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589B1 - 전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589B1
KR101794589B1 KR1020160048694A KR20160048694A KR101794589B1 KR 101794589 B1 KR101794589 B1 KR 101794589B1 KR 1020160048694 A KR1020160048694 A KR 1020160048694A KR 20160048694 A KR20160048694 A KR 20160048694A KR 101794589 B1 KR101794589 B1 KR 10179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vertical
horizontal
convert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344A (ko
Inventor
이만승
김철환
반기종
오지운
이용우
최수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6004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58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33Suppor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33Supporting means
    • C21C5/464Trunnion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22Rotary drums; Supports therefor
    • F27B7/2206Bear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로 지지장치는, 트러니언링과 전로를 연결하며, 상기 전로를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수직지지수단; 및 상기 트러니언링에 설치되며, 상기 전로를 탄성적으로 수평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수평지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로 지지장치{SUSPENSION SYSTEM FOR CONVERTER}
본 발명은 전로 지지장치로서, 전로를 지지하는 전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강플랜트의 주요설비인 전로(converter)는 철(iron)을 강(steel)로 변환시키는 설비로서, 고온의 용선(molten steel)을 정련하고 출강을 위해 경동(회전)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전로 경동 메커니즘은 트러니언링(trunnion ring)의 측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구동장치에 의해 축회전함으로써, 트러니언링과 전로가 함께 경동하는 것이다.
이때, 전로는 트러니언링에 의해 지지되며, 이때 전로와 트러니언링을 연결하는 구조를 전로 지지장치라고 한다.
이러한 전로 지지장치는 전로의 자중, 용선 장입하중, 정련하중 및 경동 시 작용하중 등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고, 고온의 용강으로 인한 전로 철피의 열팽창을 구속하지 않아야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전로 지지장치 중에서 매우 강성이 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로의 자유로운 변형을 제한하는데, 이에 의해, 열팽창에 대한 구속으로 인하여 전로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높은 응력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전로 지지장치는 고온으로 인한 전로의 열변형을 구속하지 않는 동시에 운전조건에서 안전하게 전로를 지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전로 지지장치들은 큰 강성으로 전로를 구속하여 용선장입 시의 충격, 장입된 용선에 의한 열팽창과 이로 인한 열변형, 그리고 정련진동에 전로 설비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체인형인 경우 전로의 열변형을 구속하지는 않으나, 전로를 트러니언링에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함으로써, 용선장입 시 및 정련 시, 특히 전로의 경동 시 전로가 트러니언링에 충동됨에 따라,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고정형 전로 지지장치의 경우 유지보수에도 불편한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로의 자중, 용선 장입하중, 정련하중 및 경동 시 작용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온의 용강으로 인한 전로 철피의 열변형을 구속하지 않는 전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 지지장치는, 트러니언링과 전로를 연결하며, 상기 전로를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수직지지수단; 및 상기 트러니언링에 설치되며, 상기 전로를 탄성적으로 수평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수평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트러니언링에 설치된 상부브라켓; 상기 전로에 설치된 하부브라켓; 및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을 연결하며, 수직배치된 인장케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하부브라켓에 내장되며, 상기 인장케이블의 단부가 걸림되면서 탄성지지되는 케이블수직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수직탄성부는 디스크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전로에 설치된 수직슈브라켓; 및 상기 수직슈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트러니언링을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는 수직슈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직슈유닛은, 상기 트러니언링 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수직슈; 및 상기 수직슈브라켓에 내장되어 상기 수직슈를 탄성지지하는 슈수직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슈수직탄성부는 디스크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슈브라켓에는 수직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슈수직탄성부는, 상기 수직장착홀에 복수 개가 내장되며, 수평배치된 디스크스프링; 및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사이에 수평배치된 디스크와셔;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중, 상기 디스크와셔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크스프링과 타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크스프링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로의 측부에는 상기 트러니언링의 회전축 하측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측부축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수단은, 상기 트러니언링에 설치된 수평슈브라켓; 및 상기 수평슈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측부축을 폭방향 양측에서 탄성지지하는 수평슈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슈유닛은, 상기 측부축 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수평슈; 및 상기 수평슈브라켓에 내장되어 상기 수평슈를 탄성지지하는 슈수평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슈수평탄성부는 디스크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슈브라켓에는 수평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슈수평탄성부는, 상기 수평장착홀에 복수 개가 내장되며, 수직배치된 디스크스프링; 및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사이에 배치된 디스크와셔;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중, 상기 디스크와셔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크스프링과 타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크스프링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슈수평탄성부는, 상기 