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756B1 -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 Google Patents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756B1
KR100981756B1 KR1020100042126A KR20100042126A KR100981756B1 KR 100981756 B1 KR100981756 B1 KR 100981756B1 KR 1020100042126 A KR1020100042126 A KR 1020100042126A KR 20100042126 A KR20100042126 A KR 20100042126A KR 100981756 B1 KR100981756 B1 KR 10098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rail
suspension insulator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창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창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창전력
Priority to KR102010004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20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energy 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지주(100)와; 둘레면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레일부(210)를 갖추고서, 지주(100)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레일형 밴드(200)와; 정면에 본 모양이‘ㅏ’형상인 브라켓바디(310)와, 브라켓바디(31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320)를 갖추고서, 레일부(210)에 얹혀져 레일부(210)를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300)과; 고정브라켓(300)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롤러부재(3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축전지(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롤러부재(320)를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와;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브라켓(300)에 설치되는‘ㄷ’자 형상의 래크바디(511)와, 래크바디(51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512)와, 래크바디(511)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513)와, 수직하게 관통된 장착공(514)을 구비한 래크(510)와, 래크(5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현수애자(520)와, 상부와 하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절단면(531a)을 갖추고서, 래크(510)의 장착공(514) 및 현수애자(520)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정부재(530)와, 중앙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되, 절개된 내측면에 일렬로 반복형성되는 반원부(541)와 슬릿부(542)를 갖추고서, 래크(510)의 가이드부(5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되, 조정부재(530)의 절단면(531a)을 기준으로 절단면(531a)이 횡방향 배치시 이동제한되고, 종방향 배치시 이동가능하게 되는 한 쌍의 길이조절편(540,540')과, 한 쌍의 길이조절편(540,540')의 외면에 체결부재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570)를 매개로 타단에 설치된 확장현수애자(56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각도조절편(550,550')을 갖춘 현수애자고정장치(5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6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솔라(10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모터(4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7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400)를 정·역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스위치부(80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솔라와 축전지를 이용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줌으로서, 별도의 외부전원공급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쓸데없는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태양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또한, 래크에 각도조절편이 설치된 길이조절편을 삽입설치하여 줌으로서, 현수애자고정장치의 주변에 건물이 인접배치되더라도 각도조절편을 통해 용이하게 회피시공을 할 수 있고, 현수애자고정장치와 건물 간의 안전거리(적정거리)를 유지토록 하면서도 확장현수애자를 매개로 용이하게 새로운 가공전선을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Of An Overhead Line}
본 발명은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에는 상단에서부터 가공지선, 특고압선, 중성선, 통신선 순으로 완금 또는 래크를 매개로 설치하는데, 특고압선은 완금을 매개로 수평배열되고, 가공전선, 통신선, 저압선 등은 래크에 설치된 현수애자를 이용하여 수직배열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신주에 가공전선을 추가로 신설하고자 하는 경우 활선상태에서는 래크에 현수애자가 설치된 스트랍을 취부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기존 가공전선이 설치된 래크의 하단에 추가로 래크를 설치하고, 현수애자를 매개로 가공전선을 연장시공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장시공을 행할 경우, 대지와 가공전선 간의 이격거리가 미달되는 현상과 전선결선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되기 때문에 전선의 꼬이는 현상 및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점 등, 가압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하므로 전선 혼촉사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도로횡단시 지상고 유지를 위한 가공전선, 통신선, 저압선 등을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지주에는 보안등, 경관등과 같은 조명시설이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조명시설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자체 공급받아야만 작동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히 조명시설에 외부전선을 설치해주어야 하고, 이렇게 설치된 전선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대부분이여서 상당히 지주가 너저분하게 보일 수 있으며, 자칫 노출된 전선이 손상되어 피복이 벗겨지는 경우 전기합선으로 화재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였다.
