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187B1 -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187B1
KR101901187B1 KR1020180015945A KR20180015945A KR101901187B1 KR 101901187 B1 KR101901187 B1 KR 101901187B1 KR 1020180015945 A KR1020180015945 A KR 1020180015945A KR 20180015945 A KR20180015945 A KR 20180015945A KR 101901187 B1 KR101901187 B1 KR 10190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grooves
ball
engaging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우
Original Assignee
선우전기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전기이엔지(주) filed Critical 선우전기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8001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Abstract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금부재를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함과 동시에 미세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고, 강한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여 절연애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지진 등의 지각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진동이나 충격의 여파로 완금이나 절연애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Fitting Frame Apparatus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금부재를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함과 동시에 미세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고, 강한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여 절연애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절연애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성된 전력은 송전탑을 통해 각 변전소로 전송되어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후 전력공급선을 통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되며, 상기 전력공급선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전주의 상부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각 고압선들이 합선되지 않도록 긴장력을 가지면서 일정간격을 갖도록 현수애자를 개재하여 배선된다. 상기 지지대는 완금이라 하며, ㄷ자형 단면을 가진 막대형상으로 제조되어 전주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완금은 다수의 현수애자와 지지용 애자를 전주에 체결하여 전선을 가공배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주 상단의 양측에 경완금을 배치시키고, U자형 볼트를 이용하여 전주를 감싸면서 완금을 관통시켜 너트로 전주에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완금은 단순히 U자형 볼트로 전주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력선이 배전되는 장소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거나 굽은 길과 같이 굴곡을 이루면서 배전되어야 하는 경우에 설치된 전주마다 작업자가 완금의 높이와 각도를 일일이 조절하여 재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730510호(등록일: 2007년 06월 14일), 발명의 명칭: "전선케이블용 십자형 경완금 연결장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금부재를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함과 동시에 미세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고, 강한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여 절연애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절연애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100)은, 전신주(10)의 일측에 곡선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의 슬라이드 홈(102)을 구비한 거치대(101); 상기 슬라이드 홈(102)에 측면결합구(111)를 결합하고, 양쪽에 결합된 제1 완금부재(200)와 제2 완금부재(210)의 각도 조절과 탄성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부재(110); 및 상기 제1, 2 완금부재(200, 210)의 상부면에 중심 부분을 가로질러 일정한 길이의 제1, 2 볼스크류부재(202, 212)가 관통하고, 상기 제1, 2 볼스크류부재(202, 212)의 외주면 나사산에 각각 맞물리는 나사선을 내측면에 형성하며, 일측면에 배전선로가 관통된 복수의 제1, 2 절연애자(201, 211)가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 2 이동블록부(203, 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볼스크류부재(202, 212)는 일측 끝단에 상기 제1, 2 구동모터(204, 214)가 결합되고, 상기 제1, 2 구동모터(204, 214)가 구동력이 제공되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2 볼스크류부재(202, 212) 상에서 상기 제1, 2 이동블록부(203, 213)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슬라이드 홈(102)에 삽입되는 측면결합구(111)가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1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2)은 제1 내부 공간부(113a)의 제1 하우징(112a)과, 제2 내부 공간부(113b)의 제2 하우징(112b)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내부 공간부(133a)는 상기 제1 완금부재(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완금부재(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장력을 조절하는 제1 회전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내부 공간부(133b)는 상기 제2 완금부재(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완금부재(2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회전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회전부(120, 130)는 상기 제1, 2 완금부재(200, 210)가 제1, 2 브라켓(121, 131)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 2 브라켓(121, 131)은 길이 방향의 막대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 2 볼부재(122, 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회전부(120, 130)는 상단 일부가 제1, 2 개방구(123, 133)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 브라켓(121, 131)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제1, 2 브라켓(121, 131)이 상기 제1, 2 개방구(123, 133)에서 상기 제1, 2 완금부재(200, 210)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며, 상기 제1, 2 브라켓(121, 131)의 타측 끝단에 결합된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가 중심 부분에 삽입되도록 구 형상의 제1, 2 원형홈(124, 134)이 형성되는 제1, 2 몸체(125, 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지각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진동이나 충격의 여파로 완금이나 절연애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금부재를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함과 동시에 미세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여 완금부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한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여 절연애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절연애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완금부재는 단순히 U자형 볼트로 전주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력선이 배전되는 장소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거나 굽은 길과 같이 굴곡을 이루면서 배전되어야 하는 경우에 설치된 전주마다 작업자가 완금의 높이와 각도를 일일이 조절하여 재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완금부재와 절연애자가 설치된 장소에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지진 등의 지각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진동이나 충격의 여파로 완금부재와 절연애자가 파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누설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금부재를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함과 동시에 미세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고, 강한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여 절연애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절연애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100)는 전신주(10)의 일측에 곡선의 외주면을 따라 거치대(101)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101)의 슬라이드 홈(102)에 연결부재(110)의 측면결합구(111)를 결합하고, 연결부재(110)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10)의 양쪽에 결합된 제1 완금부재(200)와 제2 완금부재(210)의 각도 조절과 탄성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완금부재(200)의 상부면에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 이동블록부(20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블록부(203)의 중심 부분을 가로질러 일정한 길이의 제1 볼스크류부재(202)가 관통된다.
