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999B1 -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999B1
KR101790999B1 KR1020170051526A KR20170051526A KR101790999B1 KR 101790999 B1 KR101790999 B1 KR 101790999B1 KR 1020170051526 A KR1020170051526 A KR 1020170051526A KR 20170051526 A KR20170051526 A KR 20170051526A KR 101790999 B1 KR101790999 B1 KR 10179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eat treatment
cover agent
adhesive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주
Original Assignee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주 filed Critical 김민주
Priority to KR102017005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일정량의 모발을 탈색하는 단계, 산성염모제를 상기 모발에 도포하고, 열처리하는 한 후 세척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 단계, 상기 모발을 모아 붙여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모발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모발을 열기구를 이용해 꽃잎 모양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발에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는 60~70℃의 온도로 5분 내지 10분간 열처리하는 제1 열처리 및 20도 내지 25℃의 온도로 10분 내지 15분간 열처리하는 제2 열처리를 포함하는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A SHEET PETAL SHAPE HAIR CRAFT OF METHOD}
본 발명은 모발을 이용하여 꽃잎, 잎사귀 및 기타 등을 표현할 수 있는 판상형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행사에서 경관 내지 장식,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 및 패션 악세서리 등을 위한 용도로 꽃을 이용한 장식물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보다 화려하고, 특수한 효과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단순히 자연물 꽃을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연물 꽃에 추가 또는 갈음하여 다양한 목적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7863호 "꽃 장식물" 내지 공개특허공보 제2013-32135호 "꽃과 엘이디를 이용한 장식물" 내지 공개특허공보 제2012-123291호 "꽃과 엘이디를 이용한 장식물" 등이 개시되고 있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발을 이용한 공예품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발 공예품의 내구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환경에 따른 뒤틀림 및 변형등을 방지할 수 있는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몇몇 실시예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은 일정량의 모발을 탈색하는 단계, 산성염모제를 모발에 도포하고, 열처리하는 한 후 세척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 단계, 모발을 모아 붙여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 모발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 모발을 열기구를 이용해 꽃잎 모양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모발에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열처리는 60~70℃의 온도로 5분 내지 10분간 열처리하는 제1 열처리 및 20도 내지 25℃의 온도로 10분 내지 15분간 열처리하는 제2 열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모발에 베이스 커버제를 분사하고 자외선으로 상기 베이스 커버제를 1차 경화하고, 경화된 베이스 커버제 상에 표면 커버제를 분사하고 자외선으로 표면 커버제를 2차 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며, 베이스 커버제는 토실아마이드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포함하고, 표면 커버제는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커버제는 표면 커버제 보다 토실아마이드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더 많이 포함하고, 표면 커버제는 베이스 커버제 보다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모발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 이후에 지지 모발을 제2 방향으로 배열하고 접착제 배치한 후, 지지 모발상에 상기 모발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사이각은 10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2단계의 열처리를 통해 신속한 모발 염색이 가능해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커버층을 형성하여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탄성 증가에 따른 내구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추가로 지지 모발을 추가하여 외관의 미적 효용을 높이는 동시에 모발 공예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어서, 도 1을 참고하여, 본원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을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우선, 일정량의 모발에 대해 탈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량의 모발을 준비한 후, 9% 이하의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탈색제를 이용하여 약 2회 내지 약 3회 탈색을 실시하여 상기 모발에 함유된 멜라닌 색소를 제거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탈색제는 과산화수소 뿐만 아니라, 과황산칼륨 또는 과황산암모늄, 물 및 반응 촉진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탈색은 약 40℃ 내지 약 60℃ 범위에서 약 20분 내지 약 30분은 동안 수행하여 약 2회 내지 약 3회 반복할 수 있다.
