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785B1 -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785B1
KR101799785B1 KR1020150183084A KR20150183084A KR101799785B1 KR 101799785 B1 KR101799785 B1 KR 101799785B1 KR 1020150183084 A KR1020150183084 A KR 1020150183084A KR 20150183084 A KR20150183084 A KR 20150183084A KR 101799785 B1 KR101799785 B1 KR 101799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ls
mix
sens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062A (ko
Inventor
노승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프존뉴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프존뉴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프존뉴딘
Priority to KR102015018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785B1/ko
Priority to JP2018532552A priority patent/JP2019503753A/ja
Priority to CN201680074596.7A priority patent/CN108430594A/zh
Priority to US16/063,847 priority patent/US20180369655A1/en
Priority to PCT/KR2016/014747 priority patent/WO2017111393A1/ko
Priority to TW105142538A priority patent/TWI626076B/zh
Publication of KR2017007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5/00Implements for throwing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63B65/12Ball-throwing apparatus with or without catchers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공급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볼을 투구하는 피칭머신에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부,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피칭머신으로 이송하는 볼이송암, 상기 볼수용부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볼이송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볼이송대 및 상기 볼이송암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볼이송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볼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상기 볼수용부 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믹스암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BALL TRANSPORTING DEVICE, BALL SUPPLYING DEVICE AND BALL SUPPL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BALL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수용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볼이 볼을 이송하는 볼이송암에 순차적으로 놓이도록, 볼수용부에 수용된 볼을 섞어주도록 믹스암이 구비되고, 피칭머신에 순차적으로 볼이 공급되는 라인인 볼적재부에 적재된 볼의 개수를 감지하여 볼 공급을 제어하는 볼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야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야구를 연습할 수 있는 야구연습장이 들어나고 있다.
이러한 야구연습장은 볼을 투구하는 피칭머신이 볼을 던지면, 타석에 있는 이용자가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때 피칭머신에는 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볼공급장치가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볼공급장치는 볼이 모아져 있는 볼수용부로부터 볼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피칭머신에 공급한다.
이때 볼이 모아져 있는 볼수용부는, 볼이 중력에 의해 볼수용부의 벽을 따라 이동하여 볼이송암에 놓이도록,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볼수용부의 내벽이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볼이 여러 개 쌓여져 있거나 또는 볼수용부의 내벽의 기울기가 달라지는 경계 부분에 볼이 낀 경우, 볼수용부의 내벽을 따라 볼이 이동하지 못해 볼이송암에 볼이 놓이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볼이 피칭머신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피칭머신에서 볼을 투구하는 속도에 비해 볼의 공급속도가 빠르거나 느려 피칭머신에 적절한 개수의 볼을 공급하지 못해 볼적재부에 볼이 가득 차 있는 경우에도 볼이 공급되어 볼 이송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0-1991-0009302 호는 골프볼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의 골프볼을 수용해 두는 스토커로부터 공급된 골프볼을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통로 상에 1 열로 배열시켜서 요동에 의해 골프볼을 하나씩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여 공을 전달하는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을 뿐, 볼수용부에 있는 볼을 믹스암을 통해 정렬되도록 하고, 피칭머신에 투구 대기중인 볼의 수를 인식하여 볼이송장치(또는 볼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안하고 있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부에 수용된 볼들이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볼이송암에 놓일 수 있도록 볼수용부의 볼들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믹스암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볼공급장치에서 적재중인 볼의 개수를 인식하고 일정한 개수 이상의 볼이 적재된 경우, 볼이송장치(또는 볼공급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볼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볼을 투구하는 피칭머신에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부,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피칭머신으로 이송하는 볼이송암, 상기 볼수용부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볼이송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볼이송대 및 상기 볼이송암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볼이송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볼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상기 볼수용부 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믹스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볼을 투구하는 피칭머신에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이송되는 볼이 투입되는 볼투입부, 상기 볼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볼이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볼적재부 및 상기 볼적재부에 적재된 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는 볼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볼을 투구하는 피칭머신에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시스템이 볼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볼이 수용된 볼수용부로부터 볼 이송하는 볼이송암을 통해 볼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볼이송암을 통해 이송되는 볼을 소정개수 이상 적재하는 단계 및 적재된 볼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볼이송암을 