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344B1 -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344B1
KR101705344B1 KR1020160125853A KR20160125853A KR101705344B1 KR 101705344 B1 KR101705344 B1 KR 101705344B1 KR 1020160125853 A KR1020160125853 A KR 1020160125853A KR 20160125853 A KR20160125853 A KR 20160125853A KR 101705344 B1 KR101705344 B1 KR 10170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lamp
fixing
moving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진
Original Assignee
(주)효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효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2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주에 애자와 함께 배선되는 배전선을 전주쪽으로 당겨 하부로 처지는 것을 해소하고 고정 애자와 이동 애자의 조합을 통해 배전선의 당김과 함께 이동 애자의 이동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현장에 맞는 최적의 배선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는, 전주에 고정되는 경완금 본체, 상기 경완금 본체와 이동안내관을 통해 연결되는 처짐방지 베이스관으로 이루어지는 경완금(10)과; 상호 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처짐방지 베이스관의 둘레부에 고정된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다수의 가이드봉(20)과;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봉에 지지되는 고정 애자(30)와; 상기 가이드봉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고정 애자를 고정하는 고정 너트(40)와; 상기 가이드봉의 상기 고정 애자 앞쪽에 상기 가이드봉의 안내를 받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과 점퍼선이 연결되는 클램프가 고정되는 이동 애자(50)와; 상기 고정 애자와 이동 애자를 연결하는 신축형의 주름관(60)과; 상기 경완금의 처짐방지 베이스관 안에 설치되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70)와; 일측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한편 타측은 상기 이동 애자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전주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 애자와 상기 클램프를 함께 이동시켜 상기 배전선을 당김으로써 팽팽하게 조절하는 처짐방지봉(80)과; 상기 처짐방지봉의 둘레부에 결합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경완금의 처짐방지 베이스관과 고정 애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처짐방지봉을 보호하는 보호관(9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A DEVICE FOR PREVENTION OF AERIAL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에 배선되는 배전선이 처진 경우 애자를 통해 배전선을 당겨 배전선의 처짐을 해소하고 또한, 배전선의 클램핑부를 보호하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를 통해 공급하고, 각 전주에서의 전선의 연결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전주에서의 전선 케이블 연결을 위한 점퍼선을 상향 시공하여 사용하였다. 즉, 전주에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 케이블을 전주 양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완철의 양측에서 현수애자를 통해 결합하고, 현수애자와 또 다른 현수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점퍼선은 완철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용 애자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향 시공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배전선로는 전주와 인접한 전주의 사이에 설치될 때, 자중이나 온도 변화 등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배전선로가 하부로 처질 경우 배전선로가 단선되거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444886호)은 일측에 수평하게 관통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돌부가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추고서, 전신주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장착대: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장착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는 좌나사탭과 우나사탭을 갖추고서, 장착대의 가이드홈 사이에 배치되어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 가공배전선을 고정하는 애자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좌나선 또는 우나선을 갖는 나사부를 갖추고서, 가이드홈의 돌부에 삽입되어 제1피니언과 체결되며, 제1피니언의 정역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왕복이송부재: 장착대에 설치되어 주변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값을 출력하는 온도센서: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값을 입력받아 구동모터로 정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랙과 맞물리는 제2피니언을 갖추고서, 장착대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정역회전신호를 입력받아 제2피니언을 정역으로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장착대의 상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나란하게 설치되어 장착대를 상호 연결하는'ㅜ'자형의 단면을 갖는 연결대와; 상면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하면에 형성되며 연결대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부,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며 스토퍼가 삽입되는 스토퍼안치부, 스토퍼안치부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게 돌출되어 가이드편을 안내하는 돌출편을 구비하는 작업대와; 돌출편에 삽입되는 가이드편을 갖추고서, 작업재의 스토퍼안치부에 삽입되어 작업대의 왕복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작업대 조립체로 구성되며, 구조가 매우 복잡함과 아울러 배전선의 초기 배선과 배전선의 이동거리의 조절이 어렵다.
