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657B1 -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657B1
KR101791657B1 KR1020150167439A KR20150167439A KR101791657B1 KR 101791657 B1 KR101791657 B1 KR 101791657B1 KR 1020150167439 A KR1020150167439 A KR 1020150167439A KR 20150167439 A KR20150167439 A KR 20150167439A KR 101791657 B1 KR101791657 B1 KR 10179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shape
light
fram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060A (ko
Inventor
황승덕
Original Assignee
황승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덕 filed Critical 황승덕
Priority to KR102015016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657B1/ko
Priority to PCT/KR2015/012894 priority patent/WO2017090804A1/ko
Publication of KR2017006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2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enclosed chambers, e.g. gas-filled
    • B60C7/121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enclosed chambers, e.g. gas-filled enclosed chambers defined by a distinct core
    • B29C47/0004
    • B29C47/0009
    • B29C47/881
    • B29C47/8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4Resilient fillings for rubber tyres; Filling tyr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2Tyres built-up with separate rubb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5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foam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12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부재로 전체적인 외관은 원형이고 상하에 볼록나온 형상의 중공관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상기 중공관의 내부의 형상은 상기 경량화 부재의 외부의 형상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The structure of tire spacer}
본 발명은 타이어 내의 튜브에 공기를 삽입하는 대신에 공기압에 해당하는 보형물을 삽입하는 것으로 튜브의 교환이 필요없는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명은 하기에 기재한 두건의 특허와 실용신안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모두 등록된 것으로 자전거 바퀴에 관한 것으로 제1도는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특히, 타이어(40) 내부에 중공의 관(21)을 두어 충격흡수력과 탄성력 그리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의 프레임(50)과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40)와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경량화부재(20)와, 상기 경량화부재(20) 내에 중공관(21)을 구성하고 프레임(50)에 가깝게 제2중공관(30)을 두도록 구성되어, 자전거 주행시 충격흡수력과 탄성력 그리고 내구성이 향상된 장치가 이미 종래의 기술로 존재하나 이것을 자동차 부품연구원에서 140kg에 해당하는 무게의 압력을 주어 자전거를 주행테스트한 결과 주행속도는 시속40km로하였다.
튜브가 있는 일반타이어의 자전거 바퀴로는 7.9시간으로 거리로는 310km를 주행하였을 때에 튜브가 파손되었다.
본 출원인이 개발한 하기에 등록받은 타이어로는 23.7시간으로 거리로는 947km를 주행한 후에 보형물이 파손이 되어 주행이 불편한 상태가 되었다.
그리하여 좀더 보형물이 파손되지 않는 소재와 탄성이 탁월하며 열발산을 원활히 할 수있는 구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특허등록문헌 10-1504591 (2015.03.20) 한국실용공개문헌 20-2007-0000319 (2007.03.20)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두개의 특허문헌은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것으로 시속 40km로 주행시에 947km에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의 소재로 열발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오랜주행 후에도 보형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발명의 촛점으로 두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제1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부재로 전체적인 외관은 원형이고 상하에 볼록나온 형상의 중공관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상기 중공관의 내부의 형상은 상기 경량화 부재의 외부의 형상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부재의 강도는
상기 제1부재의 외부에 장착되는 상기 경량화부재보다 강도가 높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상기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구성하여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도록 요철부분의 구성을 갖는다.
제2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볼록형이고 나머지 부분은 타원형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에 중공관 내부의 형상은 타원형 형상의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타원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타원형 형상에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상기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구성으로 타원형에 요철부분의 구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제3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볼록형이고 나머지 부분은 항아리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에 중공관으로 내부의 구성은 항아리 형태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항아리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타원형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의 구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제4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오목형이고 나머지 부분은 타원형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 중공관의 형상은 타원형 형태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타원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를 삽입하는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한 것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타원형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동일한 구성으로 타원형상에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하도록 한다.
제5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오목형이고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으로는 원형이고 하부에 볼록형태를 갖는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중공관 내부의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원형이고 상부와 하부는 볼록형태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도록 구성한다 .