한편, 전신주와 인접건물 간에는 일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근래에 들어서는 건물의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으로 인해 지주에 위치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건물만 다시 세워져 지주에 인접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지주와 건물이 너무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새로운 가공전선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는 종래에 설치된 래크 및 가공전선을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야하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재설치시 작업이 상당히 오래 걸리고, 가공전선의 경우 작업자에게 있어 전기사고의 위험요소여서 소정시간 전기연결을 단절해야하므로 전기사용자들의 항의가 뒤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공전선은 활선상태에서 옮기기 쉽지 않으며, 따라서 밴드만 회전시켜 가공전선을 설치방향을 틀면 되지만, 이마저도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 작업해야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지주와 건물의 인접배치시 새로운 가공전선을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래크 및 가공전선의 설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가공전선을 확장할 수 있는 배전처리가 용이한 전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솔라와 축전지를 통해 별도의 외부의 전원공급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주 주변에 건물이 배치되어 있어 가공전선 연결이 곤란한 경우에도 회전수단을 통해 회피시공가능하며, 새로운 가공전선을 확장시 종래의 래크 및 가공전선의 설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가공전선을 확장할 수 있는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지주와;
둘레면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레일부를 갖추고서, 지주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레일형 밴드와;
정면에 본 모양이‘ㅏ’형상인 브라켓바디와, 브라켓바디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를 갖추고서, 레일부에 얹혀져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롤러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롤러부재를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ㄷ’자 형상의 래크바디와, 래크바디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래크바디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수직하게 관통된 장착공을 구비한 래크와,
래크의 내측에 배치되는 현수애자와,
상부와 하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절단면을 갖추고서, 래크의 장착공 및 현수애자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정부재와,
중앙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되, 절개된 내측면에 일렬로 반복형성되는 반원부와 슬릿부를 갖추고서, 래크의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되, 조정부재의 절단면을 기준으로 절단면이 횡방향 배치시 이동제한되고, 종방향 배치시 이동가능하게 되는 한 쌍의 길이조절편과,
한 쌍의 길이조절편의 외면에 체결부재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타단에 설치된 확장현수애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각도조절편을 갖춘 현수애자고정장치와;
지주에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와;
지주에 설치되어, 솔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지주에 설치되어, 구동모터를 정·역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솔라와 축전지를 이용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줌으로서, 별도의 외부전원공급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쓸데없는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태양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또한, 래크에 각도조절편이 설치된 길이조절편을 삽입설치하여 줌으로서, 현수애자고정장치의 주변에 건물이 인접배치되더라도 각도조절편을 통해 용이하게 회피시공을 할 수 있고, 현수애자고정장치와 건물 간의 안전거리(적정거리)를 유지토록 하면서도 확장현수애자를 매개로 용이하게 새로운 가공전선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가공전선와 새로운 가공전선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깝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래크에 설치된 조정부재 및 길이조절편을 이용하여 가공전선 간을 상호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전선 간의 접촉으로 인한 합선 즉,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수애자고정장치의 위치를 구동모터 및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밴드를 설치해제하여 재시공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선을 직접 작업자가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감전과 같은 전기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에서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작동관계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에서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보인 블록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는, 지주(100)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레일형 밴드(200)와; 레일부(210)에 얹혀져 레일부(210)를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300)과; 고정브라켓(300)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롤러부재(320) 중 어느 하나를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와; 고정브라켓(30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고, 현수애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현수애자고정장치(5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6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솔라(10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모터(4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7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400)를 정·역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스위치부(80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지주(100)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레일형 밴드(200)는 공지의 암타이밴드로서, 상호 분할되는 한 쌍의 원호형상의 밴드가 지주(100)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원호형상의 밴드 중 어느 하나에는 이후에 설명될 한 쌍의 롤러부재(320)가 상하로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부(2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210)에 얹혀져 레일부(210)를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300)은, 정면에 본 모양이‘ㅏ’형상인 브라켓바디(310)와; 브라켓바디(31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32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브라켓바디(310)의 일측 중앙과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편의 중앙에는 구멍(미도시)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구멍(미도시)에는 체결부재와 한 쌍의 롤러부재(3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레일형 밴드(200)에 고정브라켓(300)을 설치하는 방법은 한 쌍의 롤러부재(320)의 홈을 레일부(2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끼워 맞대어 주고, 브라켓바디(310)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한 쌍의 롤러부재(320)를 회전가능하게 끼워주되,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320) 중 어느 하나에는 이를 강제로 정회전 및 역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400)가 설치되며, 구동모터(400)는 스위치부(800)에 의해 정·역회전이 제어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0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고, 현수애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현수애자고정장치(500)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브라켓(300)에 설치되는 래크(510)와; 래크(5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현수애자(520)와; 래크(510) 및 현수애자(520)를 수직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정부재(530)와; 래크(510)에 설치되어 조정부재(530)에 의해 이동제한되는 한 쌍의 길이조절편(540,540')과; 길이조절편(540,5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조절편(550,550')으로 구성되며, 이를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브라켓(300)에 설치되는 래크(510)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브라켓(300)에 설치되는 ㄷ자 형상의 래크바디(511)와: 래크바디(51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512)와: 래크바디(511)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513)와: 수직하게 관통된 장착공(51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체결부재는 공지의 볼트와 너트이며, 상기 볼트와 너트 이외에도 다양한 체결부재가 적용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래크바디(511)는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서, 외향으로 개구된 부분을 통해 현수애자(520)가 삽입되고, 삽입된 현수애자(520)는 이후에 설명될 조정부재(530)에 의해 래크바디(511)에 고정된다.