등록특허 제10-14448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주에 애자와 함께 배선되는 배전선을 전주쪽으로 당겨 하부로 처지는 것을 해소하고 고정 애자와 이동 애자의 조합을 통해 배전선의 당김과 함께 이동 애자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 애자에 연결되며 배전선과 점퍼선이 클램핑된 클램프를 안정적인 설치 위치로 보호하고 배전선의 처짐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는, 전주에 고정되는 경완금 본체, 상기 경완금 본체와 이동안내관을 통해 연결되는 처짐방지 베이스관으로 이루어지는 경완금과; 상기 처짐방지 베이스관에 일측이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다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봉에 지지되는 고정 애자와; 상기 가이드봉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고정 애자를 고정하는 고정 너트와; 상기 가이드봉의 상기 고정 애자 앞쪽에 상기 가이드봉의 안내를 받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과 점퍼선이 연결되는 클램프가 고정되는 이동 애자와; 상기 고정 애자와 이동 애자를 연결하는 신축형의 주름관과; 상기 경완금의 처짐방지 베이스관 안에 설치되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일측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한편 타측은 상기 이동 애자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전주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 애자와 상기 클램프를 함께 이동시켜 상기 배전선을 당김으로써 팽팽하게 조절하는 처짐방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에 의하면, 배전선과 점퍼선이 결속된 클램프를 이동 애자와 함께 이동시켜 하부로 처진 배전선을 팽팽하게 배선함으로써 배전선의 단선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고정 애자의 위치 조절을 통해 이동 애자의 이동 거리를 다양한 배전선의 현장에 맞는 이동 거리로 셋팅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함은 물론 무리한 배전선의 처짐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전선과 점퍼선이 결속된 클램프의 위치를 바로 잡아 클램프에서 배전선과 점퍼선의 단선을 막아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의 작용 상태 측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에 클램프 보호커버가 적용된 사시도와 정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는, 전주(1)에 고정 설치되는 경완금(10), 경완금(10)에 고정되는 가이드봉(20), 가이드봉(20)에 고정되는 고정 애자(30), 가이드봉(20)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며 고정 애자(30)가 설치 위치를 고수하도록 하는 고정 너트(40),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2)을 당겨 처짐을 해결하는 이동 애자(50), 길이방향의 양측이 고정 애자(30)와 이동 애자(50)에 연결되는 신축형의 주름관(60), 경완금(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0), 구동모터(70)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이동 애자(50)를 전주(1)쪽으로 이동시키는 처짐방지봉(80), 경완금(10)과 고정 애자(30) 사이에서 처짐방지봉(80)을 보호하는 보호관(90)으로 구성된다.
경완금(10)은 전주(1)에 고정되는 각관형의 경완금 본체(11), 경완금 본체(11)와 이동안내관(12)을 통해 연결되는 처짐방지 베이스관(13)으로 구성된다.
경완금 본체(11)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각관형(사각형)이며, 둘레부 중 일면에 이동안내관(12)과 연통하는 홀이 구비되고, 이 홀은 처짐방지봉(80)이 경완금 본체(11) 안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간이며, 즉, 경완금 본체(11) 내부의 공간을 처짐방지를 위한 공간으로 이용한다.
이동안내관(12)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각관이나 원형관이며 경완금 본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길이방향의 일측이 경완금 본체(11)의 둘레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물론 내부가 경완금 본체(11)의 홀과 통하도록 배치된다.
처짐방지 베이스관(13)은 내부에 구동모터(70)의 설치를 위한 공간과 처짐방지관(80)의 이동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 각관이며, 경완금 본체(11)와 평행하게 배열되면서 이동안내관(12)의 길이방향 타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경완금(10)은 처짐방지 베이스관(13)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2개의 고정관(14)이 적용된다.
가이드봉(20)은 고정 애자(30)와 이동 애자(50)의 설치를 위한 용도이며, 고정 너트(40)의 체결을 위하여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장볼트이다.
가이드봉(20)은 처짐방지봉(80)의 둘레부에 2개 이상(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이 상호 간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이 경완금(10)의 처짐방지 베이스관(13)에 고정된 너트에 나사 체결되거나 용접 고정되고, 나사 체결의 경우 다양한 길이의 선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가이드봉(20)은 고정 애자(30)를 통과하여 이동 애자(50)를 관통하여 이동 애자(50)의 이동을 안내한다.
고정 애자(30)는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이 관통홀을 통해 처짐방지봉(80)에 결합되어 이동 애자(50)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겸한다. 물론, 상기 관통홀은 처짐방지봉(80)의 직선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슬리브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애자(30)는 가이드봉(20)이 관통되는 홀이 구비된다.