측부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전로의 경동 시 상기 수평슈유닛으로 수직지지되는 로드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로 지지장치는, 전로를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는 수직지지수단과, 전로를 탄성적으로 수평지지하는 수평지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전로의 자중, 용선 장입하중, 정련하중 및 경동 시 작용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온의 용강으로 인한 전로 철피의 열변형을 구속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로 지지장치는 인장케이블 및 디스크스프링이 구성됨으로써, 전로의 충격, 열변형, 및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에 따라, 전로에 크랙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선장입 및 정련 시, 특히 전로의 경동 시 트러니언링에 전로가 충돌되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전로 지지장치는, 전로와 트러니언링에 착탈이 용이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 지지장치에 의해 전로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전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전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트러니언링에 도 1의 전로 지지장치에서 수평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트러니언링에 도 1의 전로 지지장치에서 수평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트러니언링에 도 1의 전로 지지장치에서 수평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평지지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로 지지장치에서 수직지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직지지수단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 지지장치에 의해 전로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a)는 도 1의 전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전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5는 트러니언링에 도 1의 전로 지지장치에서 수평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수평지지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로 지지장치는 트러니언링(20)과 전로(10)를 연결하는 수직지지수단, 및 상기 트러니언링(20)에 설치된 수평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지지수단은 트러니언링(20)에 설치되며, 전로(10)를 탄성적으로 수평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로(10)의 측부에는 측부축(10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측부축(10a)은 트러니언링(20)의 회전축(20a) 하측에 회전축(20a)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수단은 트러니언링(20)에 설치된 수평슈브라켓(800)과, 상기 수평슈브라켓(800)에 장착된 수평슈유닛(HS)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슈유닛(HS)은 전로(10)의 측부축(10a)을 폭방향 양측에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슈유닛(HS)은 전로(10)의 측부축(10a) 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수평슈(910), 상기 수평슈브라켓(800)에 내장되어 수평슈(910)를 탄성지지하는 슈수평탄성부(9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슈(910)는 전로(10)의 측부축(10a)에 대한 접촉을 점접촉에 가깝게 함으로써, 전로(10)를 수평방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전로(10)의 수평방향에 대한 변형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슈수평탄성부(920)는 디스크스프링(921)을 구비하여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슈브라켓(800)에는 수평장착홀(800a)이 형성되며, 상기 슈수평탄성부(920)는 수평장착홀(800a)에 복수 개가 내장되며 수직배치된 디스크스프링(921)과,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921) 사이에 배치된 디스크와셔(922)를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디스크와셔(922)는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921)끼리의 체결효과를 높여준다.
이때,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921) 중, 디스크와셔(9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디스크스프링(921)과 타측에 배치된 디스크스프링(921)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슈수평탄성부(920)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슈수평탄성부(920)는 전로(10) 측부축(10a)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전로(10)의 경동 시 수평슈유닛(HS)으로 수직지지되는 로드셀(R)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셀(R)은 전로(10)가 경동 시 전로(10) 내에 수용된 용강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측정값을 설비제어에 있어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수평지지수단의 수평슈유닛(HS)과 내부구조는 유사하지만, 배치구조가 다르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수직슈유닛(VS)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전로(10)에 설치된 수직슈브라켓(600)과, 상기 수직슈브라켓(600)에 장착되며 트러니언링(20)을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는 수직슈유닛(VS)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슈유닛(VS)은 트러니언링(20) 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수직슈(710)와, 수직슈브라켓(600)에 내장되어 수직슈(710)를 탄성지지하는 슈수직탄성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슈수직탄성부(720)는 디스크스프링을 구비하여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직슈브라켓(600)에는 수직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슈수직탄성부(720)는 수직장착홀에 복수 개가 내장되며 수평배치된 디스크스프링과,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사이에 수평배치된 디스크와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 중, 디스크와셔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디스크스프링과 타측에 배치된 디스크스프링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슈수직탄성부(720)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전로 지지장치에서 수직지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수직지지수단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전로(10)를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트러니언링(20)에 설치된 상부브라켓(100), 전로(10)에 설치된 하부브라켓(300), 및 상기 상부브라켓(100)과 하부브라켓(300)을 연결하는 인장케이블(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케이블(C)은 일단부가 상부브라켓(1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부브라켓(300)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배치된다.