이어서, 탈색이 완료된 상기 모발을 건조한 후, 염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염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산성 염모제를 탈색 후 건조된 상기 모발에 도포하고, 열처리, 세척 및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모발 염색을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염모제를 모발에 도포한 후, 자연방치하여 모발의 염색을 수행하였으나, 이 경우, 염색이 되기까지 60분 내지 120분 가량으로 지나치게 시간이 오래걸리고, 모발의 부분적인 온도 차이에 따라 염색 정도가 상이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성 염모제를 상기 모발에 도포한 후, 2단계의 열처리를 통해 염색 시간을 단축시키는 동시에, 균일한 모발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처리 온도가 제2 열처리 온도 보다 높을 수 있고, 상기 제1 열처리 시간이 상기 제2 열처리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산성 염모제를 도포한 상기 모발에 대해 약 60℃ 내지 약 70℃의 온도로 약 5분 내지 약 10분간 제1 열처리를 한 후, 이어서 약 20℃ 내지 약 25℃의 온도로, 약 10분 내지 약 15분간 제2 열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처리의 경우, 상기 산성 염모제가 도포된 모발을 폐쇄형 가열 부재에 넣어 열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폐쇄형 가열 부재는 외부 환경과 분리하여 가열 공간을 구성하는 부재로 밀폐형일 수 있으며, 모발 전체에 균일한 온도 제공이 가능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폐쇄형 가열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가열 도중에 외부 물질의 침입 또는 외부 물질과의 열반응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 대기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모발 전체에 균일한 온도 전달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열처리는 약 60℃ 내지 약 70℃의 온도로 열처리할 수 있는데, 제1 열처리시 상기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신속한 모발 염색을 하여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 미만으로 열처리하는 경우, 공정시간 단축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온도 범위 초과인 경우, 모발의 단백질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처리는 약 5분 내지 약 10분간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열처리 시간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모발 염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열처리 시간이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고온에 상기 모발이 과노출되어 모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열처리는 상기 범위의 온도와 상기 범위의 시간 조건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모발 변형을 방지 및 우수한 모발 염색을 할 수 있는 동시에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열처리를 한 이후에 약 20℃ 내지 25℃의 온도로 약 10분 내지 약 15분간 열처리하는 제2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열처리를 수행한 상기 모발에 대해 상온에서 자연방치를 통해 약 10분 내지 약 15분간 열처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수행되는 상기 제1 열처리와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수행되는 상기 제2 열처리 각각의 온도 및 수행시간을 동시에 제어하여 종래보다 모발 염색을 짧은 시간에 수행하는 동시에 균일한 모발 염색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처리가 수행된 상기 모발에 대해서 미온수 등으로 약 2 내지 약 3회 세척하여 염모제 및 불순물등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탈색 및 염색이 완료된 상기 모발들을 모아 붙여 판상형으로 제1 방향으로 배열하고, 모발에 접착제를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방향은 특정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발들이 일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모발에는 접착제를 배치시킬 수 있는데 상기 접착제는 예를 들어, 초산 비닐 수지와 물을 약 1: 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초산 비닐 수지는 모발과 접착성이 우수하고 경화시 투명하여 모발 공예품의 전체적인 외관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초산 비닐 수지는 점성이 높아 상기 모발에 균일한 도포가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초산 비닐 수지 와 물을 약 1: 3으로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상기 초산 비닐 수지와 물을 상기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모발 사이사이에 잘 침투하여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적절한 수준의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에 포함된 상기 초산 비닐 수지와 물의 비율이 상기 범위 이외인 경우, 점성이 너무 높아 균일한 도포가 어려울 수 있거나, 지나치게 희석되어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모발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지지 모발을 제2 방향으로 배열하고 상기 접착제를 배치한 후, 상기 지지 모발상에 상기 모발을 적층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일 방향으로 배열된 모발로 모발 공예품을 구성하는 경우, 모발과 모발 사이의 결합은 접착제에 의해서만 결합되어 있으므로, 모발이 배열된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충격에는 쉽게 쪼개지거나 크랙(crack)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었으며, 일 방향으로 배열된 이웃한 모발들이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뭉치면서, 모발들 사이사이가 떨어져 이격공간이 형성되 외관상 미적 효용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지지 모발 상에 상기 모발을 적층함으로써, 모발 공예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 모발이 이격공간을 차폐하여 미적 효용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사이각은 약 10도 내지 약 30도 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사이각이 상기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모발 공예품 내구성 향상 및 미적 효용 저하 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후술할 열기구를 이용한 꽃잎 모양 형성시 상기 모발과 상기 지지 모발의 결합 위치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각의 범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내구성 향상 및 미적 효용 저하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사이각의 범위가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후술할 열기구를 이용하여 꽃잎 모양을 만들 때,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지지 모발이 제1 방향으로 진행하는 열기구에 의해 자리를 이탈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모발을 꽃잎 등의 모양으로 형상을 구현한 다음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경화된 이후에는, 모발의 형상 변형이 어려움으로,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미리 꽃잎등의 모양으로 형상을 구현한 다음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의 경화는, 상온에서 자연방치로 경화시킬 수 있다. 