상기 제1 볼스크류부재(202)는 일측 끝단에 제1 구동모터(204)가 결합된다.
제1 이동블록부(203)는 제1 볼스크류부재(202)의 외주면 나사산에 각각 맞물리는 나사선을 내측면에 형성하고 있다.
제1 구동모터(204)가 구동력이 제공되어 회전하게 되면, 제1 볼스크류부재(202) 상에서 제1 이동블록부(203)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제1 이동블록부(203)는 배전선로가 관통된 복수의 제1 절연애자(201)가 결합된다.
제2 완금부재(210)의 상부면에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2 이동블록부(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블록부(213)의 중심 부분을 가로질러 일정한 길이의 제2 볼스크류부재(212)가 관통된다.
상기 제2 볼스크류부재(212)는 일측 끝단에 제2 구동모터(214)가 결합된다.
제2 이동블록부(213)는 제2 볼스크류부재(212)의 외주면 나사산에 각각 맞물리는 나사선을 내측면에 형성하고 있다.
제2 구동모터(214)가 구동력이 제공되어 회전하게 되면, 제2 볼스크류부재(212) 상에서 제2 이동블록부(213)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제2 이동블록부(213)는 배전선로가 관통된 복수의 제2 절연애자(211)가 결합된다.
거치대(101)는 연결부재(1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측면결합구(111)가 수평 방향으로 파져 있는 슬라이드 홈(10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10)의 측면결합구(111)는 상기 슬라이드 홈(102)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10)는 슬라이드 홈(102)에 삽입되는 측면결합구(111)가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1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2)은 제1 내부 공간부(113a)의 제1 하우징(112a)과, 제2 내부 공간부(113b)의 제2 하우징(112b)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1 내부 공간부(113a)는 제1 완금부재(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완금부재(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장력을 조절하는 제1 회전부(120)가 형성되며, 제2 내부 공간부(133b)는 제2 완금부재(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완금부재(2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회전부(130)가 형성된다.
제1 회전부(120)와 제2 회전부(130)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180도 대칭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부(120)는 제1 완금부재(200)가 제1 브라켓(121)의 일단과 결합되고, 제1 브라켓(121)은 길이 방향의 막대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 볼부재(122)가 형성된다.
제2 회전부(130)는 제2 완금부재(210)가 제2 브라켓(131)의 일단과 결합되고, 제2 브라켓(131)은 길이 방향의 막대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2 볼부재(132)가 형성된다.
제1, 2 회전부(120, 130)는 상단 일부가 제1, 2 개방구(123, 133)가 형성되어 제1, 2 브라켓(121, 131)이 삽입되고, 삽입된 제1, 2 브라켓(121, 131)이 제1, 2 개방구(123, 133)에서 제1, 2 완금부재(200, 210)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며, 상기 제1, 2 브라켓(121, 131)의 타측 끝단에 결합된 제1, 2 볼부재(122, 132)가 중심 부분에 삽입되도록 구 형상의 제1, 2 원형홈(124, 134)이 형성되는 제1, 2 몸체(125, 135)를 포함한다.
제1, 2 볼부재(122, 132)는 제1, 2 브라켓(121, 1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제1, 2 회전부(120, 130)의 제1, 2 원형홈(124, 134)에서 회전하게 되고, 일측에 제1, 2 걸림부재(140, 150)가 돌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2 걸림부재(140, 150)는 제1, 2 볼부재(122, 13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고, 반구 형태의 제1, 2 걸림구(141, 15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1, 2 걸림부재(140, 150)는 제1, 2 볼부재(122, 132)의 내부에 삽입된 부분으로 길이 방향의 지지대(142, 152)와, 상기 지지대(142, 152)의 일면 중심 부분에 형성된 'T' 형태의 돌출부(143, 153)와, 상기 돌출부(143, 153)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결합부(144, 154)와, 상기 지지대(142, 152)의 좌측과 우측의 가장 자리에 각각 제1 스프링부재(145a, 155a)와 제2 스프링부재(145b, 155b)가 결합된다.
