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726B1 -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726B1
KR102015726B1 KR1020180042431A KR20180042431A KR102015726B1 KR 102015726 B1 KR102015726 B1 KR 102015726B1 KR 1020180042431 A KR1020180042431 A KR 1020180042431A KR 20180042431 A KR20180042431 A KR 20180042431A KR 102015726 B1 KR102015726 B1 KR 10201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ase plate
shape
adhesiv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102018004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1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paintings painted on canva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틀에 박힌 형태의 액자에서 입체감있는 새로운 형태의 독특한 액자를 얻을 수 있는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버려지는 모발을 수거하여 탈색과정을 거친 후 바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시킨 다음, 잘게 절단하여 모아놓는 단계; 작업판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탈색 및 염색과정을 거친 또다른 여러가닥의 모발을 접착제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모발을 길게 펼치면서 접착제가 모발에 도포되게 한 후 건조시켜 일정 면적의 판체로 형성시키고, 건조완료된 판체로 된 모발을 꽃잎이나 잎사귀 형태로 재단한 후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형태로 말아 모양을 형성하는 단계; 액자를 형성하는 바탕판(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잘게 절단된 모발을 체에 넣고 걸러 접착제가 도포된 바탕판(20)의 표면에 흩어 뿌려주는 과정과 흩어 뿌려진 모발에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서 바탕판(20) 표면에 절단된 모발을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선택부분에 종이 또는 모발로 제작한 줄기를 부착시킨 후 줄기의 선택부분에 가공완료된 꽃잎이나 잎사귀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면서 표현대상물(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를 형성하거나 바탕판(20)의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한 후 투명한 커버에 수용시키는 단계;를 거쳐 액자를 제조하되, 도형, 문자, 숫자, 이미지를 포함한 구조체(50)를 일정 면적 및 높이를 갖도록 입체적으로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표면에 상기 구조체(5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21)을 형성하되, 상기 표현대상물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끼움홈(2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5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잘게 절단된 모발을 붙인 후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모발이 고정된 구조체(50)를 상기 끼움홈(21)에 끼워 결합하여 상부 일부분이 돌출되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잘게 절단된 모발은 상기 끼움홈(21)을 제외한 바탕판(20)의 나머지 표면에 흩어 뿌려준 후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상기 표현대상물(10)이 꽃인 경우, 꽃의 배면에는 볼 형태로 돌출된 회동돌기(41)가 형성된 지지판(40)이 부착되고, 상기 바탕판(20)에는 상기 회동돌기(41)가 끼움결합되어 그 안에서 회동되면서 꽃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돌기결합홈부(46)가 형성된 회동안내판(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PICTURE FRAME USING HAIR}
본 발명은 모발을 이용하여 액자의 바탕면은 물론 식물 등의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 즉, 주거시설이나 사무실, 상가 등 사람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부분을 보기 좋게 장식하기 위한 여러종류의 장식물들이 고안되고, 실용화되어 우리 주변에서 널리 사용된다.
