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71B1 -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 Google Patents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71B1
KR101491071B1 KR20140172928A KR20140172928A KR101491071B1 KR 101491071 B1 KR101491071 B1 KR 101491071B1 KR 20140172928 A KR20140172928 A KR 20140172928A KR 20140172928 A KR20140172928 A KR 20140172928A KR 101491071 B1 KR101491071 B1 KR 10149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electric pole
guide groove
pres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7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윤
Original Assignee
김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윤 filed Critical 김종윤
Priority to KR2014017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완금을 전주에 설치하지 않고도 완철에 설치된 각각의 배전선의 가설경로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각기 다른 전주로부터 가설되는 배전선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P)의 상단부 일측 둘레면을 감싸는 커버(11)와; 내부가 일측과 상하로 개구된 제1가이드홈(12a)과 제2가이드홈(12b)을 갖추고서, 커버(11)와 일체를 이루는 호 형상의 브라켓설치부(12)와; 전주(P)를 향해 돌출된 연결블록(13a)과, 연결블록(13a)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완철수용부(13b)와, 완철수용부(13b)의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부(13c)를 갖추고서, 연결블록(13a)을 매개로 제1가이드홈(12a)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홈(12b)을 관통하는 고정수단(F)을 매개로 브라켓설치부(12)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13)과; 배전선(L)을 절연하는 애자(14a)를 갖추고서, 완철수용부(13b)에 일단부가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14)과; 안착부(13c)에 설치되어 제1기어(15a)를 회전시키는 모터(M), 제2기어(15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15b), 일측 완철(14)에 고정되며 제1기어(15a)와 맞물려 회전되어 일측 완철(14)을 회전시키는 제3기어(15c), 타측 완철(14)에 고정되며 제2기어(15b)와 맞물려 회전되어 타측 완철(14)을 회전시키는 제4기어(15d)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유닛(15);으로 구성된 제1상부 어셈블리(10): 상기 제1상부 어셈블리(10)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며, 전주(P)의 상단부 타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상부 어셈블리(10)와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고정되는 제2상부 어셈블리(10'): 전주(P)에 설치되어 제1·2상부 어셈블리(10,10')의 모터(M)를 각각 동작제어하는 스위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각각의 배전선의 가설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전주에 완철을 더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이점과 더불어서 전주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일시에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Light weight buffer metal of electric supply of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란 전력공급은 일전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신주를 통해 공급하고, 각 전신주에서의 연결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즉, 전신주에 연결하고자 하는 송,배전 전선을 전신주 상단 양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완금의 양측에서 애자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점퍼선은 완금의 상단에 설치되는 애자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시공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770617호(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가 있으며, 이에 의하면 경완금과 전주 상단부 사이에 수직이동부재와 수평이동부재를 설치하여 양측 경완금들의 높이 및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의 경우 경완금을 이용하여 가공배전선 전체의 가설경로를 변경하는데에는 상당히 유리하지만 각각의 가공배전선의 가설경로를 개별적으로 변경하는데에는 실질적으로 어려워 별도의 경완금을 전주에 더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완금을 전주에 설치하지 않고도 완철에 설치된 각각의 배전선의 가설경로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각기 다른 전주로부터 가설되는 배전선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구조물은,
전주의 상단부 일측 둘레면을 감싸는 커버와;
내부가 일측과 상하로 개구된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을 갖추고서, 커버와 일체를 이루는 호 형상의 브라켓설치부와;
전주를 향해 돌출된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완철수용부와, 완철수용부의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부를 갖추고서, 연결블록을 매개로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홈을 관통하는 고정수단을 매개로 브라켓설치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과;
배전선을 절연하는 애자를 갖추고서, 완철수용부에 일단부가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과;
안착부에 설치되어 제1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제2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 일측 완철에 고정되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되어 일측 완철을 회전시키는 제3기어, 타측 완철에 고정되며 제2기어와 맞물려 회전되어 타측 완철을 회전시키는 제4기어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유닛;으로 구성된 제1상부 어셈블리:
