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427B1 -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427B1
KR100737427B1 KR1020050097616A KR20050097616A KR100737427B1 KR 100737427 B1 KR100737427 B1 KR 100737427B1 KR 1020050097616 A KR1020050097616 A KR 1020050097616A KR 20050097616 A KR20050097616 A KR 20050097616A KR 100737427 B1 KR100737427 B1 KR 100737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put
file
sound
text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940A (ko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호
Priority to KR1020050097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4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92Special measures in relation to the object to be scan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2개국 이상 다국어의 동시 선택학습, 인쇄물 형태의 교재와 연동되어 시청각 동시학습 및 학습기기를 이용한 컨텐츠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적합하고 보다 높은 학습능률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업체에서 제작되어 제공되는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가 저장되고, 업체측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 상에 학습교재를 업로드 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서 다운로드되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와 대응되는 내용이 수록되어 문서의 형태로 인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쇄된 학습교재와; 상기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저장매체를 통해 저장하고, 상기 인쇄된 학습교재 내용의 패턴이미지를 스켄입력하고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와 연계되어 있는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를 특정의 학습파일 형태로 변환저장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2개국어 이상의 언어가 동시에 지원되도록 해당 학습파일을 실행하는 학습기기로 이루어진 다국어 학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업체에서 전자파일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는 학습교재를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저장매체를 통해 저장하고 실행시켜 청각학습을 수행하고, 동시에 제공된 인쇄물 형태의 학습교재에 의해 시각학습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각 학습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학습기기의 이미지 입력장치를 통해 학습교재의 특정지점을 마킹하게 되면, 마킹된 패턴이미지 데이터가 학습기기에 입력되고,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후 디코더에 의해 부호화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 상에 저장된 전자파일형태의 학습교재 데이터에 의해 다국어로의 번역, 출력음성 및 폰트 설정, 출력횟수설정, 효과음 설정이 수행되어 파일로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파일이 실행되어 2개 국가 이상의 언어가 동시에 지원되는 음향처리기를 통해 2개 국가 이상의 언어가 연이어 음향으로 표출되고, 화상처리기를 통해 화면으로도 표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다국어 학습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외국어, MP3, CD, 어학

Description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Many languages studying system and operation process of including teaching material by pap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의 학습기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의 학습기기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의 운영방법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에 의해 학습이 수행되는 과정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용자 단말기 2: 서버
3: 업체 단말기 10: 학습기기
20: 인쇄된 학습교재 30: 이미지 입력장치
31: 스켄 헤드부 32: 송신모듈
40: 본체 41: 수신모듈
42: 이미지 판독기 43: 디코더
44: 마이크로 프로세서 45: 음향처리기
46: 화상처리기
본 발명은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2개국 이상 다국어의 동시 선택학습, 인쇄물 형태의 교재와 연동되어 시청각 동시학습 및 학습기기를 이용한 컨텐츠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적합하고 보다 높은 학습능률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외국어(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의)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문서형태의 교재와 교재의 내용이 저장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미디어 기기가 제공되는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있다.
상기된 디지털 미디어 기기는 주로 MP3, CD 레코더/플레이어 등의 장치로 제공되고, 아날로그 미디어 기기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 등의 장치로 제공되는데, 이들 미디어 기기 중 아날로그 미디어 기기는 저장용량, 재생품질이 낮아 외국어 학습기기로 채택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된 디지털 미디어 기기는 외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수요층이 증가하는 최근의 경향에 따라, 재생구간 중 목적하는 일 지점을 전자적으로 체 킹할 수 있도록 한 북마크(bookmark) 기능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일정한 구간을 연속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구간반복재생 기능 등을 수반하여 전용의 어학학습기능을 포함하는 형태(이하, 학습기기)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된 외국어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어학학습 내용이 전자파일의 형태(*.wav, *.mp3, *.ogg 등, 이하 학습파일)로 제공되어, 사용자는 이와 같은 파일을 CD(compact disc: 컴팩트 디스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 다운로드하여 학습기기에 저장한 후, 목적하는 시간에 재생하여 청취하게 된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을 위해 학습파일의 내용이 지면으로 인쇄된 책자 인쇄물(이하, 학습교재)의 형태로 제공하기도 하며, 학원 등지에서는 학습파일에 대한 내용을 강의하는 등의 외국어 학습시스템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된 것과 같은 종래의 외국어 학습시스템은 미디어 기기에 학습기기의 기능이 수반되지 않은 것일 경우, 단지 학습파일을 재생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특정의 부분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재생(PLAY) 도중 정지, 되감기(REW), 빠르게 감기(FF) 등의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며, 이는 학습의 효율을 대폭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북마크 또는 구간반복 등의 기능을 갖는 학습기기를 사용할 경우 편리한 버튼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 학습기기의 경우 1국의 언어를 1국의 언어에 대응하여 학습하도록 한 1:1 방식만이 제공되며, 2 이상 국의 언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은 제공되지 못하여 그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적이 된다.