이러한 인장케이블(C)은 전로(10)를 트러니언링(20)에 견고하게 지지할 뿐 아니라, 일정 정도의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전로(10)의 충격, 열변형,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에 따라, 전로(10)를 포함한 전체 설비에 크랙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상부브라켓(100) 또는 하부브라켓(300)에 장착되는 케이블수직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수직탄성부는 상부브라켓(100)과 하부브라켓(300)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인장케이블(C)의 단부가 걸림되면서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일례로서 상기 케이블수직탄성부는 상부브라켓(100)에 내장된 상부탄성부(200)와, 하부브라켓(300)에 내장된 하부탄성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브라켓(100)은 트러니언링(20)의 상면에 안착지지되는데, 이때 인장케이블(C)의 상단부가 트러니언링(20)에 형성된 통과홀(20b)을 통과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부탄성부(200)는 상부브라켓(100)에 내장되어 인장케이블(C)을 탄성지지하는데, 일례로서 디스크스프링(210)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브라켓(100)은 수직으로 형성된 베이스홀(110a)을 가진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홀(110a) 내에 삽입되며 조립체홀(120a)을 가진 상부텐션조립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탄성부(200)는 베이스홀(110a) 내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 디스크스프링(210)과,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210) 사이에 장착된 디스크와셔(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스프링(210)은 베이스부재(110)의 베이스홀(110a) 내에서 베이스부재(110)와 상부텐션조립체(120) 사이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스프링홀(210a)을 가진다.
또한, 상기 디스크와셔(220)는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21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디스크와셔홀(220a)을 가진다.
이때, 상기 인장케이블(C)은 베이스홀(110a), 디스크와셔홀(220a), 스프링홀(210a), 및 조립체홀(120a)을 관통하면서, 상단부에 형성된 상단블럭(Ca)이 상부텐션조립체(120)에 걸려진 구조를 취한다.
나아가,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210) 중, 디스크와셔(220)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디스크스프링(210)과 타측에 배치된 디스크스프링(21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상부탄성부(200)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상기 베이스홀(110a) 내부에 내부단차(110b)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텐션조립체(120)는 외부에 베이스부재(110)의 내부단차(110b)에 걸림되는 외부단차(120b)가 형성되어, 상부텐션조립체(120)의 하방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디스크스프링(210)이 탄성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필요한 적정 배치공간이 마련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텐션조립체(120)는 베이스홀(110a)에 삽입되며 제1 조인트홀(121a)이 형성된 제1 텐션조인트(121)와, 상기 제1 조인트홀(121a)에 나사체결되며 중공(Ha)이 형성된 나사부(H)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체홀(120a)은 연통된 제1 조인트홀(121a)과 중공(Ha)으로 이루어지며, 인장케이블(C)의 상단블럭(Ca)이 나사부(H)에 걸려진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이 나사부(H)가 제1 