상기 장식물은 매우 다양하게 구비되며, 대표적인 예로서 사진을 넣은 액자, 그림을 넣은 액자 등이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액자는 작게는 책상 위의 사진을 넣은 것에서부터 크게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예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전시물을 전시하는 곳에서 전시물의 손상을 보호하고, 전시물의 미감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액자의 일 예가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2-0034531호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자는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을 벽에 부착해 걸어 놓기 위해서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짜인 사각 형태를 취하고, 그림이나 사진과 같은 이미지에 먼지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에 유리를 끼워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액자는 상기와 같이 주로 전시물이나 사진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전시를 위한 미감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그림, 글씨, 사진 등의 단조로운 이미지를 이용하는 구성하는 기법을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물건이나 도구 등을 이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액자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790999호(2017.10.23,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372884호(2014.03.03, 곡물을 이용한 야광 조명 액자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589409호(2016.01.21, 모발을 이용한 꽃 장식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버려지는 모발을 재활용할 수 있고, 특히 기존의 틀에 박힌 형태의 액자에서 입체감있는 새로운 형태의 독특한 액자를 얻을 수 있는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은, 버려지는 모발을 수거하여 탈색과정을 거친 후 바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시킨 다음, 잘게 절단하여 모아놓는 단계; 작업판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탈색 및 염색과정을 거친 또다른 여러가닥의 모발을 접착제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모발을 길게 펼치면서 접착제가 모발에 도포되게 한 후 건조시켜 일정 면적의 판체로 형성시키고, 건조완료된 판체로 된 모발을 꽃잎이나 잎사귀 형태로 재단한 후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형태로 말아 모양을 형성하는 단계; 액자를 형성하는 바탕판(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잘게 절단된 모발을 체에 넣고 걸러 접착제가 도포된 바탕판(20)의 표면에 흩어 뿌려주는 과정과 흩어 뿌려진 모발에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서 바탕판(20) 표면에 절단된 모발을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선택부분에 종이 또는 모발로 제작한 줄기를 부착시킨 후 줄기의 선택부분에 가공완료된 꽃잎이나 잎사귀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면서 표현대상물(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를 형성하거나 바탕판(20)의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한 후 투명한 커버에 수용시키는 단계;를 거쳐 액자를 제조하되, 도형, 문자, 숫자, 이미지를 포함한 구조체(50)를 일정 면적 및 높이를 갖도록 입체적으로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표면에 상기 구조체(5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21)을 형성하되, 상기 표현대상물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끼움홈(2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5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잘게 절단된 모발을 붙인 후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모발이 고정된 구조체(50)를 상기 끼움홈(21)에 끼워 결합하여 상부 일부분이 돌출되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잘게 절단된 모발은 상기 끼움홈(21)을 제외한 바탕판(20)의 나머지 표면에 흩어 뿌려준 후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상기 표현대상물(10)이 꽃인 경우, 꽃의 배면에는 볼 형태로 돌출된 회동돌기(41)가 형성된 지지판(40)이 부착되고, 상기 바탕판(20)에는 상기 회동돌기(41)가 끼움결합되어 그 안에서 회동되면서 꽃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돌기결합홈부(46)가 형성된 회동안내판(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발의 절단 길이는 0.5 ~ 10㎜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따르면, 모발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틀에 박힌 형태의 액자에서 자신만의 새로운 형태의 독특한 액자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된 모발을 길게 펼쳐 접착제로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로 고정되어 건조된 모발을 꽃잎이나 잎사귀 등 원하는 형태로 재단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잘게 절단한 모발을 체로 흩어 뿌려주는 과정을 보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제 액자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탕판의 표면에 표현대상물인 꽃이 부착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꽃의 중앙에 엘이디모듈이 설치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꽃의 회동구조를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및 구조체가 형성된 액자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를 끼움홈에 끼워 결합한 단면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은 먼저 버려지는 모발을 수거하여 세척한 후 탈색과정을 거쳐 탈색시킨다. 이후 탈색된 모발을 여러가지 색상으로 염색한다.
모발의 탈색은 통상 대개 미용 탈색제를 사용하여 10~15분 간격으로 1~3회 정도 탈색하게 되고, 상기 탈색시간은 염색단계에서 결정되는 색상에 따라 그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탈색된 모발은 천연 염색제 또는 섬유 염색제, 미용 염색제 등을 사용하여 염색한다.
소목, 치자 등의 천연 염료를 이용한 염색의 경우에는 천연 염료를 물에 끓이면서 매염제를 투여하여 농도를 조절하고, 섬유 염색제의 경우에는 물에 끓이면서 농도를 조절하여 염색의 색상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농도가 조절된 천연 염색제나 섬유 염색제 또는 미용 염색제를 탈색된 모발에 발라 동일한 색상으로 염색하거나 색상의 배합에 따른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으로 염색할 수도 있다. 이처럼 염색된 모발은 드라이어로 건조하거나 햇빛에 1시간 정도 말려서 건조하게 된다.
염색공정을 거친 후에는 일정량 만큼의 모발을 잘게 절단하여 용기 등에 담아놓는다.
그리고, 별도로 준비한 작업판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깔고, 탈색 및 염색과정을 거친 또다른 여러가닥의 모발을 접착제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빗 등을 이용하여 모발을 길게 펼치면서 접착제가 모발에 도포되게 한 후 건조시켜 일정면적의 판체로 된 모발을 형성시킨다.
