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041B1 -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041B1
KR102416041B1 KR1020210162443A KR20210162443A KR102416041B1 KR 102416041 B1 KR102416041 B1 KR 102416041B1 KR 1020210162443 A KR1020210162443 A KR 1020210162443A KR 20210162443 A KR20210162443 A KR 20210162443A KR 102416041 B1 KR102416041 B1 KR 10241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language
speaker
waveform
multilingual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기석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진기석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기석, 김현수 filed Critical 진기석
Priority to KR102021016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041B1/ko
Priority to PCT/KR2022/018316 priority patent/WO20230962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외국어를 학습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의미의 단어 또는 문장을 2개국어 이상 저장하고 있는 다국어 데이터베이스와,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을 발성하는 스피커와, 학습자의 발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학습자 발성 파형과 상기 스피커에서 발성하는 외국어 발성 파형을 비교하는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와, 상기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 1 외국어의 일치도가 기설정된 일치도 이상이면 상기 제 1 외국어 및 상기 제 1 외국어와 동일한 의미의 제 2 외국어를 연달아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게 하고, 기설정된 다수의 외국어 전체에 대해서 발성의 일치가 완되되면, 다음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해 상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를 제공함으로써, 다국어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MULTILINGUAL SIMULTANEOUS 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기에 의한 외국어 학습이 아니라, 큰 소리로 원어민의 발음을 반복해서 발성함으로써 몸으로 체득하되 유사한 의미의 여라 나라 언어를 함께 발성함으로써 연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국어뿐만 아니라 제2외국어, 제3외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오프라인의 외국어 학원뿐만 아니라 웹사이트, 번역 프로그램 등 다양한 온라인 방식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학습자는 외국어로 말하기, 읽기, 또는 번역 등 좀 더 세분화된 학습을 원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국어 학습을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본원에서 선행문헌1로 인용하는 공개특허 제10-2016-0107000호(공개일자 : 2016년09월13일)는,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대화문을 포함하는 제1언어의 학습 대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학습 서비스의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대화문 중 제1 대화문에 대응하는 제2언어의 제1번역 대화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번역 대화문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제1번역 대화문의 TTS(Text to Speech) 음성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제1번역 대화문과 연계된 상기 제2언어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2언어의 제1연습문, 상기 제1연습문의 제1언어의 번역문 및 상기 음성 입력의 녹음 파일 재생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1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대화형으로 연습한다는 것에 불과하며, 기존 학습과 마찬가지로 학습을 통해 머리로 이해는 가능하더라도, 실제 생활에서 처럼 빠른 속도로 듣고 이해하고, 말을 할 수 있도록 몸으로 체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원에서 선행문헌2로 인용하는 공개특허 제10-2019-0125808호(공개일자 : 2019년11월07일)는, 선행문헌2에 따른 다국어 교육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문장 생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가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외국어 번역을 위한 다수의 모국어 단어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다수의 모국어 단어들 각각에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들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검색엔진은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번역을 위한 문장이 수신되면, 수신된 문장 내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단어가 속한 카테고리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지정하며, 문장 생성기는 검색엔진에서 각 단어마다 지정된 카테고리를 수신된 문장 내의 단어 대신 대체하여 카테고리화된 사용자 맞춤형 문장 구조를 생성하고, 카테고리화된 사용자 맞춤형 문장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문장을 생성하는 다국어 교육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문장 생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참조번호는 선행문헌2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발명과는 무관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 선행문헌 2 역시 사용자 맞춤형 문장을 제공할 뿐, 사용자가 실제 생활에서 처럼 빠른 속도로 듣고 이해하고, 말을 할 수 있도록 몸으로 체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6-0107000호(공개일자 : 2016년09월13일) 선행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9-0125808호(공개일자 : 2019년11월07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다국어를 머리로 암기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나라의 언어를 연속해서 큰소리로 정확하게 듣고 말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몸으로 체득하여 실제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외국어를 학습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의미의 단어 또는 문장을 2개국어 이상 저장하고 있는 다국어 데이터베이스와,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을 발성하는 스피커와, 학습자의 발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학습자 발성 파형과 상기 스피커에서 발성하는 외국어 발성 파형을 비교하는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와, 상기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 1 외국어의 일치도가 기설정된 일치도 이상이면 상기 제 1 외국어 및 상기 제 1 외국어와 동일한 의미의 제 2 외국어를 연달아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게 하고, 기설정된 다수의 외국어 전체에 대해서 발성의 일치가 완되되면, 다음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해 상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발성되는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이 발성되는 파형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이 발성되는 파형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학습자에 의해서 발성되는 파형을 다른 색으로 겹치게 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발성 일치 구간과 발성 불일치 구간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이 발성되는 파형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학습자에 