제1, 2 걸림부재(140, 150)는 상기 제1, 2 걸림구(141, 151)에서 연장되어 중심 부분에 중심홈(146c, 156c)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홈(146c, 156c)을 기준으로 좌측에 좌측홈(146a, 156a)과 우측에 우측홈(146b, 156b)이 각각 일정 깊이로 파져 있는 걸림부 본체(147, 157)가 형성된다.
걸림부 본체(147, 157)는 좌측 부분(147a, 157a)에 형성된 좌측홈(146a, 156a)에 제1 스프링부재(145a, 155a)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우측 부분(147b, 157b)에 형성된 우측홈(146b, 156b)에 제2 스프링부재(145b, 155b)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중심홈(146c, 156c)에는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결합부(144, 154)가 세워지고, 상기 결합부(144, 154)의 내부에 중심스프링(148, 158)이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돌출부(143, 153)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144, 154)의 외주면 좌측과 상기 중심홈(146c, 156c)의 일면을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좌측스프링(149a, 159a)과 외주면 우측과 상기 중심홈(146c, 156c)의 일면을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우측스프링(149b, 159b)을 포함한다.
결합부(144, 154)는 탄성 재질의 주름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의 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제1, 2 원형홈(124, 134)에는 제1, 2 걸림부재(140, 150)의 상기 제1, 2 걸림구(141, 151)가 오목 볼록 결합으로 삽입되는 제1, 2 삽입홈(112)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반구 형태의 제1, 2 걸림구(141, 151)는 외력에 의해 제1, 2 볼부재(122, 132)의 내부로 삽입되었다 돌출될 수 있다.
배전선로(미도시)의 이동하여 제1, 2 완금부재(200, 210)가 상하로 흔들리게 되면,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는 제1, 2 브라켓(121, 131)의 움직임에 따라 제1, 2 회전부(120, 130)의 제1, 2 원형홈(124, 134)에서 회전하게 되고, 일측에 제1, 2 걸림부재(140, 150)의 제1, 2 걸림구(141, 151)가 스프링 탄성으로 인해 제1, 2 볼부재(122, 132)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제1, 2 삽입홈(124a, 134a)의 위치에서 다시 돌출되어 걸리게 된다.
제1, 2 하우징(112a, 112b)의 제1, 2 내부 공간부(113a, 113b)는 상기 제1, 2 회전부(120, 130)의 제1, 2 몸체(125, 135)의 수평 방향으로 제1, 2 연결바(126, 136)가 결합되고, 상기 제1, 2 연결바(126, 136)가 제1, 2 하우징(112a, 112b)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2 연결바(126, 136)의 일단에 스톱퍼(127, 137)가 결합된다.
상기 스톱퍼(127, 137)와 제1, 2 하우징(112a, 112b)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제1, 2 연결바(126, 136)의 둘레에 제1 탄성스프링(128a, 138a)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스톱퍼(127, 137)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탄성스프링(128a, 138a)보다 탄성계수가 큰 제2 탄성스프링(128b, 138b)이 결합된다.
상기 제2 탄성스프링(128b, 138b)의 일단에는 단면 형태가 '
Figure 112018014229180-pat00001
'로 형성된 스프링연결대(129a, 139a)가 결합된다.
즉, 제2 탄성스프링(128b, 138b)은 일단에 스톱퍼(127, 137)의 일측면이 결합되고 타단에 스프링연결대(129a, 139a)의 일측면이 결합된다.
제1, 2 하우징(113a, 113b)의 제1, 2 내부 공간부(113a, 113b)에는 스프링연결대(129a, 139a)와 스프링 받침대(129b, 139b)의 사이에 복수의 스프링부재(129c, 139c)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100)는 제어부(103), 지진 측정센서(104), 진동센서(105)를 내부에 설치하여 구동모터(204, 214)를 제어할 수 있다.