동시에, 학습기기에서 재생되는 내용을 문서의 형태로 인쇄한 학습교재는 단지 문서의 형태로만 제공되어 시각적인 학습효과 만을 제공할 뿐, 학습 시스템에서 학습기기와의 기능적 연결이 되지 못하여 별도의 학습교재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실정에 의해 학습교재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교재와 학습기기를 판매할 때, 항상 두 교재를 동일하게 포장하여 판매함에 따라 끼워팔기의 오해를 야기하게 되며, 별도의 교재로 구분하여 판매할 경우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일측의 교재에 대한 판매효율이 감소되는 우려를 안게 된다.
또한, 종래의 학습기기는 단지 사용자의 청취를 목적으로만 학습파일의 재생을 수행할 뿐, 학습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재생되는 내용을 편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된 컨텐츠로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획일화된 학습시스템만을 구현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2개 국가의 언어가 동시에 지원되고, 인쇄물 형태의 학습교재와 연동되어 시각과 청각의 동시 학습 및 학습기기에서의 학습내용 편집 등의 컨텐츠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 다국어 학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된 것과 같은 다국어 학습시스템을 운영하여 가장 효율적인 2이상 국가의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 다국어 학습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업체에서 제작되어 제공되는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가 저장되고, 업체측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 상에 학습교재를 업로드 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서 다운로드되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와 대응되는 내용이 수록되어 문서의 형태로 인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쇄된 학습교재와; 상기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저장매체를 통해 저장하고, 상기 인쇄된 학습교재 내용의 패턴이미지를 스켄입력하고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와 연계되어 있는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를 특정의 학습파일 형태로 변환저장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2개국어 이상의 언어가 동시에 지원되도록 해당 학습파일을 실행하는 학습기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업체에서 전자파일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는 학습교재를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저장매체를 통해 저장하고 실행시켜 청각학습을 수행하고, 동시에 제공된 인쇄물 형태의 학습교재에 의해 시각학습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각 학습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학습기기의 이미지 입력장치를 통해 학습교재의 특정지점을 마킹하게 되면, 마킹된 패턴이미지 데이터가 학습기기에 입력되고,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후 디코더에 의해 부호화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 상에 저장된 전자파일형태의 학습교재 데이터에 의해 다국어로의 번역, 출력음성 및 폰트 설정, 출력횟수설정, 효과음 설정이 수행되어 파일로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파일이 실행되어 2개 국가 이상의 언어가 동시에 지원되는 음향처리기를 통해 2개 국가 이상의 언어가 연이어 음향으로 표출되고, 화상처리기를 통해 화면으로도 표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은 서버(1), 인쇄된 학습교재(20), 학습기기(1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서버(1)는 업체에서 제작되어 제공되는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가 저장되고, 업체측 단말기(3)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 상에 학습교재를 업로드 하도록 구성되며,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가 업체의 회원으로 등록될 경우 회원의 기본 및 상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인쇄된 학습교재(20)는 서버(1)에 저장된 학습교재와 대응되는 내용이 수록되어 문서의 형태로 인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이는 학습을 수행할 사용자에게 책의 형태로 오프라인 상으로 제공하거나, 인터넷 상에 그 내용을 워드문서로 업로드 한 후 개개인이 다운로드하여 이를 출력함에 의해 인쇄물의 형태로 형성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학습기기(10)는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상기 인쇄된 학습교재(20)의 내용을 이미지 데이터로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특정의 학습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생성한 후 저장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학습파일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학습교재의 다운로드는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기(1)를 통해(주로, USB포트를 통하여) 수행하거나, 자체적으로 기기 자체에 인터넷 통신 포트를 설치하여 직접적인 다운로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를 통해 다운로드 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1)와는 USB포트를 통해 학습자료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의 학습기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의 학습기기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학습기기(10)는 외관상 이미지 입력장치(30)와, 본체(40) 및 출력장치(5, 6)로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30)는 인쇄된 학습교재(20)의 특정 지점을 마킹하여 마킹된 부분을 이미지로 입력하는 스켄헤드(31)와, 스켄헤드(31)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모듈(32)로 구성된다.
