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372B1 -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1372B1 KR101801372B1 KR1020110045058A KR20110045058A KR101801372B1 KR 101801372 B1 KR101801372 B1 KR 101801372B1 KR 1020110045058 A KR1020110045058 A KR 1020110045058A KR 20110045058 A KR20110045058 A KR 20110045058A KR 101801372 B1 KR101801372 B1 KR 1018013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n shaft
- friction plate
- driven
- shaft
- driven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 A01D75/182—Avoiding overloa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0—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 A01D75/206—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for mowers carried by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잡초나 잔디의 절단을 위한 절단날(24)에 돌, 지면, 굵은 나뭇가지 등이 걸려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상기 절단날(24)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14)에는 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절단날(24)이 설치되는 종동축(22)에 종동기어(30)가 일정 거리 종동축(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30)는 탄성부재(36)에 의해 상기 종동축(22)에 고정된 고정핀(26) 방향으로 밀려진다. 상기 종동기어(30)의 일측 표면에는 상기 고정핀(26)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캠홈(34)이 구비됨 연동캠(32)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캠(32)은 상기 캠홈(34)을 제외한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날(24)에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구동원(14)은 계속적으로 동작될 수 있어, 구동원(14)이나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구동원(14)과 배터리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기의 구동원에서 절단날로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서 절단날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구동원의 구동력이 절단날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 밭 등의 두렁에 생장하는 잡초는 해충의 온상이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일년에 수차례 절단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묘소나 정원의 잔디밭은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자라지 않도록 그때 그때 절단하게 된다.
하지만, 잔디나 잡초의 절단은 통상적으로 매우 힘든 작업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예초기가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다. 예초기는 절단날을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회전시켜 잔디나 잡초를 절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절단날이 잔디나 잡초에 숨어 있는 돌, 굵은 나무, 지면 등에 부딪히게 되면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고 있기는 하지만 절단날이 회전되지 않게 되어 구동원에 큰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원에 부하가 작용하게 되면 구동원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특히, 절단날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 상기 절단날이 정지하면 상기 구동원도 함께 정지하는데, 부하가 제거되면 상기 구동원이 다시 회전하게 된다. 구동원인 모터는 정지되었다가 다시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초기 구동력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큰 초기 구동력은 큰 전류를 필요하게 하여 배터리와 구동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날에 과부하가 걸려 회전되지 않더라도 구동원은 계속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하우징에 설치된 구동원의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본체하우징에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절단날이 구비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상기 종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고 상기 종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이 안착되는 캠홈이 형성된 연동캠이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 방향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지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축의 외면을 둘러서는 지지플랜지와 스톱퍼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랜지와 스톱퍼의 사이 구간에서 상기 종동기어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종동축을 관통하여 양단이 종동축의 외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캠홈은 상기 고정핀의 양단이 위치되도록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동캠은 상기 캠홈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하우징에 설치된 구동원의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본체하우징에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절단날이 구비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마찰판과, 상기 종동축에 종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마찰판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2마찰판과,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과의 마찰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종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고 상기 종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종동축의 일측 외면을 둘러 형성된 스톱퍼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마찰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2마찰판이 상기 종동기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1마찰판의 배면에는 상기 종동축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핀이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초기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절단날로 전달하는 경로상에 구비되는 부품 사이가 절단날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슬립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날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구동원은 계속하여 회전되지만 절단날은 정지하도록 하고 과부하가 제거됨과 동시에 구동원의 구동력이 다시 절단날로 전달되도록 하므로 구동원 및 배터리에 과부하가 주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구동원과 배터리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되는 예초기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원에 의해 절단날이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원의 구동력이 절단날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원에 의해 절단날이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원의 구동력이 절단날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하우징(10)의 일측에서 조작로드(12)가 연장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단부가 개방되고 타단부는 막혀 있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된다. 물론, 상기 본체하우징(1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단부가 개방되고 타단부가 막혀 있는 사각통형상으로도 될 수 있다.
