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117B1 -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117B1
KR101789117B1 KR1020150163202A KR20150163202A KR101789117B1 KR 101789117 B1 KR101789117 B1 KR 101789117B1 KR 1020150163202 A KR1020150163202 A KR 1020150163202A KR 20150163202 A KR20150163202 A KR 20150163202A KR 101789117 B1 KR101789117 B1 KR 10178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tone
lift module
brush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186A (ko
Inventor
유기달
Original Assignee
유기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달 filed Critical 유기달
Priority to KR102015016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1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수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주프레임 및 제2 지주프레임, 제1 지주프레임과 제2 지주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도록 수평지지대와 결합하는 리프트고정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휠,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리프트고정부와 연결되고,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모듈부 및 리프트모듈부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TWO POLYSTYLE LIFT TYPE STONE AUTOMATIC ADSORPTION CONVEYING AND ST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재를 이송 및 적재 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주프레임이 2개로 형성되고, 이송롤러 위로 이송되는 판 형상의 석재를 흡착력이 향상된 흡착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위치로 이송 및 적재시킬 수 있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재는 건축, 토목, 조경 등에 이용되는 천연의 돌이다. 석재는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외관이 미려하고, 마모 및 풍화에 강하다.
근래, 가공기계의 발달에 따라 석재의 이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돌침대, 건축용 자재 등이 석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석재를 가공 또는 이송하기 위해서 다양한 장치들이 필요하다.
석재는 중량이 무거워서 이송 및 적재 시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석재를 이송하는 작업 중 석재를 고정하는 부재의 이탈 및 낮은 흡착력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석재를 가공하기 위한 작업대로 이송하거나, 받침대 또는 지면에 놓여져 있는 석재를 들어올려 이송롤러 또는 화물차로 적재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 모색되었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공보 10-0211069호(발명의 명칭: 석재 절단기의 새들 이송장치)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석재를 이송 및 적재 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주프레임이 2개로 형성되고, 이송롤러 위로 이송되는 판 형상의 석재를 흡착력이 향상된 흡착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위치로 이송 및 적재시킬 수 있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수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지주프레임; 상기 제1 지주프레임의 일측과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지주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대를 연결하는 하중보강부재; 상기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와 결합하는 리프트고정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휠;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리프트고정부와 연결되고,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모듈부; 및 상기 리프트모듈부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모듈부는, 상기 리프트고정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리프트모듈; 상기 제1 리프트모듈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제1 흡착판; 상기 리프트고정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리프트모듈;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제2 흡착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프트모듈과 상기 제1 흡착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리프트모듈과 상기 제2 흡착판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리트프고정부와 상기 제1 리프트모듈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리트프고정부와 상기 제2 리프트모듈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흡착판 및 상기 제2 흡착판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는, 리프트고정부에 형성되는 리프트고정부모터; 상기 리프트고정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1 리프트모듈 및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각도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리프트모듈 및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리프트모듈 및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각도를 유지하게끔 상기 제2 기어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도록 신축되는 안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관; 상기 진공관과 연결되는 진공펌프; 및 상기 진공관에 구비되는 진공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흡착부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재와의 흡착력을 높이도록 물 또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물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흡착부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의 상측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석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부는, 브러쉬하우징; 상기 브러쉬하우징에 내재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브러쉬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모터를 신축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브러쉬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는 브러쉬개폐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수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주프레임 및 제2 지주프레임; 상기 제1 지주프레임과 상기 제2 지주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와 결합하는 리프트고정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휠;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리프트고정부와 연결되고,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모듈부; 및 상기 리프트모듈부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주프레임은, 석재를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석재를 이송하는 작업 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고, 분산시키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석재를 이송 및 적재하는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석재에 따라 리프트 모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석재를 이송 및 적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공기분사부, 물분사부 및 브러쉬부를 구비하여, 흡착장치와 석재의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흡착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흡착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제1 지주프레임(10), 하중보강부재(1900), 수평지지대(30), 가이드레일(40), 리프트고정부(50), 구동휠(60), 제1 모터(70), 이송수단(80), 이송롤러(81), 메인프레임(82), 수직지지대(83), 동력공급관(90), 받침대(91), 받침프레임(92), 리프트모듈부(100), 흡착부(200) 및 제어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주프레임(10)은 석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수단(8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주프레임(10)은 하부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주프레임(10)은 수직부재이다.
하중보강부재(1900)는 수평지지대(30)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보강하도록 제1 지주프레임(10) 및 수평지지대(30)를 연결할 수 있다. 하중보강부재(1900)는 제1 지주프레임(10)의 가장 높은 상단 부위와 수평지지대(30)의 끝단과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석재 이송/적재 시 수평지지대(30)에서 발생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수평지지대(30)가 하부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중보강부재(1900)는 후술할 제2 지주프레임(20)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하중보강부재(1900)는 주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수평지지대(30)는 제1 지주프레임(10)의 일측과 결합되는 부재이다.