고정 너트(40)는 가이드봉(20)에 나사 체결되며 가이드봉(20)의 모든 곳에 설치 가능하므로 고정 애자(30)의 위치를 셋팅하고, 고정 애자(30)의 위치 셋팅을 통해 이동 애자(5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고정 애자(3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동 애자(50)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전주(1)의 시공 현장마다 배전선(2)의 배선 상태가 달라지는 것을 감안할 때 각 시공 현장에 맞는 최적의 배선상태로 배전선(2)을 배선할 수 있으며, 이동 애자(50)가 고정 애자(30)에 근접되는 것을 확인한 경우 더 이상의 처짐 방지가 불가능하여 다른 안전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종래에는 이러한 제한이 불가능하고 단지 배전선을 당겨 처짐을 해결하는 것일 뿐이다.
전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고정 너트(40)는 고정 애자(30)의 양측에 각각 나사 체결되며, 따라서 고정 애자(30)는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동 애자(50)는 배전선(2)과 점퍼선(3)이 전기적으로 클램핑되는 클램프(4)가 브래킷(5)을 통해 연결되며, 처짐방지봉(80)에 연결되어 처짐방지봉(80)의 이동에 의해 클램프(4)를 이동시키고 결과적으로 배전선(2)이 처진 것을 팽팽하게 조절한다.
또한, 이동 애자(50)는 가이드봉(20)이 관통되는 홀이 구비되어 가이드봉(20)의 안내를 받아 이동한다. 즉 처짐방지봉(80)은 이동 애자(50)의 직선 이동을 위한 구동원이고 가이드봉(20)은 안정적인 직선 이동을 위한 가이드이다.
이동 애자(50)를 관통한 가이드봉(20)의 자유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이동 애자(50)가 가이드봉(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주름관(60)은 관형으로서 처짐방지봉(80)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처짐방지봉(80)의 외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막아 처짐방지봉(80)의 정상적인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고정 애자(30)와 이동 애자(50)에 각각 고정된다. 주름관(60)은 고정체인 고정 애자(30)를 기준으로 하여 이동체인 이동 애자(50)가 이동할 때 이들(30,50)간의 거리가 좁아지는 것을 감안하여 신축이 가능한 주름형태인 것이다.
구동모터(70)는 처짐방지 베이스관(13)의 내부에 장착되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며 이 회전력을 통해 처짐방지봉(80)을 전주(1) 방향 즉 배전선(2)의 처짐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모터(70)는 처짐방지 베이스관(13)이나 전주(1) 등에 유선으로 설치되는 스위치나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한다.
처짐방지봉(80)은 구동모터(70)에서부터 고정 애자(30)를 관통하여 이동 애자(50)에 걸쳐 설치되고, 구동모터(7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0)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면서 이동 애자(50)를 이동시키고, 이동 애자(50)의 이동에 의해 클램프(4)를 함께 이동시켜 배전선(2)을 당김으로써 배전선(2)이 처지지 않도록 한다.
처짐방지봉(80)은 구동모터(70)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래크, 스큐류 모두가 가능하다.
처짐방지봉(80)의 원활한 직선 이동을 위하여 고정 애자(30)의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가 구성되고, 처짐방지봉(80)의 둘레부에는 상기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홈 형태의 레일이 갖추어질 수 있다.
보호관(90)은 경완금(10)의 처짐방지 베이스관(13)과 고정 애자(30) 사이에 외부로 노출된 처짐방지봉(80)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처지방지봉(80)의 외부를 감싸는 관형이고,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처짐방지 베이스관(13)과 고정 애자(30)에 각각 고정(접착 등)된다.
보호관(90)은 고정 애자(30)의 위치 변경을 감안하여 길이가 변하는 주름관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배전선의 초기 배선 상태 또는 배전선이 처진 상태이다. 배전선(2)의 최적의 배선을 위하여 고정 애자(30)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셋팅하며, 고정 너트(40)를 고정 애자(30)의 셋팅 위치까지 나사 체결하면 고정 애자(30)는 고정 너트(4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고정 애자(30)의 위치는 이동 애자(50)가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다.
도 2의 상태에서 배전선(2)을 팽팽하게 당기기 위하여, 구동모터(70)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70)가 도 2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처짐방지봉(80)이 도 2 기준 좌측으로 이동한다.
처짐방지봉(80)은 처짐방지 베이스관(13)의 내부를 통과한 후 이동안내관(12)의 내부까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다.