상기 본체하우징(10)에서 연장된 조작로드(12)는 작업자가 예초기를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조작로드(12)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 그 일측 또는 끝부분에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등의 구동원의 동작을 위한 동력원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로드(12)의 끝부분이나 그에 인접하여서는 작업자가 조작로드(12)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있다.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는 구동원(14)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14)은 예를 들면,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14)은 모터인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14)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선단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동축(16)이 있다. 상기 구동축(16)은 상기 구동원(14)이 동작되면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16)에는 구동기어(18)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기어(18)는 평기어가 사용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선단에는 안전커버(20)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커버(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절단날(24)에 의해 돌멩이 등이 작업자 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전커버(20)는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선단 전체를 둘러 있을 필요는 없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로드(12)가 연장되는 쪽, 즉 작업자가 있는 쪽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0)에는 상기 구동원(1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종동축(22)이 설치된다. 상기 종동축(22)은 상기 구동원(14)의 구동축(16)과 각각 그 가상의 연장선이 나란히 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본체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종동축(22)의 끝부분에는 절단날(24)이 설치된다. 상기 절단날(24)은 그 중심이 상기 종동축(22)과 동심이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22)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종동축(22)의 일측 외면을 둘러서는 지지플랜지(2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랜지(25)는 아래에서 설명될 종동기어(30)의 일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플랜지(25)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26)이 아래에서 설명될 캠홈(34)에 안착되었을 때, 종동기어(30)의 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동축(22)을 횡으로 관통하여서는 고정핀(26)이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플랜지(25)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26)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26)은 상기 종동축(22)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축(22)을 횡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상기 종동축(2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종동축(22)에는 상기 고정핀(26)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스톱퍼(28)가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28)는 상기 종동축(22)의 외면을 둘러 소정 폭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28)나 상기 지지플랜지(25)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종동축(22)과 별개로 만들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톱퍼(28)와 지지플랜지(25)의 사이로 아래에서 설명될 종동기어(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종동기어(30)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부분을 상기 스톱퍼(28)나 지지플랜지(25)보다 직경이 크게 하고 상기 고정핀(26)을 사용하여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톱퍼(28)와 고정핀(26)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종동축(22)에는 종동기어(30)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30)는 상기 종동축(22)과 일체로 또는 별개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종동기어(30)의 일측 표면에는 연동캠(32)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캠(32)에 의해 캠홈(34)이 다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캠홈(34)에는 상기 고정핀(26)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캠홈(34)에 상기 고정핀(26)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종동기어(30)와 상기 종동축(22)이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핀(26)이 상기 캠홈(34)에서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상기 종동기어(30)가 상기 종동축(22)과 별개로 회전된다. 상기 캠홈(34)은 상기 고정핀(26)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캠(32)에 고정핀(26)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이 되게 형성된다. 상기 캠홈(34)은 180도 간격으로 2개 또는 90도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캠(32)은 상기 캠홈(34)을 제외한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종동기어(30)와 상기 스톱퍼(28)의 사이에는 탄성부재(36)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36)는 상기 종동기어(30)가 상기 고정핀(26)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탄성부재(36)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30)는 상기 고정핀(26) 방향으로 이동하여 있고, 상기 고정핀(26)이 상기 종동기어(30)의 캠홈(34)에 안착되면 상기 종동기어(30)와 종동축(22)이 함께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30)는 상기 종동축(2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36)가 압축되는 정도만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동기어(30)와 구동기어(18)가 항상 맞물려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동기어(30)의 두께가 상기 구동기어(18)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종동기어(30)가 상기 종동축(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는 상기 캠홈(34)의 깊이 정도가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것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요지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동축(122)의 고정핀(126)과 스톱퍼(128)의 사이에 종동기어(130)가 종동축(1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상기 종동기어(130)의 양측 표면에 각각 제1 및 제2 마찰판(129,129')이 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마찰판(129)은 상기 고정핀(126)이 구비된 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122)과 항상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제1마찰판(129)은 지지플랜지(125)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마찰판(129')은 상기 스톱퍼(128)와의 사이에 탄성부재(13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130)에 밀착된다. 상기 제2마찰판(129')은 상기 탄성부재(136)의 일단에 연결되어 고정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2마찰판(129')은 상기 종동축(122)에 대해서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지만, 회전되지는 않는 것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탄성부재(13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마찰판(129')과 종동기어(130)가 상기 고정핀(126)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마찰판(129)과 제2마찰판(129')이 상기 종동기어(130)의 양측 표면에 밀착되어 이들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129,129')은 표면의 마찰력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129,129')은 각각 상기 종동기어(130)의 표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종동기어(130)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129,129')이 상기 종동기어(130)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조작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 상기 구동원(14)을 동작시키면, 상기 구동축(16)이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8)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18)는 평상시에 상기 종동기어(30)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8)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30)는 상기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핀(26)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26)이 상기 종동기어(30)의 캠홈(34)에 안착되어 있게 되면 상기 고정핀(26)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고정핀(26)은 상기 종동축(2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핀(26)이 회전되면 상기 종동축(22)이 함께 회전된다.