또한, 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한 것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하도록 한다.
제6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오목형이고 나머지 부분은 항아리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중공관의 형상은 항아리 형태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항아리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를 삽입하는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한 것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경량화부재는
쇼어(Shore A) 경도 40~50도인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10중량부, 경화제 0.1~10중량부, 및 안료 0.1~5중량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2부재는 쇼어(Shore A) 경도 50~90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경량화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상기 경량화부재를 구성하는 각 조성물을 배합시키는 단계,
상기 배합물을 10~60분 동안 170~175℃의 압출기에서 압출시키는 단계,
상기 압출물을 10~15m의 수냉 장치를 거치면서 1차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경화된 경화물을 180~230℃에서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량화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 내부에는 쇼어(Shore A) 경도 50~90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파이프와 동일한 형상의 상기 제1부재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품으로는 75시간동안 연속하여 140kg의 무게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3000km를 주행하여도 여전히 보형물이 파손되지 않는 것으로 열발산이 원할한 효과가 있다.
타이어와 바닥사이에 면접촉을 적게하여 과다 접촉에 따른 열발생을 억제하고 탄성의 효과는 최대한도로 높이기 위하여 적합한 형상을 구성함으로서 달성하였다.
별도로 부재를 두었던 제2부재를 생략하고 경량화부재의 상부에 제2부재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여
첫째는 튜브대신에 3개의 부재를 두었던 종래의 기술에 두개의 부재만으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것이다.
두번째의 효과로는 경량화부재 및 내부에 삽입되는 보다 강도가 높은 프라스틱봉이 내부에서 타이어와 함께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별도로 부재를 두는 경우에는 경량화부재의 형상을 별도의 제2부재와 결합하도록 하여 타이어 내부에서 경량화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타원형과 상하볼록 형태 및 항아리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제1a도는 타이어 내부에 삽입되는 경량화부재의 중공관에 삽입되는 종래기술의 탄성이 가지는 플라스틱봉.
1b도는 종래의 기술인 원형의 중공관을 가지는 경량화부재.
1c도는 종래의 기술인 1a도를 1b도에 삽입한 것을 원형의 프레임에 삽입하고 타이어를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2a도 내지 2d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2a도는 본 발명의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을 유지하면서 상하부에 볼록형태의 구성을 가지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봉
2b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2a도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중공관을 가지는 경량화부재.
2c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2a도를 2b도에 삽입한 것을 원형의 프레임에 삽입하고 타이어를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2d도는 본 발명의 중공관의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별도의 요철형상을 부가하고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 형상에 별도의 요철형상을 부가한 것으로 프레임과 타이어 사이에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도3a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타원형 구성을 가지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봉
3b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3a도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상부는 볼록한 형태이고 나머지 형상은 타원형 형상의 중공관을 가지는 경량화부재.
3c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3a도를 3b도에 삽입한 것을 원형의 프레임에 삽입하고 타이어를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3d도는 본 발명의 중공관의 경량화부재의 내부와 이에 대응하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 형상에 별도의 요철형상을 부가한 것으로 프레임과 타이어 사이에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도4a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상의 구성을 가지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봉
4b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4a도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상부는 볼록한 형태이고 나머지 형상은 항아리 형상의 중공관을 가지는 경량화부재.
4c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4a도를 4b도에 삽입한 것을 원형의 프레임에 삽입하고 타이어를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4d도는 본 발명의 중공관의 경량화부재의 내부와 이에 대응하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 형상에 별도의 요철형상을 부가한 것으로 프레임과 타이어 사이에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도5a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타원형 형상의 구성을 가지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봉
5b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5a도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상부는 오목한 형태이고 나머지 형상은 타원형 형상의 중공관을 가지는 경량화부재.