가이드레일(40)은 수평지지대(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40)은 리프트고정부(50)를 가이드레일(40)에 형성된 궤도에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리프트고정부(50)는 가이드레일(4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트고정부(50)는 수평지지대(30)와 결합될 수 있다.
구동휠(60)은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된 바퀴이다. 구동휠(60)은 제1 모터(7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휠(60)은 톱니바퀴 형상일 수 있다.
제1 모터(70)는 구동휠(6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모터(70)는 리프트고정부(5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터(70)는 전원공급장치(도면 미도시)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터(70)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고정부(50)에 연결된 제1 모터(70)가 회전하면, 구동휠(60)이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리프트고정부(5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수단(80)은 석재(S)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수단(80)은 이송롤러(81), 메인프레임(82), 수직지지대(83) 및 이송모터(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81)는 석재(S)가 안착되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81)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82)은 이송롤러(81)가 장착되는 부재이다.
수직지지대(83)는 메인프레임(82)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송모터(도면 미도시)는 메인프레임(8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모터는 이송롤러(81)와 연결되어, 이송롤러(8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송모터는 전원공급장치(도면 미도시)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송모터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공급관(90)은 유압라인 또는 전선이 내장되는 부품이다. 동력공급관(90)은 제어부(1600), 리프트고정부(50), 제1 모터(70), 리프트모듈부(100), 이송모터, 흡착부(200), 안전장치(600), 진공펌프, 공기공급펌프, 물공급펌프, 수증기공급펌프, 실린더(1400) 및 브러쉬개폐구(1500) 등에 유압 또는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공급관(90)은 전원공급장치(도면 미도시)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력공급관(90)은 유압공급장치(도면 미도시)에서 유압을 공급받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받침대(91)는 석재(S)가 놓여지는 곳이다. 받침대(91)는 이동식 파렛트(palette)일 수 있다.
받침프레임(92)은 받침대(91)가 지게차 또는 다른 운송장비에 의해 이송되도록 받침대(91)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받침프레임(92)은 받침대(91)와 분리되는 분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모듈부(100)는 리프트고정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모듈부(100)는 신축될 수 있다. 리프트모듈부(100)는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모듈부(100)는 유압 또는 전기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모듈부(100)는 체인 방식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모듈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리프트모듈부(100)는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부(200)는 석재(S)를 흡착할 수 있다. 흡착부(200)는 리프트모듈부(10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200)는 무동력 진공리프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200)는 고무흡착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200)는 다른 실시 예로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200)는 후술한 도면 9 및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600)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제1 모터(70), 이송모터, 동력공급관(90), 리프트모듈부(100), 흡착부(200), 리프트고정부(500), 안전장치(600), 진공개폐밸브(710), 진공펌프, 공기공급펌프, 물공급펌프, 수증기공급펌프, 실린더(1400) 및 브러쉬개폐구(150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제1 모터(70) 및 이송모터의 온/오프,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0)는 석재(S)가 일정한 속도로 이송 또는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하중보강부재(1900) 대신 제2 지주프레임(20)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제1 지주프레임(10), 제2 지주프레임(20), 수평지지대(30), 가이드레일(40), 리프트고정부(50), 구동휠(60), 제1 모터(70), 이송수단(80), 이송롤러(81), 메인프레임(82), 수직지지대(83), 동력공급관(90), 받침대(91), 받침프레임(92), 리프트모듈부(100), 흡착부(200) 및 제어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주프레임(20)은 석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수단(8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주프레임(20)은 하부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주프레임(20)은 수직부재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리프트모듈부(100)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제2 지주프레임(20)의 형상이 지게차나 건설장비가 석재를 이송하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제1 지주프레임(10), 제2 지주프레임(20), 수평지지대(30), 가이드레일(40), 리프트고정부(50), 구동휠(60), 제1 모터(70), 이송수단(80), 이송롤러(81), 메인프레임(82), 수직지지대(83), 동력공급관(90), 받침대(91), 받침프레임(92), 리프트모듈부(100), 흡착부(200) 및 제어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주프레임(20)은 석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수단(8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주프레임(20)은 하부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주프레임(20)은 수직부재이다.
