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177B1 -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177B1
KR100714177B1 KR1020060040617A KR20060040617A KR100714177B1 KR 100714177 B1 KR100714177 B1 KR 100714177B1 KR 1020060040617 A KR1020060040617 A KR 1020060040617A KR 20060040617 A KR20060040617 A KR 20060040617A KR 100714177 B1 KR100714177 B1 KR 100714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page
sound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만
Original Assignee
(주)기탄교육
김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탄교육, 김응만 filed Critical (주)기탄교육
Priority to KR102006004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의 내용을 음향으로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고 각 페이지마다 소정의 페이지 식별부호를 형성한 도서와, 상기 도서가 결합되는 본체로서 도서가 결합되도록 고정홈을 구비한 도서 안착부와, 도서의 내용을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파일을 저장하는 음향파일 저장부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본체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음향파일을 재생하여 음향으로 출력하는 마이콤과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조작부는 페이지선택재생버튼 및 기타 조작버튼을 포함하되, 페이지선택재생버튼의 위치를 도서의 페이지 식별부호의 위치와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발명 구성의 단순화에 따른 제작 경비 절감, 페이지 자동 인식에 수반하는 오류 제거, 영유아들의 사용 편의성 등이 제고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페이지 식별부호, 페이지선택재생버튼

Description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SOUND OUTPUT APPARATUS OF BOOK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및 도서의 외관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체의 내부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도서의 형태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발명에 따른 도서 내용 음향 발생 장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서
11, 12, 13 : 페이지 식별부호
15 : 도서식별부호
20 : 본체
21 : 도서 안착부
22 : 고정홈
23 : 스피커
25 : 표시부
28 : 페이지선택재생버튼
29 :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
51 : 마이콤
52 : 음향파일 저장부
54 : 전원 공급부
본 발명은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서의 페이지별 내용을 출력하기 위한 페이지선택재생버튼의 위치를 도서의 각 페이지에 표시된 페이지 식별부호의 위치와 일대일로 대응시킴으로써, 영유아들이 원하는 페이지에 대한 내용의 출력을 스스로 조작 가능하도록 한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의 내용을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들은 도서 안착부를 구비한 본체에 도서를 고정한 후 각 페이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별도로 삽입된 롬팩에 수록된 음향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들 장치는 페이지 인식 수단으로서, 도서의 각 페이지마다 자력에 의한 특정 신호를 발생하는 자기 발생 장치, 빛을 투광할 수 있는 구멍, 또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바코드 등을 형성하고, 이를 자기센서 또는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페이지를 자동을 인식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장치들은 사용자의 별도의 버튼 조작 없이 자동으로 해당 페이지 수를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센서의 오작동이 많고, 정밀한 제작 공정 및 정밀한 부품의 요구 등으로 인한 제조 원가의 상승의 문제점이 있으며, 다양한 도서에 대해 범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닌 특정 도서에 대해서만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이기 때문에 개별 제품의 단가 상승 및 부품 낭비의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없앨 수 있도록 한, 도서의 페이지에 대한 선택 버튼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공보 20-314593호(고안의 명칭; 도서 내용 음향 발생 장치, 고안자; 박승문 외)는 도 4와 같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230)와 내부에 각종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 본체(200)로 이루어져 있는데, 케이스 본체(200)의 상면 중심부에는 주변부와 단차를 두고 도서 안착시트(201)가 형성되어 있는 도서 안착부와, 케이스 본체(200) 일측부에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조작부 즉, 음량 증감 버튼(241), 음향 발생을 지시하는 스타트 버튼(242), 음향 발생을 중지시키는 중지 버튼(243), 원하는 페이지 내용의 음향 발생을 지시하는 페이지선택 버튼(244), 동작 표시 램프(245), 스피커 등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이 장치는, 도서가 안착 시트에 결합되는 상태에서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 장치는 페이지 선택 버튼(244)이 케이스 본체(200)의 일 측면 가장자리의 임의의 위치에 집중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서의 페이지에 형성된 숫자와 페이지 선택 버튼(244)의 숫자를 인지하지 못하는 영유아들이 혼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서의 소정 페이지를 선택하여 