조인트홀(121a)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오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 정도 변할 수 있는 인장케이블(C)의 길이에 따라, 제1 텐션조인트(121)의 제1 조인트홀(121a)에서 나사부(H)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텐션조립체(120)는, 나사부(H)와 나사체결된 제1 텐션조인트(121)를 압박하는 클램프너트(N)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너트(N)는 나사부(H)의 외주면에 나사체결되어 하방이동하면서 나사부(H)와 나사체결된 제1 텐션조인트(121)를 압박함으로써, 제1 텐션조인트(121)에 대한 상부텐션조립체(12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H)는, 제1 조인트홀(121a)에 나사체결되며 내부단차(122b)를 가진 제2 조인트홀(122a)이 형성된 제2 텐션조인트(122)와, 상기 조인트홀에 삽입되며 제2 조인트홀(122a)의 내부단차(122b)에 걸림되고 와셔부홀(123a)을 가진 조인트와셔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Ha)은 연통된 제2 조인트홀과 와셔부홀(123a)로 이루어지며, 인장케이블(C)의 상단블럭(Ca)이 조인트와셔부(123)에 걸려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인트와셔부(123)는 제2 조인트홀에 순차적으로 삽입적층된 제1 와셔(W1), 제2 와셔(W2), 및 제3 와셔(W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셔부홀(123a)은 연통된 상기 제1 와셔(W1), 제2 와셔(W2), 및 제3 와셔(W3) 각각의 와셔홀(h)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와셔(W3)의 와셔홀(h)이 제2 와셔(W2)의 와셔홀(h)보다 커서, 인장케이블(C)의 상단블럭(Ca)이 제3 와셔(W3)의 와셔홀(h) 내에서 제2 와셔(W2)에 걸려진 구조를 취한다.
상술된 조인트와셔부(123)에 의해 인장케이블(C)의 상단블럭(Ca)은, 제2 텐션조인트(122)에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로 상부브라켓(100)에 걸림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나사부(H)는 조인트와셔부(123)를 덮으면서 제2 텐션조인트(122)에 체결된 제3 텐션조인트(124)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3 텐션조인트(124)에 의해 조인트와셔부(123)가 제2 텐션조인트(122)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인장케이블(C)에 초기인장력을 부여할 때 연결부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하부브라켓(300)은 전로(10)의 측부에 돌출된 돌출지지부(10b)의 하면에 접촉되는데, 인장케이블(C)의 하단부가 전로(10)의 돌출지지부(10b)에 형성된 통과홀(10c)을 통과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탄성부(400)는 하부브라켓(300)에 내장되어 인장케이블(C)을 탄성지지하는데, 일례로서 디스크스프링(410)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브라켓(300)은 수직으로 형성된 부싱홀(310a)을 가진 부싱부재(310)와, 상기 부싱홀(310a) 내에 삽입되며 지지와셔홀(320a)을 가진 지지와셔(3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탄성부(400)는 부싱홀(310a) 내에서 복수 개가 제공되는 디스크스프링(410)과,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410) 사이에 장착된 디스크와셔(4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스프링(410)은 부싱부재(310)의 부싱홀(310a) 내에서 부싱부재(310)와 지지와셔(320) 사이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스프링홀(210a)을 가진다.
또한, 상기 디스크와셔(420)는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41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디스크와셔홀(420a)을 가진다.
이때, 상기 인장케이블(C)은 부싱홀(310a), 디스크와셔홀(420a), 스프링홀(210a), 및 지지와셔홀(320a)을 관통하면서,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블럭(Cb)이 지지와셔(320)에 걸려진 구조를 취한다.
