몸체(510)는 서버모터(530)에 의해 회전하되, 컨베이어부(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예컨대, 도 10과 같이 컨베이어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용기배출몸체(5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용기배출몸체(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배출홈(511)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개구되고 용기배출몸체(5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면서 용기홀더부(200)로부터 분리된 후 배출되는 다수의 캔용기(10)가 배출홈(511)에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삽입된다. 이때, 다수의 캔용기(10)는 개봉부(11)가 배출홈(511)의 안쪽을 항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배출몸체(510)의 외주면에 배출홈(511)이 8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8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배출홈(511)의 개수에 따라 용기배출몸체(510)의 회전속도와 컨베이어부(1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회전 이동하는 컨베이어부(110)와 함께 이동하는 용기홀더부(200)로부터 캔용기(10)가 분리되면서 회전하는 용기배출몸체(510)에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용기배출라인(520)은 다수의 배출홈(51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용기배출몸체(510)의 외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용기배출몸체(5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용기배출몸체(510)가 회전하여 배출홈(511)에 삽입된 다수의 캔용기(10)가 용기배출라인(520) 상에 위치하게 될 때 배출홈(511)에 삽입된 다수의 캔용기(10)를 분리하여 일렬로 배출시킨다. 이때, 용기배출라인(520)에는 석션부(미도시)가 설치되어 다수의 캔용기(10)를 하부에서 석션함으로써 다수의 갠용기(10)를 용기배출몸체(510)의 배출홈(511)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다수의 캔용기(10)가 용기배출라인(520) 상에서 넘어지지 않으면서 안정되게 안착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용기배출라인(520)은 다수의 캔용기(10)를 일렬로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리니어 타입의 배출컨베이어(521)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배출부(500)는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캔용기(10)가 용기홀더부(200)로부터 분리되면서 배출홈(511)에 삽입된다. 이때, 캔용기(10)가 용기홀더부(200)에서 용기배출부(500)로 배출되는 경우, 컨베이어부(110)가 직선경로에서 회전경로로 전환될 때 홀더몸체(210)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다수의 캔용기(10)의 홀딩이 해제되면서 다수의 캔용기(10)가 홀더몸체(210)로부터 분리된다.
용기홀더부(200)로부터 다수의 캔용기(10)가 분리되어 용기배출몸체(510)의 배출홈(511)에 삽입된 후 용기배출몸체(510)가 회전하고, 예컨대 배출홈(511)이 8개일 경우 용기배출몸체(510)는 반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씩 차례로 회전하고, 배출홈(511)에 삽입된 캔용기(10)가 용기배출라인(520) 상에 위치할 때, 배출홈(511)으로부터 다수의 캔용기(10)가 분리되어 용기배출라인(520)을 통해 배출된다.
도 11은 용기배출부의 석션 구조를 나타낸 (a)사시도, (b)측면도 및 (c)확대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배출부(500)는 용기배출몸체(510)의 각각의 배출홈(511) 내측단부에 캔용기(10)의 개봉부(11)가 끼워지는 끼움홈(512)이 용기배출몸체(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끼움홈(512)에 석션홀(513)이 형성된다.
용기배출부(500)는 석션파이프(540) 및 석션주입관(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석션파이프(540)는 용기배출몸체(5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다수의 배출홈(511)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용기배출몸체(510)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된다. 이러한 석션파이프(540)는 중공의 원형관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용기배출몸체(510)의 양측 원형판(515)에 각각 고정된다. 각각의 석션파이프(540)에는 다수의 석션홀(513)과 연결되도록 다수의 석션연결홀(54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석션주입관(550)은 용기배출몸체(510)의 회전 시 다수의 석션파이프(540)의 회전반경 상에 위치하도록 용기배출몸체(5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용기배출몸체(510)가 회전함에 따라 다수의 석션파이프(54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석션파이프(540)에 석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용기홀더부(200)로부터 분리된 캔용기(10)가 용기배출몸체(510)의 배출홈(511)에 삽입될 때 석션파이프(540)를 통해 배출홈(511)에 석션을 제공함으로써 캔용기(10)가 배출홈(511)으로 삽입이 되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캔용기(10)의 개봉부(11)가 끼움홈(51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용기배출부에 구비된 정렬가이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배출부(500)는 컨베이어부(110)와 용기배출몸체(510) 사이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면서 용기홀더부(200)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캔용기(10)가 용기배출몸체(510)의 배출홈(511)에 정렬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정렬가이드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가이드부(560)는 회동봉(561) 및 정렬핀(563)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봉(561)은 용기홀더부(200)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캔용기(10)가 삽입되는 배출홈(511)과 인접하면서 용기배출몸체(5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지지프레임(101)에 자중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정렬핀(563)은 회동봉(5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고, 용기배출몸체(510)의 배출홈(511)을 향해 돌출 연장되며, 회동봉(561)이 회전함에 따라 다수의 캔용기(10)가 용기배출몸체(510)의 배출홈(511)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다수의 캔용기(10)의 개봉부(11)가 다수의 배출홈(511)의 끼움홈(512)에 각각 대응되게 정렬되도록 가이드한다.
