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553B1 -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553B1
KR100899553B1 KR1020080097510A KR20080097510A KR100899553B1 KR 100899553 B1 KR100899553 B1 KR 100899553B1 KR 1020080097510 A KR1020080097510 A KR 1020080097510A KR 20080097510 A KR20080097510 A KR 20080097510A KR 100899553 B1 KR100899553 B1 KR 10089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late
cut
bo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숙
Original Assignee
김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숙 filed Critical 김진숙
Priority to KR102008009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8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려진 모발(101)을 수거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발(101)을 길이별로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모발(101)의 일단을 결속하고 액상(液狀)의 본드(102)를 도포시키면서 결속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넓게 펼치는 단계와, 상기 모발(101)에 도포된 본드(102)가 건조되어 모발과 본드가 판(板)상으로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경화된 판상의 모발(110)에 절단선(103)을 그리고 절단선(103)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판상의 모발(111)을 모아 붙여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어진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미용실 등에서 버려진 모발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고부가가치의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일정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 장식구를 머리핀, 브로치, 넥타이핀 등에 부착하여 장신구로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사지 및 조화 등 다양한 용도의 장식용구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모발, 염색, 탈색, 장식물, 장식구

Description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ONS USING THE HAIR}
본 발명은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을 수집하고 이를 탈색 및 염색하여 판(板)상으로 가공하고, 이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이를 가공하고 접착하여 다양한 모양의 장식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미용실에서 긴 머리를 단정하고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 모발을 소정의 길이로 커트하게 되며, 상기 커트한 모발은 잘 썩지 않음으로 그대로 모아서 소각처리하거나 그대로 버리고 있는 실정이나, 이는 환경에 유해하고 비낭비적인 요소를 갖는 것이어서 최근 버려진 모발을 모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국내공개특허 제2004-0031828호는 "미용실에서 머리카락을 선택적으로 수집하여 탈색하고 염색을 한 후 드라이어로 건조를 하고 디자인된 형상으로 조형 하여 강력 스프레이로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 후 디자인된 헤어 스타일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장식용 머리카락 장식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버려진 모발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버려진 머리카락, 즉 모발을 모아서 장식용구를 만들기 위한 기술이 아니라, 이들을 부분가발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모아진 머리카락을 탈색 및 염색하고 원하는 형상으로 조형(예를 들면 머리카락을 돌돌 말거나 꼰 형상)한 다음, 여기에 일반적으로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헤어스프레이를 뿌려 형태를 유지하게 하고 이를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올려서 보다 풍성한 두발의 느낌을 갖도록 하여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방법으로는 단순히 헤어스타일을 꾸미는 데만 사용되어질 뿐 코사지나 조화, 머리핀 이나 브로치, 넥타이핀 등과 같은 다양한 장식용구의 용도로는 사용하기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은 버려진 모발의 활용도가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폐자원의 고부가가치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버려진 모발을 재활용하되 다양한 활용도를 갖게하고, 또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버려진 모발을 수거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발을 길이별로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모발의 일단을 결속하고 액상(液狀)의 본드를 도포시키면서 결속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넓게 펼치는 단계와, 상기 모발에 도포된 본드가 건조되어 모발과 본드가 판(板)상으로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경화된 판상의 모발에 절단선을 그리고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판상의 모발을 모아 붙여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처리단계는 수거된 모발을 세척하고, 탈색하고,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미용실 등에서 버려진 모발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고부가가치의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일정한 형태로 가공된본 발명 장식구를 머리핀, 브로치, 넥타이핀 등에 부착하여 장신구로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사지 및 조화 등 다양한 용도의 장식용구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버려진 모발(101)을 수거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발(101)을 길이별로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모발(101)의 일단을 결속하고 액상(液狀)의 본드(102)를 도포시키면서 결속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넓게 펼치는 단계와, 상기 모발(101)에 도포된 본드(102)가 건조되어 모발과 본드가 판(板)상으로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경화된 판상의 모발(110)에 절단선(103)을 그리고 절단선(103)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판상의 모발(111)을 모아 붙여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는 수거된 모발을 세척하고 탈색, 염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탈색은 염색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며, 염색은 모발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공정이다.