5c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5a도를 5b도에 삽입한 것을 원형의 프레임에 삽입하고 타이어를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5d도는 본 발명의 중공관의 경량화부재의 내부와 이에 대응하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 형상에 별도의 요철형상을 부가한 것으로 프레임과 타이어 사이에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6a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의 구성을 가지면서 상하부에 볼록부분이 있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봉
6b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6a도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상부는 오목한 형태이고 나머지 형상은 6a도의 형상의 중공관을 가지며 하부에 볼록부분이 있는 경량화부재.
6c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6a도를 6b도에 삽입한 것을 원형의 프레임에 삽입하고 타이어를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6d도는 본 발명의 중공관의 경량화부재의 내부와 이에 대응하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 형상에 별도의 요철형상을 부가한 것으로 프레임과 타이어 사이에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7a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반원형 형상의 구성을 가지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봉
7b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7a도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상부는 오목한 형태이고 나머지 형상은 7a도의 반원형상의 중공관을 가지는 경량화부재.
7c도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7a도를 7b도에 삽입한 것을 원형의 프레임에 삽입하고 타이어를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임.
7d도는 본 발명의 중공관의 경량화부재의 내부와 이에 대응하는 경도가 높은 프라스틱 형상에 별도의 요철형상을 부가한 것으로 프레임과 타이어 사이에 장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실시예로는 도2a 내지 도2d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원형의 프레임(250);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240);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부재로 전체적인 외관은 원형이고 상하에 볼록나온 형상(223,224)의 중공관 형태의 경량화부재(220);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상기 중공관의 내부의 형상은 상기 경량화 부재의 외부의 형상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210);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보형물인 경량화부재(220)의 상부에 볼록형상(223)이 프레임(250)에 결합되어 오랜동안의 연속적인 주행에서 타이어와 경량화부재가 피로화되면서 나타내는 이격현상으로 인하여 롤링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량화부재를 고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오랜시간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효과는 이후에 있는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까지 적용되는 구성과 이에 따른 효과이다.
하부에 볼록한 현상은 타이어에 하중이 실릴때에와 적게 실릴때에 따라서 충격흡수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고 표면적을 넓게하여 열발산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부재(210)의 강도는 상기 제1부재의 외부에 장착되는 상기 경량화부재(220)보다 강도가 높은 것으로 구성하여 충격흡수와 함께 많은 중력이 작용을 해도 쉽게 타이어가 표면에 닿는 면적이 많지 않도록 하여 타이어의 열발산을 돕는 것이다.
강도가 높은 제1부재를 중간부위에 배치함으로써 탄성이 보다 탁월하여 충격흡수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1b에서 보듯이 상부에 배치되어있어 충격흡수에 흠결이 있었다.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요철부분(261,262)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상기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구성하였다.
도2a에서 요철이 있는 제1부재를 도시하고 도2b에서는 요철이 내부에 있도록 중공관을 도시하면 되는 것으로 도2d도에 삽입한 도면으로 대치하였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제1부재와 상기 경량화부재사이에 접촉력이 증가되고 제1부재에서 발생하는 열이 경량화부재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므로써 잘 발산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로서는 도3a 내지 도3d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원형의 프레임(350);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340);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볼록형(323)이고 나머지 부분은 타원형(324) 형태의 경량화부재(320);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에 중공관 내부의 형상은 타원형 형상(321)의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타원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타원형 형상은 프레임을 중심으로 프레임에 닿는 부분과 지면에 닿는 부분에 보다 타원형의 원형반경이 작은 방향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310)와 경량화부재 또한 타원형 반경이 작은 쪽이 지면과 프레임에 닿도록 하여야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이로 인하여 종래의 기술로는 롤링이 일어나서 위치의 전도현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종래의 원형보다 못한 효과가 발생할 수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볼록부를 (323)두어 프레임에 결착되어 고정하는 효과가 있어서 충격에 따른 흡수를 보다 양호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타원형 형상에 요철부분(361,362,363,364)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상기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구성으로 타원형에 요철부분의 구성을 갖도록 구성한다.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프레임과 타이어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요철과 관련하여 작용효과는 제1실시예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제3실시예로는 도4a 내지도4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원형의 프레임(450);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440);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볼록형(423)이고 나머지 부분은 항아리 형태(424)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에 중공관으로 내부의 구성은 항아리 형태(421)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항아리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410);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역시 타실시예처럼 볼록부(423)로 인하여 타이어(440)와 경량화부재(420)사이에 롤링이 일어나지 않아서 오랜시간 동안 주행을 할 수있는 것으로 내구성이 있다.
