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695B1 -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95B1
KR101796695B1 KR1020160080733A KR20160080733A KR101796695B1 KR 101796695 B1 KR101796695 B1 KR 101796695B1 KR 1020160080733 A KR1020160080733 A KR 1020160080733A KR 20160080733 A KR20160080733 A KR 20160080733A KR 101796695 B1 KR101796695 B1 KR 101796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grance
acetate
benzyl
perf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이유선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08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주란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SPME)-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에 의해 분석된 문주란꽃의 향취성분을 제1 향료성분으로 하고, 이에 제2 향료 성분을 추가하여, 천연에 가까운 문주란꽃의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having the fragrance of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본 발명은 문주란(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주란(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은 원주형이고 높이 30∼50㎝, 지름 3∼7㎝이다. 잎은 선상피침형이며 털이 없고 육질로, 길이 30∼60㎝, 너비 4∼9㎝이다.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인경을 둘러싼다.
꽃은 7∼9월에 피며 화경은 높이 50∼80㎝, 지름 1.8㎝ 정도로서 잎이 없다. 산형화서로 많은 꽃이 달리며, 꽃 사이에 선상의 포가 있고, 소화경이 있으며, 화관은 백색으로 향기가 짙다. 과실은 삭과로 둥글며, 종자는 둔한 능선이 있고 회백색으로 둥글고 해면질이다.
온난한 해안의 모래땅에서 자라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토끼섬에만 자생하고 있다. 토끼섬의 문주란은 6·25 동란의 혼란한 틈에 많이 캐내어 그 수가 줄었으나 한 독지가의 노력에 의하여 복원되었다. 마을 청년들은 도난을 막기 위하여 감시를 철저히 하고 섬 주위에 돌담을 쌓아 풍랑을 막는 등 보호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토끼섬의 문주란은 천연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되었다.
문주란은 꽃이 아름다워서 관상적 가치가 높으므로 화훼용으로 많이 보급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진통·해독·소종·산어의 효능이 있어 두통, 관절통, 창독, 질타손상, 옹종의 치료제로 쓰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향기성분은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용매추출법, SPME(solid phase micro extraction)등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은 가장 기본적이고 과거로부터 널리 사용되어 오는 에센셜 오일의 추출법으로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를 이용하여 식물의 세포벽을 깨고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식물의 세포벽이 깨어져 향기 물질이 증발되는데, 이 증발된 향기물질을 다시 냉각시키면 액체 상태의 오일을 얻을 수 있다. 수증기 증류법은 고온에서 일부 열에 불안정한 성분이 파괴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대량으로 오일을 얻어 낼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압착법(expression)은 식물의 과실, 특히 레몬, 오렌지, 베르가못, 라임, 그레이프 후르츠와 같은 감귤류의 껍질 등을 압착하여 오일을 얻어내는 방법이다.