의해서 발성되는 파형을 다른 색으로 겹치게 표시하되, 연속해서 발송되는 횟수만큼 발성되는 파형을 겹치게 표시하여, 발성 숙련도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발성의 음량을 측정하는 음량 크기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량 크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음량의 크기가 기설정된 음량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학습자가 재발송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량의 크기와 기설정된 음량의 크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파형으로 표시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어느 정도 크기로 발성해야 되는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 의하면, 여러 나라의 언어를 연속해서 큰소리로 정확하게 듣고 말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몸으로 체득하여 실제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가장 주요한 효과에 대해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해 파생되는 효과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는 명세서 전반에서 동일한 요소, 그리고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기술적 또는 물리적 효과를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거나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 또는 설명된 요소 및 그 기능의 설명은 서로 교환 가능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도 1은 선행문헌1에 따른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제공되는 다국어 학습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선행문헌2에 따른 다국어 교육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문장 생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음성 일치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음량 크기를 비교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 1 외국어(영어)와 모국어(우리나라 말)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 1 외국어(영어)와 제 2 외국어(중국어)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 1 외국어(영어)와 제 3 외국어(스페인어)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 1 외국어(영어), 제 2 외국어(중국어), 제 3 외국어(스페인어)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음성 일치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음량 크기를 비교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 1 외국어(영어)와 모국어(우리나라 말)를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 1 외국어(영어)와 제 2 외국어(중국어)를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 1 외국어(영어)와 제 3 외국어(스페인어)를 표시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 1 외국어(영어), 제 2 외국어(중국어), 제 3 외국어(스페인어)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은, 동일한 의미의 단어 또는 문장을 2개국어 이상 저장하고 있는 다국어 데이터베이스(100)와,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을 발성하는 스피커(200)와, 학습자의 발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300)와, 마이크(300)를 통해서 입력되는 학습자 발성 파형과 스피커(200)에서 발성하는 외국어 발성 파형을 비교하는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400)와, 학습 내용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와,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되는 음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음량 크기 측정부(600)와,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먼저, 다국어 데이터베이스(100)는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데이터 저장 매체로 이루어져, 여러 나라의 언어, 예를 들어,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일어, 독일어 등의 여러 언어의 단어나 문장에 대한 문자 데이터, 화면 데이터, 발음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200), 마이크(300),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400), 디스플레이부(500), 음량 크기 측정부(600), 시스템 제어부(700)를 학습자 전용 학습 시스템, 예를 들어,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400), 음량 크기 측정부(600), 시스템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개인 컴퓨터 본체와, 별도의 스피커(200), 마이크(300),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하는 학습 시스템으로 구축하거나,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하나의 학습 단말기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학습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에서는 다국어 데이터베이스(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시스템이나 단말기에 접속 가능한 원격의 학습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 예로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 예로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학습 시스템과 다국어 데이터베이스를 별개로 구현하여 네트워크로 접속할 경우, 학습 제공자가 복수의 학습자에게 동일한 학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학습 내용을 추가,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스피커(200)는 별도의 전용 스피커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핸드폰이나 컴퓨터, 노트북, 또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스피커일 수도 있으며, 헤드폰, 이어폰, 헤드셋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피커는, 시스템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다국어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된 특정 언어의 발음을 출력한다.
마이크(300)는 별도이 전용 마이크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핸드폰이나 컴퓨터, 노트북, 또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마이크일 수도 있으며, 헤드셋이나 무선 이어셋에 포함된 마이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400)는 별도로 구현하거나 시스템 제어부(700)에 포함하여 구현할 수 도 있으며, 스피커(200)를 통해 출력되는 발음과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되는 발음의 경시적인 높낮이를 측정하여, 파형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파형은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표시되며,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각 기기별로 또는 측정 순서별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500)는 브라운관 모니터,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또는 휴대폰이나 무선 단말의 OLED 화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와 마이크의 발음을 비교 파형으로 표시하거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발음의 크기와 기설정된 발음의 크기, 즉 목표 크기와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도면과 같은 학습 내용의 그림 및 텍스트, 또는 동영상을 시각 자료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각 자료는 책자의 형태나 인쇄물 등으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00)의 화면과 병행될 수도 있다.