또한 도4d는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461,462)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항아리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461,462)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제4실시예로는 도5a 내지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4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550);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540);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오목형(523)이고 나머지 부분은 타원형 형태(524)의 경량화부재로써 오목형으로 구성되어 타이어와 경량화부재사이에 결착이 되어있고 경량화부재는 프레임에 밀착되어있어 여전히 오랜주행 타원형의 보다 긴부분이 지면과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닿을 수 있도록 한것이다.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 중공관의 형상은 타원형 형태(521)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530);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타원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510);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520);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510);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를 삽입하는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530);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한 것으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타원형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561,562)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동일한 구성으로 타원형상에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른 효과는 타실시예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하다.
제5실시예로는 도6a 내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5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650);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640);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오목형(623)이고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으로는 원형이고 하부에 볼록형태(624)를 갖는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중공관 내부의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원형이고 상부와 하부는 볼록형태(621,622)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630);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으로 볼록부(611,612)을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610);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이로 인하여 볼록부(624)가 타이어와 결합하여 지면에 닿게 됨으로서 탄성을 더하여 주어 충격을 완화시키고 표면적을 넓게하여 열발산을 촉진시킨다.
또한 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620);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610);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630);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661,662)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한다.강도가 높은 제1부재(660)와 경량화부재(620)사이에 부착되어 롤링이 일어나지 않을 뿐 만아니라 접촉면적이 넓어서 열발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오랜시간동안 견딜 수있는 내구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제6실시예로는 도7a 내지 도7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6실시예로는
원형의 프레임(750)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740);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평평한 오목형(723)이고 나머지 부분은 항아리 형태(724)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중공관의 형상은 항아리 형태(721)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730);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항아리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710);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이로 인하여 항아리 형상의 하부가 탄성과 내구력에서 효과를 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720);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710);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를 삽입하는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730);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한 것으로 구성하게 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탁월하다.
또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761,762)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경량화부재는
쇼어(Shore A) 경도 40~50도인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10중량부, 경화제 0.1~10중량부, 및 안료 0.1~5중량부로 구성하여 탄성을 증가시키면서 타이어의 공기압과 같은 탄성과 강도를 가지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내구성이 있도록 하여 75시간동안 계속하여 시속40km로 주행하면서 3,000km를 주행하여도 파손되지 아니하고 원형을 유지하도록 반복된 실험을 통하여 상기 조성물과 비율을 찾아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부재는 쇼어(Shore A) 경도 50~90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하중이 집중적으로 실릴경우에도 탄성을 유지하면서 지면과의 접지저항을 줄이는 것으로 탄성물질인 보형물을 이렇게 두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제1부재를 삽입하므로써 결국에는 탄성물질을 세부분으로 구분하여 하는 것이 매우중요하다.
물론 청구범위에서는 제2부재는 없이 상기 경량화부재에 구조를 변화시켜 제1부재에 해당하는 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소개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경량화부재의 제조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다.
상기 경량화부재를 구성하는 각 조성물을 배합시키는 단계,
상기 배합물을 10~60분 동안 170~175℃의 압출기에서 압출시키는 단계,
상기 압출물을 10~15m의 수냉 장치를 거치면서 1차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경화된 경화물을 180~230℃에서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함으로서 원하는 탄성과 내구력을 가지는 조성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또한 , 상기 경량화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 내부에는 쇼어(Shore A) 경도 50~90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파이프와 동일한 형상의 상기 제1부재로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보형물을 자동차 연구원에서 주행 평가한 결과이다.