다만, 경화 방법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처리 및 건조 등을 사용할 수 도있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 경화에 의해 고형화된 상기 모발을 열기구를 이용하여 꽃잎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기구는 아이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직선 모발에 곡률 커브를 형성할 수 있는 열기구라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아이롱를 이용하여 꽃잎 모양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모발을 상기 아이롱에 감은 후, 상기 제1 방향으로 아이롱을 진행시키면서 곡면등을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꽃잎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모발에 커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젤형 커버층일 수 있고, 상기 젤형 커버층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커버층 형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쉽게 상기 커버층에 흠이 생기지 않고, 매끄러운 표면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모발 공예품 전체가 탄성을 가져 브리틀(brittle)한 특성이 감소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모발 염색의 발색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발에 베이스 커버제를 분사하고, 자외선으로 상기 베이스 커버제를 1차 경화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제는 상기 모발 및 접착제 경화물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밀착성을 증가시켜 상기 코팅층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제는 토실아마이드 포름알데히드 수지(Tosylamide Formaldehyde Resin)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커버제는 상기 토실아마이드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상기 표면 커버제 보다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실아마이드 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접착력이 좋아 상기 커버층의 밀착성 및 접착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 커버제가 후술할 상기 표면 커버제 보다 상기 토실아마이드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더 많이 포함함으로써 접착 안정성 및 코팅 내구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제는 자외선에 의해 1차 경화될 수 있고, 상기 1차 경화에 의해 완전히 경화된 이후에 상기 표면 커버제를 분사하고 자외선으로 2차 경화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커버제는 외부의 충격 및 오염물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고, 표면 광택이 우수해 외관의 미적 효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커버제는 상기 토실아마이드 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 커버제는 상기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상기 베이스 커버제 보다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트로 셀룰로오스는 광택이 우수하고, 피막이 단단하고 상기 표면 커버제가 상기 베이스 커버제 보다 상기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더 많이 포함함으로써 표면 광택 및 내오염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 커버제는 자외선으로 2차 경화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표면 커버제가 축소 또는 변형이 발생하여 미세한 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성 및 접착력이 우수한 상기 베이스 커버제 상에 상기 표면 커버제를 분사하였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제 및 표면 커버제는 모두 분사 형태로 모발 공예품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커버제 및 표면 커버제는 분사 노즐을 통해 미세한 입자들이 분사되어 모발 공예품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을 이용한 분사는 액상 형태를 모발 공예품에 직접 도포하는 경우에 비해 도포 과정에서 모발 공예품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 및 곡면 형성등으로 인한 복잡한 모발 공예품 형태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균일하게 모든 표면에 대해 배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커버제 및 표면 커버제를 분사 노즐로부터 모발 공예품을 향해 직접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폐공간 분사 부재 내에서 분사 노즐로부터 공중을 향해 분사된 상기 베이스 커버제 및 표면 커버제가 중력에 의해 떨어지면서 모발 공예품 표면에 배치되도록 간접 분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폐공간 분사 부재는 외부 환경과 분리하여 분사 공간을 형성하는 부재로 밀폐형일 수 있다. 상기 폐공간 분사 부재는 밀폐형으로, 분사되는 상기 베이스 커버제 및 표면 커버제가 미립자로서 외부 대기등에 영향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모발 공예품 표면에 균일한 배치가 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일정량의 모발을 탈색하는 단계;
    산성염모제를 상기 모발에 도포하고, 열처리하는 한 후 세척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 단계;
    상기 모발을 모아 붙여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모발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모발을 열기구를 이용해 꽃잎 모양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발에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는 60~70℃의 온도로 5분 내지 10분간 열처리하는 제1 열처리 및 20도 내지 25℃의 온도로 10분 내지 15분간 열처리하는 제2 열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발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 이후에
    지지 모발을 제2 방향으로 배열하고 접착제를 배치한 후,
    상기 지지 모발상에 상기 모발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사이각은 10도 내지 30도인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발에 베이스 커버제를 분사하고 자외선으로 상기 베이스 커버제를 1차 경화하고,
    경화된 상기 베이스 커버제 상에 표면 커버제를 분사하고 자외선으로 상기 표면 커버제를 2차 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커버제는 토실아마이드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커버제는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제는 상기 표면 커버제 보다 상기 토실아마이드 포름 알데히드 수지를 더 많이 포함하고,
    상기 표면 커버제는 상기 베이스 커버제 보다 상기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더 많이 포함하는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4. 삭제
KR1020170051526A 2017-04-21 2017-04-21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KR10179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526A KR101790999B1 (ko) 2017-04-21 2017-04-21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526A KR101790999B1 (ko) 2017-04-21 2017-04-21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999B1 true KR101790999B1 (ko) 2017-10-27