도 13은 초음파발생부에 의한 캔용기의 세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세척부(400)는 용기이송부(100)의 컨베이어부(110)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10)의 컬링부(12)가 형성된 개봉부(11)를 세척액(3)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로 세척한다.
용기세척부(400)는 세척조(410) 및 초음파발생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410)는 용기이송부(100)의 하부에 컨베이어부(110)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세척액(3)이 내부에 저장된다. 세척액(3)은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맑은물 정제수를 사용하고 60~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척조(410)는 외부로 순환배관이 연결되고 순환배관 상에 필터부와 가열부를 구비하여 세척조(410)의 세척액(3)을 순환배관을 통해 외부로 순환시키면서 필터부를 통해 세척액(3) 내의 이물질을 정제하고 가열부를 통해 세척액(3)을 가열하여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60~80℃의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초음파발생부(420)는 세척조(410)의 내부 저면에 컨베이어부(1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며, 세척액(3)에 침수된 상태에서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10)의 개봉부(11)에 형성된 컬링부(12)의 이물질(1)을 세척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이때,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28 ~40Khz의 초음파를 사용하며, 컬링부(12)가 형성된 캔용기(10)의 개봉부(11)를 20~80mm 깊이로 침수한 상태에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이송부(100)는 컨베이어부(110)가 회전하면서 캔용기(10)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소정 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이러한 이동 및 정지 동작, 예컨대, 컨베이어부(110)는 1초 이동 후 2초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적인 기동을 통해 캔용기(10)의 이송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컨베이어부(110)의 간헐적인 기동을 통해 캔용기(10)가 이동할 때 보다 캔용기(10)가 정지할 때 초음파에 의한 캔용기(10)의 개봉부(11)에 형성된 컬링부(12)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4는 초음파발생부의 초음파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발생부(420)는 세척조(410)의 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다수의 초음파플레이트(421)와, 각각의 초음파플레이트(421)에 서로 다른 초음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발진기(4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초음파발진기(423)는 캔용기(10)의 이송방향(A방향)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배치하고, 서로 다른 초음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진기(423)를 교번적으로 배치한다.
예를 들어, 28Khz 초음파발진기(423a)와 40Khz 초음파발진기(423b)를 캔용기(10)의 이송방향(A방향)에 대하여 경사방향(B방향)으로 각각 배치하고, 28Khz 초음파발진기(423a)와 40Khz 초음파발진기(423b)를 교번적으로 반복 배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8Khz 초음파발진기(423a)와 40Khz 초음파발진기(423b)가 캔용기(10)의 이송방향(A방향)에 대하여 경사방향(B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다른 초음파주파수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므로 다수의 캔용기(10)가 세척조(410)에 침수된 상태에서 이동 시 28Khz 초음파발진기(423a)와 40Khz 초음파발진기(423b)를 동시에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캔용기(10)의 개봉부(11)에 형성된 컬링부(12)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28Khz와 40Khz 각각의 초음파로 동시에 세척함으로써, 컬링부(12)의 이물질(1)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5는 캔용기의 세척 및 예열을 위한 제 1 노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용기 개봉부 세척장치는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부(110)의 상측 컨베이어(111)의 상부에 컨베이어부(1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10)의 개봉부(11)에 형성된 컬링부(12)에 다수의 노즐이 온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캔용기(10)의 개봉부(11)를 세척함과 동시에 세척조(410)를 통한 세척과정 이전에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압온수로 컬링부(12)를 미리 예열시키는 제 1 노즐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노즐부(610)는 캔용기(10)의 높이 차이에 따라 승강부(미도시)를 통해 노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노즐의 구성은 통상의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측 컨베이어(111) 하부에는 제 1 노즐부(6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받침판(미도시)이 설치되며, 제 1 노즐부(610)에서 고압온수가 분사되어 캔용기(10)를 세척한 후 고압온수에 이물질이 섞일 수 있으므로 제 1 노즐부(610)에 의한 세척과정에서 고압온수를 받침판에서 받아 세척조(410) 내의 세척액(3)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캔용기의 이물질 및 세척액 제거를 위한 제 2 노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용기 개봉부 세척장치는 컨베이어부(110)의 하측 컨베이어(112)의 하부에 컨베이어부(1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용기세척부(400)에서 초음파로 세척된 후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캔용기(10)의 개봉부(11)에 형성된 컬링부(12)에 다수의 노즐이 온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컬링부(12)에 남아있는 이물질(1) 및 세척액(3)을 제거하는 제 2 노즐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노즐부(620)는 캔용기(10)의 높이 차이에 따라 승강부(미도시)를 통해 노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노즐의 구성은 통상의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캔용기 개봉부 세척장치에 따르면, 용기투입부(300)가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10)를 용기이송부(100)에 공급하고, 용기이송부(100)의 컨베이어부(110)가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10)를 무한궤도 형태로 이송하고, 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캔용기(10)의 개봉부(11)를 세척조(410)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세척함으로써 캔용기(10)의 개봉부(11)에 형성된 컬링부(12)에 잔존하는 이물질(1)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처럼 캔용기 컬링부(12)의 이물질(1)을 제거한 후, 용기배출부(500)가 회전하면서 세척된 캔용기(10)를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베이어부(110)를 이용하여 다수의 캔용기(10)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세척조(410)에서 캔용기(10)의 개봉부(11)에 형성된 컬링부(12)를 초음파로 세척하여 컬링부(12)에 잔존하는 이물질(1)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연속적인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부(110)가 회전하면서 캔용기(10)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소정 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이러한 이동 및 정지 동작을 반복하는 컨베이어부(110)의 간헐적인 기동을 통해 캔용기(10)가 이동할 때 보다 캔용기(10)가 정지할 때 초음파에 의한 캔용기(10)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용기이송부 110 : 컨베이어부
