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546B1 -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546B1
KR101796546B1 KR1020170078385A KR20170078385A KR101796546B1 KR 101796546 B1 KR101796546 B1 KR 101796546B1 KR 1020170078385 A KR1020170078385 A KR 1020170078385A KR 20170078385 A KR20170078385 A KR 20170078385A KR 101796546 B1 KR101796546 B1 KR 10179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adhesive
printed circuit
support plat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우
Original Assignee
김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우 filed Critical 김낙우
Priority to KR102017007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Abstract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가압장치는 장홈 형태의 복수의 접착제 배출부가 형성된 받침판을 마련하고, PCB 키트에서 불량 PCB가 제거된 절단면과 양품 PCB의 절단면 사이의 틈에 접착제를 충진할 때에 PCB 키트의 하부로 유출되는 접착제를 상기 접착제 배출부에 수용하게 함으로써 접착제 유출을 막기 위한 별도의 접착테이프가 요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PRESSURE APPRATUS FOR REPLACING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중에서 불량품을 양품으로 교체할 수 있는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와 각종 전자부품들은 그 자체로는 동작할 수 없다. 전자부품을 실장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해야 하며, 이를 담당하는 기능성 부품이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이다. PCB는 재질에 따라 리지드(Rigid) PCB와 플렉시블(Flexible) PCB로 구분되며, 층수에 따라 단면 PCB, 양면 PCB, 다층 PCB로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면 PCB(Single Side PCB)는 기판의 한쪽 면에만 배선을 형성한 PCB이다. 양면 PCB(Double Side PCB)는 기판의 양쪽 면에 배선을 형성한 PCB이다. 다층 PCB(Multi Layer Board; MLB)는 배선을 여러 층으로 형성한 PCB이다. 단순한 기능의 제품에는 단면 PCB가 주로 사용되고, 기능이 복잡한 전자기기일수록 한정된 공간에 많은 배선을 배치하기 위해 PCB의 층수가 증가된다. 최근 단면 PCB보다는 양면 PCB나 다층 PCB의 제조가 증가하는 이유다.
한편, PCB를 1개씩 제조하는 경우에는 양산에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다수의 PCB를 하나의기판에 포함하는 PCB 키트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PCB 키트에 배치된 PCB 중 일부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PCB 키트에서 불량 PCB를 커팅하여 제거한 후에 불량 PCB가 제거된 자리에 양품 PCB를 위치시켜 결합시키는 공정이 많이 이용되며, 이를 정합공정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정합공정에서 PCB 키트에서 불량 PCB가 제거된 위치에 양품 PCB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크게 가압장치를 이용하는 기계적인 결합방식과, 접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인 결합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방식은 PCB 키트에서 불량 PCB가 제거된 위치에 양품 PCB를 위치시킨 후에 가압장치로 가압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양자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PCB에 상당한 충격을 주게 되는 바, 가압에 의해 PCB의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회로부에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가압장치를 이용할 때에는 가압장치의 하부 지그에 PCB 키트를 고정핀으로 고정한 후에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가압이 종료된 후에 PCB 키트를 고정핀으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PCB 키트가 휘거나 꺾이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수율에 문제를 야기하였다.