건조완료된 판체로 된 모발은 의도하는 크기 및 형상에 부합하도록 재단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꽃잎이나 잎사귀 형태로 재단하게 되는 것이고, 이후 재단된 꽃잎이나 잎사귀를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형태로 말아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재료의 준비가 완료되면, 액자를 제작하기 위해 액자의 베이스판으로 사용할 바탕판을 준비한다.
상기 바탕판(20)의 표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잘게 절단된 모발을 체에 넣고 걸러 접착제가 도포된 바탕판(20)의 표면에 흩어 뿌려주고, 흩어 뿌려진 모발에는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흩어뿌려진 상태 그대로 형태를 유지시켜 준다.
모발의 더욱 자연스러운 형태를 얻기 위해, 상기 바탕판(20)의 표면에 잘게 절단된 모발을 흩어 뿌려주는 단계와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단계는 수회 반복 수행하면서 바탕판에 잘게 절단된 모발을 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바탕판(20)의 선택부분에 종이 또는 모발로 제작한 줄기를 부착시키고, 줄기의 선택부분에는 가공완료된 꽃잎이나 잎사귀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면서 표현대상물(10)을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바탕판(20)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를 형성하거나 바탕판(20)의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한 후 투명한 커버에 수용시켜 액자를 제작하면 된다.
상기 커버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액자는 도 5와 같이 독특하면서도 기존에는 느끼지 못하였던 새로운 심미감을 느낄 수 있으며, 현저하게 차별화된 장식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현대상물(10)의 선택된 부분 또는 중앙에는 투명 또는 불투명재질로 된 보호커버(11)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커버(11)의 내측에는 공급전원에 의해 발광되도록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모듈(30)이 설치된다.
삭제
상기 엘이디모듈(30)의 설치로 인해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보호커버(11)를 통해 외측으로 조사되면서 심미감은 물론 인테리어 효과와 함께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현대상물(10)이 꽃인 경우, 꽃의 배면에는 볼 형태로 돌출된 회동돌기(41)가 형성된 지지판(40)이 부착되고, 상기 바탕판(20)에는 상기 회동돌기(41)가 끼움결합되어 그 안에서 회동되면서 꽃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돌기결합홈부(46)가 형성된 회동안내판(45)이 구비된다.
따라서, 표현대상물을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할 수 있으며,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킬 수 있어 조명효과는 물론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액자에는 표현대상물 외에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15)를 형성하거나 도형, 문자, 숫자, 이미지를 포함한 구조체(5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표현대상물에 대해서는 생략하였고 이미지와 구조체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이미지(15)는 바탕판(20)의 표면 선택부분에 표현대상물과 다른 이미지를 표현해주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이미지는 잘게 절단된 모발을 바탕판의 표면에 체로 걸러 흩어 뿌려주기 전에, 바탕판의 표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15)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 후 이미지 부분과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각각 색상 또는 길이가 다른 모발을 흩어 뿌려주도록 하여 이미지(15)를 더욱 표출시켜주어 장식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조체(5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일정 면적 및 높이를 갖도록 입체적으로 구조체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바탕판(20)의 표면에는 상기 구조체(5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깊이로 끼움홈(21)을 형성하되, 상기 구조체가 끼워진 경우에 돌출될 수 있도록 구조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구조체가 여러개의 문자 및 숫자로 표현될 경우, 여러개의 문자 및 숫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이 방법외에도 별도의 판체의 표면에 상기 구조체를 부착한 후 상기 판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끼움홈을 형성하여 판체를 끼움홈에 끼움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체(50)의 상면에는 바탕판(20)에 모발을 부착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잘게 절단된 모발을 체에 넣고 걸러 붙인 다음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모발이 고정된 구조체(50)를 상기 바탕판(20)의 끼움홈(21)에 끼워 결합하여 구조체의 상부 일부분이 돌출되게 형성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체(50)는 하부가 개구되고 3면이 폐쇄된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끼움홈(21)에는 공급전원에 의해 발광되도록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모듈(35)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구조체(50)는 전체 또는 측면을 투명하게 제작하는데, 그 이유는 끼움홈(21)에 설치된 엘이디모듈의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구조체의 투명부분을 통해 외측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에 따라 새로운 심미감을 불러 일으킴은 물론 독특한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조체(50)의 표면에 접착되는 모발은 상기 바탕판(20)의 표면에 흩어 뿌려지는 모발과 색상이 상이하거나 길이가 다른 모발을 사용하도록 하여 구조체를 더욱 표출시켜주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발의 절단 길이는 0.5 ~ 10㎜로 절단하도록 한다. 