실험예 1 : 주행 내구성 평가
KSM 6526의 방법에 따라 주행 내구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으며, 판정 기준은 목표 주행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주행 시험을 마쳤을 때 주행에 견디고, 시험 종료 후 공기 누출이 없어야 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하중 : 70kgf
주행 속도 : 40km/h
목표 주행 거리 : 3000km
시료 결과
비교예 (시판 자전거용 보형물) 7.9시간(316km) 시험 중 공기 누출
이건 출원실시예 보형물 75시간(3000km) 시험 완료, 공기 누출 없음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보형물은 목표 주행 거리인 3000km의 주행 시험을 마쳤을 때까지도 시험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주행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접지저항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에 따른 자전거용 보형물의 접지저항을 KSM 6526의 방법에 따라 시험 하중 자전거 하나의 경륜당 70kgf, 주행 속도 40km/h에서 평가하였다.
상기의 결과로 인하여 매우 우수한 주행성능을 확인하였고 내구성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10,210,310,410,510,610,710:제1부재
20,220,320,420,520,620,720:경량화부재
30,530,630,730:제2부재
21:원형의 중공형상
221,222,323,611,612,621,622,624:볼록부
321,521:타원형상의 중공관
421,721:항아리형상의 중공관
40,240,340,440,540,640,740:자전거 타이어
50,250,350,450,550,650,750:원형의 프레임

Claims (19)

  1.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부재로 전체적인 외관은 원형이고 상하에 볼록나온 형상의 중공관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상기 중공관의 내부의 형상은 상기 경량화 부재의 외부의 형상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강도는 상기 제1부재의 외부에 장착되는 상기 경량화부재보다 강도가 높은 것를 갖되,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상기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구성하여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도록 요철부분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
  2. 삭제
  3. 삭제
  4.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철(凸)부 형상이고 나머지 부분은 철부형상이 구성되어있는 상하 부분은 타원형의 큰 지름의 부분으로 하고 좌우는 타원형의 작은 반지름의 형태로 타원형으로 구성된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에 중공관 내부의 형상은 경량화 부재의 외부의 구성의 철(凸)부 형상이 있는 부분의 있는 상하 방향으로는 타원형의 큰 지름의 부분으로 하고 좌우는 타원형의 작은 반지름의 형태로 타원형으로 구성된 형상의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타원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타원형 형상에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상기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구성으로 타원형에 요철부분의 구성(구성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
  5. 삭제
  6.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철(凸)부 형상이고 나머지 부분은 항아리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에 중공관으로 내부의 구성은 항아리 형태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항아리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타원형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
  7. 삭제
  8.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요(凹)부 형상이고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으로는 타원형이고 하부에 볼록형태를 갖는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중공관 내부의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타원형이고 상부와 하부는 볼록형태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
  9. 제8항에 있어서 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게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11.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요(凹)부형상이고 나머지 부분은 원형 형태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부 중공관의 형상은 상하로 볼록형상과 나머지 형상은 원형 형태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원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

  12. 제11항에 있어서 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를 삽입하는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타원형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동일한 구성으로 타원형상에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14. 원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부는 요(凹)부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나머지 부분은 항아리 형상의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 내에 중공관의 형상은 항아리 형태의 상기 중공관을 가지는 것으로 ,
    상기 원형의 프레임에 최접근하여 위치하는 상기 경량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
    상기 중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항아리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중공관에 삽입하는 제1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
  15. 제14항에 있어서 강도의 순서로는 상기 경량화부재;
    상기 경량화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경량화 부재를 삽입하는 사이에 장착되는 제2부재;
    의 순서대로 탄성강도가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상을 유지하면서 요철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제1부재의 구조도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분의 구성을 별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화부재는
    쇼어(Shore A) 경도 40~50도인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10중량부, 경화제 0.1~10중량부, 및 안료 0.1~5중량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2부재는 쇼어(Shore A) 경도 50~90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로 구성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화부재는
    상기 경량화부재를 구성하는 각 조성물을 배합시키고,
    상기 배합된 조성물을 10~60분 동안 170~175℃의 압출기에서 압출시키며,
    상기 압출된 조성물을 10~15m의 수냉 장치를 거치면서 1차 경화시키고,
    상기 1차 경화된 경화물을 180~230℃에서 2차 경화시키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화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 내부에는 쇼어(Shore A) 경도 50~90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파이프와 동일한 형상의 상기 제1부재로 구성하는 자전거 타이어의 보형물.