한편, 후자의 방식은 PCB 키트에서 불량 PCB가 제거된 절단면과, 양품 PCB의 절단면 사이에 발생하는 소정 공간의 틈을 접착제(대표적으로는 에폭시 접착제)로 채움으로써 양자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접착제의 주입 과정에서 접착제가 PCB 키트의 하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막기 위해 접착테이프를 결합 부분의 하부에 부착시키는 추가 공정이 요구되며, 대부분은 작업자들이 직접 수작업을 통해 접착제를 채웠는 바,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676895호 (2007.01.25 등록)
본 발명은 PCB 키트에서 일부 PCB를 교체하기 위해 가압방식을 주로 사용하되, 접착방식을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분에 가압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표시부와, 조작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가압공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 키트가 안착되는 기판안착부와; 상기 가압공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안착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는, 복수의 양품 인쇄회로기판이 프레임 내부에 정렬되어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1 이상의 교체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는 교체공간이 존재하며, 상기 양품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과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은 브릿지로 연결되며, 상기 교체공간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프레임에는 1 이상의 제1 결합부 - 제1 돌기 및 제1 홈이 형성됨 - 가 형성되고, 상기 교체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1 이상의 제2 결합부 - 상기 제1 홈에 수용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를 수용하는 제2 홈이 형성됨 - 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교체공간 상부분에 교체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에 의해 기판안착부의 상면이 가압되면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억지끼움되어 상기 교체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교체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에 정합되고, 상기 기판안착부는, 상기 가압공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 중 1 이상에 고정핀이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통공이 1 이상 형성되며 양측부 테두리에는 장홈 형태의 복수의 접착제 배출부가 일렬로 형성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는 상기 받침판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의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라인이 상기 접착제 배출부의 상부에 놓여지는 가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안착부는, 상기 받침판을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소정 정도 위로 들어올려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를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판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 일부 삽입되는 복수의 승강축과, 상기 지지판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축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공간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라인에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노즐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가압장치는 장홈 형태의 복수의 접착제 배출부가 형성된 받침판을 마련하고, PCB 키트에서 불량 PCB가 제거된 절단면과 양품 PCB의 절단면 사이의 틈에 접착제를 충진할 때에 PCB 키트의 하부로 유출되는 접착제를 상기 접착제 배출부에 수용하게 함으로써 접착제 유출을 막기 위한 별도의 접착테이프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가압장치는 상기 받침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PCB 키트를 용이하게 고정핀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바, PCB 키트의 이탈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PCB 키트의 파손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압장치에는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노즐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으로 접착제를 PCB 키트에서 불량 PCB가 제거된 절단면과 양품 PCB의 절단면에 도포할 수 있는 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압장치에서 기판안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기판안착부에 PCB 키트가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기판안착부의 승강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가압장치(100)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가압장치(100)는 정합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정합공정이란 복수의 PCB가 하나의 기판에 포함된 PCB 키트(인쇄회로기판 키트; 이하에서는 PCB 키트라고 약칭하기로 함)의 일부 PCB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 PCB 키트에서 불량 PCB를 커팅하여 제거한 후, 상기 불량 PCB가 제거된 자리에 양품 PCB를 위치시켜 PCB 키트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양품 PCB는 전자소자들이 실장되기 전인 베어보드(Bare Board)에 대해 회로패턴의 전기적 검사(단락검사, 단선검사 등)를 통과한 PCB를 의미하며, 불량 PCB는 이와 같은 전기적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PCB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압장치(100)는 본체부(110)와, 기판안착부(130)와, 가압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가압장치(100)의 몸체를 이룬다. 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박스형을 갖는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하우징(111) 내부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는 ECU(Electr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하우징(111)의 외부에는 표시부(114)와 조작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14)는 사용자가 공정 상태를 확인하거나 구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조작부(113)는 사용자가 장치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114)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조작부(113)는 통상의 버튼 장치일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11)의 하부분에는 가압공간(112)이 마련된다.
가압공간(112)의 상부에는 가압부(120)가 설치되며, 가압공간(112)의 하부에는 기판안착부(130)가 설치된다. 가압부(120)는 하강하여 기판안착부(13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가압부(120)는 가압장치에서는 일반적인 것이며, 가압부(120)의 기술 원리나 세부적인 기술적 사항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기판안착부(130)의 상부에는 정합의 대상이 되는 PCB 키트(미도시)가 안착된다. 사용자는 기판안착부(130)의 상부에 PCB 키트를 안착시킨 후에, 가압장치(100)를 구동시켜 가압부(12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가압부(120)는 PCB 키트의 상면을 가압시켜, 정합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합공정을 수행하는 기존의 가압장치에 있어서, 기판안착부는 PCB 키트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핀이 마련되고, PCB 키트에 형성된 고정홀을 상기 고정핀들에 관통시켜 PCB 키트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가압장치(100)에서 기판안착부(130)는 종래 방식보다 개선된 구조를 가지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가압장치(100)에서 기판안착부(1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안착부(130)는 지지판(131)과 받침판(132)을 포함한다.