200 : 용기홀더부 210 : 홀더몸체
211 : 오목곡면부 220 : 이탈방지돌기
300 : 용기투입부 310 : 용기투입몸체
311 : 투입홈 320 : 용기공급라인
400 : 용기세척부 410 : 세척조
420 : 초음파발생부 421 : 초음파플레이트
423 : 초음파발진기 500 : 용기배출부
510 : 용기배출몸체 511 : 배출홈
512 : 끼움홈 513 : 석션홀
520 : 용기배출라인 540 : 석션파이프
541 : 석션연결홀 550 : 석션주입관
560 : 정렬가이드부 561 : 회동봉
563 : 정렬핀 610 : 제 1 노즐부
620 : 제 2 노즐부

Claims (15)

  1. 컨베이어부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다수의 캔용기를 이송하는 용기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를 홀딩하는 용기홀더부;
    용기공급라인과 상기 용기이송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캔용기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된 상기 용기홀더부에 상기 캔용기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용기투입부;
    상기 용기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의 컬링부가 형성된 개봉부를 세척액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로 세척하는 용기세척부; 및
    용기배출라인과 상기 용기이송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용기세척부에서 세척된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캔용기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배출라인에 상기 캔용기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용기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홀더부는,
    상기 캔용기의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홀더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몸체는 양측면부에 오목곡면부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홀더몸체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오목곡면부 사이에 상기 캔용기가 삽입되어 홀딩되고,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투입부에서 상기 용기홀더부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의 회전경로에서 상기 홀더몸체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생긴 공간으로 상기 캔용기가 투입되고, 상기 컨베이어부가 회전경로에서 직선경로로 전환될 때 상기 홀더몸체들 사이가 좁아지면서 상기 캔용기를 홀딩하며,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홀더부에서 상기 용기배출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가 직선경로에서 회전경로로 전환될 때 상기 홀더몸체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상기 캔용기의 홀딩이 해제되면서 상기 캔용기가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는 상기 오목곡면부의 상단부에 이탈방지돌기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오목곡면부에 삽입된 상기 캔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투입부는,
    상기 용기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투입홈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개구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용기투입몸체; 및
    다수의 상기 투입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용기투입몸체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일렬로 이송 공급되어 상기 투입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용기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공급라인을 통해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상기 투입홈에 삽입된 후 상기 용기투입몸체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투입홈으로부터 상기 캔용기가 분리되면서 상기 용기홀더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배출부는,
    상기 용기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배출홈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개구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용기배출몸체; 및
    다수의 상기 배출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홈에 삽입된 다수의 상기 캔용기를 분리하여 일렬로 배출시키는 용기배출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배출홈에 삽입된 후 상기 용기배출몸체가 회전하고, 상기 배출홈으로부터 상기 캔용기가 분리되어 상기 용기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의 내측단부에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끼움홈에 석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배출부는,
    다수의 상기 배출홈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상기 석션홀과 연결되도록 다수의 석션연결홀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석션파이프; 및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회전 시 다수의 상기 석션파이프의 회전반경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배출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다수의 상기 석션파이프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석션파이프에 석션을 제공하는 석션주입관;을 포함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배출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용기배출몸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배출홈에 정렬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정렬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가이드부는,
