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119Y1 -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119Y1
KR200264119Y1 KR2020010033664U KR20010033664U KR200264119Y1 KR 200264119 Y1 KR200264119 Y1 KR 200264119Y1 KR 2020010033664 U KR2020010033664 U KR 2020010033664U KR 20010033664 U KR20010033664 U KR 20010033664U KR 200264119 Y1 KR200264119 Y1 KR 200264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ack
low pressure
strap
rack
coupl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10033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119Y1/ko

Link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배전선로의 저압랙크에 연결되어 이종의 인류애자가 설치되는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둘레면 상하부측에 상하나선홈(11,12)이 형성된 연결보울트(10)를 상하결합공(121,121')으로 삽입하여 애자(123)를 고정시킴과 더불어 상하나선홈(11,12)에 끼워지는 상하스트랩(130,130')을 각각의 상하너트(13,14)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저압랙크의 애자고정보울트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트랩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가능하므로, 스트랩의 설치 및 철거작업에 소요되는 작업하중 및 작업시간이 경감되어 배전선로의 유지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Device for mounting a rack and strap using in power line}
본 고안의 배전선로의 저압랙크에 연결되어 인류애자가 설치되는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압랙크와 스트랩의 연결보울트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하스트랩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저압랙크는, 전봇대와 같은 지지수단에 랙크밴드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장착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함체로서, 이러한 저압랙크의 수용공간에 지지보울트를 통해 배전선로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인류애자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압랙크에는, 예컨대 배전선로의 송전선의 기울기가 수평방향으로 규정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이종의 배전선로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판상으로 성형된 한 쌍의 스트랩(strap)이 연결된다.
즉,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배전선로(100)에는, 전봇대용 고정밴드(110)의 측면부에 보울팅됨은 물론 그 몸체의 상하연결부에 상하결합공(121,121')이 형성된 저압랙크(120)와, 저압랙크(120)의 상하연결부에 각각 연결됨은 물론 그 몸체에 각각의 결합공(131,131')이 형성된 상하스트랩(130,130') 및, 저압랙크(120)의 상하결합공(121,121')과 상하스트랩(130,130)의 결합공(131,131')에 각각 삽입되어 애자(123,123')를 고정하는 지지보울트(122,12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저압랙크(120)에 애자(123)를 설치하려는 경우, 저압랙크(120)의 상하결합공(121,121')에 지지보울트(122)를 삽입하여 애자(123)를 고정시키고, 지지보울트(122)의 핀공(122a)에 고정핀(122b)을 삽입한다.
또한, 저압랙크(120)에 상하스트랩(130,130')을 연결하려는 경우, 일단 고정핀(122b)을 뽑아내어 지지보울트(122)를 인출한 다음, 상하결합공(121,121')에 상하스트랩(130,130')의 체결공(132,132')을 맞댄 상태에서 다시 지지보울트(122)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상하스트랩(130,130')에 애자(123')를 설치하려는 경우, 일단 상하스트랩(130,130')의 결합공(131,131')에 지지보울트(122')를 삽입하여 애자(123')를 고정시키고, 지지보울트(122')의 핀공(122a')에 고정핀(122b')을 삽입하면, 애자 (123')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저압랙크(120)에 상하스트랩(130,130')을 설치 및 철거하는 작업과정에서, 예컨대 핀공(122a)에 삽입되어있던 고정핀(122b)을 인출하여 지지보울트 (122)를 해체하는 작업과정이 선결되어야 하므로, 상하스트랩(130,130')의 설치 및 철거작업에 따른 작업하중이 증대됨은 물론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배전공사에 소요되는 각종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압랙크와 스트랩을 체결하는 연결보울트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스트랩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배전공사에 소요되는 각종 부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의 둘레면 상하부측에 상하나선홈을 형성한 연결보울트를 상하결합공에 삽입하여 애자를 고정시킴과 더불어 상하나선홈의 둘레면에 끼워지는 상하스트랩을 상하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랙크에 스트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랙크와 스트랩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압랙크에 스트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압랙크와 스트랩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결보울트 11,12 : 상하나선홈
13,14 : 상하너트 15 : 걸림턱
16 : 고정핀 17 : 핀공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압랙크에 스트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압랙크와 스트랩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고정밴드(110)의 측면부에 보울팅됨과 더불어 그 몸체상하부를 이루는 연결부에 상하결합공(121,121')이 형성된 저압랙크(120)와, 저압랙크(120)의 연결부에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그 몸체선단부에 각각의 결합공(131,131')이 형성된 상하스트랩 (130,130') 및, 저압랙크(120)의 상하결합공(121,121')과 상하스트랩(130,130)의 결합공(131,131')에 각각 삽입되어 애자(123,123')를 고정하는 지지보울트(122, 122')가 구비된 배전선로에 있어서, 둘레면 상하부측에 상하나선홈(11,12)을 형성한 연결보울트(10)를 상하결합공(121,121')에 삽입하여 애자(123)를 고정시킴과 더불어 상하나선홈(11,12)의 둘레면에 각각 끼워지는 상하스트랩(130,130')을 상하너트(13,14)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배전선로(100)의 고정밴드(110)와 저압랙크(120)와 상하스트랩(130,130')의 각 구성요소들은 종래 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지지보울트(122,122')를 연결보울트(10,10')로 대체시킨 것에 차이점이 포함됨을 첨언한다.