용매 추출법(solvent extraction)은 헥산(hexane)과 같은 휘발성 유기용매에 식물의 꽃을 일정시간 냉암소에서 침적시킨 후 향기 성분을 녹여내는 방법으로, 자스민, 장미 오일 같은 오일의 함량이 매우 적은 식물에서 향을 효율적으로 추출가능하나,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SPME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UPELCO international, Vol.13, No.4, p.9-10)은 GC용 실린지에 내재된 흡착제에 향기 성분을 직접 흡착, 농축, 추출하는 방법이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양의 시료로 간단하게 전처리할 수 있으며, 휘발성이 약한 향기성분의 분석이 가능하여 점차 활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향기 성분의 분석방법으로는 모세관 컬럼(capillary column)을 이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를 많이 이용하며, 분리된 성분을 동정할 때는 질량분석법(Mass spectrometry, MS)을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GC와 MS를 연결한 GC/MS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8883호에서는 춘란(Cymbidium goeringii Reichb) 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문주란꽃의 향을 SPME법으로 분석한 결과, 리날룰(LINALOOL), 헤디온(HEDIONE), 리날릴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제라닐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제라니올(GERANIOL), 리모넨(LIMONENE), 에틸페닐아세테이트(ETHYL PHENYL ACETATE), 3-헥센올(3-HEXEN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메칠페닐아세테이트(METHYL PHENYL ACETATE) 등이 문주란꽃의 주성분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주란꽃의 주성분들과 유사한 합성향료를 이용하여 문주란꽃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으나, 상기 분석된 성분을 상기 분석된 함량으로 인공적으로 혼합하여도 고유의 향취와 유사한 향취를 얻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고,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문주란꽃 향 고유 향취를 매우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PME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문주란꽃의 향 성분을 이용하여 문주란꽃의 향취를 재현하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는, 리날룰(LINALOOL), 헤디온(HEDIONE), 리날릴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제라닐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제라니올(GERANIOL), 리모넨(LIMONENE), 에틸페닐아세테이트(ETHYL PHENYL ACETATE), 3-헥센올(3-HEXEN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메칠페닐아세테이트(METHYL PHENYL ACETATE)로 이루어진 제1 향료성분과,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DIMETHYL ANTHRANILATE), 머세논(MUSCENONE)으로 이루어진 제2 향료성분을 포함하는,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리날룰 15~20중량%, 헤디온 15~20%중량%, 리날릴아세테이트 11~16중량%, 에칠렌브라실레이트 11~16중량%, 제라닐아세테이트 5~8중량%, 페닐에틸알코올 5~8중량%, 벤질아세테이트 5~8중량%,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2~5중량%, 벤질벤조에이트 1.5~3.5중량%, 제라니올 0.5~2.5중량%, 리모넨 0.1~2중량%, 에틸페닐아세테이트 0.1~1중량%, 3-헥센올 0.01~1중량%, 리날룰옥사이드 0.01~1중량%, 메칠페닐아세테이트 0.01~1중량%, 벤질살리실레이트 0.1~5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0.1~5중량%, 머세논 0.1~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SPME법에 의해서 분석된 향취 성분을 기초로 하여 문주란꽃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향취의 기호성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주란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SPME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문주란꽃의 향 성분인 리날룰(LINALOOL), 헤디온(HEDIONE), 리날릴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제라닐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제라니올(GERANIOL), 리모넨(LIMONENE), 에틸페닐아세테이트(ETHYL PHENYL ACETATE), 3-헥센올(3-HEXEN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메칠페닐아세테이트(METHYL PHENYL ACETATE)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DIMETHYL ANTHRANILATE), 머세논(MUSCENONE)을 부가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리날룰 15~20중량%, 헤디온 15~20%중량%, 리날릴아세테이트 11~16중량%, 에칠렌브라실레이트 11~16중량%, 제라닐아세테이트 5~8중량%, 페닐에틸알코올 5~8중량%, 벤질아세테이트 5~8중량%,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2~5중량%, 벤질벤조에이트 1.5~3.5중량%, 제라니올 0.5~2.5중량%, 리모넨 0.1~2중량%, 에틸페닐아세테이트 0.1~1중량%, 3-헥센올 0.01~1중량%, 리날룰옥사이드 0.01~1중량%, 메칠페닐아세테이트 0.01~1중량%, 벤질살리실레이트 0.1~5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0.1~5중량%, 머세논 0.1~5중량%의 범위로 함유한다.
문주란꽃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들로서 리날룰, 헤디온, 리날릴아세테이트, 에칠렌브라실레이트, 제라닐아세테이트, 페닐에틸알코올, 벤질아세테이트,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벤질벤조에이트, 제라니올, 리모넨, 에틸페닐아세테이트, 3-헥센올, 리날룰옥사이드, 메칠페닐아세테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머세논을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할 경우 문주란꽃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범위로 혼합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멀션 등과 같은 화장품뿐만 아니라 향수, 연고, 가용화상, 현탁액,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의 피부 외용기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배합량은 당 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SPME 법을 이용한 문주란꽃의 향취 분석
향이 강하고 좋은 문주란꽃의 향취성분을 포집하기 위하여 생화에 지퍼백을 씌운 다음, PDNS/DVB 화이버(PDNS/DVB fiber)를 고정하고 1시간 정도 향을 포집하였다.