또한, 제2 지주프레임(20)은 석재를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대(30)는 제1 지주프레임(10)과 제2 지주프레임(20)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3 실시 예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도 1 및 2와 대비하여,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 등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제1 지주프레임(10), 제2 지주프레임(20), 수평지지대(30), 가이드레일(40), 리프트고정부(50), 구동휠(60), 제1 모터(70), 이송수단(80), 이송롤러(81), 메인프레임(82), 수직지지대(83), 동력공급관(90), 받침대(91), 받침프레임(92), 리프트모듈부(100), 흡착부(200), 제어부(1600), 제1 리프트모듈(110), 제2 리프트모듈(120), 제1 흡착판(210), 제2 흡착판(220), 제1 연결부재(310), 제2 연결부재(320), 힌지축(400), 리프트고정부 모터(500), 제1 기어(510), 제2 기어(520) 및 안전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프트모듈(110)은 리프트고정부(5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흡착판(210)은 제1 리프트모듈(11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프트모듈(120)은 리프트고정부(5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흡착판(220)은 제2 리프트모듈(12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고정부(50)에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이 연결되어, 석재(S)를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경우,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는 리프트고정부(5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형성됨으로써, 석재(S)의 무게가 편향되지 않게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10)는 제1 리프트모듈(110)과 제1 흡착판(21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1 연결부재(310)와 제1 흡착판(210)은 힌지축(4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20)는 제2 리프트모듈(120)과 제2 흡착판(22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2 연결부재(320)와 제2 흡착판(220)은 힌지축(4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힌지축(400)은 제1 흡착판(210) 및 제2 흡착판(22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연결부는 리트프고정부(50)와 제1 리프트모듈(1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부는 리프트고정부 모터(500), 제1 기어(510), 제2 기어(520) 및 안전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결부는 리트프고정부(50)와 제2 리프트모듈(1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연결부는 리프트고정부 모터(500), 제1 기어(510), 제2 기어(520) 및 안전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고정부 모터(500)는 리프트고정부(50)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고정부 모터(500)는 제1 기어(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기어(510)는 리프트고정부 모터(5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어(510)는 리프트고정부 모터(5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기어(510)는 톱니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520)는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520)는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의 각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기어(520)는 제1 기어(510)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전장치(6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은 기어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장치(600)는 리프트고정부(50)에 결합될 수 있다. 안전장치(600)는 제2 기어(520)와 체결되고, 제2 기어(5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안전장치(600)는 피스톤 또는 슬라이드 장치에 의해 신출될 수 있다. 안전장치(600)는 신장되는 일단이 제2 기어(520)와 체결될 수 있는 돌기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장치(600)의 끝단은 제2 기어(520)에 형성된 톱니모양의 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전장치(600)는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 신장되어 제2 기어(520)와 체결되고,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이 도 5보다 큰 각도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보여지듯이,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이 도 5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어 긴 석재를 이송 또는 적재하는 경우, 긴 석재의 양 끝단을 흡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안전장치(600)가 형성됨으로써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이 긴 석재를 이송 또는 적재하는 경우, 제1 리프트모듈(110) 및 제2 리프트모듈(120)의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매우 크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기어(520)와 안전장치(600)가 신축되는 경우, 안전장치(600)와 체결되도록 리프트고정부(50)는 오목하게 들어간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흡착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흡착부(200)는 진공관(700), 진공개폐밸브(710), 제1 흡착프레임(810) 및 제2 흡착프레임(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착프레임(810)은 흡착부(200)의 외부를 이루는 부재이다. 제1 흡착프레임(810)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흡착프레임(81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착프레임(820)은 흡착부(200)의 내부를 이루는 부재이다. 제2 흡착프레임(820)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200)는 제1 흡착프레임(810) 및 제2 흡착프레임(820)로 구성되어, 진공흡착 시 제1 흡착프레임(810)과 제2 흡착프레임(820)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흡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진공관(700)은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진공관(700)은 제2 흡착프레임(820)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진공관(700)은 흡착부(200)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다.