상기 종동축(22)이 회전되면 상기 절단날(24)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절단날(24)의 회전에 의해 잡초나 잔디 등이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절단날(24)의 회전에 의해 절단작업을 진행하다가 상기 절단날(24)이 돌, 지면, 굵은 나뭇가지 등에 걸리게 되면 상기 절단날(24)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절단날(24)이 장애물에 의해 회전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상기 구동원(14)은 계속하여 동작을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8)와 맞물려 회전되는 종동기어(30)는 상기 종동축(22)과 별개로 회전되려 한다. 이는 상기 종동기어(30)가 상기 종동축(22)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별개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날(24)에 부하가 걸려 있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원(14)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8)가 회전되면서 상기 종동기어(30)가 회전되는데, 상기 종동기어(30)가 계속하여 회전하려 함에 의해 상기 고정핀(26)은 상기 캠홈(34)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즉, 상기 종동기어(30)가 상기 탄성부재(36)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스톱퍼(28)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홈(34)에서 상기 종동기어(30)가 빠져나가 다음 번 캠홈(34)을 만날 때까지 상기 종동기어(30)가 상기 종동축(22)에 대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동기어(30)가 상기 종동축(22), 즉 절단날(24)과 별개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원(14)에는 상기 절단날(24)의 부하가 작용하지 않게 되어 원활한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단날(24)에 작용하던 부하가 없어지고, 상기 종동기어(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핀(26)이 상기 캠홈(34)을 만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36)가 상기 종동기어(30)를 미는 힘에 의해 다시 상기 캠홈(34)에 상기 고정핀(26)이 들어가 상기 고정핀(26)과 종동기어(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절단날(24)이 상기 종동축(22)과 함께 회전하면서 다시 절단날(24)에 의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원(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8)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18)와 맞물려 있는 상기 종동기어(130)가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130)의 회전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종동기어(130)와 제1 및 제2 마찰판(129,129')가 함께 회전된다. 이는 상기 제2마찰판(129')이 상기 탄성부재(136)에 의해 종동기어(130)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들 마찰판(129,129')과 종동기어(130)의 사이에는 마찰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종동기어(130)가 상기 구동기어(1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130)에 밀착된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129,129')과의 사이에서는 마찰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종동축(122)이 회전된다. 상기 종동축(122)의 회전은 상기 절단날(24)의 회전을 발생시켜 절단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절단작업중에 돌 등의 장애물에 의해 상기 절단날(24)에 부하가 작용하면, 상기 종동기어(130)와 제1 및 제2 마찰판(129,129')의 사이에서는 슬립이 발생하여 상기 종동기어(130)는 계속하여 회전되지만, 상기 종동축(122)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구동원(14)은 계속하여 동작되지만 상기 절단날(24)은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애물이 제거되면 상기 절단날(24)에 작용하던 부하는 없어지게 되고, 상기 종동기어(130)와 제1 및 제2 마찰판(129,129') 사이는 다시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본체하우징 12: 조작로드
14: 구동원 16: 구동축
18: 구동기어 20: 안전커버
22: 종동축 24: 절단날
26: 고정핀 28: 스톱퍼
30: 종동기어 32: 연동캠
34: 캠홈 36: 탄성부재
122: 종동축 126: 고정핀
128: 스톱퍼 129,129': 제1 및 제2 마찰판
130: 종동기어 136: 탄성부재
14: 구동원 16: 구동축
18: 구동기어 20: 안전커버
22: 종동축 24: 절단날
26: 고정핀 28: 스톱퍼
30: 종동기어 32: 연동캠
34: 캠홈 36: 탄성부재
122: 종동축 126: 고정핀
128: 스톱퍼 129,129': 제1 및 제2 마찰판
130: 종동기어 136: 탄성부재
Claims (7)
- 본체하우징에 설치된 구동원의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본체하우징에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절단날이 구비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상기 종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고 상기 종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이 안착되는 캠홈이 형성된 연동캠이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 방향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지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의 외면을 둘러서는 지지플랜지와 스톱퍼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랜지와 스톱퍼의 사이 구간에서 상기 종동기어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종동축을 관통하여 양단이 종동축의 외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캠홈은 상기 고정핀의 양단이 위치되도록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대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캠은 상기 캠홈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평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본체하우징에 설치된 구동원의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본체하우징에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절단날이 구비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마찰판과,