배전선로(미도시)의 이동하여 제1, 2 완금부재(200, 210)가 상하로 흔들리게 되면,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는 제1, 2 브라켓(121, 131)의 움직임에 따라 제1, 2 회전부(120, 130)의 제1, 2 원형홈(124, 134)에서 회전하여 제1, 2 완금부재(200, 210)을 일정 각도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는 지진 측정센서(104)로부터 지진 발생 신호와 진동센서(105)로부터 진동 방향 신호를 수신하면, 배전선로의 흔들림에 따라 제1 구동모터(204)와 제2 구동모터(214)를 제어하여 제1 이동블록부(203)와 제2 이동블록부(213)가 제1 볼스크류부재(202)와 제2 볼스크류부재(212) 상에서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112)은 측면결합구(111)에 의해 상기 거치대(101)의 슬라이드 홈(10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전신주 100: 고정완금장치
101: 거치대 102: 슬라이드 홈
110: 연결부재 111: 측면결합구
112: 하우징 120: 제1 회전부
121: 제1 브라켓 122: 제1 볼부재
123: 제1 개방구 124: 제1 원형홈
124a: 제1 삽입홈 125: 제1 몸체
126: 연결바 127: 스톱퍼
131: 제2 브라켓 132: 제2 볼부재
133: 제2 개방구 134: 제2 원형홈
136: 연결바 137: 스톱퍼
139c: 스프링부재 140: 제1 걸림부재
141: 제1 걸림구 142: 지지대
143: 돌출부 144: 결합부
150: 제2 걸림부재 151: 제2 걸림구
152: 지지대 153: 돌출부
154: 결합부 155a: 제1 스프링부재
155b: 제2 스프링부재 156a: 좌측홈
156b: 우측홈 156c: 중심홈
157: 걸림부 본체 200: 제1 완금부재
210: 제2 완금부재

Claims (1)

  1. 전신주(10)의 일측에 곡선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의 슬라이드 홈(102)을 구비한 거치대(101);
    상기 슬라이드 홈(102)에 측면결합구(111)를 결합하고, 양쪽에 결합된 제1 완금부재(200)와 제2 완금부재(210)의 각도 조절과 탄성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부재(110); 및
    상기 제1, 2 완금부재(200, 210)의 상부면에 중심 부분을 가로질러 일정한 길이의 제1, 2 볼스크류부재(202, 212)가 관통하고, 상기 제1, 2 볼스크류부재(202, 212)의 외주면 나사산에 각각 맞물리는 나사선을 내측면에 형성하며, 일측면에 배전선로가 관통된 복수의 제1, 2 절연애자(201, 211)가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 2 이동블록부(203, 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볼스크류부재(202, 212)는 일측 끝단에 상기 제1, 2 구동모터(204, 214)가 결합되고, 상기 제1, 2 구동모터(204, 214)가 구동력이 제공되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2 볼스크류부재(202, 212) 상에서 상기 제1, 2 이동블록부(203, 213)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슬라이드 홈(102)에 삽입되는 측면결합구(111)가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1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2)은 제1 내부 공간부(113a)의 제1 하우징(112a)과, 제2 내부 공간부(113b)의 제2 하우징(112b)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내부 공간부(133a)는 상기 제1 완금부재(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완금부재(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장력을 조절하는 제1 회전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내부 공간부(133b)는 상기 제2 완금부재(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완금부재(2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회전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회전부(120, 130)는 상기 제1, 2 완금부재(200, 210)가 제1, 2 브라켓(121, 131)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 2 브라켓(121, 131)은 길이 방향의 막대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 2 볼부재(122, 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회전부(120, 130)는 상단 일부가 제1, 2 개방구(123, 133)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 브라켓(121, 131)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제1, 2 브라켓(121, 131)이 상기 제1, 2 개방구(123, 133)에서 상기 제1, 2 완금부재(200, 210)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며, 상기 제1, 2 브라켓(121, 131)의 타측 끝단에 결합된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가 중심 부분에 삽입되도록 구 형상의 제1, 2 원형홈(124, 134)이 형성되는 제1, 2 몸체(125, 13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는 제1, 2 브라켓(121, 1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제1, 2 회전부(120, 130)의 제1, 2 원형홈(124, 134)에서 회전하게 되고, 일측에 제1, 2 걸림부재(140, 150)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2 걸림부재(140, 150)는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고, 반구 형태의 제1, 2 걸림구(141, 151)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의 내부에 삽입된 부분으로 길이 방향의 지지대(142, 152)와, 상기 지지대(142, 152)의 일면 중심 부분에 형성된 'T' 형태의 돌출부(143, 153)와, 상기 돌출부(143, 153)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결합부(144, 154)와, 상기 지지대(142, 152)의 좌측과 우측의 가장 자리에 각각 제1 스프링부재(145a, 155a)와 제2 스프링부재(145b, 155b)가 결합되고,