지지판(131)은 본체부(110)의 가압공간(112)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지지판(131)은 받침판(132)과 PCB 키트(10)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지지판(131)은 상면이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된다. 지지판(131)의 상부에는 복수의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 들 중 1 이상에는 고정핀(131a)이 설치된다. 고정핀(131a)은 받침판(132)과 PCB 키트(10; 도 3 참고)를 지지판(131)에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홀과 고정핀(131a)의 배치 형태는 고정시키고자 하는 PCB 키트(10)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내벽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핀(131a)의 하부분 측부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PCB 키트(10)에는 일반적으로 지그에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홀들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홀의 배치 형태는 PCB 키트(10) 마다 상이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판(131)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PCB 키트(10)의 안착홀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지지판(131)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 중 1 이상에 고정핀(131a)을 결합시킴으로써 PCB 키트(10)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지지판(131)의 상부면으로부터 고정핀(131a)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는 대략 받침판(132)의 두께 및 PCB 키트(10)의 두께의 합에 상응한다.
받침판(132)은 지지판(131)의 상부에 배치된다. 받침판(132)은 PCB 키트(10)를 하부에서지지한다. 받침판(132)은 상면이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받침판(132)의 양 측부는 소정 정도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 PCB 키트(10)가 놓여졌을 때, 작업자가 PCB 키트(1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지지판(131)에는 복수의 통공(132a)이 마련된다. 통공(132a)은 받침판(132)의 상부에 올려질 PCB 키트(10)에 형성될 안착홀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PCB 키트(10)의 형태가 달라지면, 받침판(132)의 형태 역시 달라질 수 있다. 통공(132a)은 지지판(131)에 형성된 고정핀(131a)을 수용한다. 따라서 받침판(132)이 지지판(13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받침판(132)의 양측부 테두리에는 복수의 접착제 배출부(132b)가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접착제 배출부(132b)는 하부가 막혀 있는 장홈 형태로 형성된다. 접착제 배출부(132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32)의 양측부 테두리에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2에서는 받침판(132)의 양측부 테두리에 각각 5개의 접착제 배출부(132b)를 도시하고 있으나, 접착제 배출부(132b)의 개수는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접착제 배출부(132b)는 PCB 키트(10)의 정합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주입 과정에 있어서 PCB 키트(10)의 하부로 유출되는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PCB 키트(10)의 접착제 유출을 막기 위해 종래와 같이 접착 테이프를 PCB 키트(10)의 하부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기판안착부(130)는 받침판(132)을 지지판(131)으로부터 소정 정도 위로 들어올리는 승강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도 2의 기판안착부(130)에 PCB 키트(10)가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안착부(130)의 상부에는 PCB 키트(10)가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우선 PCB 키트(10)에 대해 설명한다. PCB 키트(10)는 복수의 PCB가 하나의 기판에 배치된다. 예컨대 도 3에서는 5개의 PCB가 하나의 기판에 정렬되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아래 4개의 PCB가 양품 PCB라고 가정한다(도 3에서 부호 B로 표기함). 그리고 맨 위의 PCB는, 전기적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불량 PCB를 커팅을 통해 제거한 후 상기 불량 PCB가 배치되었던 자리(이하, 교체공간이라고 한다)에 결합될 교체 PCB라고 가정한다(도 3에서 부호 A라고 표기함). 교체 PCB는 전기적 검사를 통과한 양품 PCB에 해당한다.