통한 볼의 이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볼수용부의 볼을 믹스하는 믹스암을 이용하여 볼수용부에 수용된 볼들의 위치를 변화시켜 순차적으로 볼이송암에 놓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믹스암을 통해 볼의 끼임을 방지함으로써 원할하게 공이 피칭머신에 공급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피칭머신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볼공급장치에 적재중인 볼의 개수를 인식하고 일정한 개수 이상의 볼이 적재중인 경우, 볼이송장치(또는 볼공급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볼공급시스템을 제공하여 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피칭머신에서 볼이 발사되지 않았지만 볼적재부에 볼이 가득 차 있는 경우에 볼의 공급을 중단시킴으로써 볼이송장치의 파손을 방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 공급시스템의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 에 도시된 볼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이송장치의 구성인 믹스암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이송장치의 구성인 믹스암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이송장치의 구성인 믹스암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볼이송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볼공급장치의 볼센서부의 측면 케이싱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볼공급장치의 볼센서부에 볼이 적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볼공급시스템이 볼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의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볼공급장치(100)는, 볼이송장치(10)에 의해 볼이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피칭머신에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장치(20)에 볼이 투입되도록 하고, 볼공급장치(20)에 투입되어 일렬로 적재된 볼의 수에 기초하여 볼이송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이송장치(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볼수용부(11)는 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둘레가 폐곡선 형태인 속이 빈 피라미드 형상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둘레 길이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볼이송장치(10)에는 볼수용부(11)로부터 볼을 수직으로 이송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이송대인 볼이송대(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볼이송대(12)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 도르래가 구비될 수 있고, 고정 도르래에는 체인(14)이 결착될 수 있으며, 볼이송대(12)에는 체인(14)을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볼이송대(12)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볼이송장치(10)에는 볼수용부(11)에 있는 볼을 홀드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볼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이송대(12)를 따라 볼을 이송하는 볼이송암(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볼이송암(13)은 체인(14)과 결합되어 볼이송대(12)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움직이는 체인(14)에 의해 볼이송대(12)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볼이송장치(10)에는 볼이송암(1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인(14)에 결합되어 볼이송대(1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을 섞는 믹스암(15)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볼이송장치(10)로부터 볼을 이송받는 봉공급장치(20)에는 볼이송장치(10)로부터 이송된 볼이 투입되는 볼투입부(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볼투입부(21)에 연결되어 투입되는 볼이 순차적으로 피칭머신에 전달되도록 적재하는 볼적재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볼적재부(22)는 투입되는 볼이 일렬로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볼적재부(22)의 내측 지름이 볼의 지름과 유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이 일렬로 적재될 수 있도록 대각선의 길이가 볼의 지름과 유사한 다각형의 기둥일 수 있다.
이때, 볼적재부(22)는 자유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공급장치(20)에는 볼적재부(22)에 적재된 볼의 개수를 감지하는 볼센서부(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볼센서부(23)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센서는 볼적재부(22)의 하단에 위치하여, 적재된 볼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에서는 볼이송장치(10)의 측면모습으로 볼이송대(12)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볼이송암(13)과 믹스암(15)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이송장치(10)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볼이송라인(1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볼이송암(13)과 믹스암(1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볼이송암(13)과 믹스암(15)은 실시예에 따라 교대로 배치되거나 또는 일정한 개수의 볼이송암(13)이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믹스암(15)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볼이송암(13)과 믹스암(15)은 볼이송대(12)의 일측면에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승강되고, 볼이송대(12)의 상단에 도달하여 볼이송대(12)의 타측면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으로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이송암(13)과 믹스암(15)의 움직임에 의해, 볼공급암(13)과 믹스암(15)이 승강하는 볼이송대(12)는 볼수용부(11)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승강하는 볼이송암(13)이 볼수용부(11)를 통과하는 지점인 볼이송지점을 지나면서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을 홀드하여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믹스암(15)은 볼공금암(13)의 움직임과 같이 승강하면서 볼수용부(11)를 통과할 수 있고, 볼수용부(11)를 통과하면서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볼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볼이 섞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 는 볼이송장치(10)에 구비되어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을 섞이도록 하는 믹스암(15)을 자세히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믹스암(15)에 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스암(15)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되, 볼이송대(12)의 연장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결합판(152)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평판부재인 믹스판(151)이 구비되고, 체인(14)과 결합되되 볼이송대(12)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평판부재인 결합판(152)이 구비된다.