모발의 길이를 0.5㎜ 미만으로 하면 너무 짧아 모발이 가지는 불규칙적인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10㎜를 초과하면 너무 길어 심미감 및 독특함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탕판의 선택부분이나 표현대상물이나 이미지에서 향기가 발생하도록 별도로 발향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발향제는 바탕판의 선택부분이나 표현대상물 또는 이미지 자체에 설치할 수도 있고, 바탕판의 이면 일측에 설치해 놓은 상태로 튜브나 심지 등을 이용하여 표현대상물 또는 이미지에서 발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는 버려지는 모발을 이용함에 따라 모발을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잘게 절단된 모발을 흩어 뿌려주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모발을 이용하여 입체화된 표현대상물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틀에 박힌 액자형태에 비해 현저하게 차별화된 형태의 액자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표현대상물 11: 보호커버
15: 이미지 20: 바탕판
30, 35: 엘이디모듈 40: 지지판
41: 회동돌기 45: 회동안내판
46: 돌기결합홈부 50: 구조체

Claims (7)

  1. 버려지는 모발을 수거하여 탈색과정을 거친 후 바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염색시킨 다음, 잘게 절단하여 모아놓는 단계;
    작업판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탈색 및 염색과정을 거친 또다른 여러가닥의 모발을 접착제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모발을 길게 펼치면서 접착제가 모발에 도포되게 한 후 건조시켜 일정 면적의 판체로 형성시키고, 건조완료된 판체로 된 모발을 꽃잎이나 잎사귀 형태로 재단한 후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형태로 말아 모양을 형성하는 단계;
    액자를 형성하는 바탕판(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잘게 절단된 모발을 체에 넣고 걸러 접착제가 도포된 바탕판(20)의 표면에 흩어 뿌려주는 과정과 흩어 뿌려진 모발에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서 바탕판(20) 표면에 절단된 모발을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선택부분에 종이 또는 모발로 제작한 줄기를 부착시킨 후 줄기의 선택부분에 가공완료된 꽃잎이나 잎사귀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면서 표현대상물(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를 형성하거나 바탕판(20)의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한 후 투명한 커버에 수용시키는 단계;를 거쳐 액자를 제조하되,
    도형, 문자, 숫자, 이미지를 포함한 구조체(50)를 일정 면적 및 높이를 갖도록 입체적으로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바탕판(20)의 표면에 상기 구조체(5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홈(21)을 형성하되, 상기 표현대상물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끼움홈(2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5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잘게 절단된 모발을 붙인 후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모발이 고정된 구조체(50)를 상기 끼움홈(21)에 끼워 결합하여 상부 일부분이 돌출되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잘게 절단된 모발은 상기 끼움홈(21)을 제외한 바탕판(20)의 나머지 표면에 흩어 뿌려준 후 헤어스프레이를 도포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상기 표현대상물(10)이 꽃인 경우, 꽃의 배면에는 볼 형태로 돌출된 회동돌기(41)가 형성된 지지판(40)이 부착되고, 상기 바탕판(20)에는 상기 회동돌기(41)가 끼움결합되어 그 안에서 회동되면서 꽃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돌기결합홈부(46)가 형성된 회동안내판(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대상물(10)의 선택된 부분 또는 중앙에는 투명 또는 불투명재질로 된 보호커버(11)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커버(11)의 내측에는 공급전원에 의해 발광되도록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모듈(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의 절단 길이는 0.5 ~ 10㎜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판(20)의 표면 선택부분에는 잘게 절단된 모발을 체로 걸러 흩어 뿌리기 전,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15)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 후 이미지부분과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각각 색상 또는 길이가 다른 모발을 흩어 뿌려주어 이미지(15)를 표출시켜주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50)는, 하부가 개구되고 3면이 폐쇄된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하되, 전체 또는 측면을 투명하게 제작하고,