상기 탈색공정은 대개 미용 탈색제를 사용하여 10~15분 간격으로 1~3회 정도 탈색하게 되고, 상기 탈색시간은 염색단계에서 결정되는 색상에 따라 그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탈색된 모발은 천연 염색제 또는 섬유 염색제, 미용 염색제 등을 사용하여 염색하게 되는데, 소목, 치자 등의 천연 염료를 이용한 염색의 경우에는 상기 천연 염료를 물에 끓이면서 매염제를 투여하여 농도를 조절하고, 섬유 염색제의 경우에는 물에 끓이면서 농도를 조절하여 염색의 색상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농도가 조절된 천연 염색제나 섬유 염색제 또는 미용 염색제를 탈색된 모발에 발라 동일한 색상으로 염색하거나 색상의 배합에 따른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으로 염색할 수도 있다. 이처럼 염색된 모발은 드라이어로 건조 하거나 햇빛에 1시간 정도 말려서 건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모발(101)을 길이별로 선별하여야 하는 이유는 모발(101)의 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 모발(101)을 판(板)상으로 경화함에 있어 모발이 들쑥날쑥하게 되면 판상으로 경화된 모발(101a)의 형태가 미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모발(101)을 판상으로 경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본드(102)는 시중에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의 본드 중에서 선별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모발(101)에 도포하여 건조시 경화되면서 모발과 함께 판(板)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본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목공용 본드를 사용하였다. 이때 반드시 상기 본드는 투명해서 모발의 색상을 그대로 투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판상으로 경화된 모발(101a)은 절단공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되어 지는데, 이때 원하는 형상을 판상의 모발(110) 위에 선, 즉 절단선(103)으로 그릴 수도 있다. 물론 판상의 모발(110) 위에 임의로 상상의 절단선을 그리고 상상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원하는 형상을 절단할 수도 있다.
다음 이처럼 절단된 판상의 모발(111)을 가공하게 되는데, 상기 가공공정은 절단된 판상의 모발(111)을 휘게 할 수도 있으며, 말거나 꺽을 수도 있다. 이때 가공은 인두나 드라이어, 또는 고대기 등과 같은 열기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이처럼 가공된 모발(120)을 하나하나 붙여서 원하는 장식구 형상을 만들게 된다.
또한 이처럼 만들어진 장식구(100)를 머리핀이나 옷핀(130) 등에 접착시켜서 장신구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나무가지의 끝에 붙여 조화를 만들수도 있게 된다.
이때 접착은 액세서리용 풀이나 글루건 등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보다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비즈 등의 장식물(140)을 본원발명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미용실 등에서 커트하고 버려진 모발을 수거하여 거의 같은 길이별로 선별한 다음 일단을 고무줄 등으로 결속하여 뭉치상태로 보관한다.
이처럼 수거된 모발을 미용 탈색제를 사용하여 10~15분 간격으로 1~3회 정도 탈색을 한다.
다음 상기 탈색된 모발은 천연 염색제 또는 섬유 염색제, 미용 염색제를 사용하여 염색하고, 상기 천연 염색제나 섬유 염색제를 사용하는 경우 농도를 조절하여 색상을 결정한다.
다음 상기 염색된 모발은 드라이어로 건조하거나 햇빛에 1시간 정도 말려서 건조한다.