상기 래크바디(511)의 둘레면 가장자리에는 내향으로 절곡되어 둘레면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가이드부(512)가 마련되며, 래크바디(511)의 말단부 역시 가이드부(512) 보다는 좀 더 외향으로 돌출된 스토퍼(5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래크바디(511)의 상면과 하면에는 동일 수직선상으로 장착공(514)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공(514)으로 이후에 설명될 조정부재(530)가 삽입된다.
상기 래크(510) 및 현수애자(520)를 수직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정부재(530)는, 상부와 하부에 상호 대향되게 절단면(531a)이 형성된 볼트(531)와; 볼트(531)의 하부에 체결되는 너트(532)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531)의 헤드 부분은 일자로 홈이 형성되고, 몸체 부분은 하단 일부만 나선이 형성되며,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절단면(531a)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 경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볼트(531)를 축 중심으로 회전시켜주게 되면, 볼트(531)의 절단면(5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절단면의 종 방향배치)되고, 이때 조정부재(530)에 설치되어 억류상태에 놓여 있던 길이조절편(540,540')은 슬릿부(542)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길이조절편(540,540')을 조정부재(530)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531)를 재차 축 중심으로 회전(절단면 횡 방향배치)시켜 볼트(531)의 둘레면과 반원부(541)가 상호 단접되도록 함으로서, 길이조절편(540,540')의 이동을 제한시켜 주면 된다.
상기 래크(510)에 설치되어 조정부재(530)에 의해 이동제한되는 한 쌍의 길이조절편(540,540')은, 중앙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되, 절개된 내측면에는 반원부(541)와 슬릿부(542)가 반복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반원부(541)의 직경은 조정부재(530)의 볼트(531)에 직경과 동일하고, 슬릿부(542)의 폭은 볼트(531)의 절단면(531a)과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편(540,540')의 절개부분의 반대편에는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장착공(미도시)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공(미도시)에는 이후에 설명될 각도조절편(550,550')이 연통되게 배치되어, 체결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길이조절편(540,540')에 절개부분을 하나만 형성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된 부분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반원부(541) 및 슬릿부(542) 역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편(540,5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조절편(550,550')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통상의 플레이트로서,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장착공(미도시)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각도조절편(550,550')의 일단부에 마련된 장착공(미도시)은 길이조절편(540,540')의 외면에 맞대어져 체결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 마련된 장착공(미도시)에는 공지의 확장현수애자(560)가 배치되어 고정부재(570)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570)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주(100)에는 솔라(600)와 축전지(700) 및 스위치부(80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솔라(600)는 브라켓(미도시)를 매개로 지주(100)에 설치되거나 또는 레일형 밴드(200)의 둘레면에 설치되며, 태양으로부터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라(60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솔라(600)에 인접하게 설치된 축전지(700)에 전달되며, 축전지(700)에 충전된 전기는 구동모터(400)에 전원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구동모터(400)와 축전지(700)는 전선(미도시)을 매개로 연결되되, 전선(미도시)은 지주(100)의 하부에 설치된 스위치부(800)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400)를 동작시켜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주(100)의 하부에 설치된 스위치부(800)를 눌러주게 되면 구동모터(40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동작제어되며, 이를 도 5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애자고정장치(5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레일형 밴드(200)를 체결부재를 매개로 지주(100)의 둘레면에 고정하고, 레일부(210)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브라켓(300)의 한 쌍의 롤러부재(320)를 맞대어준 상태에서 롤러부재(320)에 브라켓바디(310)를 결합시켜 주되, 한 쌍의 롤러부재(320) 중 어느 하나에는 이를 강제로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와 연결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30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현수애자고정장치(500)를 설치해주며, 현수애자고정장치(500)의 현수애자(520)에 가공전선(L)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새로운 가공전선(L')을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도조절편(550,550')에 설치된 확장현수애자(560)에 새로운 가공전선(L')을 설치하면 되는데, 이때 기존의 가공전선(L)과 새로운 가공전선(L')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각 전선 간의 합선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조정부재(530)를 축 중심으로 회전시켜 길이조절편(540,540')의 억류상태를 해제하고, 억류상태가 해제된 길이조절편(540,540')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기존의 현수애자(520)와 확장현수애자(560) 간이 상호 이격되도록 한 다음 조정부재(530)를 재차 축 중심으로 돌려 길이조절편(540,540')을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한 다음 점퍼선(J)을 매개로 기존의 가공전선(L)과 새로운 가공전선(L')를 상호 연결한다.