    상기 끼움홈(21)에는 공급전원에 의해 발광되면서 상기 표현대상물의 투명부분을 통해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모듈(3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KR1020180042431A 2018-04-11 2018-04-11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KR102015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31A KR102015726B1 (ko) 2018-04-11 2018-04-11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31A KR102015726B1 (ko) 2018-04-11 2018-04-11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726B1 true KR102015726B1 (ko) 2019-08-28

Family

ID=6777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31A KR102015726B1 (ko) 2018-04-11 2018-04-11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386B1 (ko) * 2021-04-13 2021-12-02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목단 잎사귀 제조방법
KR102415211B1 (ko) * 2022-02-23 2022-07-01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동백꽃 제조방법
KR102428453B1 (ko) * 2021-10-14 2022-08-03 박선자 모발을 이용한 카네이션 제조방법
KR102664249B1 (ko) 2023-03-31 2024-05-10 김무성 조화 설치가 가능한 선형의 led 조명 일체형 정원용 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62Y1 (ko) * 2004-07-19 2004-11-04 심태왕 발광조화로 조립된 조화액자
JP3146317U (ja) * 2008-07-02 2008-11-13 株式会社日比谷花壇 フラワーアート装飾体とこれを使用する室内空間装飾構造
KR101372884B1 (ko) 2012-12-28 2014-03-10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소장) 곡물을 이용한 야광 조명 액자 제조방법
KR101589409B1 (ko) 2015-06-18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꽃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790999B1 (ko) 2017-04-21 2017-10-27 김민주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62Y1 (ko) * 2004-07-19 2004-11-04 심태왕 발광조화로 조립된 조화액자
JP3146317U (ja) * 2008-07-02 2008-11-13 株式会社日比谷花壇 フラワーアート装飾体とこれを使用する室内空間装飾構造
KR101372884B1 (ko) 2012-12-28 2014-03-10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소장) 곡물을 이용한 야광 조명 액자 제조방법
KR101589409B1 (ko) 2015-06-18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꽃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790999B1 (ko) 2017-04-21 2017-10-27 김민주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386B1 (ko) * 2021-04-13 2021-12-02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목단 잎사귀 제조방법
KR102428453B1 (ko) * 2021-10-14 2022-08-03 박선자 모발을 이용한 카네이션 제조방법
KR102415211B1 (ko) * 2022-02-23 2022-07-01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동백꽃 제조방법
KR102664249B1 (ko) 2023-03-31 2024-05-10 김무성 조화 설치가 가능한 선형의 led 조명 일체형 정원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726B1 (ko) 모발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EP1777255A2 (en) Image making medium
KR101589416B1 (ko) 모발을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US6042912A (en) Window dressing
KR102134631B1 (ko) 액자 및 그 액자의 제조방법
Faude Associated Artists and the American Renaissance in the Decorative Arts
KR102136281B1 (ko) 모발이 부착된 액자
KR101249302B1 (ko) 문양줌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지조명등의 제조방법
US6108958A (en) Picture framing kit
Jacobs The art of colour
Chatterjee Between colour and pattern: Ruskin’s ambivalent theory of constructional polychromy
Muller In a New Light: The Origins of Reflective Halo Tooling in Siena
JP2018024961A (ja) 和紙成形物および和紙成形物の製造方法、和紙成形物を用いた照明装置
Kleinschmidt Notes on the Polychromy of the Great Portal at Cluny
KR20040102678A (ko)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üger The pictorial presence of heavenly grace in the art of the Renaissance and Baroque
Globig A new method of surface ornamentation: Ludwig Hevesi's" Malmosaik" in Gustav Klimt's faculty paintings," Beethoven Frieze" and" Stoclet Frieze"
TWI599741B (zh) Double three-dimensional silk ligh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390597Y1 (ko) 인삼액자
Sarmati et al. 4.2 Materials and techniques
RU35518U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панно
JP3039080U (ja)
CN2458178Y (zh) 真皮壁挂
Karraker Looking at European frames: a guide to terms, styles, and techniques
Fontanilla et al. Design techniques for window dr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