음량 크기 측정부(600)는 학습자가 마이크(300)를 통해 발음한 것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음량 크기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음량 크기 측겅부(600)는 마이크(300)에서 발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파형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700)에서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 제어부(700)는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되는 발음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미만이면, 다시 발음하도록 학습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얼마나 크게 발음해야 되는지 기설정된 목표 발음 크기와 학습자의 현재 발음 크기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 파형으로 표시하여, 학습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목표 발음 크기는 외국인들의 평균적인 일상 발음 크기로 설정될 수도 있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외국인들의 평균적인 일상 발음 크기보다 높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정숙을 요하는 학습 장소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 또는 비적용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목표 발음 크기를 사용자가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설정된 목표 발음 크기와 현재 학습자의 발음 크기를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그 차이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700)는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400)의 비교 결과, 스피커(200)를 통해 출력되는 발음과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되는 발음의 일치도가 기설정된 일치도 이상이면, 다음 단어나 문장 또는 다음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전반을 제어한다. 이때, 스피커(200)를 통해 출력되는 발음과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되는 발음의 일치도가 기설정된 일치도 이하이면, 다시 발음하도록 학습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200)를 통해 출력되는 발음과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되는 발음을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마이크(300)를 통해 반복되는 적으로 입력되는 학습자의 발음 파형도 매번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 중첩시킴으로써, 학습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비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다국어 학습 시스템을 통해, 예를 들어, 큰소리로 말하기, 앵무새처럼 따라 말하기, 다국어 폭탄 돌리기, 선생님께 귓속말하기, 동무서답하기 등 기존의 학생들에게 익숙한 게임을 통해 다국어 학습에 대한 숙련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학습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학습 과정을 예롤 들어 설명하며, 다른 단어나 문장에 대해서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반복 학습할 수 있다.
먼저, 다국어 학습이 시작되면, 시스템 제어부(700)는 다국어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검색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할 단어 또는 문장을 제 1 외국어와 모국어로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함과 동시에 스피커(200)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10).
스피커(200)를 통해서 학습할 단어 또는 문장의 제 1 외국어(예를 들어, 영어) 발음을 듣고, 학습자는 마이크(300)를 통해 발음을 따라 한다(S120).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발음이 변환된 전기적 신호로부터 음량 크기 측정부(600)에서 음량의 크기를 측정한 후, 시스템 제어부(700)에 인가된다.
시스템 제어부(700)는 음량 크기 측정부(600)에서 측정된 음량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지 판단한다(S130).
시스템 제어부(700)는 음량 크기 측정부(600)에서 측정된 음량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미만이면, S110 단계에서와 같이 다시 한번 스피커(200)를 통해 학습할 단어 또는 문장을 출력한다. 이때, 다른 실시에에서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기설정된 목표 음량 크기와 학습자의 발음 음량 크기의 비교 파형을 표시함과 동시에, 보다 큰 소리로 따라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한편, S120 단계에서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발음이 변환된 전기적 신호의 경시적인 파형은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400)에서 스피커(200)로부터 출력되는 발음의 파형과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시스템 제어부(700)에 제공한다.
시스템 제어부(700)는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발음과 스피커(200)로부터 출력되는 발음의 일치도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40).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일치도가 기설정된 크기 이하이면, 시스템 제어부(700)는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발음과 스피커(200)로부터 출력되는 발음의 비교 파형을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발음과 스피커(200)로부터 출력되는 발음을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파형 불일치 구간을 강조해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상술한 비교 파형이 문장에 해당하는 경우, 파형 불일치 구간에 해당하는 단어를 강조색,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표시하거나, 형광색으로 덧칠하는 등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강조할 수도 있다.