PCB 키트(1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PCB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과 PCB를 연결시키는 결합부위를 브릿지라고 칭하기로 한다. 관련하여, 도 3의 우측 확대도에서는 브릿지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불량 PCB가 커팅을 통해 제거된 부분의 프레임(11)에는 제1 결합부(11a)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11a)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으로 형성된 1 이상의 제1 돌기와, 1 이상의 제1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불량 PCB를 PCB 키트(10)로부터 제거할 때, 불량 PCB와 프레임(11)의 브릿지에 제1 결합부(11a)를 형성하면서 불량 PCB가 제거되는 것이다. 제1 결합부(11a)의 형성은 드릴, 라우터 비트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PCB 키트(10)에서 불량 PCB가 배치되었던 교체공간에 배치되는 교체 PCB의 측부에는 제2 결합부(12)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12)는 프레임(11)의 제1 결합부(11a)와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결합부(12)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으로 형성된 1 이상의 제2 돌기와, 1 이상의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돌기는 제1 결합부(11a)의 제1 홈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2 홈은 제1 결합부(11a)의 제1 돌기를 수용한다. 한편, 제1 결합부(11a)와 제2 결합부(12) 사이에는 미세한 폭(W)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폭(W)은 대략 5㎛ 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가압장치(100)를 이용한 정합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기판안착부(130)는 지지판(131)과, 지지판(131) 상부에 배치되는 받침판(132)을 포함한다. 받침판(132)에 형성된 통공(132a; 도 2 참고)을 지지판(131)에 설치된 고정핀(131a)에 삽입함으로써, 받침판(132)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핀(131a)의 높이는 받침판(132)의 두께와 PCB 키트(10)의 두께의 합에 상당하므로, 받침판(132)을 배치한 후에 고정핀(131a)은 받침판(132)의 통공(132a) 위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불량 PCB가 제거된 PCB 키트(10)를 받침판(132) 상부에 배치한다. PCB 키트(10)에는 받침판(132)에 형성된 통공(132a)과 상응하는 위치에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착홀을 고정핀(131a)에 삽입함으로써, PCB 키트(10)가 배치될 수 있다. PCB 키트(10)가 배치된 후에는 고정핀(131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받침판(132)의 상부에 배치된 PCB 키트(10)는 불량 PCB가 제거된 교체공간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교체공간에 교체 PCB를 배치한다. 상기 교체 PCB 역시 받침판(132)에 형성된 통공(132a)과 상응하는 위치에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착홀을 고정핀(131a)에 삽입하여(교체공간에서는 고정핀(131a)이 노출되어 있음), 교체 PCB를 배치한다. 다만 별도의 외력을 주지 않는 한, 교체 PCB는 상기 교체공간에 배치만 되어 있을 뿐, PCB 키트(10)와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교체 PCB를 배치하면, PCB 키트(10)의 프레임(11)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a)와 교체 PCB에 형성된 제2 결합부(12)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치합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 때, 제1 결합부(11a)와 제2 결합부(12)의 결합라인은 받침판(132)의 접착제 배출부(132b)의 상부에 놓여진다.
다음으로, 제1 결합부(11a)와 제2 결합부(12)의 결합부 중 적어도 1 이상에 접착제를 도포한다(결합라인에 접착제를 도포함). 접착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폭시계 접착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부(110)의 조작부(113)를 이용하여 가압부(120; 도 1 참고)를 하강시키면, 가압부(120)는 기판안착부(130) 상에 배치된 PCB 키트(10)와 교체 PCB를 가압한다. 이 때, 가압부(120)의 가압력은 조정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가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압력을 갖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가압부(120)의 가압력에 의해 교체 PCB는 PCB 키트(10)의 교체공간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PCB 키트(10)의 제1 결합부(11a)와 교체 PCB의 제2 결합부(12)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치합을 이루면서 교체 PCB가 PCB 키트(10)에 정합될 수 있다.
나아가 동시에 제1 결합부(11a) 및 제2 결합부(12)의 결합부 중 적어도 1 이상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바, 상기 접착제에 의해 교체 PCB가 PCB 키트(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정합될 수 있다. 한편, 교체 PCB가 PCB 키트(10)에 정합될 때, 상기 접착제 중 일부는 PCB 키트(10)의 하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a)와 제2 결합부(12) 사이의 폭(W)이 미세할 뿐더러, 가압부(120)에 의한 가압력이 제1 결합부(11a)와 제2 결합부(12)의 결합부분에도 인가되기 때문이다. 이 때, 하부로 유출되는 접착제는 기판안착부(130)의 받침판(132)에 형성된 접착제 배출부(132b)에 수용된다.