해당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버튼을 도서의 페이지 식별부호가 형성된 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숫자를 인지하지 못하는 영유아들일지라도 손쉽게 해당 페이지에 맞는 버튼을 누를 수 있는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고 각 페이지마다 소정의 페이지 식별부호;를 형성한 도서와, 상기 도서가 결합되는 본체로서 도서가 결합되도록 고정홈;을 구비한 도서 안착부; 도서의 내용을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파일을 저장하는 음향파일 저장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본체를 조작하는 조작부;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음향파일을 재생하여 음향으로 출력하는 마이콤; 및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조작부는 페이지선택재생버튼; 및 기타 조작버튼을 포함하되, 페이지선택재생버튼의 위치를 도서의 페이지 식별부호의 위치와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서의 페이지 식별부호는 도서의 적어도 일측 이상의 변에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페이지선택재생버튼의 위치가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서의 상기 페이지 식별부호는 소정의 도형 또는 기호로써 이루어지고, 본체의 페이지선택재생버튼에는 페이지 식별부호와 동일한 도형 또는 기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 저장할 수 있는 녹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각종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도서가 결합된 상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본체의 내부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 따른 본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에 따르면,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서의 본체(20)는, 고정홈(22)을 구비한 도서 안착부(21), 고정홈(22), 스피커(23), 표시부(25), 다수의 버튼(24, 26, 27, 28)을 포함하는 조작부,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29), 마이크(31)를 외부에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버튼(24, 26, 27, 28)은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스위치(24), 제어버튼(26), 기능전환버튼(27),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2는 이러한 구성의 본체(20)의 내부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도면에 따르면, 본체(20)는 음향파일 저장부, 마이콤, 조작부, 스피커, 표시부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후의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병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서 안착부(21)는, 소정의 도서(10)를 펼쳐놓기 위한 공간이다. 일반적인 본체(20)는 좌우 대칭으로 접혀지는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본 발명의 도서 안착부(21)도 좌우 대칭으로 접혀지는 형태가 된다. 이는 일반적인 도서(10)가 좌우로 접혀지는 형태이기 때문이며, 도서를 상하로 펼치도록 제작하거나 낱장으로 분해될 수 있다면, 그러한 도서를 결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체(20)는 일반적인 도서(10)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도서 안착부(21)의 접혀지는 부분에 세로로 긴 고정홈(22)이 형성되어, 도서(10)의 제본된 등줄기 부위가 고정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홈(22)에 의하면, 종래의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서와 같이, 이용하고자 하는 도서가 스프링이나 고리 등에 의해 제본되어야만 종래의 도서 안착부 부분에서 완전하게 펼쳐질 수 있었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고정홈(22)에는 도서(10)를 본체에 확실히 고정시키기 위한 소정의 결합수단으로서, 종래의 다양한 기술을 이용한다.
본체(20)에는 도서 안착부(21)를 둘러싸며, 이 도서 안착부(21)와는 소정 높이의 단차를 가짐으로써 구분되는 외부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외부 테두리 에는 후술할 스피커(23), 표시부(25), 다수의 버튼(24, 26, 27, 28)을 포함하는 조작부,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29), 마이크(31)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에 적용되는 다수의 수단들이 배치된다.
스피커(23)는 후술할 마이콤(51)에 의해 제공되는 음향 신호를 가청 음향으로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25)는 마이콤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영상 신호를 가시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부(25)는 적어도 도서(10)의 제목과 도서식별부호(15)를 표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의 기능, 동작 및 조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스피커(23) 및 표시부(25)의 종류와 형태,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모든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29)는 컴퓨터용 USB 커넥터, LAN 커넥터, 롬팩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접속구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29)는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도서에 대한 음향파일을 인터넷, 컴퓨터, 각종 휴대용 저장장치 등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 통신 수단으로서, 본체(20)에 구비된 메모리(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음향파일 저장부(52)를 구성한다.