그리고 믹스암(15)은 믹스판(151)과 결합판(152)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 방향에 믹스판(151)의 일면과 수직이면서 결합판(152)의 평면에도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평판부재인 지지판(15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153)은 믹스판(151)과 결합판(152) 사이에서 믹스판(151)에 가해지는 힘을 결합판(152)으로 분산시키거나 믹스판(151)을 지지하여 믹스판(151)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믹스판(151)은 T자 형상이되, 결합판(152)과 결합되는 믹스판(151)의 결합부(400)는 볼이송대(12)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볼이송대(12)로부터 볼이송대(12)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믹스판(151)의 믹스부(401)는 결합부(40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믹스부(401)의 형상이 삼각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믹스암(15)이 상술된 바와 같이 형상을 가짐으로써 볼과의 접촉면적을 좁혀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들 사이를 통과할 때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믹스판(151)과의 마찰에 의한 볼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믹스판(151)은 볼이송암(13)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볼수용부(11)에서 믹스판(151)이 도달가능한 영역이 넓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볼이송암(13)이 볼수용부(11)에서 볼을 이송하기 위해 볼을 홀드하는 지점인 볼이송지점 바깥에 위치한 볼까지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어 볼수용부(11)에 볼 끼임이나 막힘(Jam)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지지판(153)은 믹스판(151)과 결합판(152)사이에 형성된 굴곡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믹스판(151)을 지지할 수 있도록, 믹스판(151)과 결합판(152)에 의해 내각이 형성되는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153)을 통해 믹스암(15)이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들을 통과함에 따라 믹스판(151)에 가해지는 힘을 결합판(152)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믹스판(15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믹스암(15)을 이용하여 볼이송장치(10)는 볼수용부(11)에서 볼 끼임이나 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스암(15)에 의해 볼수용부(11)에 끼인 볼의 위치를 이동시켜 볼이송암(13)에 의해 볼이 이송되도록 하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제 1 상황도(601)는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600)이 볼수용부(11)의 볼이송지점 밖에 위치함에 따라 볼이송암(131)이 볼(600)을 이송하지 못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즉, 볼(600)이 경사져있는 볼수용부(11)의 내벽을 따라 볼수용부(11)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볼이송지점에 볼(600)이 이동하지 않고, 볼(600)의 표면굴곡에 의해 볼수용부(11)의 볼이송지점 밖에 정지해있거나, 또는 볼(600)이 볼수용부(11)의 내벽의 경사도가 바뀌는 경계부분의 굴곡에 끼이는 등 볼(600)이 볼이송암(131)의 볼이송지점 밖에 위치하는 경우, 볼(600)이 볼이송암(131)에 놓이지 않게 된다.
이후, 제 2 상황도(602)에서, 제 1 상황도(601)의 볼이송암(131) 다음에 위치한 믹스암(15)이 볼수용부(11)의 볼이송지점을 통과하면서 믹스암(15)의 믹스판(151)이 볼(600)에 물리적 힘을 가할 수 있고, 물리적 힘이 가해진 볼(600)이 움직이면서 볼수용부(11)의 볼이송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믹스암(15)의 믹스판(151)의 길이가 볼이송암(131, 132)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믹스암(15)이 통과하는 볼수용부(11)에서의 영역이 볼이송암(131,13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볼수용부(11)의 볼이송지점에 위치한 볼(600)은 믹스암(15) 다음에 위치한 볼이송암(132)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의 위치를, 믹스암(15)을 이용하여 물리적 힘을 가해 변경시킴으로써 볼이 볼수용부(11)의 내벽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볼수용부(11)의 볼이송지점에 볼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이송장치(10)가 볼이송암(13)에 볼이 지속적으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 에서는 볼이송장치(10)에 의해 이송된 볼이 볼공급장치(20)에 투입되어 적재되는 볼적재부(22)와 적재된 볼의 개수를 감지하는 볼센서부(23)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볼공급장치(20)의 볼투입부(21)에 투입된 볼이 볼적재부(22)를 따라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고, 볼센서부(23)는 볼적재부(22)에 적재된 볼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 는 볼센서부(23)의 아웃케이싱을 제거하여 내부를 자세히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볼센서부(23)를 자세히 설명한다.