이들 스켄헤드(31)와 송신모듈(32)은 펜 형태의 케이스 내부에 회로구성된 것으로, 이 외에도 다른 형태의 케이스 구성을 갖출 수 있지만, 사용자가 손쉽게 홀딩하여 사용하기 위해 펜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40)는 이미지 입력장치(3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향(음성을 포함하여) 또는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 이미지 입력장치(30)와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모듈(41)이 갖추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30)의 송신모듈(32)과 본체(40)의 수신모듈(41)은 유선으로 연결구성할 수 있지만, 사용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해 무선의 RF모듈이나 블루투스모듈로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40)는 수신모듈(41)과 더불어, 수신모듈을 통해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이미지 판독기(42)와,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부호화하는 디코더(43)와, 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마킹된 이미지를 음향 및 화상으로 처리하고 음향 또는 화상이 출력되는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인 마이크로 프로세서(44)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음향과 화상을 출력하는 음향처리기(45) 및 화상처리기(46)로 구성되며, 학습기기(10)의 구동시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50)를 포함한다.
상기된 이미지 판독기(42)는 인쇄된 학습교재의 문자를 인쇄할 때 여러 색상을 혼합하고, 탄소성분의 잉크로 문자에 패턴을 형성하여, 스켄헤드(31)에 의해 탄소성분의 패턴이 인식되도록 함에 의해 문자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 패턴인식장치가 적용되며, 이 패턴은 상기 메모리(50)에 이미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로 구현된다.
이와 다른 적용기술로, 상기 이미지 판독기(42)는 지면에 인쇄된 문자를 다수구간의 일정 픽셀로 구분하고 개개의 구간에 형성된 문자의 형태에 따라 스케닝되어, 입력된 이미지를 문자 또는 특정의 표시로 판독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며, 음향처리기(45)는 *.wav, *.mp3, *.ogg 등의 음향(음성을 포함하는)파일실행장치이고, 화상처리기(46)는 출력장치로 대표적인 LCD(액정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 이들은 주지된 장치로 적용되어 이상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서 음향 또는 화상이 출력되는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 의해 판단되어 제어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 저장장치로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서 음향 또는 화상이 출력되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테이블(table)의 형태로 제공하며, 이 테이블은 다국어 변환 데이터 테이블(51), 음성종류 데이터 테이블(52), 글꼴종류 데이터 테이블(53), 음향종류 데이터 테이블(54)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50)는 별도의 ROM, 플레시 메모리, 스마트 미디어,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스틱, SD카드 등의 저장매체에 의해 그 용량의 증설 및 이들 저장매체를 본체(40)에 접속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컴퓨터에서 다운로드 및 제작된 학습파일이 본체(40)에서 재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5, 6)는 음향처리기(45) 및 화상처리기(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과 화상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면에서는 음향의 출력장치(5)로 헤드폰, 스피커 등을 나타내며, 화상의 출력장치(6)로 LCD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중 부호 47은 학습기기(1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등의 전원부를 나타내며, 본체(40)의 외부에는 학습기기(10)의 온/오프, 학습실행 등의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 등의 스위치 구성이 설치됨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의 운영방법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된 구성에 의해 학습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업체에서 학습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서버(1) 상에 구축하고,(S10) 학습에서 요구되는 각 교재 및 기기 등을 제작한다.(S20)
이 후, 상기 학습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는 회원을 오프라인 또는 인터넷의 온라인 상에서 모집하고,(S30) 모집된 회원에 대해 제작된 교재 및 기기 등을 제공하여,(S40) 사용자를 대상으로 학습운영을 수행하게 된다.(S50)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에 의해 학습이 수행되는 과정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쇄된 학습교재(20)와 학습기기(10)를 제공받은 후 업체에서 전자파일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는 학습교재를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 학습기기(10)에 다운로드하여(S51) 실행시키게 된다.(S52)
이와 같이 학습기기(10)를 실행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이미 제작된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에 의해 청각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S53) 동시에 제공된 인쇄물 학습교재(20)에 의해 시각학습을 수행하게 된다.(S54)
이 때, 상기 시청각 학습을 수행하는 도중,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반복 학습을 수행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학습기기(10)의 이미지 입력장치(30)를 통해 특정지점을 마킹하게 된다.(S55)
여기서, 상기 마킹(marking)은 필기구를 통해 실제 지면에 표시되는 행위가 아닌 이미지 입력장치(30)의 스켄헤드(31)를 이용하여 특정구간(문장의 구간, 단어의 구간, 특정형태의 도안에 대한 구간)의 이미지를 스케닝함을 의미한다.