처짐방지봉(80)의 이동에 따라 이동 애자(50)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동 애자(50)는 가이드봉(20)의 안내를 받아 가이드봉(20)을 경로로 하여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동 애자(50)가 이동할 때 고정체인 고정 애자(30)에 의해 일측이 지지된 주름관(60)은 이동 애자(50)에 의해 접히게 되어 이동 애자(5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고 처짐방지봉(80)을 보호한다.
도 3과 같이, 이동 애자(50)와 함께 클램프(4)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클램프(4)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배전선(2)이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배전선(2)은 처짐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이동 애자(50)가 고정 애자(30)에 닿을 때까지만 이동 가능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배전선(2)의 처짐을 더 이상 해결할 수 없고, 이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와 알람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예를 들어 고정 애자(30)와 이동 애자(50)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며, 상기 알람은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고정 애자(30)와 이동 애자(50)가 근접된 것을 감지하면 통제실의 관리자에게 경고음 등으로 배전선(2)의 처짐을 안내한다.
본 발명은 배전선(2)의 처짐을 해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술로서 도 4와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클램프 보호커버(100)가 적용될 수 있다.
클램프 보호커버(100)는 내부에 클램프(4)가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 애자(50)와 함께 클램프(4)가 이동하도록 타측도 개방된 관형(원형, 각형 등)으로서 타측의 벽에 가이드봉(20)의 자유단부가 고정되며, 예를 들어, 클램프 보호커버(100)의 둘레부에 보스가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봉(20)은 자유단부가 상기 보스에 관통된 후 상기 보스의 양측에서 너트가 각각 체결됨으로써 클램프 보호커버(100)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 구조는 클램프 보호커버(4)커버(100)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함으로써 클램프(4)의 위치에 맞는 최적의 위치에 클램프 보호커버(100)를 설치할 수 있다.
클램프 보호커버(100)는 가이드봉(20)에 고정되어 있고, 전술한 것처럼, 이동 애자(50)가 전주(1)쪽으로 이동할 때 클램프(100)가 좌측 즉 클램프 보호커버(100)를 향해 이동하여 클램프 보호커버(100) 안으로 삽입된다.
클램프(4)가 클램프 보호커버(100) 안으로 이동하면, 전주(1)에 고정된 경완금(10)의 지지를 받게 되므로 추가적인 배전선(2)의 처짐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배전선(2)의 처짐으로 인하여 클램프(4)가 설치 상태와 다르게 기울어진 경우 클램프(4)가 클램프 보호커버(100)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안정적인 상태로 배열되므로 배전선(2)의 처짐 해결은 물론 배전선(2)의 단선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클램프 보호커버(100)의 일측에는 확관부(110)가 형성된다.
확관부(110)는 클램프 보호커버(100)의 일측 단부에서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테이퍼 단면이며 클램프(4)가 경사를 타고 자연스럽게 내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클램프(4)에는 배전선(2)과 점퍼선(3)이 클램핑되어 있으며, 클램프(4)가 클램프 보호커버(100) 안으로 이동할 때 점퍼선(3) 등이 간섭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클램프 보호커버(100)에는 일측 단부[클램프(4)를 향하는 단부]에서부터 개방되어 클램프(4)가 클램프 보호커버(100)안에 삽입될 때 점퍼선(3) 등이 삽입되는 배선 삽입부(120)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경완금, 20 : 가이드봉
30 : 고정 애자, 40 : 고정 너트
50 : 이동 애자, 60 : 주름관
70 : 구동모터, 80 : 처짐방지봉
90 : 보호관, 100 : 클램프 보호커버

Claims (3)

  1. 전주에 고정되는 경완금 본체, 상기 경완금 본체와 이동안내관을 통해 연결되는 처짐방지 베이스관으로 이루어지는 경완금(10)과;
    상호 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처짐방지 베이스관의 둘레부에 고정된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다수의 가이드봉(20)과;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봉에 지지되는 고정 애자(30)와;
    상기 가이드봉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고정 애자를 고정하는 고정 너트(40)와;
    상기 가이드봉의 상기 고정 애자 앞쪽에 상기 가이드봉의 안내를 받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과 점퍼선이 연결되는 클램프가 고정되어 상기 고정 애자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배전선을 팽팽하게 당기는 이동 애자(50)와;
    상기 고정 애자와 이동 애자를 연결하는 신축형의 주름관(60)과;
    상기 경완금의 처짐방지 베이스관 안에 설치되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70)와;
    일측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한편 타측은 상기 이동 애자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전주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 애자와 상기 클램프를 함께 이동시켜 상기 배전선을 당김으로써 팽팽하게 조절하는 처짐방지봉(80)과;