나아가,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410) 중, 디스크와셔(420)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디스크스프링(410)과 타측에 배치된 디스크스프링(41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하부탄성부(400)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브라켓(300)은, 인장케이블(C)의 하단블럭(Cb)을 덮으면서 부싱홀(310a)에 나사체결된 핸들(33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핸들(330)에 의해 부싱홀(310a) 내에 하부탄성부(400)를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수직탄성부에는 디스크스프링(210)(410)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디스크스프링(210)(410)이 수직지지수단에 탄성력을 더욱더 보강함으로써, 전로(10)의 충격, 열변형, 진동에 더욱더 효과적으로 대응함에 따라, 전로(10)를 포함한 전체 설비에 크랙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복수 개의 디스크스프링(210)(410) 사이에 배치된 디스크와셔(220)(420)는 디스크스프링(210)(410)의 체결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전로 지지장치는, 전로(10)를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는 수직지지수단과, 전로(10)를 탄성적으로 수평지지하는 수평지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전로(10)의 자중, 용선 장입하중, 정련하중 및 경동 시 작용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온의 용강으로 인한 전로(10) 철피의 열변형을 구속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로 지지장치는 인장케이블(C) 및 디스크스프링(210)(410)(721)(921)이 구성됨으로써, 전로(10)의 충격, 열변형, 및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에 따라, 전로(10)를 포함한 전체 설비에 크랙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선장입 및 정련 시, 특히 전로(10)의 경동 시 트러니언링(20)에 전로(10)가 충돌되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전로 지지장치는, 전로(10)와 트러니언링(20)에 착탈이 용이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전로 10a : 측부축
10b : 돌출지지부 10c : 통과홀
20 : 트러니언링 20a : 회전축
20b : 통과홀 100 : 상부브라켓
110 : 베이스부재 110a : 베이스홀
110b : 내부단차 120 : 상부텐션조립체
120a : 조립홀 120b : 외부단차
121 : 제1 텐션조인트 121a : 제1 조인트홀
H : 나사부 Ha : 중공
122 : 제2 텐션조인트 122a : 제2 조인트홀
122b : 내부단차 123 : 조인트와셔부
123a : 와셔부홀 W1 : 제1 와셔
W2 : 제2 와셔 W3 : 제3 와셔
h : 와셔홀 124 : 제3 텐션조인트
N : 클램프너트 200 : 상부탄성부
210 : 디스크스프링 210a : 스프링홀
220 : 디스크와셔 220a : 디스크와셔홀
300 : 하부브라켓 310 : 부싱부재
310a : 부싱홀 320 : 지지와셔
320a : 지지와셔홀 330 : 핸들
400 : 하부탄성부 410 : 디스크스프링
410a : 스프링홀 420 : 디스크와셔
420a : 디스크와셔홀 C : 인장케이블
Ca : 상단블럭 Cb : 하단블럭
600 : 수직슈브라켓 VS : 수직슈유닛
710 : 수직슈 720 : 슈수직탄성부
800 : 수평슈브라켓 800a : 수평장착홀
HS : 수평슈유닛 910 : 수평슈
920 : 슈수평탄성부 921 : 디스크스프링
922 : 디스크와셔 R : 로드셀

Claims (15)

  1. 트러니언링과 전로를 연결하며, 상기 전로를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수직지지수단; 및 상기 트러니언링에 설치되며, 상기 전로를 탄성적으로 수평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수평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트러니언링에 설치된 상부브라켓; 상기 전로에 설치된 하부브라켓; 및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을 연결하며 수직배치된 인장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브라켓은 상기 트러니언링의 상면에 안착지지되며, 상기 인장케이블의 상단부가 상기 트러니언링에 형성된 통과홀을 통과하여 연결되며,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하부브라켓에 내장되며, 상기 인장케이블의 단부가 걸림되면서 탄성지지되는 케이블수직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수직탄성부는 상기 상부브라켓에 내장된 상부탄성부와, 상기 하부브라켓에 내장된 하부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브라켓은, 수직으로 형성된 베이스홀을 가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홀 내에 삽입되며, 조립체홀을 가진 상부텐션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탄성부는, 상기 베이스홀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부텐션조립체 사이에 복수 개가 제공되며, 수평배치되고 스프링홀을 가진 디스크스프링; 및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사이에 수평배치되며 디스크와셔홀을 가진 디스크와셔;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케이블은 상기 베이스홀, 디스크와셔홀, 스프링홀, 및 조립체홀을 관통하면서, 상단부에 형성된 상단블럭이 상기 상부텐션조립체에 걸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전로에 설치된 수직슈브라켓; 및
    상기 수직슈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트러니언링을 탄성적으로 수직지지하는 수직슈유닛;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슈유닛은,
    상기 트러니언링 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수직슈; 및
    상기 수직슈브라켓에 내장되어 상기 수직슈를 탄성지지하는 슈수직탄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슈수직탄성부는 디스크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슈브라켓에는 수직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슈수직탄성부는,