볼센서부(23)는 측면에 적재되는 볼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개의 센서(231)가 구비될 수 있고, 볼적재부(22)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센서(231)는 볼적재부(22)를 따라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231)는 센서본체와 센서본체에 인입될 수 있는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볼적재부(22)에 적재된 볼에 의해 압력이 버튼에 가해짐에 따라 버튼이 센서본체에 인입됨으로써 볼을 감지하는 버튼식 센서일 수 있다.
하지만 센서(231)는 반드시 상술된 버튼식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레이저 등을 이용한 센서 또는 압력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볼센서부(23)에는 볼적재부(22)에 적재된 볼이 순차적으로 피칭머신에 제공되도록 볼의 이동 경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32)는 볼의 이동 경로를 폐쇄할 수 있는 차단막대 부재와 차단막대 부재와 결합하여 차단막대 부재를 동작시키는 개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볼센서부(23)는 센서(231)를 통해 감지되는 적재된 볼의 개수에 따라 볼이송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볼이송장치(10)의 체인(14)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 는 볼적재부(22)에 볼이 적재되어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볼투입부(21)에 투입된 볼(900)이 볼적재부(22)를 따라 이동하여 개폐부(232)에 의해 이동이 멈추어 적재될 수 있고, 적재된 볼(900)이 볼센서부(23)의 센서(231)를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볼센서부(23)의 제어부(미도시)는 볼(900)이 볼적재부(22)에 적재되어 있음을 감지할 수 있고, 개폐부(232)를 제어하여 볼(900)이 피칭머신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볼적재부(22)에 볼(900)이 일정 개수 이상 적재되어 볼센서부(23)의 센서(231a, 231b, 231c)가 모두 볼을 감지하는 경우, 볼센서부(23)의 제어부(미도시)는 볼이송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적재부(22)에 볼(900)이 3개가 적재되어 제 1 센서(231a) 내지 제 3 센서(231c) 까지 버튼이 눌리게 되면, 볼이송장치(10)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한편, 볼센서부(23)의 제어부(미도시)는 반드시 볼센서부(23)에 위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이송장치(10)에 위치할 수 있고, 볼이송장치(10)가 볼적재부(22)의 볼의 개수를 감지하여 볼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피칭머신에서 볼이 피칭될 때마다 볼이송장치(10)가 동작하는 방법에 비해 본 발명은 볼적재부(22)의 볼이 적재되어 있고, 볼의 개수에 따라 볼이송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볼이 이송되어 피칭머신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필요치 않아 볼을 피칭하는데 지연시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공급시스템(100)의 제어동작에 관한 순서도로 이를 참조하여 볼공급시스템(100)이 볼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볼공급시스템(100)은 볼이송장치(10)를 동작시켜, 볼수용부(11)에 수용된 볼을 볼이송암(13)을 통해 이송할 수 있다(S1001).
그리고 볼공급시스템(100)은 이송되는 볼이송암(13)을 통해 이송되는 볼이 볼공급장치(20)의 볼투입부(21)에 투입되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볼적재부(22)에 볼이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S1002).
이후, 볼공급시스템(100)은 볼적재부(22)에 일정한 개수 이상의 볼이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3).
예를 들어, 볼공급시스템(100)은 볼적재부(22)에 3개 이상의 볼이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S1003단계에서 볼이 일정한 개수 이상 적재되면, 볼공급시스템(100)은 볼이송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S1004).