    상기 처짐방지봉의 둘레부에 결합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경완금의 처짐방지 베이스관과 고정 애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처짐방지봉을 보호하는 보호관(90)과;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 설치되는 클램프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보호커버는 내부에 상기 클램프가 삽입되도록 공간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일측에 상기 가이드봉의 자유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며 타측의 개방부에는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단면으로서 상기 클램프의 삽입을 유도하는 확관부(110)가 구성되는 한편 둘레부에는 상기 클램프에 클램핑된 점퍼선이 삽입되는 배선 삽입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애자와 이동 애자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상기 고정 애자와 이동 애자가 근접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KR1020160125853A 2016-09-29 2016-09-29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KR10170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53A KR101705344B1 (ko) 2016-09-29 2016-09-29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53A KR101705344B1 (ko) 2016-09-29 2016-09-29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344B1 true KR101705344B1 (ko) 2017-02-09

Family

ID=5815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853A KR101705344B1 (ko) 2016-09-29 2016-09-29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3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87B1 (ko) * 2018-02-08 2018-09-27 선우전기이엔지(주)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CN109273178A (zh) * 2018-10-19 2019-01-25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安县供电公司 一种应用于10kv配电线路上的防雷防冰复合绝缘子装置
KR102063825B1 (ko) * 2019-07-31 2020-01-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전선 접속용 슬리브
KR102197540B1 (ko) * 2020-06-15 2020-12-31 주식회사 상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822U (ko) * 1994-02-28 1995-09-18 안근식 가공전선과 애자의 보호관
JPH08129916A (ja) * 1994-10-29 1996-05-21 Nissin Electric Co Ltd 碍子導体締付装置
KR100880880B1 (ko) * 2008-11-01 2009-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1444886B1 (ko) 2014-06-30 2014-09-26 김미희 가공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처짐방지장치
KR101671505B1 (ko) * 2016-06-10 2016-11-01 주식회사 열림이텍 배전선로의 전압 예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822U (ko) * 1994-02-28 1995-09-18 안근식 가공전선과 애자의 보호관
JPH08129916A (ja) * 1994-10-29 1996-05-21 Nissin Electric Co Ltd 碍子導体締付装置
KR100880880B1 (ko) * 2008-11-01 2009-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1444886B1 (ko) 2014-06-30 2014-09-26 김미희 가공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처짐방지장치
KR101671505B1 (ko) * 2016-06-10 2016-11-01 주식회사 열림이텍 배전선로의 전압 예측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87B1 (ko) * 2018-02-08 2018-09-27 선우전기이엔지(주) 배전선로의 고정완금장치
CN109273178A (zh) * 2018-10-19 2019-01-25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安县供电公司 一种应用于10kv配电线路上的防雷防冰复合绝缘子装置
KR102063825B1 (ko) * 2019-07-31 2020-01-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전선 접속용 슬리브
KR102197540B1 (ko) * 2020-06-15 2020-12-31 주식회사 상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344B1 (ko)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KR101626142B1 (ko) 배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장치 구조
KR101422743B1 (ko)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대
EP3022369B1 (en) A bracke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82937B1 (ko)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KR101625042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US20160278526A1 (en) Mounting structure and wall-mounted display device
US10673219B2 (en) Electrical box cable connector
KR101451867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2293382B1 (ko) 배전선로의 케이블 처짐 방지 시스템
SK49096A3 (en) Arc protecting device for sheated midle-tension cables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1329343B1 (ko) 원거리 전주의 특고압 전선 지지 장치
JP3740639B2 (ja) よじれ防止のライン用保護装置
CN107078491A (zh) 用于绝缘子的固定装置
KR102041464B1 (ko) 변전연결선로 고정장치
KR200492446Y1 (ko)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JP2006278025A (ja) 電源コンセントバー
KR101834449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020568B1 (ko) 장력감지식 보안시스템
KR10147752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44872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KR101419492B1 (ko) 케이블 고정구
EP2403084A2 (de) Kabel- und Leitungsführung
JP4556218B2 (ja) セパレーター支持具用調整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