다음 상기 건조된 모발을 결속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본드(102)를 도포시키면서 넓게 펼치고 이를 건조하여 모발과 본드가 함께 판(板)상으로 경화되도록 한다. 이때 모발의 간격은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경화된 판상의 모발(110)에 절단선(103)을 그리고 절단선(103)을 따라 절단한 다음 상기 절단된 판상의 모발(111)을 원하는 형상대로 가공한 후 이를 모아 붙여서 원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절단된 판상의 모발(111)을 모아 붙이게 되면 꽃 모양을 갖게 되는데, 이를 머리핀이나 나무가지 등과 같은 부재에 붙이게 되면 매우 아름다운 장식구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 도 4 -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5 -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장식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장식구
101: 모발 101a: 경화된 모발
102: 본드 103: 절단선
110: 경화된 판상의 모발 111: 절단된 판상의 모발
120: 가공된 모발 130: 머리핀이나 옷핀
140: 장식물

Claims (1)

  1. 버려진 모발(101)을 수거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발(101)을 길이별로 선별하고 이에 액상의 본드(102)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모발(101)에 도포된 본드(102)가 건조되어 모발과 본드가 판(板)상으로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판상의 모발(111)을 모아 붙여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려진 모발(101)을 수거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발(101)을 길이별로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모발(101)의 일단을 결속한 후 액상의 본드(102)를 도포시키면서 결속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넓게 펼쳐 판(板)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화된 판상의 모발(111)에 절단선(103)을 그리고 상기 절단선(103)을 따라 절단한 후 이들을 모아 붙여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의 제조방법.
KR1020080097510A 2008-10-06 2008-10-06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KR10089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10A KR100899553B1 (ko) 2008-10-06 2008-10-06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10A KR100899553B1 (ko) 2008-10-06 2008-10-06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553B1 true KR100899553B1 (ko) 2009-05-26

Family

ID=4086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10A KR100899553B1 (ko) 2008-10-06 2008-10-06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553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335B1 (ko) 2011-10-05 2012-01-25 송미라 천연 모발을 이용한 머리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9409B1 (ko) * 2015-06-18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꽃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589416B1 (ko) * 2015-08-13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1758238B1 (ko) 2017-04-21 2017-07-14 김민주 모발 공예품
KR101790999B1 (ko) 2017-04-21 2017-10-27 김민주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KR101784505B1 (ko) * 2015-10-20 2017-11-06 하순희 장식용 헤어피스의 제조방법
KR102333386B1 (ko) 2021-04-13 2021-12-02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목단 잎사귀 제조방법
KR102338905B1 (ko) 2021-06-14 2021-12-14 김현자 모발을 이용한 강아지풀의 제조방법
KR102349276B1 (ko) 2021-06-21 2022-01-10 박명희 모발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국 꽃송이가 부착된 브로치의 제조방법
KR102349274B1 (ko) 2021-06-21 2022-01-10 박명희 모발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국 꽃잎이 부착된 귀고리의 제조방법
KR102364394B1 (ko) * 2021-02-16 2022-02-17 신화남 머리카락 이용한 난초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2385584B1 (ko) * 2021-02-16 2022-04-12 신화남 머리카락과 면발광 광섬유을 이용한 발광 난초 장식물의 입체액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입체액자
KR102394871B1 (ko) 2021-11-17 2022-05-06 김옥순 백모를 이용한 클로버 꽃 제조방법
KR102400466B1 (ko) * 2021-03-31 2022-05-23 청암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을 이용한 드림캐처 및 그 제조방법
KR102415211B1 (ko) 2022-02-23 2022-07-01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동백꽃 제조방법
KR102428453B1 (ko) 2021-10-14 2022-08-03 박선자 모발을 이용한 카네이션 제조방법
KR102450855B1 (ko) 2022-05-13 2022-10-06 김예주 백모를 이용한 카네이션 브로치의 제조방법