Family

ID=6030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526A KR101790999B1 (ko) 2017-04-21 2017-04-21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9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26B1 (ko) 2018-04-11 2019-08-28 김영주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KR20200003514A (ko) 2018-07-02 2020-01-1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발이 부착된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6796A (ko) 2018-11-15 2020-05-2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액자 및 그 액자의 제조방법
KR102120325B1 (ko) * 2019-02-27 2020-06-08 조아현 모발을 이용한 공예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333386B1 (ko) * 2021-04-13 2021-12-02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목단 잎사귀 제조방법
KR102428453B1 (ko) * 2021-10-14 2022-08-03 박선자 모발을 이용한 카네이션 제조방법
KR102565031B1 (ko) * 2022-12-16 2023-08-07 박성숙 모발을 이용한 연등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연등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420A (ja) 2000-05-19 2001-11-27 Fuonteenu Kk 自毛活用型かつら、そのかつらベース、みの毛及びみの毛の取付方法
KR200396017Y1 (ko) 2005-07-06 2005-09-14 김봉순 머리카락 공예품
KR100899553B1 (ko) 2008-10-06 2009-05-26 김진숙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JP2009113253A (ja) 2007-11-03 2009-05-28 Mayumi Maeda 装飾体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200445898Y1 (ko) 2007-07-27 2009-09-08 송원섭 모발 탈착장치
KR101108335B1 (ko) 2011-10-05 2012-01-25 송미라 천연 모발을 이용한 머리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76298Y1 (ko) 2013-08-01 2015-02-13 김수련 형상 변형이 용이한 귀형상의 장식물이 구비된 헤어밴드
KR101589416B1 (ko) 2015-08-13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1589409B1 (ko) 2015-06-18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꽃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715868B1 (ko) 2016-09-21 2017-03-13 성상규 탈모 부위의 모발 보충이 가능한 가발 보조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420A (ja) 2000-05-19 2001-11-27 Fuonteenu Kk 自毛活用型かつら、そのかつらベース、みの毛及びみの毛の取付方法
KR200396017Y1 (ko) 2005-07-06 2005-09-14 김봉순 머리카락 공예품
KR200445898Y1 (ko) 2007-07-27 2009-09-08 송원섭 모발 탈착장치
JP2009113253A (ja) 2007-11-03 2009-05-28 Mayumi Maeda 装飾体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100899553B1 (ko) 2008-10-06 2009-05-26 김진숙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KR101108335B1 (ko) 2011-10-05 2012-01-25 송미라 천연 모발을 이용한 머리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76298Y1 (ko) 2013-08-01 2015-02-13 김수련 형상 변형이 용이한 귀형상의 장식물이 구비된 헤어밴드
KR101589409B1 (ko) 2015-06-18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꽃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589416B1 (ko) 2015-08-13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1715868B1 (ko) 2016-09-21 2017-03-13 성상규 탈모 부위의 모발 보충이 가능한 가발 보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26B1 (ko) 2018-04-11 2019-08-28 김영주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KR20200003514A (ko) 2018-07-02 2020-01-1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발이 부착된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6796A (ko) 2018-11-15 2020-05-2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액자 및 그 액자의 제조방법
KR102134631B1 (ko) * 2018-11-15 2020-07-1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액자 및 그 액자의 제조방법
KR102120325B1 (ko) * 2019-02-27 2020-06-08 조아현 모발을 이용한 공예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333386B1 (ko) * 2021-04-13 2021-12-02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목단 잎사귀 제조방법
KR102428453B1 (ko) * 2021-10-14 2022-08-03 박선자 모발을 이용한 카네이션 제조방법
KR102565031B1 (ko) * 2022-12-16 2023-08-07 박성숙 모발을 이용한 연등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연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999B1 (ko)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CA2051377C (en) Sealed ornament of dried and pressed flow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803508A (zh) 一种电子设备的壳体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TWI517991B (zh) 一種植物飾品及其形成方法
JP2010143891A (ja) 植物の加工方法
CN107649347A (zh) 一种uv辊涂纯黑开放哑光面涂装施工工艺
CN207088643U (zh) 一种彩色反光弹力布
CN113752740A (zh) 冷珐琅制品的制备方法
KR20190007084A (ko) 표면에 삼베 무늬가 형성된 유기 제조 방법
CN101906866B (zh) 一种防裂的重组复合地板及其加工方法
CN108454307A (zh) 裂纹表面装饰体及其制作方法
CN215705413U (zh) 皮革和冷珐琅的复合制品
CN206317467U (zh) 牢固型蚕丝薄膜
US10477931B2 (en) Sunshade and method of preparing a canopy
KR101073896B1 (ko) 자개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를 이용한 구두 제조 방법
KR100503408B1 (ko) 표면 물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19714B1 (ko) 네잎클로버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KR102629702B1 (ko) 증착 반사층을 구비한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JPS58115039A (ja) 装飾ガラス製品の製造方法
TW201831764A (zh) 裂紋表面裝飾體及其施作方法
JP2002337113A (ja) 塗装木質材の製造方法及び塗装木質材
US1669816A (en) Process for obtaining adherent and brilliant coats of varnish upon all materials
JP2002144301A (ja) 木質化粧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515109B (zh) 牢固型蚕丝薄膜及其加工方法
KR101559325B1 (ko) 플라스틱 성형물에 자개를 무늬로 형성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