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130A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130A
KR20200045130A KR1020180125765A KR20180125765A KR20200045130A KR 20200045130 A KR20200045130 A KR 20200045130A KR 1020180125765 A KR1020180125765 A KR 1020180125765A KR 20180125765 A KR20180125765 A KR 20180125765A KR 20200045130 A KR20200045130 A KR 2020004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wire cutter
wire
head
m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근
이영삼
Original Assignee
이원근
이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근, 이영삼 filed Critical 이원근
Priority to KR102018012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5130A/ko
Publication of KR2020004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동력발생유닛과, 동력발생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을 갖는 헤드와, 이 헤드를 선단에 구비하는 조작로드와, 이 조작로드에 내장되어 동력발생부유닛의 동력을 헤드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및 헤드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커터유닛을 포함하는 예초기에 있어서,
커터유닛이, 하면에 누름돌기를 가지고 회전축에 전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상의 상부홀더; 상면에 상부홀더의 누름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홈을 가지고 회전축에 전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복수의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하부홀더; 양단이 하부홀더의 주면에서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와이어커터 장착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합성수지 와이어; 하부홀더를 상부홀더에 밀착 고정시키는 홀더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헤드의 무게가 최소화되어 장시간의 예초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와이어커터를 지면에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어 잔디와 잡초 등을 짧고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예초기{Mower}
본 발명은 잡초를 제거하거나 잔디 등을 깍는데 사용되는 예초기(mow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일론 와이어커터(wire cutter)를 장착하는 헤드부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가벼워서 예초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잡초나 잔디를 지면으로부터 짧게 깍아줄 수 있어 잡초 등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예초기는 정원이나 묘지 또는 공원 등에 심어진 잔디나 잡초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깍아주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조경을 위해 정원이나 묘지에 심어진 잔디는 과도하게 자라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깍아 관리할 필요가 있고, 잡초의 경우에는 번식력과 생장이 빨라 농작물의 생장과 수확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수시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예초기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들이 있는데, 통상 멜방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된 엔진과, 이 엔진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를 구비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헤드와, 손잡이와 스위치를 구비하여 헤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로드 및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헤드의 커터에 전달하도록 조작로드에 내장되는 와이어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적인 예초기는 커터가 원반형 또는 블래이드 형태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잡초는 물론이고 작은 잡목까지도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있지만, 예초 중 커터가 돌이나 나무의 그루터기 또는 흙에 부딪칠 경우 돌이나 흙이 튀어 올라 주변으로 비산됨으로써 작업자를 비롯하여 주위의 사물이나 사람에게 피해를 끼치는 안전사고의 문제가 빈발하였다.
더욱이, 금속재인 커터와 바위나 비석 등이 충돌로 파손될 우려도 상당히 높을 뿐 아니라 심한 경우 커터 자체가 헤드에서 이탈되어 작업자에 심각한 부상을 입히는 경우도 종종 야기되었다.
특히, 커터가 금속재로 이루어져서 가볍지 않은 무게에 더하여 제초작업시 잡초 등을 적당한 높이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지면에서 약간 띄운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중량감을 크게 느낄 수밖에 없어 피로도가 매우 클 수밖에 없었다.