이어 가압부(120)를 다시 상승시킨 후에, PCB 키트(10)를 기판안착부(1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된 PCB 키트(10)는 접착제의 건조를 위해 건조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다시 한번 전기적 검사를 거침으로써 정합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검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장치(100)는 가압방식을 이용하여 교체 PCB를 PCB 키트(10)에 정합시키되, 보조적으로 접착방식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즉, 상술한 예에 있어서, 제1 결합부(11a)와 제2 결합부(12)의 결합부 중 적어도 1 이상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가압장치(100)의 가압부(120)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교체 PCB를 PCB 키트(10)에 정합할 수 있다.
이렇게 가압방식과 접착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압방식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가압력을 상대적으로 낮춰도 안정적으로 정합시킬 수 있다. 낮은 가압력을 접착제에 의해 결합이 보완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춰진 가압력은 PCB의 파손 빈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기존 가압방식에서는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PCB에 상당한 충격을 주게 되는 바, PCB의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회로부에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장치(100)에서는 받침판(132)에 형성된 접착제 배출부(132b)를 통해 접착제를 사용하였을 때에 PCB 키트(10)의 하부로 유출되는 접착제를 접착제 배출부(132b)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이 크게 간단해진다. 왜냐하면 종전 접착방식에서는 접착제가 PCB 키트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접착테이프를 PCB 키트(10)의 하부에 부착시켜야만 했다. 그렇지 않으면 PCB 키트(10)가 접착제에 의해 하부 지그에 부착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압장치(100)에서는 PCB 키트(10)의 하부로 유출된 접착제가 받침판(132)의 접착제 배출홀(132b)에 수용되므로, 종전과 같이 별도의 접착테이프가 요구되지 않아 공정이 줄어들 뿐더러 크게 간소화된다.
도 4는 도 3의 기판안착부(130)의 승강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장치(100)의 기판안착부(130)는 승강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133)는 받침판(132)을 지지판(131)으로부터 소정 정도 위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받침판(132) 상부에 배치된 PCB 키트(10)를 고정핀(131a)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바, PCB 키트(10)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기존 가압장치에서는 PCB 키트(10)의 정합공정이 수행된 후, PCB 키트(10)를 가압장치의 하부지그로부터 분리하려 할 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왜냐하면 PCB 키트(10)는 다수의 고정핀(131a)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바, PCB 키트(10)를 다수의 고정핀(131a)으로부터 동시에 분리할 수는 없고 부분적으로 들어가면서 분리를 시켜야 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PCB 키트(10)가 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특히 프레임과 교체 PCB의 브릿지 부분에서 이러한 문제가 빈번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압장치(100)에서는 승강부(133)를 통해 받침판(132)을 지지판(131)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들어올리게 되는 바, PCB 키트(10)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승강부(133)는 구동장치(133a)와 승강축(133b)을 포함한다. 구동장치(133a)는 지지판(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축(133b)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구동장치(133a)는 승강축(133b)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일 수 있다. 승강축(133b)은 하단이 구동장치(133a)와 연결되고, 지지판(131)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지지판(131)에는 승강축(133b)이 통과되는 승강홀(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축(133b)의 개수는 특정되지 않으나, 받침판(132)을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3쌍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판(132)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적절히 분산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승강축(133b)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승강홀(131b)의 내벽에도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승강축(133b)과 승강홀(131b)이 서로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133a)의 회전구동에 의해 승강축(133b)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홀(131b)을 기준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승강축(133b)의 상단부는 받침판(132)의 하부면에 일부 삽입된다. 이를 위해 받침판(132)의 하부면에는 승강축(133b)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132c)이 마련될 수 있다. 승강축(133b)과 받침판(132)은 상호 결합되지는 않는다. PCB 키트(10)의 종류에 따라 받침판(132)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받침판(132)의 하부에 마련되는 삽입홈(132c)을 통해 승강축(133b)의 상단부를 수용하게 되는 바, 승강축(133b)에 의해 받침판(132)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부(133)의 동작을 설명한다. 정합공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본체부(110)의 조작부(113)를 통해 승강축(133b)을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축(133b)의 상승에 의해 받침판(132)은 승강축(133b)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되는 바, 지지판(131)으로부터 위로 들리게 된다. 또한 받침판(132) 상부에 배치된 PCB 키트(10) 역시 함께 들리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131)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핀(131a)의 높이는 받침판(132) 및 PCB 키트(10)의 두께의 합과 상응하는 바, PCB 키트(10)는 상승하면서 고정핀(131a)을 이탈하게 되고, 작업자는 용이하게 PCB 키트(1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가압장치(200)를 설명한다. 전술한 구체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가압장치(200)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장치(200)는 본체부(210)와, 기판안착부(230)와, 가압부(22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하우징(211)과, 조작부(213)와, 표시부(214)를 포함하며, 하부에는 가압공간(212)이 형성된다. 