향취성분을 포집한 후 화이버(Fiber)를 밀봉하고 아이스박스에 보관하여 실험실로 옮긴 후 분석하였다.
향이 흡착된 화이버(Fiber)를 GC-MSD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1분간 탈착 시키고 GC-MS분석을 행하였다. GC-MSD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조건
분석기기: AGILENT 6890/5973 GC/MSD
Column: Innowax(60m*0.32mm*0.5㎛
Carrier gas: He
Injection Temperature: 260℃
Oven Tempertature: 85℃~230℃(2℃/min)
탈착시간: 1 min
SPME법에 의해 분석된 문주란꽃 향의 향취 성분은 하기 표 2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리날룰(LINALOOL) 17.0
헤디온(HEDIONE) 17.0
리날릴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2.5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12.0
제라닐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6.5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6.0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6.0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3.0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2.3
제라니올(GERANIOL) 1.4
리모넨(LIMONENE) 1.0
에틸페닐아세테이트(ETHYL PHENYL ACETATE) 0.3
3-헥센올(3-HEXENOL) 0.1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0.1
메칠페닐아세테이트(METHYL PHENYL ACETATE) 0.1
기타 14.7
총 함 량 100.00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주란꽃은 리날룰, 헤디온, 리날릴아세테이트, 에칠렌브라실레이트, 제라닐아세테이트, 페닐에틸알코올, 벤질아세테이트,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벤질벤조에이트, 제라니올, 리모넨, 에틸페닐아세테이트, 3-헥센올, 리날룰옥사이드, 메칠페닐아세테이트 등의 주요 향취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성분은 전체의 85.3중량%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 1에서 문주란꽃으로부터 포집된 향취 성분의 샘플을 샘플 A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 조합 향료와 문주란꽃의 향취와의 비교 관능평가
상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합성성분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을 갖는 조합 향료(샘플 B)를 만들고, 이 향료와 상기 샘플A로 명명한 문주란꽃의 향취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조합향료 샘플 B
성분 함량(중량%)
리날룰(LINALOOL) 17.0
헤디온(HEDIONE) 17.0
리날릴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2.5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12.0
제라닐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6.5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6.0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6.0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3.0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2.3
제라니올(GERANIOL) 1.4
리모넨(LIMONENE) 1.0
에틸페닐아세테이트(ETHYL PHENYL ACETATE) 0.3
3-헥센올(3-HEXENOL) 0.1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0.1
메칠페닐아세테이트(METHYL PHENYL ACETATE) 0.1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14.7
총 함 량 100.00
관능평가는 25~50세의 일반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주란꽃의 샘플 A와 SPME법으로 분석된 각 향취 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하여 재현한 조합향료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4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 및 3)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샘플A와 샘플B의 향취 유사성을 비교하시오.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많이 유사하다.
2. 샘플 A의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는
(1) 매우 불만족한다.
(2) 불만족한다.
(3) 보통이다.
(4) 만족한다.
(5) 매우 만족한다.
3. 샘플 B의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는?
(1) 매우 불만족한다.
(2) 불만족한다.
(3) 보통이다.
(4) 만족한다.
(5) 매우 만족한다.