한편, 근래에는 이와 같은 종래 예초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굵고 단단한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와이어커터를 이용하여 잔디나 잡초를 제거하는 나일론 와이어커터 예초기가 제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나일론 와이어커터 예초기는 나일론 와이어커터가 권취된 스풀(spool)을 케이싱에 내장한 커터조립체를 헤드의 회전축에 장착하고, 케이싱의 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인출홀을 통해 와이어커터를 일정길이만큼 노출시켜서 케이싱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와이어커터가 회전력에 의해 주변의 잡초 등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와이어커터 예초기는 커터조립체의 케이싱 내부에 와이어커터를 권취하기 위한 스풀과 탄성수단 등을 내장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커터조립체의 크기가 크고 비교적 무거울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장시간 작업 시 작업자의 피로도가 심하고, 제조원가도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커터조립체의 구조적 특성상 케이싱의 두께가 높아 와이어커터가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에 위치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잡초와 잔디를 짧고 깔끔하게 깍아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189569호 한국 특허등록 제10-1795453호 한국 특허등록 제10-1868268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49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나일론 와이어커터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헤드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예초작업의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예초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커터를 지면에 최대한 근접시킴으로써 잔디와 잡초 등을 짧고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는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나일론 와이어커터와 금속재 커터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는, 동력발생유닛과, 동력발생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을 갖는 헤드와, 이 헤드를 선단에 구비하는 조작로드와, 이 조작로드에 내장되어 동력발생부유닛의 동력을 헤드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및 헤드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커터유닛을 포함하는 예초기에 있어서,
커터유닛이,
하면에 누름돌기를 가지고 회전축에 전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상의 상부홀더; 상면에 상부홀더의 누름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홈을 가지고 회전축에 전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복수의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하부홀더; 선형으로 되어 양단이 하부홀더의 주면에서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와이어커터 장착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와이어커터; 하부홀더를 상부홀더에 밀착 고정시키는 홀더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하부홀더의 고정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커터가 상부홀더의 누름돌기의 압착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하부홀더의 고정홈을 벗어나 형성되고, 각 와이어커터를 하부홀더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수단은, 하부홀더의 주면에서 와이어커터 장착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나사구멍과, 나사구멍에 결합되어 선단이 와이어커터를 눌러주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와이어커터 장착부는 하부홀더의 상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장착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하부홀더의 외주에서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와이어 장착구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와이어커터 장착부는, 바람직하기로 회전축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호형으로 이루어져 와이어커터의 양 단부가 하부홀더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초기는 바람직하기로 상부홀더의 누름돌기에 끼워지는 조립구멍을 중앙에 갖는 통상의 금속재 커터를 더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와이어커터와 교체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에 의하면,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와이어커터를 간편하게 판상의 상부 및 하부홀더 사이에 끼워서 장착하기 때문에 종래의 복잡한 와이어커터 어셈블리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무게 또한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장시간의 예초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와이어커터를 지면에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어 잔디와 잡초 등을 짧고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금속재 커터를 상부 및 하부홀더 사이에 간편하게 교체 장착할 수도 있는 바, 나일론 와이어커터로 제거하기 어려운 일부 잡목 등도 손쉽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초기의 제작성과 예초효율 및 신뢰성 향상과 더불어 그 원가절감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터유닛이 구비된 예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터유닛을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터유닛 하부홀더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터유닛이 장착된 헤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터유닛 하부홀더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터유닛 하부홀더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터유닛 하부홀더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의 다른 사용예를 헤드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1)는 동력발생유닛(10)과, 동력발생유닛(1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21)을 갖는 헤드(20)와, 이 헤드(20)를 선단에 구비하는 조작로드(30)와, 이 조작로드(30)에 내장되어 동력발생부유닛(10)의 동력을 헤드(20)의 회전축(2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도시하지 않음) 및 헤드(20)의 회전축(21)에 장착되는 커터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력발생유닛(10)은 내연기관이나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자의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등받이(11)와 멜빵(12)을 구비한다. 헤드(20)는 조작로드(30)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며, 예초작업 시 이물질이 상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커버(22)를 갖는다. 이러한 헤드(20)의 회전축(21)은 후술한 커터유닛(40)의 상부 및 하부홀더(41)(43)와의 전동결합을 위해 스플라인축(spline shaft)으로 이루어지고, 선단부에 나사부(23)를 갖는다.