상기 제1상부 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며, 전주의 상단부 타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상부 어셈블리와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고정되는 제2상부 어셈블리:
전주에 설치되어 제1·2상부 어셈블리의 모터를 각각 동작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각각의 배전선의 가설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전주에 완철을 더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이점과 더불어서 전주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일시에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각기 다른 전주로부터 가설되는 배전선을 하나의 전주에 설치 후 이들의 가설경로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에서 브라켓을 회전시켜 완철 전체를 회전시킨 것을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의 동작관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은, 전주(P)의 상단부를 감싸는 제1·2상부 어셈블리(10,10')와 스위치(2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각각의 배전선(L)의 가설경로를 개별적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어 유용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제1상부 어셈블리(10)와 제2상부 어셈블리(10')의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1상부 어셈블리(10)를 설명하면서 제2상부 어셈블리(10')를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상부 어셈블리(10)와 제2상부 어셈블리(10')는 커버(11)와 브라켓설치부(12), 브라켓(13), 한 쌍의 완철(14) 및 각도조절유닛(15)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주(P)의 상단부 둘레면에 설치되어 각기 다른 전주로부터 모이는 배전선이 공동으로 설칟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전선(L)의 전체 가설경로를 변경(도 4 참조)하거나 또는 배전선(L) 각각의 가설경로를 변경(도 5b 참조)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커버(11)는 원통을 반으로 분할한 구조로서, 전주(P)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둘레면을 감싸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상부 어셈블리(10)의 커버(11)와 제2상부 어셈블리(10')의 커버(11)는 전주(P)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플랜지(11a)가 상호 맞대어지며, 맞대어진 플랜지(11a)는 체결수단(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상호 결합됨에 따라 커버(11)는 하나의 원통 구조를 이루면서 전주(P)의 상단부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설치부(12)는 전체적으로 호형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커버(11)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호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브라켓(13)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설치부(12)의 내부는 호형면과 상·하부로 개구되어 각각 제1가이드홈(12a)과 제2가이드홈(12b)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홈(12a)에는 브라켓(13)의 연결블록(13a)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가이드홈(12b)에는 고정수단(F)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특히, 상기 고정수단(F)은 제2가이드홈(12b)과 연결블록(13a)을 동시에 관통하게 되며, 이에 의해 연결블록(13a)은 브라켓설치부(12)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호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13)은 프레임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철(14)과 각도조절유닛(15)이 각각 설치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완철(14)과 각도조절유닛(15)을 브라켓설치부(12)에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브라켓(13)의 일측에는 제1가이드홈(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블록(13a)이 구비되고, 연결블록(13a)의 반대편 즉, 타측에는 한 쌍의 완철(14)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철수용부(13b)가 구비되며, 완철수용부(13b)의 아래에는 각도조절유닛(15)이 설치되는 안착부(13c)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블록(13a)은 제1가이드홈(12a)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홈(12b)에 설치되는 고정수단(F)을 매개로 브라켓설치부(12)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F)의 너트를 살짝 풀어주게 되면 브라켓설치부(12)의 제1가이드홈(12a)을 따라 브라켓(13)의 연결블록(13a)은 자연스럽게 이동이 가능해지고, 특정위치까지 이동시킨 이후에는 풀었던 너트를 강하게 조여 줌에 따라 브라켓(13)의 연결블록(13a)은 브라켓설치부(12)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브라켓(13)에 고정된 완철(14)의 설치방향을 전주(P)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특히 완철(14)의 애자(14a)에 고정된 배전선(L) 전체의 가설경로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상기 한 쌍의 완철(14)은 애자(14a)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브라켓(13)의 완철수용부(13b)에 일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축(S)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완철(14)과 축(S)은 상호 일체형을 이루도록 하여 축(S)의 회전시 완철(14)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애자(14a)에는 배전선(L)이 고정된다.