마이크(31)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작부(53)를 조작한 후,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23)를 통해 직접 출력하고자 할 때 이용된다. 이때 녹음되는 음성은 음향파일 저장부(52)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파일을 대체하여 저장되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음향파일과는 별도로 저장되며, 필요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행되어 녹음된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마이크(31)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해당 도서(10)의 내용을 구연하는 내용을 녹음하고 필요시 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어머니가 자신의 음성을 녹음할 경우 어머니가 자녀에게 도서를 직접 읽어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체(20)에는, 본체(2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24),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메뉴를 전환 또는 탐색하며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확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어버튼(26)과 기능전환버튼(27), 도서(10)의 원하는 페이지의 도서식별부호(15)에 해당하는 페이지 식별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53)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제어버튼(26)은 표시부(25)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을 전환 및 이동하기 위한 버튼과 스피커(23)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사용자의 선택을 확정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기능전환버튼(27)은 저장되어 있는 도서의 음향파일을 검색하고 원하는 음향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책선택 버튼, 스피커(23)로 출력되는 도서 내용을 구연하는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언어선택 버튼,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녹음 버튼을 포함한다.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은 본체(20)에 결합되는 소정 도서의 모든 페이지수에 대해 각각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형성되며, 적어도 1부터 0까지의 열 개의 숫자와 '*' 및 '#'이 표시된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은 본 발명의 도 3에서와 같이 도서(10)의 하부변에 페이지 식별부호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도서(10)에 대응하여 본체(20)의 외부 테두리의 하부변에 일렬 횡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은 외부 테두리와 도서 안착부(21)가 접하는 단차에 최대한 가까이 배치되거나 상기 단차와 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도서(10)의 하부변에 형성된 페이지 식별부호와 가능한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페이지선택재생 버튼(28)은 숫자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기호 또는 표시로써 구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의 외부 형태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서로 구별되게 할 수도 있다.
마이콤(51)은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의도를 기초로 하여 메모리(52)에 저장된 음향파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이 음향파일을 디코딩하여 소정의 음향 및/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신호 및/또는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의 음향 신호는 음향파일로부터 디코딩되어 도서(10)의 소정 페이지의 내용을 구연한 음성 또는 효과음을 스피커(23)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이며, 영상 신호는 도서(10)의 도서식별부호(15)와 제목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부(25)에서 표시하기 위한 영상 또는 도서(10)의 내용을 가시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마이콤(51)은 마이크(3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형식의 음향파일로 인코딩하여 메모리(52)에 저장한다. 즉, 마이콤(51)은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이다.
음향파일 저장부(52)는 랜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접속구, 컴퓨터용 USB 접속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접속구, 비휘발성 플래쉬 메모리 카드 또는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20)에 특화되어 제작된 롬팩과 같은 장치들이 삽입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29)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29)는 무선 RF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음향파일 저장부(52)는 다양한 도서에 대한 다수의 음향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54)는 본체(2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음향파일은 도서(10)의 도서식별부호(15)를 인덱스로 하여 다른 다양한 도서에 대한 음향파일들과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이 음향파일은 도서의 각 페이지마다 분할되어 있거나, 하나의 음향파일에서 각 페이지에 해당하는 위치에 소정의 구분자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도서에서 원하는 페이지를 선택할 경우 해당 페이지에 대한 음향을 즉시 들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음향파일은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인터넷망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되거나, 컴퓨터용 USB 저장장치, 비휘발성 플래쉬 메모리 카드, 본 발명과 같은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해 특화되어 제작된 롬팩과 같은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모든 통신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들을 본 발명에서는 통신 수단으로 통칭하며, 도 2에서의 음향파일 저장부(52)에 저장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음향파일은 MP3 파일 또는 WAV 파일, OGG 파일 등, 음향을 저장할 수 있는 형식의 파일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29)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고, 후술할 마이크(3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자유롭게 녹음하여 인코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 파일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러한 음향파일은 통신망에서의 보안을 위하여 다양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기능을 추가 적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도 3(a), 3(b), 3(c), 3(d)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도 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3(a)은 도서(10)가 덮여져 있는 상태에서의 도서의 겉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겉면에는 적어도 도서(10)의 고유한 도서식별부호(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서식별부호(15)는 도서(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도서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숫자나 간단한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도서식별부호(15)는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에 형성된 도형 또는 기호와 동일한 도형 또는 기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도서의 1~2 페이지를 펼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c)는 도서의 3~4 페이지를, 도 3(d)는 도서의 5~6 페이지를 펼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서로 비교하면, 각 페이지에는 하부의 변에 현재 펼친 페이지의 페이지수를 나타내기 위한 고유한 숫자, 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로 페이지 식별부호(11, 12, 13)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페이지 식별부호(11, 12, 13)들은 현재 펼쳐진 페이지의 바탕 색깔과는 다른 색깔로 표시되거나 사각형과 같은 간단한 도형의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어 사용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페이지 식별부호(11, 12, 13)도 숫자뿐만 아니라 각각 고유한 도형 또는 기호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페이지 식별부호들(11, 12, 13)은 각각의 페이지에서 각각 특정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예들 들면, 도 3(b)의 페이지 식별부호(11)는 도서(10) 하부변의 가장 왼쪽에 위치하며, 도 3(c)의 페이지 식별부호(12)는 상기 페이지 식별부호(11)의 위치와 겹치지 않도록 우측으로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며, 또한, 도 3(d)의 페이지 식별부호(13)는 상기 페이지 식별부호(12)의 위치와 겹치지 않도록 오른쪽으로 더 이동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페이지 식별부호들(11, 12, 13)은 도서(10)가 본체(20)의 도서 안착부(21)에 결합되었을 때, 본체(20)에 배열된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의 위치, 형태 및 기호에 대해 각각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페이지 식별부호(11)에 숫자 '1'이 표시되어 있다면, 이 페이지 식별부호(11)는 본체(20)의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 중에서 '1'이 표시된 페이지선택재생버튼과 가장 가깝도록 배치되고, 페이지 식별부호(12)에 숫자 '2'가 표시되어 있다면, 이 페이지 식별부호(12)는 본체(20)의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 중에서 '2'가 표시된 페이지선택재생버튼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의 크기는 영유아들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각 2C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도서는 보통 20~36 페이지 정도로 제작된다.