조작로드(30)는 동력발생유닛(10)에 연결되고, 용이한 예초작업을 위해 손잡이(31)와 스위치(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로드(30)의 선단부 근처에는 바람직하기로 작업 중 이물질이 작업자에게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안전커버(3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커터유닛(40)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헤드(20)의 회전축(21)에 전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상의 상부홀더(41)와, 와이어커터 장착부를 가지고 헤드(20)의 회전축(21)에 전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상의 하부홀더(43)와, 양단이 하부홀더(43)의 주면에서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와이어커터 장착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합성수지 와이어커터(49) 및 하부홀더(43)를 상부홀더(41)에 밀착 고정시키는 홀더고정수단(50)을 구비한다.
상부홀더(41)는 하면에 와이어커터(49)를 눌러 고정하기 위한 누름돌기(42)를 가지며, 중앙에 헤드(20)의 회전축(21)을 삽입하는 스플라인구멍(41a)을 갖는다.
하부홀더(43)는 상면에 상부홀더(41)의 누름돌기(42)와 정합되어 와이어커터(49)를 고정시키는 고정홈(4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역시 헤드(20)의 회전축(21)을 삽입하는 스플라인구멍(43a)을 갖는다.
하부홀더(43)의 와이어커터 장착부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홀더(43)의 상면에 고정홈(44)을 관통하도록 스플라인구멍(43a) 양측에 반경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개의 와이어커터 장착홈(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홀더(43)의 와이어커터 장착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홀더(43)의 고정홈(44)을 관통하도록 하부홀더(43)의 외주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와이어커터 장착구멍(46)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도 각 와이어커터 장착구멍(46)은 스플라인구멍(43a)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이 경우, 전술한 와이어커터 장착홈(45)보다 와이어커터(49)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홀더(43)의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그 고정홈(44)을 관통하지 않고 외측으로 벗어나서 하부홀더(43)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커터 장착구멍(47)으로 이루어지고, 별도의 와이어 고정수단(53을 구비하여 와이어커터(49)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와이어 고정수단(53) 와이어커터 장착구멍(47)에 끼워진 와이어커터(49)를 고정시킬 수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홀더(43)의 주면에서 와이어커터 장착구멍(47)에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나사구멍(54)과, 이 나사구멍(54)에 결합되어 그 선단이 와이어커터(49)를 눌러주는 볼트(5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하부홀더의 상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커터 장착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터유닛(40)의 와이어커터 장착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고정홈(44)을 관통하도록 스플라인구멍(43a)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호형의 와이어커터 장착구멍(48)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이어커터(49)의 양단부가 하부홀더(43)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보다 균일한 제초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여러 가지 형태의 와이어커터 장착부들도 도 7에 대응하여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와이어커터(49)는 양단부가 하부홀더(43)를 관통하여 적정길이만큼 노출될 수 있는 일정길이를 갖는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 와이어로 구성되고, 하부홀더(43)의 2개의 와이어커터 장착부에 각각 끼워진다. 이러한 와이어커터(49)는 소정길이로 미리 절단된 상태로 여러 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릴 등에 권취되어서 필요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홀더고정수단(50)은 하부홀더(43)의 하면에 접촉하는 와셔캡(51)과, 헤드(20)의 회전축(2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2)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예초기(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금속재 커터(60)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재 커터(60)는 상부홀더(41)의 누름돌기(42)가 끼워지는 결합구멍(61)을 구비하여 홀더고정수단(50)에 의해 상부 및 하부홀더(41)(43)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평시에는 와이어커터(49)를 장착하여 사용하다가 잡목 등 와이어커터(49)로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경우, 간편하게 와이어커터(49)를 제거하고 금속재 커터(60)를 장착하여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1 : 예초기 10 : 동력발생유닛
20 : 헤드 21 : 회전축
30 : 조작로드 40 : 커터유닛
41 : 상부홀더 42 ; 누름돌기
43 : 하부홀더 44 : 고정홈
45 : 와이어커터 장착홈 46, 47, 48 : 와이어커터 장착구멍
50 : 홀더고정수단 51 : 와셔캡
52 : 너트 53 : 와이어 고정수단
53 : 나사구멍 55 : 볼트

Claims (5)