그리고 볼공급시스템(100)은 피칭머신의 동작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S1005), 피칭머신의 동작이 중단될 때까지, S1003단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공급제어방법은 도 1 내지 9 에 도시된 볼공급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9 에 도시된 볼공급시스템(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10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공급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 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볼공급제어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볼공급제어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볼공급제어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볼공급시스템
10: 볼이송장치
11: 볼수용부 12:볼이송대
13: 볼공급암 14: 체인
15: 믹스암
151: 믹스판 152: 결합판
153: 지지판
20: 볼공급장치
21: 볼투입부 22: 볼적재부
23: 볼센서부
231a,231b,231c : 센서 232: 개폐부

Claims (9)

  1. 볼을 투구하는 피칭머신에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부;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피칭머신으로 이송하는 볼이송암;
    상기 볼수용부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볼이송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볼이송대; 및
    상기 볼이송암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볼이송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볼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상기 볼수용부 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믹스암을 포함하고,
    상기 믹스암은,
    상기 볼이송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볼공급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암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평판부재인 믹스판;
    상기 볼이송대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믹스판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평판부재인 결합판; 및
    상기 믹스판과 상기 결합판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 방향에 상기 믹스판의 일면과 수직이면서 상기 결합판의 일면에도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평판부재인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볼공급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판은,
    상기 결합판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볼이송대로부터 상기 볼이송대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믹스부로 구성되는, 볼공급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볼공급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이송암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투입되는 볼투입부;
    상기 볼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볼이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볼적재부; 및
    상기 볼적재부에 적재된 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는 볼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볼공급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센서부는,
    상기 볼적재부에 일렬로 적재되는 볼을 감지하도록 상기 볼적재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볼적재부의 연장방향에 따라 일렬로 구비되는, 볼공급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센서본체와 상기 센서본체에 인입되는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볼적재부에 적재되는 볼에 의해 상기 버튼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버튼이 상기 센서본체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볼을 감지하는, 볼공급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센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볼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볼투입부로 볼을 이송하여 투입하는 볼이송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볼공급시스템.
  9. 제1항의 볼공급시스템이 볼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이송대가, 적어도 하나의 볼이 수용된 상기 볼수용부로부터 상기 볼이송암을 통해 볼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볼이송대가, 상기 볼이송암을 통해 이송되는 볼을 볼공급장치에 소정개수 이상 적재하는 단계; 및
    적재된 볼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볼이송대가 상기 볼이송암을 통한 볼의 이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볼공급제어방법.
KR1020150183084A 2015-12-21 2015-12-21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KR101799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84A KR101799785B1 (ko) 2015-12-21 2015-12-21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JP2018532552A JP2019503753A (ja) 2015-12-21 2016-12-15 ボール移送装置及びボール供給装置を備えるボール供給システムとボール移送制御方法
CN201680074596.7A CN108430594A (zh) 2015-12-21 2016-12-15 具备球移送装置和供求装置的供球系统及球移送控制方法
US16/063,847 US20180369655A1 (en) 2015-12-21 2016-12-15 Ball feeding system including ball delivery device and ball feeding device, and ball delivery control method
PCT/KR2016/014747 WO2017111393A1 (ko) 2015-12-21 2016-12-15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TW105142538A TWI626076B (zh) 2015-12-21 2016-12-21 包含球運輸裝置與球供給裝置的球供給系統以及控制球之移動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84A KR101799785B1 (ko) 2015-12-21 2015-12-21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062A KR20170074062A (ko) 2017-06-29
KR101799785B1 true KR101799785B1 (ko) 2017-11-21

Family

ID=5908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084A KR101799785B1 (ko) 2015-12-21 2015-12-21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69655A1 (ko)
JP (1) JP2019503753A (ko)
KR (1) KR101799785B1 (ko)
CN (1) CN108430594A (ko)
TW (1) TWI626076B (ko)
WO (1) WO2017111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5832A (zh) * 2019-10-30 2020-02-07 苏州依卡蒂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排球训练用发球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945A (en) 1987-05-07 1989-06-27 Braden Victor K Automatic tennis ball feeding and serving apparatus
JP2009039290A (ja) * 2007-08-08 2009-02-26 Denso Corp ボール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9519A (en) * 1968-03-15 1970-03-10 Fmc Corp Fruit feeding apparatus
JPS5816790Y2 (ja) * 1979-03-09 1983-04-05 株式会社富永製作所 球回収装置
ES2068753B1 (es) * 1993-04-14 1998-01-16 Technological Research Co Ltd Maquina perfeccionada para el ordenado de tubos textiles, para maquinas continuas de hilar.