페이지 식별부호와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과의 대응은 도서(10)를 구성하는 모든 페이지에 대해 각각 설정된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는 페이지 식별부호(11, 12, 13)를 세 개인 것으로 하였지만, 이는 도서(10)의 페이지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이때, 도서(10)의 페이지수가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해당 페이지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두 개 이상의 버튼의 조합은 인접한 버튼에 의한 조합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이 0 내지 9의 숫자와 '*', '#'의 기호를 포함하여 12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다음의 표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페이지 버튼 페이지 버튼 페이지 버튼 페이지 버튼
1,2 1 13,14 7 25,26 1,2 37,38 7,8
3,4 2 15,16 8 27,28 2,3 39,40 8,9
5,6 3 17,18 9 29,30 3,4 41,42 9,0
7,8 4 19,20 10 31,32 4,5 43,44 0,*
9,10 5 21,22 * 33,34 5,6 45,46 *,#
11,12 6 23,24 # 35,36 6,7
이러한 페이지 식별부호는 도서(10)에 인쇄되거나 소정 스티커와 같은 부착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스티커에 의해 페이지 식별부호를 형성하게 되면, 소정의 도서에 대해 스티커를 부착할 페이지 수 및 부착 위치에 대한 안내서와 해당 도서의 내용을 담고 있는 음향파일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도서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서(10)에 대해서 각 페이지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높은 제작비 및 복잡한 제조 공정에 의해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도서의 가격도 저렴해지므로, 사용자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체(20)에 적어도 하나의 음향파일을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29)를 이용하여 음향파일 저장부(52)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본체(20)의 전원 스위치(24)를 온한다. 이후 재생을 원하는 도서(10)에서 도서식별부호(15)를 확인하고, 이 도서식별부호(15)를 조작부(53)에 구비된 버튼들, 예를 들면 책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음향파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향파일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으며,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에 형성된 숫자 등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후, 도서(10)를 도서 안착부(21)에 고정홈(22)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를 펼친 후 해당 페이지의 하부변에 형성된 페이지 식별부호를 확인하고, 이 페이지 식별부호와 가장 가까운 위치로 대응되어 있는 페이지선택재생버튼(28)을 누름으로써 도서(10)의 현재 펼쳐진 페이지를 입력한다.
