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615B1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615B1
KR101932615B1 KR1020160071724A KR20160071724A KR101932615B1 KR 101932615 B1 KR101932615 B1 KR 101932615B1 KR 1020160071724 A KR1020160071724 A KR 1020160071724A KR 20160071724 A KR20160071724 A KR 20160071724A KR 101932615 B1 KR101932615 B1 KR 10193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fixing
frame
hole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334A (ko
Inventor
신지혜
Original Assignee
신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혜 filed Critical 신지혜
Priority to KR102016007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615B1/ko
Priority to PCT/KR2016/014708 priority patent/WO2017213315A1/ko
Publication of KR2017013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자전거 안장(10)은 탄소재질의 얇은 플레이트를 안장(10)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앉는 탑승부(12)와; 탑승부(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안장 고정 프레임(9)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부(14)와; 안장 고정 프레임(9)과 안장(10)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부(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Saddle of Bicycle fram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장을 탄소재질로 제조함으로써 탄성력이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인력을 사용하는 무공해 교통수단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또한 운동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운송수단이자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발로 밟는 프레임과, 페달과, 크랭크기구와, 체인과, 앞 뒤바퀴와, 핸들 및 안장으로 구성된다.
특히, 안장의 경우 탄력성 있는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탑승했을 때 안락함을 느끼게 하고 또한 비포장길을 주행하는 경우 아래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안장은 통상적으로 가죽으로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스펀지나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안장은 가죽과, 스펀지나, 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써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탄성력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전거 사용자가 신체를 일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안장도 같이 기울어지는 바, 기울어지는데 한계가 있어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05798호(명칭:충격흡수가 용이한 자전거 프레임용 튜브 및 이로 이루어진 자전거 프레임)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장을 탄소재질로 된 하나의 케이스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탄성력을 높일 수 있고, 구조도 간단하며, 신체의 기울어짐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장(10)이 구비된 자전거에 있어서,
안장(10)은 탄소재질의 얇은 플레이트를 안장(10)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앉는 탑승부(12)와; 탑승부(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안장 고정 프레임(9)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부(14)와; 안장 고정 프레임(9)과 안장(10)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부(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탄소재질의 플레이트를 안장 형상으로 성형가공함으로써 탄소재질 고유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탄소재질의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안장을 형성하였음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재질의 안장이 장착된 자전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탄소재질의 안장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안장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사용자가 하차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안장에 사용자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c)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탄소재질의 안장(10)이 구비된 자전거(1)는 프레임(3)과, 크랭크기구(5)와, 체인(C)과, 앞바퀴 및 뒤바퀴(W1,W2)와, 핸들(7) 및 안장(1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10)은 탄소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즉, 탄소재질의 얇은 플레이트가 안장(10)형상으로 성형가공됨으로써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앉게 되며, 하부는 안장 고정 프레임(9)의 상부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안장(10)은 사용자가 앉는 탑승부(12)와; 탑승부(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안장 고정 프레임(9)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부(14)와; 안장 고정 프레임(9)과 안장(10)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부(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장(10)부는 전체적으로 안장(10)과 유사한 형상, 즉 내부가 빈 타원형상이고, 탄소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장(10)에 탑승할 경우 안장(10)은 적절하게 수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하차한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탑승부(12)는 가운데에 반원형 홈(16)이 형성되고, 이 반원형 홈(16)은 안장(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장(10)에 앉는 경우 치골부분이 이 홈(16)에 위치하게 되므로 통풍, 충격 완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안장(10)이 탄소재질로 형성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탑승부(12)에 앉은 상태에서 일측(30)으로 신체를 기울이는 경우 홈(16)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일측(30)의 탑승부(12)도 같이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타측(32)으로 신체를 기울이는 경우 홈(16)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타측의 탑승부(12)도 같이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는 안장(10)의 하부를 의미하며, 가운데에는 안장 고정 프레임(9)이 관통하는 관통홀(h)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h)의 주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홀(22)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고정부(15)의 볼트(20) 및 너트(26)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4)는 고정부(15)에 의하여 고정되어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장(10)의 탑승부(12)에 앉는 경우 안장(10)이 아래로 수축하는 바, 이때 수축력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는 안장 고정 프레임(9)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된 고정 브래킷(18)과; 고정 브래킷(18)의 저면에 돌출되며 체결홀(22)을 통하여 지지부(14)의 하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볼트(20)와;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20)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와셔(24) 및 너트(2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래킷(18)은 얇은 판상이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음으로써 안장 고정 프레임(9)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브래킷(18)의 저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볼트(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복수개의 볼트(20)는 지지부(14)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다.
따라서, 안장(10)을 고정 프레임(9)에 결합할 때, 고정 브래킷(18)의 복수개의 볼트(20)가 복수개의 체결홀(2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볼트(20)가 복수개의 체결홀(22)을 관통함으로써 안장(10) 전체적으로는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장(10)의 하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볼트(20)에 너트(26)를 결합하거나, 와셔(24)를 같이 결합함으로써 안장(10)은 안장 고정 프레임(9)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소 소재로 된 안장(10)은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탄성력이 있는 재질이므로, 사용자가 안장(10)에 앉았을 때 아래 방향으로 수축됨으로써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가 안장(10)으로부터 내렸을 때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탄소재질의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안장(10)형상을 가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 바, 이때 플레이트는 판상일 수도 있고, 혹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그물형상일 수 있다. 이는 안장(10)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Claims (5)