또한, 저압랙크(120)에 체결되는 연결보울트(10)와 상하스트랩(130,130')에 체결되는 연결보울트(10')는 기능상 상호 동일하므로, 본원에서는 저압랙크(120)에 체결되는 연결보울트(10)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연결보울트(10)는, 저압랙크(120)의 상하결합공(121,121')에 삽입되어 애자(123)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하스트랩(130,13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결합공(121,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상하나선홈(11,12)을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보울트(10)는, 그 둘레면 상부측 즉, 상부나선홈(11)의 하부측에 상부결합공(121)의 상면과 면접촉되어 연결보울트(10)의 하향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보울트(10)는, 그 둘레면 하부측 즉, 하부나선홈(12)의 상부측에 고정핀(16)이 끼워져 고정되는 핀공(17)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연결보울트(10')는, 그 둘레면의 상하부측에 상하나선홈(11',12')이 형성되며, 상부나선홈(11')의 하부측에 걸림턱(15')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나선홈(12')의 상부측에 고정핀(16')이 끼워지는 핀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봇대의 설치위치에 배전선로(100)를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고정밴드(110)의 측면부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저압랙크(120)를 장착한 다음, 저압랙크(120)의 상하결합공(121,121')에 연결보울트(10)를 삽입하면서 애자(123)를 장착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때, 연결보울트(10)는, 상하결합공(121,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5)에 의해 하향이 방지된 상태이다.
그런 다음, 연결보울트(10)의 핀공(17)에 고정핀(16)을 끼워 연결보울트(10)의 유동을 방지시킨 상태에서, 연결보울트(10)의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하나선홈(11,12)에 상하너트(13,14)를 체결하면, 저압랙크(120)내에 애자(123)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만일, 저압랙크(120)의 연결부에 상하스트랩(130,130')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연결보울트(10)의 상부나선홈(11)에 체결되어있던 상부너트(13)를 해체하여 상부나선홈(11)을 노출시킨 다음, 상부나선홈(11)에 체결공(132)을 통해 상부스트랩 (130)을 연결하고 다시 상부너트(13)를 체결한다.
동시에, 연결보울트(10)의 하부나선홈(12)에 체결되어있던 하부너트(14)를 해체하여 하부나선홈(12)를 노출시킨 다음, 하부나선홈(12)에 체결공(132)을 통해 하부스트랩(130')을 연결하고 다시 하부너트(14)를 체결한다.
이어서, 상하스트랩(130,130')의 결합공(131,131')에 연결보울트(10')를 삽입하면서 애자(123')를 장착하면, 연결보울트(10')가 걸림턱(15')에 의해 하향이 제한된 상태로 머물러 있게 되므로, 연결보울트(10)의 핀공(17')에 고정핀(16')을 끼원 연결보울트(10')의 유동을 제한한다.