KR102594293B1 (ko) * 2023-07-17 2023-10-27 김설옥 백모를 이용한 자목련 꽃잎의 제조방법
KR102623785B1 (ko) * 2023-07-17 2024-01-12 김설옥 백모를 이용한 자목련 꽃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490U (ko) 1973-07-30 1975-04-15
JPS518392U (ko) * 1974-07-04 1976-01-21
KR960003900Y1 (ko) * 1994-01-28 1996-05-16 전병설 장식용 머리핀
KR20040031828A (ko) * 2002-10-04 2004-04-14 장용석 헤어 장식용 머리카락 장신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490U (ko) 1973-07-30 1975-04-15
JPS518392U (ko) * 1974-07-04 1976-01-21
KR960003900Y1 (ko) * 1994-01-28 1996-05-16 전병설 장식용 머리핀
KR20040031828A (ko) * 2002-10-04 2004-04-14 장용석 헤어 장식용 머리카락 장신구의 제조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335B1 (ko) 2011-10-05 2012-01-25 송미라 천연 모발을 이용한 머리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9409B1 (ko) * 2015-06-18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꽃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589416B1 (ko) * 2015-08-13 2016-01-28 김옥순 모발을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1784505B1 (ko) * 2015-10-20 2017-11-06 하순희 장식용 헤어피스의 제조방법
KR101758238B1 (ko) 2017-04-21 2017-07-14 김민주 모발 공예품
KR101790999B1 (ko) 2017-04-21 2017-10-27 김민주 판상형 꽃잎 모발 공예품 제조 방법
KR102385584B1 (ko) * 2021-02-16 2022-04-12 신화남 머리카락과 면발광 광섬유을 이용한 발광 난초 장식물의 입체액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입체액자
KR102364394B1 (ko) * 2021-02-16 2022-02-17 신화남 머리카락 이용한 난초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2400466B1 (ko) * 2021-03-31 2022-05-23 청암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을 이용한 드림캐처 및 그 제조방법
KR102333386B1 (ko) 2021-04-13 2021-12-02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목단 잎사귀 제조방법
KR102338905B1 (ko) 2021-06-14 2021-12-14 김현자 모발을 이용한 강아지풀의 제조방법
KR102349276B1 (ko) 2021-06-21 2022-01-10 박명희 모발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국 꽃송이가 부착된 브로치의 제조방법
KR102349274B1 (ko) 2021-06-21 2022-01-10 박명희 모발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국 꽃잎이 부착된 귀고리의 제조방법
KR102428453B1 (ko) 2021-10-14 2022-08-03 박선자 모발을 이용한 카네이션 제조방법
KR102394871B1 (ko) 2021-11-17 2022-05-06 김옥순 백모를 이용한 클로버 꽃 제조방법
KR102415211B1 (ko) 2022-02-23 2022-07-01 박명희 모발을 이용한 동백꽃 제조방법
KR102450855B1 (ko) 2022-05-13 2022-10-06 김예주 백모를 이용한 카네이션 브로치의 제조방법
KR102594293B1 (ko) * 2023-07-17 2023-10-27 김설옥 백모를 이용한 자목련 꽃잎의 제조방법
KR102623785B1 (ko) * 2023-07-17 2024-01-12 김설옥 백모를 이용한 자목련 꽃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553B1 (ko) 모발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WO2004041020A3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ir coloring and highlighting
KR101589416B1 (ko) 모발을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1108335B1 (ko) 천연 모발을 이용한 머리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735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Personalized Human Hair Extensions Using Hair Color
Seidu The art produced by substitute surfaces in hand block printing
ATE324146T1 (de) Haarfärbeverfahren
KR100931967B1 (ko) 직물 염색방법
US9131759B2 (en) Method for dyeing/bleaching hair and relative applicator tool
KR20170019138A (ko) 장식용 헤어 피스 및 그 제조 방법
CN101811412B (zh) 一种植物叶刺绣的制作方法
EP3095345A1 (en) Method for applying a hair product
WO1989005104A1 (en) Wig, hair accessory and dyeing method for artificial hair
JP5248883B2 (ja) つけ睫毛の装着方法
CN101824756B (zh) 一种具有树皮效果的植绒布生产方法
CN105239286B (zh) 立体图案雕绣方法
CN201360587Y (zh) 假发装饰材料及发饰
US20160074680A1 (en) Hair dyeing method and hair thus manufactured
CN108790572A (zh) 一种白菜及蝈蝈的制作工艺与流程
KR200189020Y1 (ko) 머리핀을 이용한 인조가발
JP3204188U (ja) 装飾具
RU2804878C1 (ru) Способ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KR200298500Y1 (ko) 야자나무 줄기에서 추출한 섬유질로 만든 실로 제조한핸드백
KR100437251B1 (ko) 인성작용 형상 기억 가발의 제조방법
CN206336047U (zh) 一种手工纤维艺术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