상기 종동축에 종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마찰판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2마찰판과,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과의 마찰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종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고 상기 종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종동축의 일측 외면을 둘러 형성된 스톱퍼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마찰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2마찰판이 상기 종동기어에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판의 배면에는 상기 종동축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핀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5058A KR101801372B1 (ko) | 2011-05-13 | 2011-05-13 |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5058A KR101801372B1 (ko) | 2011-05-13 | 2011-05-13 |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6921A KR20120126921A (ko) | 2012-11-21 |
KR101801372B1 true KR101801372B1 (ko) | 2017-11-27 |
Family
ID=4751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5058A KR101801372B1 (ko) | 2011-05-13 | 2011-05-13 |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13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18807A1 (en) * | 2019-11-07 | 2021-05-12 | Globe (Jiangsu) Co., Ltd. | Lawn mow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5640Y1 (ko) | 2001-11-07 | 2002-02-21 | 주창규 | 잔디 예초기의 칼날 고정장치 |
KR200453320Y1 (ko) | 2010-12-15 | 2011-04-20 | 박재경 |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
-
2011
- 2011-05-13 KR KR1020110045058A patent/KR1018013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5640Y1 (ko) | 2001-11-07 | 2002-02-21 | 주창규 | 잔디 예초기의 칼날 고정장치 |
KR200453320Y1 (ko) | 2010-12-15 | 2011-04-20 | 박재경 |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18807A1 (en) * | 2019-11-07 | 2021-05-12 | Globe (Jiangsu) Co., Ltd. | Lawn mower |
US11622506B2 (en) | 2019-11-07 | 2023-04-11 | Globe (Jiangsu) Co., Ltd | Lawn mower having impact protection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6921A (ko) | 2012-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76632A (en) | Multiple flail head for a rotary mower | |
US7703268B2 (en) | Rotary cutter bar mechanism and blade pin coupling | |
US20110209886A1 (en) | Device for Cultivating Soil or Brushing Debris | |
JP3889425B2 (ja) | ウォークビハインド型の動力機器におけるオペレータ存在操作システム | |
US9010078B2 (en) | Weed trimmer with a wingnut plate | |
CN203934334U (zh) | 打草机 | |
US20150223397A1 (en) | Automatic mowing blad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for winged mower | |
US3657868A (en) | Impact actuated mowing machine | |
CN115633589A (zh) | 剪枝机 | |
KR101801372B1 (ko) |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
US9974234B2 (en) | Reel mower having left or right hand drive turf groomer | |
US11585394B2 (en) | Work machine | |
JP6918336B2 (ja) | 草刈り機 | |
JP7321532B2 (ja) | 草刈装置 | |
US11412656B2 (en) | Trimmer head with improved line release feature | |
KR20080008688A (ko) | 로터베이터 조인트장치 | |
KR101825848B1 (ko) | 구동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제초기 | |
KR20200045130A (ko) | 예초기 | |
KR20120126922A (ko) |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 |
CA2827757C (en) | Tractor-mounted weed trimmer with a wingnut plate | |
KR100901844B1 (ko) | 예초기 | |
US12041873B2 (en) | Finger-bar-type mower with center drive | |
WO2007072618A1 (ja) | 芝刈機 | |
JP2004008069A (ja) | ヘッジトリマーなどの動力工具における偏心カム構造 | |
KR20110138117A (ko) | 농업용 관리기 탈부착용 로터리식 제초기 및 그 칼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