KR1020150167439A 2015-11-27 2015-11-27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KR10179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39A KR101791657B1 (ko) 2015-11-27 2015-11-27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PCT/KR2015/012894 WO2017090804A1 (ko) 2015-11-27 2015-11-30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39A KR101791657B1 (ko) 2015-11-27 2015-11-27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060A KR20170062060A (ko) 2017-06-07
KR101791657B1 true KR101791657B1 (ko) 2017-10-30

Family

ID=5876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439A KR101791657B1 (ko) 2015-11-27 2015-11-27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1657B1 (ko)
WO (1) WO2017090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6144A (zh) * 2018-04-30 2019-11-05 麦必得 外胎内嵌入物以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3842A (ja) * 2010-03-04 2011-09-22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JP2014125050A (ja) * 2012-12-26 2014-07-07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504591B1 (ko) * 2013-11-14 2015-03-20 황승덕 자전거 바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050B2 (ja) * 1996-06-21 2001-08-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二輪車用の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JP2001088516A (ja) * 1999-09-22 2001-04-03 Mitsuboshi Belting Ltd 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KR101195823B1 (ko) * 2011-03-08 2012-11-05 (주)바이크알앤디 에어주입 없이 펑크를 방지하는 이륜차용 바퀴
KR101436375B1 (ko) * 2013-07-26 2014-09-02 황승덕 경량화된 노펑크 타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3842A (ja) * 2010-03-04 2011-09-22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JP2014125050A (ja) * 2012-12-26 2014-07-07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504591B1 (ko) * 2013-11-14 2015-03-20 황승덕 자전거 바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060A (ko) 2017-06-07
WO2017090804A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4463A1 (en) System for non-pneumatic support of a vehicle
CN108688406A (zh) 半充气轮胎及半充气轮胎的制造方法
CN107662448A (zh) 免充气轮胎
BRPI0809050B1 (pt) Pneus não pneumáticos
CN105636799A (zh) 具有减小的横向硬度的非充气式车轮
CN107160943A (zh) 一种汽车用减震轮
KR101791657B1 (ko) 타이어의 보형물의 구조
CN206201827U (zh) 一种减震车轮
EP3318417A1 (en) Tire
CN112455151A (zh) 一种用于重压机的免充气实心轮胎
KR20130107467A (ko) 완충용 비공기식 타이어
BR102013013088A2 (pt) Coxim de amortecimento para suspensões de veículo a motor
KR101877642B1 (ko) 자전거의 완충력을 향상시킨 노펑크 타이어 구조
KR101932615B1 (ko) 자전거 안장
KR101271029B1 (ko) 반 비공기압 타이어
CN208052998U (zh) 一种高减震止滑型etpu实心轮胎
CN210062575U (zh) 一种基于三维点阵材料填充的免充气轮胎
CN105377578B (zh) 充气轮胎
CN220363176U (zh) 一种基于三维凹角晶格结构的非充气轮胎
CN102320220B (zh) 一种柔性抗扎防漏的外胎及轮胎
CN207747685U (zh) 一种具有抗震防噪功能的轮胎
CN106004252A (zh) 一种敞开式无接头无骨架实心轮胎
KR101755915B1 (ko) 발포 공간을 포함하는 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498012B (zh) 一种用于低速重载车辆的填充式实心轮胎
CN201506423U (zh) 摩托车引擎与引擎吊架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