한편, 상기 래크(510)를 기준으로 길이조절편(540,540')을 외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과정에 건물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어 새로운 가공전선(L')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를 회피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지주(100)의 하부에 설치된 스위치부(800)를 조작하여 현수애자고정장치(500)의 위치를 조정해주면 된다.
상기 스위치부(800)를 이용한 현수애자고정장치(500)의 위치조정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지주(100)에 설치된 스위치부(800)를 눌러주게 되면, 축전지(700)에 축전된 전원이 구동모터(400)로 전달되어 전선을 매개로 스위치부(800)와 연결된 구동모터(400)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400)에 축 연결된 롤러부재(320)가 강제로 회전되면서 레일형 밴드(200)의 레일부(2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를 유관으로 확인하여 위치를 잡아 주고, 적당한 위치에 현수애자고정장치(500)가 배치된 것을 판단한 이후에는 새로운 가공전선(L')을 설치하면 되는데, 만약 그래도 회피가 곤란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장비를 이용, 현수애자고정장치(500)의 각도조절부재(550,550')를 조작하여 주면 되며, 이를 도 6과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각도조절편(550,550')은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축 회전되며, 회전각은 래크(510)의 스토퍼(513)에 의해 제한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솔라(600)와 축전지(700)를 이용하여 구동모터(400)를 작동시켜 줌으로서, 별도의 외부전원공급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쓸데없는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태양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또한, 래크(510)에 각도조절편(550,550')이 설치된 길이조절편(540,540')을 삽입설치하여 줌으로서, 현수애자고정장치(500)의 주변에 건물이 인접배치되더라도 각도조절편(550,550')을 통해 용이하게 회피시공할 수 있고, 현수애자고정장치(500)와 건물 간의 안전거리(적정거리)를 유지토록 하면서도 확장현수애자(560)를 매개로 용이하게 새로운 가공전선(L')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가공전선(L)와 새로운 가공전선(L')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깝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래크(510)에 설치된 조정부재(530) 및 길이조절편(540,540')을 이용하여 가공전선(L,L') 간을 상호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전선 간의 접촉(혼촉)으로 인한 합선 즉,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수애자고정장치(500)의 위치를 구동모터(400) 및 스위치부(8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밴드를 설치해제하여 재시공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선을 직접 작업자가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감전과 같은 전기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지주 200: 레일형 밴드 210: 레일부
300: 고정브라켓 310: 브라켓바디 320: 롤러부재
400: 구동모터 500: 현수애자고정장치 510: 래크
520: 현수애자 530: 조정부재 540.540': 길이조절편
550.550': 각도조절부재 560: 확장현수애자
570: 고정부재 600: 솔라 700: 축전지
800: 스위치부 L.L': 가공전선 J: 점퍼선

Claims (1)

  1.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지주(100)와;
    둘레면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레일부(210)를 갖추고서, 지주(100)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레일형 밴드(200)와;
    정면에 본 모양이‘ㅏ’형상인 브라켓바디(310)와, 브라켓바디(31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320)를 갖추고서, 레일부(210)에 얹혀져 레일부(210)를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300)과;
    고정브라켓(300)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롤러부재(3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축전지(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롤러부재(320)를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와;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브라켓(300)에 설치되는‘ㄷ’자 형상의 래크바디(511)와, 래크바디(51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512)와, 래크바디(511)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513)와, 수직하게 관통된 장착공(514)을 구비한 래크(510)와,
    래크(5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현수애자(520)와,
    상부와 하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절단면(531a)을 갖추고서, 래크(510)의 장착공(514) 및 현수애자(520)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정부재(530)와,
    중앙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되, 절개된 내측면에 일렬로 반복형성되는 반원부(541)와 슬릿부(542)를 갖추고서, 래크(510)의 가이드부(5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되, 조정부재(530)의 절단면(531a)을 기준으로 절단면(531a)이 횡방향 배치시 이동제한되고, 종방향 배치시 이동가능하게 되는 한 쌍의 길이조절편(540,540')과,