평가자 질문 1 질문 2 질문 3
1 2 3 2
2 1 4 3
3 2 4 3
4 1 4 2
5 3 5 2
6 2 5 3
7 1 3 2
8 1 3 3
9 2 3 3
10 3 5 2
11 3 5 3
12 3 4 3
13 2 5 4
14 1 5 3
15 3 4 3
평균 2.00 4.13 2.73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주란꽃의 향취 샘플 A와 조합향료 샘플 B는 유사성에서 2.00으로 별로 유사하지 않다는 결과를 보였으며, 문주란꽃 향취인 샘플 A의 기호성은 4.13점, 조합향료 샘플 B는 2.73점으로 기호성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실시예 3 -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 분석 및 새로운 문주란 꽃향의 조합향료 제조
전문 조향사의 관능평가에 의해 문주란 꽃의 향취 샘플 A와 조합향료 샘플 B를 비교한 결과, 조합향료 샘플 B가 문주란 꽃의 향취 샘플 A에 비하여 전체적인 향 성분들간의 조화로움이 떨어져서 향이 거칠게 느껴지고, 플로랄의 스위티한 볼륨감과 은은한 잔향감이 떨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서 향 성분들간의 조화로움 주기 위한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플로랄의 스위티한 볼륨감을 위한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DIMETHYL ANTHRANILATE), 은은한 잔향감을 주기 위해 머스크 계열의 머세논(MUSCENONE)을 첨가하여 표 6과 같이 제조예 1 내지 5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내지 5는 표 2로부터 문주란꽃의 주요 향취 성분인 리날룰(LINALOOL), 헤디온(HEDIONE), 리날릴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에칠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제라닐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ALPHA-HEXYL CINNAMIC ALDEHYDE),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제라니올(GERANIOL), 리모넨(LIMONENE), 에틸페닐아세테이트(ETHYL PHENYL ACETATE), 3-헥센올(3-HEXEN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메칠페닐아세테이트(METHYL PHENYL ACETATE)를 향료의 총 함량을 80 내지 96.1중량%로 유지하면서 제조하였다.
향료명
(함량:중량%)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리날룰 15.0 16.0 17.0 17.0 17.0
헤디온 15.0 16.0 17.0 17.0 17.0
리날릴아세테이트 13.0 12.5 12.5 13.0 13.0
에칠렌브라실레이트 13.0 12.5 12.5 13.0 13.0
제라닐아세테이트 6.5 6.5 6.5 6.5 6.5
페닐에틸알코올 6.0 6.0 6.0 6.5 6.5
벤질아세테이트 6.0 6.0 6.0 6.0 6.0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4.0 4.0 3.5 3.5 3.5
벤질벤조에이트 2.5 2.5 2.5 2.5 3.0
제라니올 1.5 1.5 1.5 1.5 1.5
리모넨 1.0 1.0 1.0 1.0 1.0
에틸페닐아세테이트 0.3 0.3 0.3 0.3 0.3
3-헥센올 0.1 0.1 0.1 0.1 0.1
리날룰옥사이드 0.1 0.1 0.1 0.1 0.1
메칠페닐아세테이트 0.1 0.1 0.1 0.1 0.1
벤질살리실레이트 2.0 - - 3.0 3.5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 1.0 - 1.5 2.0
머세논 - - 1.0 1.0 2.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9 13.9 12.4 6.4 3.9
총 함 량 100.0 100.0 100.0 100.0 100
실시예 4 -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3의 5가지 향료(제조예 1 내지 5)에 대해, 문주란꽃 향취인 샘플 A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에 대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일반인의 관능평가를 통해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이 표 7의 설문지에 대하여 응답하게 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문주란꽃의 향취 샘플A와 조합향료 샘플(제조예 1 내지 제조예 5)의 향취 유사성을 비교하시오.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많이 유사하다.
2. 조합향료 샘플(제조예 1 내지 제조예 5)의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는?
(1) 매우 불만족한다.
(2) 불만족한다.
(3) 보통이다.
(4) 만족한다.
(5) 매우 만족한다.