이 후, 상기 마킹되어 입력된 데이터가 학습기기(10)에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는 이미지 판독기(42)에 의해 판독된 후,(S56) 디코더에 의해 부호화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어(44)에 입력된다.(S57)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 입력된 데이터는 메모리(50) 상에 저장된 각 테이블(51 ~ 54)의 데이터에 의해 다국어로의 번역, 출력음성 및 폰트 설정, 출력횟수설정, 효과음 설정이 수행되어 파일로 생성되고, 생성된 파일에 파일명이 부여되어 저장된다.(S58)
여기서, 상기 설정이 수행된 상태를 예시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영어를 한국어, 중국어 등의 1이상의 문자로 LCD 등의 출력장치(6)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1이상의 언어로 헤드폰,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5)를 통해 연이어 표출하도록 하기 위한 설정을 수행한다.
동시에, 상기 설정은 사용자가 본체(40)의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이미 입력한 내역에 의해, 출력되는 형태, 즉 특정의 음성, 표시되는 글꼴, 효과음에 대한 음향 및 실행반복 횟수를 감안하여 수행하게 된다.
또한, 파일을 저장할 때 부여되는 파일명은 문서의 형태로 제공된 인쇄된 학습교재(20)에 부여된 책번호, 단원번호, 페이지번호의 나열에 의해 숫자표시되고, 다국어의 각국에 부여된 알파벳이 그 이후에 나열되며, 선택적으로 그 이후에 반복재생 횟수가 나열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예시하면, 06 03 035 01 e 3 . wav의 파일명이라면, 책번호 6의 3번째 레슨 파트 중 35페이지의 1번째 영어문장 또는 단어(e, 본 설명에서는 english의 약자로 표시함)를 마킹한 웨이브 파일이라는 의미로, 확장자 이전의 3은 3번 반복수행을 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즉, 상기된 과정에서 사용자가 특정의 문장 및 단어, 이미지 등에 대한 마킹을 수행하고 파일명을 입력하는 과정에 의해 사용자(또는 업체에서 특정의 목적에 의해)가 요구하는 자신만의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학습기기(10)에서 인식된 문장, 단어 등의 구간의 중요도를 체크하고, 파일을 인터넷 사이트 상에 업로드 및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저장된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S59)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파일이 실행되어(S60) 음향처리기(45)를 통해 헤드폰,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5)의 음향으로 표출되고, 화상처리기(46)를 통해 LCD 등의 출력장치(6)의 화면으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선택학습의 수행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학습과정을 마치거나 학습기기(10)의 실행초기의 단계부터 다시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2개 국가의 언어가 동시에 지원되어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는 분야가 대폭 확장되고, 인쇄물 형태의 학습교재와 연동되어 시각과 청각의 동시 학습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교재의 특정 지점의 구간반복 재생과정이 보다 손쉽게 수행되어 보다 편리한 학습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기기에서 학습내용의 편집을 손쉽게 수행하여 청각교재의 응용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맞춤학습의 컨텐츠가 제공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6)

  1. 업체에서 제작되어 제공되는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가 저장되고, 업체측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 상에 학습교재를 업로드 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서 다운로드되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와 대응되는 내용이 수록되어 문서의 형태로 인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쇄된 학습교재와;
    상기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저장하고, 상기 인쇄된 학습교재 내용의 패턴이미지를 스켄입력하고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와 연계되어 있는 전자파일 형태의 학습교재를 특정의 학습파일 형태로 변환 저장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2개 국가 이상의 언어가 동시에 지원되도록 해당 학습파일을 실행하는 학습기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기는
    인쇄된 학습교재의 특정 지점을 마킹하여 마킹된 부분의 패턴이미지를 스켄 입력하는 스켄헤드와, 스켄헤드에 의해 생성된 패턴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모듈로 구성된 이미지 입력장치와;
    상기 전송된 패턴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수신모듈을 통해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이미지 판독기와, 판독된 패턴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부호화하는 디코더와, 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마킹된 패턴이미지와 대응하는 음향 및 화상으로 처리하고 음향 또는 화상이 출력되는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음향과 화상을 출력하는 음향처리기 및 화상처리기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제어부에서 음향 또는 화상이 출력되는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어 제어된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처리기 및 화상처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과 화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어부에서 음향 또는 화상이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다국어 변환 데이터, 음성종류 데이터, 글꼴종류 데이터, 음향종류 데이터를 저장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4. 업체에서 전자파일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는 학습교재를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저장매체를 통해 저장하고 실행시켜 청각학습을 수행하고, 동시에 제공된 인쇄물 형태의 학습교재에 의해 시각학습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각 학습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학습기기의 이미지 입력장치를 통해 학습교재의 특정지점을 마킹하게 되면, 마킹된 패턴이미지 데이터가 학습기기에 입력되고,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후 디코더에 의해 부호화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패턴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 상에 저장된 전자파일형태의 학습교재 데이터에 의해 다국어로의 번역, 출력음성 및 폰트 설정, 출력횟수설정, 효과음 설정이 수행되어 파일로 생성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파일이 실행되어 2개 국가 이상의 언어가 동시에 지원되어 음향처리기를 통해 2개 국가 이상의 언어가 연이어 음향으로 표출되고, 화상처리기를 통해 화면으로도 표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의 운영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명은