    한 쌍의 길이조절편(540,540')의 외면에 체결부재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570)를 매개로 타단에 설치된 확장현수애자(56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각도조절편(550,550')을 갖춘 현수애자고정장치(5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6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솔라(10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모터(4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700)와;
    지주(10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400)를 정·역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스위치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KR1020100042126A 2010-05-04 2010-05-04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KR10098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26A KR100981756B1 (ko) 2010-05-04 2010-05-04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26A KR100981756B1 (ko) 2010-05-04 2010-05-04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756B1 true KR100981756B1 (ko) 2010-09-10

Family

ID=4301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26A KR100981756B1 (ko) 2010-05-04 2010-05-04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7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071B1 (ko) * 2014-12-04 2015-02-10 김종윤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KR101879321B1 (ko) * 2018-01-29 2018-07-18 김종선 변전선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KR101901806B1 (ko) 2018-03-02 2018-09-28 하봉구 가공배전용 피뢰장치
KR101901804B1 (ko) 2018-02-08 2018-09-28 공은옥 가공배전을 위한 인류스트랍 장치
KR101941706B1 (ko) * 2018-08-10 2019-01-24 주식회사 광원 배전선의 위치 조정 장치
KR20190031412A (ko) * 2017-09-16 2019-03-26 황윤국 애자 어셈블리
KR101945803B1 (ko) * 2018-04-10 2019-05-02 미래전기기술단(주) 배전선로의 고정 완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19Y1 (ko) 2001-11-02 2002-02-19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KR100601417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947095B1 (ko) 2009-07-01 2010-03-12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원격송전 가공전선의 고정용 절연애자
KR100966616B1 (ko) 2010-04-28 2010-06-29 배규보 가공 배전선로의 인류애자 설치용 인류스트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19Y1 (ko) 2001-11-02 2002-02-19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KR100601417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947095B1 (ko) 2009-07-01 2010-03-12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원격송전 가공전선의 고정용 절연애자
KR100966616B1 (ko) 2010-04-28 2010-06-29 배규보 가공 배전선로의 인류애자 설치용 인류스트랍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071B1 (ko) * 2014-12-04 2015-02-10 김종윤 가공배전 전용 상부구조물
KR20190031412A (ko) * 2017-09-16 2019-03-26 황윤국 애자 어셈블리
KR101972738B1 (ko) 2017-09-16 2019-04-29 황윤국 애자 어셈블리
KR101879321B1 (ko) * 2018-01-29 2018-07-18 김종선 변전선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KR101901804B1 (ko) 2018-02-08 2018-09-28 공은옥 가공배전을 위한 인류스트랍 장치
KR101901806B1 (ko) 2018-03-02 2018-09-28 하봉구 가공배전용 피뢰장치
KR101945803B1 (ko) * 2018-04-10 2019-05-02 미래전기기술단(주) 배전선로의 고정 완금 장치
KR101941706B1 (ko) * 2018-08-10 2019-01-24 주식회사 광원 배전선의 위치 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756B1 (ko)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KR100970762B1 (ko) 전주의 저압가공선 연결 현수애자
KR10096661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인류애자 설치용 인류스트랍
MXPA03011498A (es) Dispositivo para cambiar alambres dentro de postes electricos y metodo de distribucion de energia sin fallas de energia.
KR100989444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CN113161962A (zh) 一种带电作业角度可调式间隔棒
CN215580275U (zh) 一种新型配电网架接线结构
CN105811306A (zh) 一种带电作业绝缘横担
CN102832579A (zh) 一种用于固定带有绝缘外皮的光缆和电缆的牵引夹具
KR101319935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52201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KR10135510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CN112382981B (zh) 一种特高压输电线路耐张绝缘子串进出作业连接装置
KR101369246B1 (ko) 결선이 필요없는 태양광 발전형 조명기기
CN207096534U (zh) 可调式光缆余缆架
CN217281930U (zh) 一种可调节线径的高压电缆夹紧抱箍
KR200252786Y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CN202797838U (zh) 一种用于固定带有绝缘外皮的光缆和电缆的牵引夹具
CN210577224U (zh) 一种用于配电线路的配电箱
CN209844225U (zh) 一种移动式变电站及其进线装置
CN202474705U (zh) 一种驱鸟器带电安装工具
CN112332125A (zh) 一种新型地线连接装置
CN217607459U (zh) 一种电缆分流线夹
CN218072191U (zh) 一种方形多功能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