평가자 질문1(유사성) 질문2(기호성)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1 2 3 4 4 3 3 3 2 4 5
2 1 4 3 5 4 3 3 3 5 3
3 3 3 4 4 5 4 3 3 4 4
4 2 4 3 5 3 4 3 3 4 3
5 3 3 4 3 4 3 2 4 4 5
6 3 3 3 5 3 3 4 4 4 4
7 3 3 3 4 3 3 3 3 5 5
8 3 2 4 5 4 3 2 4 4 4
9 3 3 3 4 3 3 3 2 4 3
10 3 4 3 4 5 3 3 3 4 4
11 3 3 4 4 3 3 4 4 4 3
12 2 3 4 5 4 3 3 4 4 4
13 3 3 3 4 4 2 3 4 5 5
14 4 3 4 4 3 3 3 3 4 3
15 4 4 2 4 4 4 3 3 4 4
평균 2.8 3.2 3.4 4.3 3.7 3.1 3.0 3.3 4.2 3.9
상기 표 8의 결과와 같이, 조합향료와 천연 문주란꽃 향의 향기를 비교할 때, 조합향료가 천연 문주란꽃 향에 비하여 조화로움이 떨어지고 향이 거칠게 느껴진다는 평가를 도출함에 따라 부드럽고 마일드한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를 제조예 1에 2.0 중량% 첨가하였으며 향취의 유사성과 선호도는 증가하였다. 제조예 2는 플로랄의 스위티한 볼륨감을 위해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DIMETHYL ANTHRANILATE)를 1.0 중량% 첨가하여 향취의 유사성은 증가하였으나 기호성은 증가하지 않았다. 제조예 3은 은은한 잔향감을 주기 위해 머스크 계열의 머세논(MUSCENONE)을 1.0 중량% 첨가한 것으로 향취의 유사성과 선호도가 소폭으로 증가하였다. 제조예 4와 제조예 5는 벤질살리실레이트 3.0 중량%에서 3.5 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1.5 중량%에서 2.0 중량%, 머세논 1.0 중량%에서 2.0 중량%을 첨가한 것들로 향취의 유사성과 기호성이 많이 증가하였다. 여기에서 벤질살리실레이트 3.0 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1.5 중량%, 머세논 1.0 중량%를 투입하는 것이 향취의 유사성과 기호성이 가장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제조예 1]
상기에서와 같이 문주란꽃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조성물(제조예 4)을 배합하여 하기 표 9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 %)
문주란꽃 향취 재현 조합향료(제조예 4) 15.0
알코올 To 80
5
색소 적량
자외선차단제 적량
총 함 량 100.0

Claims (4)

  1. 문주란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리날룰 15~20중량%, 헤디온 15~20%중량%, 리날릴아세테이트 11~16중량%, 에칠렌브라실레이트 11~16중량%, 제라닐아세테이트 5~8중량%, 페닐에틸알코올 5~8중량%, 벤질아세테이트 5~8중량%, 알파-헥실시나믹알데하이드 2~5중량%, 벤질벤조에이트 1.5~3.5중량%, 제라니올 0.5~2.5중량%, 리모넨 0.1~2중량%, 에틸페닐아세테이트 0.1~1중량%, 3-헥센올 0.01~1중량%, 리날룰옥사이드 0.01~1중량% 및 메칠페닐아세테이트 0.01~1중량%로 이루어진 제1 향료 성분과,
    벤질살리실레이트 0.1~5중량%, 디메틸안트라닐레이트 0.1~5중량% 및 머세논 0.1~5중량%로 이루어진 제2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문주란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삭제
KR1020160080733A 2016-06-28 2016-06-28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796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733A KR101796695B1 (ko) 2016-06-28 2016-06-28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733A KR101796695B1 (ko) 2016-06-28 2016-06-28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95B1 true KR101796695B1 (ko) 2017-11-10

Family

ID=6038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733A KR101796695B1 (ko) 2016-06-28 2016-06-28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6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8248A (ja) 2003-06-18 2006-12-1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香りを放つ(blooming)固形石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8248A (ja) 2003-06-18 2006-12-1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香りを放つ(blooming)固形石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368B1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5097B1 (ko) 향료 조성물
KR101799027B1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4024B1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064067B1 (ko) 자귀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10001569A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58099B1 (ko)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6695B1 (ko) 문주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614066B1 (ko) 황금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35252B1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38709A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0422757B1 (ko) 제주한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378321B1 (ko) 해당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37998B1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44487B1 (ko) 철쭉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843166B1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94530B1 (ko)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56184A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80B1 (ko)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10348B1 (ko) 함박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13993B1 (ko)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20026257A (ko) 장미 향취를 재현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