상기 각도조절유닛(15)은 완철(14)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용 구동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브라켓(13)의 안착부(13c)에 설치되며 스위치(20)에 의해 동작되어 완철(14)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유닛(15)은 제1기어(15a)을 구비하는 모터(M)와, 제1기어(15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15b)와, 일측 완철(14)의 축(S)에 고정되며 제1기어(15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기어(15c), 및 타측 완철(14)의 축(S)에 고정되며 제2기어(15b)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4기어(15d)로 구성된다.
일 예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M)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터(M)에 고정된 제1기어(1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기어(1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기어(15a)에 맞물려 있는 제2기어(15b)와 제3기어(15c)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기어(15b)에 맞물려 있는 제4기어(15d)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완철(14) 중 좌측에 위치된 완철(14)은 제4기어(15d)를 매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에 위치된 완철(14)은 제3기어(15c)를 매개로 각각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완철(14)의 애자(14a)에 각각 고정된 배전선(L)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가설경로가 변경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가설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완철을 더 설치하지 않아도 각각의 배전선(L)의 가설경로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상당히 유리하다.
상기 스위치(20)는 전주(P)에 설치되어 제1·2상부 어셈블리(10,10')의 모터(M)를 각각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스위치(20)를 조작시켜 줌에 따라 제1·2상부 어셈블리(10,10')의 모터(M)는 개별적으로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에서 브라켓을 회전시켜 완철 전체를 회전시킨 것을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의 동작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한 쌍의 완철(14) 전체를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고정수단(F)의 너트를 살짝 풀어 준 상태에서 브라켓(13)를 전주(P)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준 다음 해당 위치까지 브라켓(13)이 이동되면 고정수단(F)의 너트를 강하게 조여 주면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브라켓(13)에 고정된 완철(14)의 설치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특히 완철(14)의 애자(14a)에 고정된 배전선(L) 전체의 가설경로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완철(14)의 애자(14a)에 각각 고정된 배전선(L)의 가설경로를 변경시켜 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주(P)에 설치된 스위치(20;도 1 참조)를 조작시켜 주면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전주(P)에 설치된 스위치(20)를 작업자가 눌러주게 되면, 브라켓(13)에 설치된 각도조절유닛(15)의 모터(M)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터(M)에 고정된 제1기어(1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기어(1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기어(15a)에 맞물려 있는 제2기어(15b)와 제3기어(15c)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기어(15b)에 맞물려 있는 제4기어(15d)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완철(14) 중 좌측에 위치된 완철(14)은 제4기어(15d)를 매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에 위치된 완철(14)은 제3기어(15c)를 매개로 각각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완철(14)의 애자(14a)에 각각 고정된 배전선(L)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가설경로가 변경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각각의 배전선의 가설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전주에 완철을 더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이점과 더불어서 전주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일시에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각기 다른 전주로부터 가설되는 배전선을 하나의 전주에 설치 후 이들의 가설경로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10': 제1·2상부 어셈블리 11: 커버 11a: 플랜지
12: 브라켓설치부 12a: 제1가이드홈 12b: 제2가이드홈
13: 브라켓 13a: 연결블록 13b: 완철수용부
13c: 안착부 14: 완철 14a: 애자
15: 각도조절유닛 15a: 제1기어 15b: 제2기어
15c: 제3기어 15d: 제4기어 P: 전주
M: 모터 F: 고정수단 L: 배전선
20: 스위치

Claims (1)

  1. 전주(P)의 상단부 일측 둘레면을 감싸는 커버(11)와;
    내부가 일측과 상하로 개구된 제1가이드홈(12a)과 제2가이드홈(12b)을 갖추고서, 커버(11)와 일체를 이루는 호 형상의 브라켓설치부(12)와;
    전주(P)를 향해 돌출된 연결블록(13a)과, 연결블록(13a)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완철수용부(13b)와, 완철수용부(13b)의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부(13c)를 갖추고서, 연결블록(13a)을 매개로 제1가이드홈(12a)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홈(12b)을 관통하는 고정수단(F)을 매개로 브라켓설치부(12)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13)과;