    교재에 부여된 책번호, 단원번호, 페이지번호의 나열에 의해 숫자표시되고, 다국어의 각국에 부여된 알파벳이 그 이후에 나열되며, 선택적으로 그 이후에 반복재생 횟수가 나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의 운영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이 수행되어 인식되기 위한 특정지점은 학습교재 내의 문장, 단어, 이미지이며, 마킹되어 인식된 패턴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파일링되거나 인터넷 사이트 상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컨텐츠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050097616A 2005-10-17 2005-10-17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100737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616A KR100737427B1 (ko) 2005-10-17 2005-10-17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616A KR100737427B1 (ko) 2005-10-17 2005-10-17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940A KR20070041940A (ko) 2007-04-20
KR100737427B1 true KR100737427B1 (ko) 2007-07-09

Family

ID=3817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616A KR100737427B1 (ko) 2005-10-17 2005-10-17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871B1 (ko) * 2015-02-27 2018-05-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별 및 그룹별 학습이 가능한 단체 어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350B1 (ko) * 2012-06-26 2013-09-27 (주)오투라인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구비된 학습교재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CN107622118A (zh) * 2017-09-20 2018-01-23 互联天下科技发展(深圳)有限公司 全媒体电子教材的制作使用方法
KR102173082B1 (ko) * 2018-01-15 2020-11-02 주식회사 키박스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
KR102416041B1 (ko) * 2021-11-23 2022-07-01 진기석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45B1 (en) 2002-01-31 2002-09-28 Kyoung Joong Kim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3202800A (ja) * 2001-12-29 2003-07-18 Keihin Tokushu Insatsu:Kk 外国語の学習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800A (ja) * 2001-12-29 2003-07-18 Keihin Tokushu Insatsu:Kk 外国語の学習用具
KR100354145B1 (en) 2002-01-31 2002-09-28 Kyoung Joong Kim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871B1 (ko) * 2015-02-27 2018-05-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별 및 그룹별 학습이 가능한 단체 어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940A (ko) 200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6309B2 (en) Interactive apparatus using print media
US7698640B2 (en) User interactive journal
US8952887B1 (en) Interactive references to related application
US7792480B2 (en) Electrographic position location apparatus including recording capability and data cartridge including microphone
KR100737427B1 (ko)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US20020137012A1 (en) Programmable self-teaching audio memorizing aid
TWI426454B (zh) 應用光學讀取裝置之資料處理系統及其相關資料處理方法及操作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KR20020079239A (ko) 학습기
KR20110100769A (ko) 전자펜, 이를 활용한 영자신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영자신문 학습 시스템
KR20040016891A (ko) 인쇄 매체를 이용하는 대화식 장치
KR100372762B1 (ko) 코란 전용의 멀티미디어 전자책 장치
JP5608847B2 (ja) 情報読取出力装置および情報読取出力システム
KR20180017556A (ko) 전자펜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
KR100422110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100329589B1 (ko) 음절 구분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JP2005148727A (ja) 学習支援装置
KR20030091170A (ko) 휴대용 디지탈 어학학습기
KR200234568Y1 (ko) 코란 전용의 멀티미디어 전자책 장치
WO2010029539A1 (en) Customized educational toy
KR100605397B1 (ko) 전자 펜을 사용한 다중 구조 컨텐츠용 음성 학습기
KR100374504B1 (ko) 디지털색인코드가 날인된 기록매체의 학습시스템
KR200363229Y1 (ko) 노래방 겸용 학습장치
TWM639328U (zh) 互動式語言學習裝置
WO2003102894A1 (en) A low-cost, widely-applicable instruction system
JPH1078745A (ja) 語学学習用記録媒体及びコード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