본 구체예에서의 본체부(210), 기판안착부(230) 및 가압부(220)는 전술한 구체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구체예에서의 가압장치(200)가 전술한 구체예와 차이나는 점은 접착부(240) 구성요소이다. 접착부(240)는 한 쌍의 장치일 수 있으며, 가압공간(21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접착부(240)는 기판안착부(230)에 안착된 PCB 키트(10)에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라인에 접착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접착부(240)는 구동부(241)와 접착노즐(242)을 포함한다. 구동부(241)는 접착노즐(242)을 상기 결합라인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동부(241)는 로봇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41)는 지지부재(241a)와, 지지부재(241a)의 하부에 일측 상부가 결합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제1 관절(241b)과, 제1 관절(241b)의 타측 하부에 일측 상부가 결합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제2 관절(241c)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노즐(242)은 구동부(24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노즐(242)은 구동부(241)의 제2 관절(241c)의 타측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노즐(242)은 접착제를 배출하며, 이 때 접착노즐(242)의 팁 부분은 PCB 키트(10)를 향하여 꺽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확대도 참고).
이에 따라 PCB 키트(10)가 기판안착부(230)에 안착된 후 교체 PCB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접착부(24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부 중 적어도 1 이상에 접착제를 자동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바,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가압장치는 장홈 형태의 복수의 접착제 배출부가 형성된 받침판을 마련하고, PCB 키트에서 불량 PCB가 제거된 절단면과 양품 PCB의 절단면 사이의 틈에 접착제를 충진할 때에 PCB 키트의 하부로 유출되는 접착제를 상기 접착제 배출부에 수용하게 함으로써 접착제 유출을 막기 위한 별도의 접착테이프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가압장치는 상기 받침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PCB 키트를 용이하게 고정핀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바, PCB 키트의 이탈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PCB 키트의 파손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압장치에는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노즐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으로 접착제를 PCB 키트에서 불량 PCB가 제거된 절단면과 양품 PCB의 절단면에 도포할 수 있는 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200: 가압장치
110, 210: 본체부
120, 220: 가압부
130, 230: 기판안착부
240: 접착부
10: PCB 키트

Claims (3)

  1. 하부분에 가압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표시부와, 조작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가압공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 키트가 안착되는 기판안착부와; 상기 가압공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안착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공간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의 하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라인에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노즐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는, 복수의 양품 인쇄회로기판이 프레임 내부에 정렬되어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1 이상의 교체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는 교체공간이 존재하며, 상기 양품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과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은 브릿지로 연결되며, 상기 교체공간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프레임에는 1 이상의 제1 결합부 - 제1 돌기 및 제1 홈이 형성됨 - 가 형성되고, 상기 교체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1 이상의 제2 결합부 - 상기 제1 홈에 수용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를 수용하는 제2 홈이 형성됨 - 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교체공간 상부분에 교체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에 의해 기판안착부의 상면이 가압되면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억지끼움되어 상기 교체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교체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에 정합되고,
    상기 기판안착부는, 상기 가압공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 중 1 이상에 고정핀이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통공이 1 이상 형성되며 양측부 테두리에는 하부가 막혀 있는 장홈 형태로써 상기 접착부에 의해 공급되는 접착제 중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의 하부로 유출되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접착제 배출부가 일렬로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소정 정도 위로 들어올려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를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판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 일부 삽입되는 복수의 승강축과, 상기 지지판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축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는 상기 받침판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 키트의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라인이 상기 접착제 배출부의 상부에 놓여지는 가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안착부의 받침판의 양 측부는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승강축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가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압공간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하부에 일측 상부가 결합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제1 관절과, 제1 관절의 타측 하부에 일측 상부가 결합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제2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노즐은 제2 관절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접착노즐의 팁 부분은 인쇄회로기판 키트를 향하여 꺾인 형태로 형성되는 가압장치.