    상기 수직장착홀에 복수 개가 내장되며, 수평배치된 디스크스프링; 및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사이에 수평배치된 디스크와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중, 상기 디스크와셔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크스프링과 타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크스프링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로의 측부에는 상기 트러니언링의 회전축 하측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측부축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수단은,
    상기 트러니언링에 설치된 수평슈브라켓; 및
    상기 수평슈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측부축을 폭방향 양측에서 탄성지지하는 수평슈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슈유닛은,
    상기 측부축 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수평슈; 및
    상기 수평슈브라켓에 내장되어 상기 수평슈를 탄성지지하는 슈수평탄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슈수평탄성부는 디스크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슈브라켓에는 수평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슈수평탄성부는,
    상기 수평장착홀에 복수 개가 내장되며, 수직배치된 디스크스프링; 및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사이에 배치된 디스크와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디스크스프링 중, 상기 디스크와셔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크스프링과 타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크스프링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수평탄성부는,
    상기 측부축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전로의 경동 시 상기 수평슈유닛으로 수직지지되는 로드셀;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지지장치.
KR1020160048694A 2016-04-21 2016-04-21 전로 지지장치 KR10179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94A KR101794589B1 (ko) 2016-04-21 2016-04-21 전로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94A KR101794589B1 (ko) 2016-04-21 2016-04-21 전로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344A KR20170120344A (ko) 2017-10-31
KR101794589B1 true KR101794589B1 (ko) 2017-12-01

Family

ID=6030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694A KR101794589B1 (ko) 2016-04-21 2016-04-21 전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5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9288A1 (en) * 2011-07-08 2014-06-12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Tilting oxygen converter
WO2014124963A1 (en) * 2013-02-12 2014-08-21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Tilting converter
JP2015517609A (ja) * 2012-05-21 2015-06-22 ダニエリ アンド チー. オッフィチーネ メッカーニケ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ーニ 酸素転換炉を傾動するための懸架装置及び前記懸架装置を備えた転換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9288A1 (en) * 2011-07-08 2014-06-12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Tilting oxygen converter
JP2015517609A (ja) * 2012-05-21 2015-06-22 ダニエリ アンド チー. オッフィチーネ メッカーニケ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ーニ 酸素転換炉を傾動するための懸架装置及び前記懸架装置を備えた転換炉
WO2014124963A1 (en) * 2013-02-12 2014-08-21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Tilting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344A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738B2 (en) Vibration-damping support device
US4209868A (en) Fixed support structure
KR100731514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JP5235816B2 (ja) 傾倒式支柱を備えた防護柵
KR101434960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794589B1 (ko) 전로 지지장치
KR101062220B1 (ko) 교량용 내진 받침장치
KR101794590B1 (ko) 전로 수직지지장치
JP4159302B2 (ja) ロープ振れ止め装置
JP5579095B2 (ja) 軌道桁の支承構造
JP5281745B2 (ja) 原子炉圧力容器内で蒸気乾燥器アセンブリを安定させる装置
KR101377048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96266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 받침
US3063649A (en) Gyratory crusher
CN204372335U (zh) 一种管线固定装置
SU894038A2 (ru) Неподвижна опорна часть моста
KR20180082245A (ko)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지지장치
KR101901187B1 (ko)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CN217464692U (zh) 轻型装配式支架的连接件
JP2004300897A (ja) 既設支承装置の補修構造および補修工法
KR200418599Y1 (ko)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CN107919618B (zh) 一种室外高防护配电箱
JP6686862B2 (ja) フランジ接合されたタワー構造体の制振装置及びタワー構造体
JP7388260B2 (ja) ケーブル制振装置
CN205036069U (zh) 一种适用于脚手架的安全带悬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