    상기 용기홀더부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삽입되는 상기 배출홈과 인접하면서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자중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봉; 및
    상기 회동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배출홈을 향해 돌출 연장되며, 상기 회동봉이 회전함에 따라 다수의 상기 캔용기가 상기 용기배출몸체의 배출홈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다수의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가 다수의 상기 배출홈의 끼움홈에 각각 대응되게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정렬핀;을 포함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세척부는,
    상기 용기이송부의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세척액이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조; 및
    상기 세척조의 내부 저면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세척액에 침수된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의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를 포함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캔용기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소정 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이러한 이동 및 정지 동작을 반복하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간헐적인 기동을 통해 상기 캔용기가 이동할 때 보다 상기 캔용기가 정지할 때 초음파에 의한 상기 캔용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서로 다른 초음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발진기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초음파발진기는 상기 캔용기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는,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측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다수의 노즐이 온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를 세척 및 예열시키는 제 1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하측 컨베이어의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용기세척부에서 초음파로 세척된 후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캔용기의 개봉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다수의 노즐이 온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컬링부에 남아있는 이물질 및 세척액을 제거하는 제 2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KR1020170078474A 2017-06-21 2017-06-21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KR101801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74A KR101801713B1 (ko) 2017-06-21 2017-06-21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74A KR101801713B1 (ko) 2017-06-21 2017-06-21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13B1 true KR101801713B1 (ko) 2017-11-27

Family

ID=6081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474A KR101801713B1 (ko) 2017-06-21 2017-06-21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47B1 (ko) * 2018-07-27 2019-06-05 양현정 원형 전지 세정기의 물류방법
KR102009114B1 (ko) * 2018-07-27 2019-08-09 (주)클레슨 원형 전지 세정기
CN112246775A (zh) * 2020-10-05 2021-01-22 锐视(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合金棒材清洗及风干装置
CN114392979A (zh) * 2021-12-25 2022-04-26 成都智易瓴科技有限公司 一种配药框清洗机
CN115722482A (zh) * 2022-12-22 2023-03-03 浙江乔老爷铝业有限公司 一种铝型材全自动加工生产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53Y1 (ko) 2004-01-14 2004-03-30 김영구 용기 자동 세척장치
KR100954854B1 (ko) 2009-11-26 2010-04-26 (주)맥스파워비앤시 재사용을 위한 유리병의 입구에 부착된 녹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53Y1 (ko) 2004-01-14 2004-03-30 김영구 용기 자동 세척장치
KR100954854B1 (ko) 2009-11-26 2010-04-26 (주)맥스파워비앤시 재사용을 위한 유리병의 입구에 부착된 녹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47B1 (ko) * 2018-07-27 2019-06-05 양현정 원형 전지 세정기의 물류방법
KR102009114B1 (ko) * 2018-07-27 2019-08-09 (주)클레슨 원형 전지 세정기
CN112246775A (zh) * 2020-10-05 2021-01-22 锐视(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合金棒材清洗及风干装置
CN112246775B (zh) * 2020-10-05 2022-04-12 锐视(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合金棒材清洗及风干装置
CN114392979A (zh) * 2021-12-25 2022-04-26 成都智易瓴科技有限公司 一种配药框清洗机
CN114392979B (zh) * 2021-12-25 2024-05-17 成都智易瓴科技有限公司 一种配药框清洗机
CN115722482A (zh) * 2022-12-22 2023-03-03 浙江乔老爷铝业有限公司 一种铝型材全自动加工生产线
CN115722482B (zh) * 2022-12-22 2023-10-17 浙江乔老爷铝业有限公司 一种铝型材全自动加工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713B1 (ko) 캔용기의 개봉부 세척장치
US4803055A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containers
JP5331676B2 (ja) ボトル又はそれと同等の容器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RU25379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озлива или расфасовки компонентов в емкости
JP6061709B2 (ja) 容器洗浄装置
US4590734A (en) Packaging machine
KR101461421B1 (ko) 음료 자동주입 포장설비
KR100424433B1 (ko) 용기 세척장치
JP7328521B2 (ja) 容器洗浄装置
CN101507966B (zh) 容器清洁组件
JP4366637B2 (ja) 容器の洗浄・水切り方法および装置
US1761492A (en) Bottle-washing machine
JP2001000940A (ja) びん内異物除去装置
JP2001293447A (ja) 容器の洗浄・水切り・乾燥装置
KR100496350B1 (ko) 파이프의 도장장치
US2199459A (en) Apparatus for cleaning bottles
JP4092628B2 (ja) 連続無菌包装装置
KR20110000218U (ko) 제품용기 청소장치
JP2004261439A (ja) 皿洗浄装置
JP2005112591A (ja) 廃液回収装置及びコンベア装置
JPH02152633A (ja) 容器の殺菌装置
US1216496A (en) Bottle-washing machine.
JPH0829771B2 (ja) 無菌充填装置
JP4173164B2 (ja) 自動搬送型のタンブリング装置
JP2022038748A (ja) 容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