  1. 동력발생유닛과, 상기 동력발생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을 갖는 헤드와, 상기 헤드를 선단에 구비하는 조작로드와,상기 조작로드에 내장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유닛의 동력을 상기 헤드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및 상기 헤드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커터유닛을 포함하는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커터유닛이,
    하면에 누름돌기를 가지고 상기 회전축에 전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상의 상부홀더;
    상면에 상기 상부홀더의 누름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홈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에 전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복수의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하부홀더;
    선형으로 되어 양단이 상기 하부홀더의 주면에서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상기 와이어커터 장착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와이어커터;
    상기 하부홀더를 상부홀더에 밀착 고정시키는 홀더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상기 하부홀더의 고정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커터가 상기 상부홀더의 누름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상기 하부홀더의 고정홈을 벗어나 형성되고,
    상기 각 와이어커터를 상기 하부홀더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상기 하부홀더의 상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장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커터 장착부가 상기 하부홀더의 외주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장착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KR1020180125765A 2018-10-22 2018-10-22 예초기 KR20200045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65A KR20200045130A (ko) 2018-10-22 2018-10-22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65A KR20200045130A (ko) 2018-10-22 2018-10-22 예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130A true KR20200045130A (ko) 2020-05-04

Family

ID=7073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765A KR20200045130A (ko) 2018-10-22 2018-10-22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51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634B1 (ko) 2022-04-21 2023-07-18 김동률 와이어커터를 포함한 예초기 및 와이어커터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569B1 (ko) 2010-01-26 2012-10-10 주식회사 홈앤가든 예초기의 나일론 커터 장착 헤드
KR200474494Y1 (ko) 2014-03-21 2014-09-22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KR101795453B1 (ko) 2016-06-20 2017-12-01 이정희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
KR101868268B1 (ko) 2017-02-01 2018-06-15 신연철 예초기용 4줄 나일론 커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569B1 (ko) 2010-01-26 2012-10-10 주식회사 홈앤가든 예초기의 나일론 커터 장착 헤드
KR200474494Y1 (ko) 2014-03-21 2014-09-22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KR101795453B1 (ko) 2016-06-20 2017-12-01 이정희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
KR101868268B1 (ko) 2017-02-01 2018-06-15 신연철 예초기용 4줄 나일론 커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634B1 (ko) 2022-04-21 2023-07-18 김동률 와이어커터를 포함한 예초기 및 와이어커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3303A (en) Lawn edger using flexible filament cutting line
US5313770A (en) Jam-proof rotary weed cutter
US4268964A (en) Apparatus for cutting, trimming and edging vegetation and the like
US3859776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7644564B2 (en) Electric modular pruning and/or topping machine
US10349576B1 (en) Vegetation cutter and mulcher
US6092608A (en) Garden tiller pulverizing/edger attachment
US10149433B2 (en) Combination blade and cord weed cutter-trimmer head device
EP1006771A1 (en) Multi-purpose landscaping device for use with a hand-held rotary power tool
EP3047719B1 (en) Cutting module
US20080245046A1 (en) Mowing Apparatus
JPH01211421A (ja) 刈り取り機及びこの刈り取り機のブレード保護器
JP2013046577A (ja) 刈払機用回転刃装置
US10939612B2 (en) Weed wacker
WO2006101892A3 (en) Mower handlebar-attachable string trimmer wand
KR20200045130A (ko) 예초기
US2724230A (en) Lawn edge trimmer
US5659964A (en) Light weight rotary vegetation cutting heads
KR101939980B1 (ko) 굴삭기용 예초기
CN111133879A (zh) 一种电动修剪机
US20040148783A1 (en) Lawn trimmer guard
KR102524444B1 (ko) 예초기용 강선 와이어 커터의 고정구조
JP3175261U (ja) 草刈り刃
US6067718A (en) Grass trimmer for lawn edges bordering gardens
CN210444882U (zh) 一种便捷式苗圃除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