KR1020170078385A 2017-06-21 2017-06-21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 KR10179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85A KR101796546B1 (ko) 2017-06-21 2017-06-21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85A KR101796546B1 (ko) 2017-06-21 2017-06-21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546B1 true KR101796546B1 (ko) 2017-11-10

Family

ID=6038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85A KR101796546B1 (ko) 2017-06-21 2017-06-21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0162A (zh) * 2018-05-21 2018-08-21 雪龙数控设备(深圳)有限公司 线路板钻孔用的垫板的自动更换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95B1 (ko) * 2005-01-07 2007-01-31 박운용 인쇄회로기판의 불량단품 피.씨.비 교체방법
KR101295014B1 (ko) * 2013-02-28 2013-08-09 (주)인벤티홀딩스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보강부재 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95B1 (ko) * 2005-01-07 2007-01-31 박운용 인쇄회로기판의 불량단품 피.씨.비 교체방법
KR101295014B1 (ko) * 2013-02-28 2013-08-09 (주)인벤티홀딩스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보강부재 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0162A (zh) * 2018-05-21 2018-08-21 雪龙数控设备(深圳)有限公司 线路板钻孔用的垫板的自动更换装置及方法
CN108430162B (zh) * 2018-05-21 2023-09-29 雪龙数控设备(深圳)有限公司 线路板钻孔用的垫板的自动更换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652B1 (ko) 공간변형기와 상기 공간변형기의 제조방법 및 상기공간변형기를 갖는 프로브 카드
US20060132692A1 (en) Tape carrier package on reel and plasm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035570B1 (ko) Lcd 검사 장비용 자동 프로브 유니트 교체장치
KR20060099079A (ko) 액정표시모듈
KR101796546B1 (ko) 인쇄회로기판 교체를 위한 가압장치
US20070103179A1 (en) Socket base adaptable to a load board for testing ic
KR101771905B1 (ko) 인쇄회로기판의 교체를 위한 정합 시스템
KR20190107557A (ko) 굴곡부를 구비하는 fpcb용 커넥터형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fpcb 검사방법
US7060513B2 (en) Method of testing FPC bonding yield and FPC having testing pads thereon
KR101267243B1 (ko) 피씨비 본딩 장치 및 피씨비 본딩 방법
JP5526756B2 (ja) 液晶表示装置の実装方法及びそれに適するチップ搭載配線基板
KR100878432B1 (ko) 엘시디 검사용 일체형 프로브 유니트
KR101402931B1 (ko) 진공 흡착 지그 장치를 이용한 플렉시플 회로기판 부품 장착 방법
US20070090847A1 (en) Stepped PCB for probe card, probe card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lamping the probe card
EP21286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458562Y1 (ko) 필름 시트 형 프로브를 가진 액정 패널 테스트 프로브 장치
US7408189B2 (en) Method of testing FPC bonding yield and FPC having testing pads thereon
KR200250844Y1 (ko) 표면실장기의 백업핀 지그
JP4585344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及び回路基板検査方法
KR101158762B1 (ko)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340198A (ja) 基板位置決め用吸着ピンユニット
KR200250862Y1 (ko) 양면노출구조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부품실장용 보강판
JP2008235745A (ja) 複数の単位基板が連結された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複数の単位基板が連結されたシート
KR100835182B1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KR20100113781A (ko) 필름 자동편집 장치 및 그 편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