그런 다음, 연결보울트(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하나선홈 (11',12')에 상하너트(13',14')를 체결하게 되면, 상하스트랩(130,130')내에 애자 (123')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저압랙크(120)의 연결보울트(10)와 상하스트랩(130,130')의 연결보울트(10')에 고정핀(122b,122b')을 끼우면 스트랩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에 의하면, 저압랙크에 체결되는 연결보울트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트랩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가능하므로, 스트랩의 설치 및 철거작업에 소요되는 작업하중 및 작업시간이 경감되어 배전선로의 유지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고정밴드( 측면부에 보울팅됨과 더불어 그 몸체상하부를 이루는 연결부에 상하결합공(121,121')이 형성된 저압랙크(120)와, 저압랙크(120)의 연결부에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그 몸체선단부에 각각의 결합공(131,131')이 형성된 상하스트랩 (130,130') 및, 저압랙크(120)의 상하결합공(121,121')에 삽입되어 애자(123)와 상하스트랩(130,130')을 고정하는 지지보울트(122)가 구비된 통상적인 배전선로에 있어서,
    하우징의 둘레면 상하부측에 상하나선홈(11,12)이 형성된 연결보울트(10)를 상하결합공(121,121')으로 삽입하여 애자(123)를 고정시킴과 더불어 상하나선홈 (11,12)에 끼워지는 상하스트랩(130,130')을 각각의 상하너트(13,14)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나선홈(11)의 하부측에, 상부결합공(121)의 상면과 면접촉되어 연결보울트(10)의 하향을 제한하는 걸림턱(15)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나선홈(12)의 상부측에, 하부결합공(121')의 하면과 접촉되는 고정핀(16)이 끼워지는 핀공(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KR2020010033664U 2001-11-02 2001-11-02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KR200264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664U KR200264119Y1 (ko) 2001-11-02 2001-11-02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664U KR200264119Y1 (ko) 2001-11-02 2001-11-02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119Y1 true KR200264119Y1 (ko) 2002-02-19

Family

ID=7311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664U KR200264119Y1 (ko) 2001-11-02 2001-11-02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11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417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714177B1 (ko) * 2006-05-04 2007-05-02 (주)기탄교육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KR100981756B1 (ko) 2010-05-04 2010-09-10 주식회사 거창전력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KR101472099B1 (ko) * 2013-11-26 2014-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KR101879321B1 (ko) * 2018-01-29 2018-07-18 김종선 변전선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KR20190031412A (ko) * 2017-09-16 2019-03-26 황윤국 애자 어셈블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417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714177B1 (ko) * 2006-05-04 2007-05-02 (주)기탄교육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KR100981756B1 (ko) 2010-05-04 2010-09-10 주식회사 거창전력 가공전선의 배전처리를 위한 전주
KR101472099B1 (ko) * 2013-11-26 2014-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KR20190031412A (ko) * 2017-09-16 2019-03-26 황윤국 애자 어셈블리
KR101972738B1 (ko) 2017-09-16 2019-04-29 황윤국 애자 어셈블리
KR101879321B1 (ko) * 2018-01-29 2018-07-18 김종선 변전선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417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200264119Y1 (ko)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KR100915799B1 (ko) 배전용 전주 고정장치
KR200357920Y1 (ko) 지그의 구조
KR200334700Y1 (ko) 배전용 피뢰기 설치용 일체형 브라켓
KR200411267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20170121979A (ko)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EP1137105A2 (en) Feedthrough terminal block
KR19990041290U (ko) 퓨즈박스의 고정장치
KR100700048B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200269709Y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크립
KR200403495Y1 (ko) 애자와 일체로 형성된 배선용 클램프
KR200320893Y1 (ko) 더미 바 헤드 폭 조정용 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RU225592U1 (ru) Сцепная серьга
KR0136267Y1 (ko) 저압 가선용 단선 랙크
CN213027242U (zh) 一种快速定位安装的漏缆卡具
KR200180712Y1 (ko) 차단기용 단자 연결구
KR200248226Y1 (ko) 220v용 접지 콘센트의 접지단자 결선구조
KR0136222Y1 (ko) 시동모터용 터미날 아답터
KR100671735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JP2008236963A (ja) 電線架設部材の取付具
SU174402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направл ющих лифта
KR200285237Y1 (ko) 옹벽용 간격유지구
KR0120894Y1 (ko) 맨홀 받침틀의 고정장치
KR200263310Y1 (ko) 개방형 완철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