US6206763B1 (en) * 1999-02-01 2001-03-27 Ohio Custom Machinery, Inc. Deburring machine
JP2718640B2 (ja) * 1994-12-05 1998-02-25 洋治 渡辺 ゴルフゲーム装置
JP4360744B2 (ja) * 2000-07-19 2009-11-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容器供給装置
JP2003339918A (ja) * 2002-05-24 2003-12-02 Kinki Kuresuko:Kk 投球マシンのボール供給装置
US6880542B1 (en) * 2003-10-29 2005-04-19 Steven S. Johndreau Automatic ball throwing device, direct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an automatic ball throwing device
KR20060084528A (ko) * 2005-01-20 2006-07-25 이경목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한 자동 테니스공 운반기
JP4417402B2 (ja) * 2007-04-27 2010-02-1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ボール供給装置
CN201299954Y (zh) * 2008-11-18 2009-09-02 佳木斯大学 移动网球训练器
CN201454010U (zh) * 2009-06-12 2010-05-12 佳木斯大学 电磁式球类发射器
KR200460381Y1 (ko) * 2010-07-13 2012-06-13 박익수 탁구연습기의 공 공급장치
KR101104525B1 (ko) * 2011-06-23 2012-01-11 최재우 골프공자동공급장치
CN202087027U (zh) * 2011-06-13 2011-12-28 郑州大学 自动发球机
KR101579903B1 (ko) * 2014-05-14 2015-12-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제어형 피칭머신
CN204050857U (zh) * 2014-09-30 2014-12-31 江西科技学院 一种多用发球捡球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945A (en) 1987-05-07 1989-06-27 Braden Victor K Automatic tennis ball feeding and serving apparatus
JP2009039290A (ja) * 2007-08-08 2009-02-26 Denso Corp ボール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9655A1 (en) 2018-12-27
KR20170074062A (ko) 2017-06-29
JP2019503753A (ja) 2019-02-14
TWI626076B (zh) 2018-06-11
TW201722513A (zh) 2017-07-01
WO2017111393A1 (ko) 2017-06-29
CN108430594A (zh)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8020A (zh) 用于从分配系统拾取包装的方法和设备
KR101799785B1 (ko) 볼이송장치 및 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볼공급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JPS58210700A (ja) 集積回路部品取扱選別装置
KR100820242B1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속 순환 이송 및 온라인 비접촉 성상분석 시스템
KR101006753B1 (ko) 파렛트 산물적재 이송기계장치
JP2008179466A (ja) 錠剤搬送装置
KR200422866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JP2017006826A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と、パック詰め装置と、果菜選別パック詰め装置と、果菜キャリア
JP2010269871A (ja) タイヤの二段重なり解消装置
JP2009297466A (ja) Ptpカセット及びptp払出装置
JP2008055383A (ja) 選果施設
KR101641623B1 (ko) 엘이디칩용 렌즈의 공급장치
CN112973066A (zh) 一种羽毛球发球机
JP6207856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2017119576A (ja) ホッパーおよび物品供給装置
JP2013173616A5 (ko)
CN105800302A (zh) 一种冻干机进料方法
ES2657821T3 (es) Dispositivo centrífugo destinado a organizar productos a granel
US3031063A (en) Bunk feeder having a variable feed-rate auger
KR101634327B1 (ko)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
JP2007004351A (ja) カード発行装置
US11909931B2 (en)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00972B1 (ko)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보트 걸림 방지 장치
JP5670112B2 (ja) 長尺農作物の方向修正搬送装置
JP5612324B2 (ja) 葉状農作物積載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