    배전선(L)을 절연하는 애자(14a)를 갖추고서, 완철수용부(13b)에 일단부가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14)과;
    안착부(13c)에 설치되어 제1기어(15a)를 회전시키는 모터(M), 제1기어(15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15b), 일측 완철(14)에 고정되며 제1기어(15a)와 맞물려 회전되어 일측 완철(14)을 회전시키는 제3기어(15c), 타측 완철(14)에 고정되며 제2기어(15b)와 맞물려 회전되어 타측 완철(14)을 회전시키는 제4기어(15d)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유닛(15);으로 구성된 제1상부 어셈블리(10):
    상기 제1상부 어셈블리(10)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며, 전주(P)의 상단부 타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상부 어셈블리(10)와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고정되는 제2상부 어셈블리(10'):
    전주(P)에 설치되어 제1·2상부 어셈블리(10,10')의 모터(M)를 각각 동작제어하는 스위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KR20140172928A 2014-12-04 2014-12-04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KR10149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2928A KR101491071B1 (ko) 2014-12-04 2014-12-04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2928A KR101491071B1 (ko) 2014-12-04 2014-12-04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71B1 true KR101491071B1 (ko) 2015-02-10

Family

ID=5259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72928A KR101491071B1 (ko) 2014-12-04 2014-12-04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87B1 (ko) * 2018-02-08 2018-09-27 선우전기이엔지(주)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CN109065295A (zh) * 2018-07-27 2018-12-21 国网陕西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绝缘子安装支架及安装方法
KR101951766B1 (ko) * 2018-08-06 2019-02-26 부성기술단 주식회사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17B1 (ko) * 2007-08-14 2007-10-26 박혜숙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775421B1 (ko) * 2007-03-13 2007-11-12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873891B1 (ko) * 2008-08-29 2008-12-16 이유박 배전선로용 지선밴드와 현수애자의 연결구조
KR100970762B1 (ko) * 2010-04-28 2010-07-16 배규보 전주의 저압가공선 연결 현수애자
KR100981756B1 (ko) * 2010-05-04 2010-09-10 주식회사 거창전력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421B1 (ko) * 2007-03-13 2007-11-12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770617B1 (ko) * 2007-08-14 2007-10-26 박혜숙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873891B1 (ko) * 2008-08-29 2008-12-16 이유박 배전선로용 지선밴드와 현수애자의 연결구조
KR100970762B1 (ko) * 2010-04-28 2010-07-16 배규보 전주의 저압가공선 연결 현수애자
KR100981756B1 (ko) * 2010-05-04 2010-09-10 주식회사 거창전력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87B1 (ko) * 2018-02-08 2018-09-27 선우전기이엔지(주)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CN109065295A (zh) * 2018-07-27 2018-12-21 国网陕西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绝缘子安装支架及安装方法
CN109065295B (zh) * 2018-07-27 2020-05-12 国网陕西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绝缘子安装支架及安装方法
KR101951766B1 (ko) * 2018-08-06 2019-02-26 부성기술단 주식회사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549B1 (ko) 사용이 편리한 가공 배전선로 지지완금
KR101491071B1 (ko)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KR101335928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077542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US9966207B1 (en) Motorized high voltage in-line disconnect switch with communication system controls
SG171541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994674B1 (ko) 가공 송전선로의 복도체 연결장치
KR10152201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KR20050096175A (ko) 도체 레일을 구비한 풍력 발전 설비
KR101732081B1 (ko)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2027222B1 (ko) 전신주와 배전선로의 애자 연결장치
KR1009911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CN203549128U (zh) 用于风力发电机组机舱的电缆承载装置
JP5794902B2 (ja) 鉄塔周辺の工事ユニット及び工事方法
KR20150138741A (ko) 배전선로용 완철
KR102266058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Imamovic et al. High powe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s
KR101618802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20170115359A (ko) 무정전 배전공사용 완철하강 장치 및 공법
JP6282496B2 (ja) 気中絶縁開閉装置の更新方法
JPH08149666A (ja) 移動・連結式配電装置
KR100847253B1 (ko) 변압기 설치부위를 가진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주.
JPS635391Y2 (ko)
JP264248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