이에 본체(20)의 스피커(23)에서는 해당 페이지의 음향이 출력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 의하면, 원하는 도서에 대한 음향파일을 다양한 통신 수단으로부터 제공받아 음향 및/또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학습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용하고자 하는 도서가 어학 교재인 경우에는, 이 어학 교재와 동시에 제공되는 음향파일을 인터넷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음향파일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 음향파일이 다양한 언어로 출력 가능한 경우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멀티미디어 어학 학습기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음향파일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을 따라 말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한 후 청취함으로써 자신의 발음을 교정할 수도 있으므로 어학 학습 효과를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및 본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 치에 따르면, 본체에 소정의 도서에 대한 음향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후, 이 도서의 펼쳐진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식별부호와 가장 가까이 배치된 버튼을 직접 누름으로써 원하는 페이지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서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자석 또는 바코드와 같은 별도의 페이지 인식용 장치를 설치하거나 특정 형태의 구멍을 도서에 천공하지 않고, 각 페이지의 페이지 식별부호를 단지 스티커의 부착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도서의 제조 단가 및 본체의 제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하는 음향파일을 컴퓨터, 인터넷 등을 통해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도서를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또한, 페이지 식별부호를 사용자가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여 형성하면,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도서를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어 부모가 어린이에게 도서를 구연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에게 더욱 친밀감을 줄 수 있으며, 어학 교재와 함께 이용하는 경우 자신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되어 발음을 교정의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고 각 페이지마다 소정의 페이지 식별부호;를 형성한 도서와, 상기 도서가 결합되는 본체로서 상기 도서가 결합되도록 고정홈;을 구비한 도서 안착부; 상기 도서의 내용을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파일을 저장하는 음향파일 저장부;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상기 본체를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음향파일을 재생하여 음향으로 출력하는 마이콤; 및 상기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조작부는 페이지선택재생버튼; 및 기타 조작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페이지선택재생버튼의 위치를 상기 도서의 상기 페이지 식별부호의 위치와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의 페이지 식별부호는 상기 도서의 적어도 일측 이상의 변에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페이지선택재생버튼의 위치가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의 상기 페이지 식별부호는 소정의 도형 또는 기호로써 이루어지 고, 상기 본체의 상기 페이지선택재생버튼에는 상기 페이지 식별부호와 동일한 도형 또는 기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 저장할 수 있는 녹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각종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내용음향 출력장치.
KR1020060040617A 2006-05-04 2006-05-04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KR10071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617A KR100714177B1 (ko) 2006-05-04 2006-05-04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617A KR100714177B1 (ko) 2006-05-04 2006-05-04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177B1 true KR100714177B1 (ko) 2007-05-02

Family

ID=3826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617A KR100714177B1 (ko) 2006-05-04 2006-05-04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1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10Y1 (ko) * 1995-05-27 1998-12-15 양정자 페이지 감지식 음향도서
KR100317984B1 (ko) * 2000-01-08 2001-12-22 심현보 도서 내용 음성 출력 장치
KR200264119Y1 (ko) * 2001-11-02 2002-02-19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KR20040099642A (ko) * 2003-05-19 2004-12-02 주식회사 씨엘씨소프트 음향도서장치 및 페이지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10Y1 (ko) * 1995-05-27 1998-12-15 양정자 페이지 감지식 음향도서
KR100317984B1 (ko) * 2000-01-08 2001-12-22 심현보 도서 내용 음성 출력 장치
KR200264119Y1 (ko) * 2001-11-02 2002-02-19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저압랙크의 스트랩 연결 장치
KR20040099642A (ko) * 2003-05-19 2004-12-02 주식회사 씨엘씨소프트 음향도서장치 및 페이지 인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524B1 (en) Personalized electronic talking book
US7792480B2 (en) Electrographic position location apparatus including recording capability and data cartridge including microphone
US20100250255A1 (en) Multimedia Keepsakes and Method and System for Their Manufacture
US20110066945A1 (en) Video Greeting Cards
US20110054906A1 (en) Multimedia Keepsake with Customizable Content
US20040104890A1 (en) Compact book and apparatus using print media
JP4558731B2 (ja) 読取装置
EP2668046B1 (en) Book
KR100737427B1 (ko)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100714177B1 (ko) 도서 내용 음향 출력 장치
KR20120051790A (ko) 디지털 학습 어프리케이션과 디지털 학습 시스템
KR20150139750A (ko) 단어 학습 장치,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CN101448110A (zh) 内置说明书的电视机
US20140200897A1 (en) Multimedia keepsakes and method and system for their manufacture
US8861942B2 (en) Video tablet and docking station and method of use
KR100372762B1 (ko) 코란 전용의 멀티미디어 전자책 장치
GB2347647A (en) Book with audio record and playback which can be linked to a computer
KR102082181B1 (ko) 인공지능 기반 전자펜, 인공지능 기반 전자펜을 이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6371115B2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
CA2450295A1 (en) Interactive apparatus using print media
KR101149531B1 (ko) 패턴코드 인식 펜 및 그 구동방법
KR20200093855A (ko) 스마트 동화책 구연 시스템 및 이의 스마트 동화책 구연 서비스 제공방법
EP2230583A1 (en) Interactive multimedia reading system
CN201584066U (zh) 识字发音板
KR200432663Y1 (ko) Mp3기능 및 컨텐츠 검색기능을 가지는 학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