    상기 제1, 2 걸림부재(140, 150)는 상기 제1, 2 걸림구(141, 151)에서 연장되어 중심 부분에 중심홈(146c, 156c)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홈(146c, 156c)을 기준으로 좌측에 좌측홈(146a, 156a)과 우측에 우측홈(146b, 156b)이 각각 일정 깊이로 파져 있는 걸림부 본체(147, 157)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 본체(147, 157)는 좌측 부분(147a, 157a)에 형성된 좌측홈(146a, 156a)에 제1 스프링부재(145a, 155a)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우측 부분(147b, 157b)에 형성된 우측홈(146b, 156b)에 제2 스프링부재(145b, 155b)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중심홈(146c, 156c)에는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결합부(144, 154)가 세워지고, 상기 결합부(144, 154)의 내부에 중심스프링(148, 158)이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돌출부(143, 153)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144, 154)의 외주면 좌측과 상기 중심홈(146c, 156c)의 일면을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좌측스프링(149a, 159a)과 외주면 우측과 상기 중심홈(146c, 156c)의 일면을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우측스프링(149b, 159b)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44, 154)는 탄성 재질의 주름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의 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고, 상기 제1, 2 원형홈(124, 134)에는 상기 제1, 2 걸림부재(140, 150)의 상기 제1, 2 걸림구(141, 151)가 오목 볼록 결합으로 삽입되는 제1, 2 삽입홈(112)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반구 형태의 제1, 2 걸림구(141, 151)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의 내부로 삽입되었다 돌출되고,
    배전선로(미도시)의 이동하여 상기 제1, 2 완금부재(200, 210)가 상하로 흔들리게 되면,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는 상기 제1, 2 브라켓(121, 131)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2 회전부(120, 130)의 제1, 2 원형홈(124, 134)에서 회전하게 되고, 일측에 상기 제1, 2 걸림부재(140, 150)의 제1, 2 걸림구(141, 151)가 스프링 탄성으로 인해 상기 제1, 2 볼부재(122, 132)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제1, 2 삽입홈(124a, 134a)의 위치에서 다시 돌출되어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KR1020180015945A 2018-02-08 2018-02-08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KR101901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45A KR101901187B1 (ko) 2018-02-08 2018-02-08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45A KR101901187B1 (ko) 2018-02-08 2018-02-08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187B1 true KR101901187B1 (ko) 2018-09-27

Family

ID=6371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945A KR101901187B1 (ko) 2018-02-08 2018-02-08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922B1 (ko) * 2021-03-26 2022-01-05 이삼종 산악지역에 설치된 배전선로의 보호를 위한 조류퇴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282B1 (ko) * 2013-09-12 2014-01-28 노영철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KR101491071B1 (ko) * 2014-12-04 2015-02-10 김종윤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KR101705344B1 (ko) * 2016-09-29 2017-02-09 (주)효일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282B1 (ko) * 2013-09-12 2014-01-28 노영철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KR101491071B1 (ko) * 2014-12-04 2015-02-10 김종윤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KR101705344B1 (ko) * 2016-09-29 2017-02-09 (주)효일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922B1 (ko) * 2021-03-26 2022-01-05 이삼종 산악지역에 설치된 배전선로의 보호를 위한 조류퇴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6080B1 (en) Bus bar mounting arrangement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901187B1 (ko)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KR102293854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US3885086A (en) Spacer-damper assembly
JP6000372B2 (ja) 4導体束に用いるスペースダンパー
US3432610A (en) Vibration dampers for suspended members
US3617609A (en) Conductor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2461766B1 (ko) 가공송전 현수애자 장력 밸런스 장치
RU158613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корпуса компьютера с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ей платформой
CN210468526U (zh) 一种具有防震功能的悬挂式配电箱
JP2008218257A (ja) アークホーン取付金具の角度調整装置と、アークホーン取付金具の角度調整方法
US5801329A (en) Outdoor power line having a damping device
US3870815A (en) Conductor vibration damping device
US3777047A (en) Spacer damper
KR100860978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2008820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US3806627A (en) Spacer-damper for bundle conductors
KR10177385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US3474184A (en) Spacer damper
KR101702082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점퍼선의 충격 완화 장치
US3609209A (en) Spacer damper
CN109003857A (zh) 双臂伸缩式隔离开关的振动抑制装置
KR101118099B1 (ko) 버스바 지지 구조물
RU179070U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