  1. 안장(10)이 구비된 자전거에 있어서,
    안장(10)은 탄소재질의 얇은 플레이트를 안장(10)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앉는 탑승부(12)와; 탑승부(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안장 고정 프레임(9)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부(14)와; 안장 고정 프레임(9)과 안장(10)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부(15)로 구성되며,
    안장(10)을 형성하는 탄소재질의 플레이트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그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탑승부(12)는 가운데에 반원형 홈(16)이 형성되고, 이 반원형 홈(16)은 안장(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장(10)에 앉아서 일측 혹은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이 홈(16)을 중심으로 양측의 탑승부(12)도 같이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부(14)는 안장(10)의 하부를 의미하며, 가운데에는 안장 고정 프레임(9)이 관통하는 관통홀(h)이 형성되고, 관통홀(h)의 주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홀(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4. 제 3항에 있어서,
    고정부(15)는 안장 고정 프레임(9)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된 고정 브래킷(18)과; 고정 브래킷(18)의 저면에 돌출되며 체결홀(22)을 통하여 지지부(14)의 하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볼트(20)와;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20)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와셔(24) 및 너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5. 삭제
KR1020160071724A 2016-06-09 2016-06-09 자전거 안장 KR10193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724A KR101932615B1 (ko) 2016-06-09 2016-06-09 자전거 안장
PCT/KR2016/014708 WO2017213315A1 (ko) 2016-06-09 2016-12-15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724A KR101932615B1 (ko) 2016-06-09 2016-06-09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334A KR20170139334A (ko) 2017-12-19
KR101932615B1 true KR101932615B1 (ko) 2018-12-26

Family

ID=6057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724A KR101932615B1 (ko) 2016-06-09 2016-06-09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2615B1 (ko)
WO (1) WO2017213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10753A1 (it) 2018-12-03 2020-06-03 Carbonmade S R L Sella per bicicletta
DE102021123855A1 (de) * 2021-09-15 2023-03-16 MPR GmbH & Co. KG Sattel für ein Fahrrad, insbesondere aus Carb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46Y1 (ko) * 2000-11-01 2001-05-15 하재경 홈이 있는 자전거용 안장
KR100861230B1 (ko) * 2007-05-07 2008-10-02 이용견 자전거 안장
CN204279730U (zh) * 2014-11-28 2015-04-22 云南魔维杀虫有限公司 自行车座位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1851A (en) * 1981-10-19 1986-09-16 Tecseat Ltd. Pneumatic bicycle saddle
US5121962A (en) * 1989-10-13 1992-06-16 Spenco Medical Corporation Cushion for absorbing shock damping vibration and distributing pressure
KR100648299B1 (ko) * 2005-09-12 2006-11-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46Y1 (ko) * 2000-11-01 2001-05-15 하재경 홈이 있는 자전거용 안장
KR100861230B1 (ko) * 2007-05-07 2008-10-02 이용견 자전거 안장
CN204279730U (zh) * 2014-11-28 2015-04-22 云南魔维杀虫有限公司 自行车座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334A (ko) 2017-12-19
WO2017213315A1 (ko)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2084B2 (ja) 自転車用サドル
US7513568B2 (en) Bicycle saddle assembly
KR101932615B1 (ko) 자전거 안장
KR20110030915A (ko)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KR101286225B1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JPH05238445A (ja) 安全サドル
JP2008254565A (ja) キャスター
KR200432633Y1 (ko) 자전거 안장
KR101740038B1 (ko) 자전거 프레임
JP2008094279A (ja) キャスター及び緩衝車軸支持機構
US20020005620A1 (en) Scooter for children
TWM472651U (zh) 用於自行車之吸震座桿
EP3165435B1 (en) A load-bearing frame of a bicycle saddle
KR101407276B1 (ko) 자전거의 안장 완충장치
KR200414130Y1 (ko) 자전거의 안장 완충장치
CN108528580B (zh) 用于车辆的脚踏组件
CN106864656B (zh) 山地自行车
KR200418958Y1 (ko) 자전거의 짐받이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KR100819724B1 (ko) 자전거의 안장 완충장치
US6042129A (en) All-terrain baby stroller
EP1977962B1 (en) Bicycle saddle assembly
CN214729073U (zh) 一种助力儿童推车的减震装置
KR200484251Y1 (ko) 이동수단용 핸들
CN110667744A (zh) 一种自行车座椅减震装置
JP3192384U (ja) 幼児用乗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