이후 다음 외국어가 있으면 상술한 S110∼150 단계를 반복한다(S160).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학습 진도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학습 종료 지시가 입력될때까지 S160 단계에서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국어 데이터베이스
200 : 스피커
300 : 마이크
400 :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음량 크기 측정부
700 : 시스템 제어부

Claims (7)

  1. 2개 이상의 외국어를 학습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의미의 단어 또는 문장을 2개국어 이상 저장하고 있는 다국어 데이터베이스와,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을 발성하는 스피커와,
    학습자의 발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학습자 발성 파형과 상기 스피커에서 발성하는 외국어 발성 파형을 비교하는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와,
    상기 외국어 발성 파형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 1 외국어의 일치도가 기설정된 일치도 이상이면 상기 제 1 외국어 및 상기 제 1 외국어와 동일한 의미의 제 2 외국어를 연달아 스피커를 통해 발성하게 하고, 기설정된 다수의 외국어 전체에 대해서 발성의 일치가 완되되면, 다음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해 상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발성되는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이 발성되는 파형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이 발성되는 파형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학습자에 의해서 발성되는 파형을 다른 색으로 겹치게 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발성 일치 구간과 발성 불일치 구간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이 발성되는 파형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학습자에 의해서 발성되는 파형을 다른 색으로 겹치게 표시하되, 연속해서 발송되는 횟수만큼 발성되는 파형을 겹치게 표시하여, 발성 숙련도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발성의 음량을 측정하는 음량 크기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량 크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음량의 크기가 기설정된 음량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학습자가 재발송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량의 크기와 기설정된 음량의 크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파형으로 표시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어느 정도 크기로 발성해야 되는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KR1020210162443A 2021-11-23 2021-11-23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KR10241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443A KR102416041B1 (ko) 2021-11-23 2021-11-23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PCT/KR2022/018316 WO2023096274A1 (ko) 2021-11-23 2022-11-18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443A KR102416041B1 (ko) 2021-11-23 2021-11-23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041B1 true KR102416041B1 (ko) 2022-07-01

Family

ID=8239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443A KR102416041B1 (ko) 2021-11-23 2021-11-23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6041B1 (ko)
WO (1) WO20230962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74A1 (ko) * 2021-11-23 2023-06-01 진기석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502A (ko) * 2004-12-24 2006-06-28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용의 음성 데이터 제공 방법
KR20070041940A (ko) * 2005-10-17 2007-04-20 김병호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80066896A (ko) * 2007-01-13 2008-07-17 임영희 맞춤형 학습 시스템, 맞춤형 학습 방법, 및 학습기
KR20160107000A (ko) 2015-03-03 2016-09-13 헬로챗 주식회사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19931A (ko) * 2015-04-06 2016-10-17 (주)지씨에스인재교육원 Ucc 기반 모바일 다국어 언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5808A (ko)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파라다이스팩토리 다국어 교육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문장 생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41B1 (ko) * 2021-11-23 2022-07-01 진기석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502A (ko) * 2004-12-24 2006-06-28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용의 음성 데이터 제공 방법
KR20070041940A (ko) * 2005-10-17 2007-04-20 김병호 문서로 된 교재와 연동되는 다국어 학습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80066896A (ko) * 2007-01-13 2008-07-17 임영희 맞춤형 학습 시스템, 맞춤형 학습 방법, 및 학습기
KR20160107000A (ko) 2015-03-03 2016-09-13 헬로챗 주식회사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19931A (ko) * 2015-04-06 2016-10-17 (주)지씨에스인재교육원 Ucc 기반 모바일 다국어 언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5808A (ko)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파라다이스팩토리 다국어 교육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문장 생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74A1 (ko) * 2021-11-23 2023-06-01 진기석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274A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459B1 (ko) 음성 인식 오류 수정을 지원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 및 장치
CN115668358A (zh) 用于文本到语音合成的用户接口适应的方法和系统
KR102416041B1 (ko)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KR100593589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다국어 통역/학습 장치 및 방법
KR101581700B1 (ko) 음절과 강세로 익히는 영어단어 학습 서비스 시스템
KR20200109643A (ko) 스마트 마이크 제어 서버 및 시스템
KR20000049500A (ko) 음성 인식 및 음성 합성을 이용한 외국어 교육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79497A (ko)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2388948B1 (ko) 음성 시각화 기술을 활용한 언어 유창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873379B1 (ko) 대화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JP5476015B2 (ja) プログラム、携帯情報端末、および英文学習方法
KR20140075994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US11961413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listening
US20200175988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102098377B1 (ko) 퍼즐 게임으로 어순을 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5906B1 (ko) 심상화된 이미지를 이용한 두뇌기억 개발을 제공하는 영어 단어 학습 방법, 단어 학습 장치 및 단말기를 이용한 영어 단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33155B1 (ko)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9079026A (ja) 音声学習システム、および音声学習方法
KR102624908B1 (ko) 숫자를 이용한 한국어 발음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73768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0A (ko)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90041890A (ko) 외국어 학습 장치 및 서버 시스템
KR102112059B1 (ko)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KR102453876B1 (ko) 외국어 스피킹 훈련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90002003A (ko) 음성 합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