진공펌프(도면 미도시)는 진공관(700)과 연결될 수 있다. 진공펌프는 제어부(1600)와 연결될 수 있다. 진공펌프는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을 만들 수 있는 기계이다. 진공펌프는 피스톤 펌프, 회전 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개폐밸브(710)는 진공관(700)에 구비될 수 있다. 진공개폐밸브(710)는 진공관(700)의 진공상태를 개폐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진공개폐밸브(710)가 개방되는 경우, 진공펌프의 진공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진공개폐밸브(710)가 차단되는 경우, 진공펌프의 진공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흡착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의 흡착부는 도 9와 대비하여, 공기분사부(900), 물분사부(910), 브러쉬부(1000), 브러쉬하우징(1100), 브러쉬(1200), 브러쉬회전모터(1300), 실린더(1400), 브러쉬개폐구(1500), 패킹부재(1700) 및 연결프레임(1800)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는 진공관(700), 진공개폐밸브(710), 제1 흡착프레임(810), 제2 흡착프레임(820), 공기분사부(900), 물분사부(910), 브러쉬부(1000), 브러쉬하우징(1100), 브러쉬(1200), 브러쉬회전모터(1300), 실린더(1400), 브러쉬개폐구(1500), 패킹부재(1700) 및 연결프레임(18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분사부(900)는 석재(S)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공기분사부(900)는 공기공급펌프(도면 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공급펌프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분사부(900)는 흡착부(2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분사부(900)는 진공펌프와 별도의 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진공펌프로 진공관(700)에서 공기를 제거하고, 공기분사부(900)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물분사부(910)는 석재(S)와의 흡착력을 높이기 위해 물 또는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물분사부(910)는 석재(S)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물분사부(910)는 물공급펌프(도면 미도시) 또는 수증기공급펌프(도면 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펌프 또는 수증기공급펌프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물분사부(910)는 흡착부(2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800)은 흡착부(200)와 브러쉬부(100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800)은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800)은 흡착부(20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브러쉬부(1000)는 브러쉬하우징(1100), 브러쉬(1200), 브러쉬회전모터(1300), 실린더(1400) 및 브러쉬개폐구(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부(1000)는 석재(S)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브러쉬부(1000)는 연결프레임(180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브러쉬하우징(1100)은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곳이다. 브러쉬하우징(1100)은 브러쉬(1200), 브러쉬회전모터(1300) 및 실린더(1400)가 내재될 수 있다.
브러쉬(1200)는 석재(S)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브러쉬(1200)는 솔형 브러쉬, 원형 브러쉬 등이 사용될 있다.
브러쉬(1200)에 사용되는 브러쉬 솔(도면 미도시)의 길이는 흡착부(200)의 직경의 1/2 내지 1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부(200)와 석재가 흡착되는 부위의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브러쉬 솔의 길이가 길 경우, 브러쉬하우징(1100)의 높이는 브러쉬 솔의 하단부위가 브러쉬개폐구(1500)보다 높은 위치에 보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회전모터(1300)는 브러쉬(1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브러쉬회전모터(1300)는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다. 브러쉬회전모터(1300)에 연결된 회전축이 회전함으로써, 회전축에 연결된 브러쉬(1200)가 회전될 수 있다.
실린더(1400)는 브러쉬회전모터(1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1400)는 브러쉬회전모터(1300)를 신축시킬 수 있다.
브러쉬개폐구(1500)는 브러쉬하우징(11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브러쉬개폐구(1500)는 제어부(1600)와 연결될 수 있다. 브러쉬개폐구(1500)는 슬라이딩 도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실린더(1400)가 하강하는 경우, 브러쉬개폐구(150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실린더(1400)가 상승하는 경우, 브러쉬개폐구(1500)를 폐쇄할 수 있다.
패킹부재(1700)는 흡착부(200) 외주면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재(170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재(1700)는 흡착부(200)과 석재(S)가 흡착되는 경우, 흡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러쉬부(1000)는 하단부에 거리측정센서(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는 브러쉬개폐구(1500) 또는 브러쉬부(1000) 하측과 석재(S)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거리측정센서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거리측정센서가 측정한 브러쉬개폐구(1500) 또는 브러쉬부(1000) 하측과 석재(S)의 거리가 0일 경우, 브러쉬개폐구(1500)를 슬라이딩시켜 개방할 수 있다. 브러쉬개폐구(1500)가 개폐되면, 브러쉬(1200)가 석재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실린더(1400)가 하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 지주프레임
20 : 제2 지주프레임
30 : 수평지지대
40 : 가이드레일
50 : 리프트고정부
60 : 구동휠
70 : 제1 모터
80 : 이송수단
81 : 이송롤러
82: 메인프레임
83: 수직지지대
90 : 동력공급관
91 : 받침대
92 : 받침프레임
100 : 리프트모듈부
110 : 제1 리프트모듈
120 : 제2 리프트모듈
200 : 흡착부
210 : 제1 흡착판
220 : 제2 흡착판
310 : 제1 연결부재
320 : 제2 연결부재
400 : 힌지축
500 : 리프트고정부 모터
510 : 제1 기어
520 : 제2 기어
600 : 안전장치
700 : 진공관
710 : 진공개폐밸브
810 : 제1 흡착프레임
820 : 제2 흡착프레임
900 : 공기분사부
910 : 물분사부
1000 : 브러쉬부
1100 : 브러쉬하우징
1200 : 브러쉬
1300 : 브러쉬회전모터
1400 : 실린더
1500 : 브러쉬개폐구
1600 : 제어부
1700 : 패킹부재
1800 : 연결프레임
1900 : 하중보강부재
S : 석재

Claims (13)

  1. 석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수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지주프레임;
    상기 제1 지주프레임의 일측과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지주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대를 연결하는 하중보강부재;
    상기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와 결합하는 리프트고정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휠;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리프트고정부와 연결되고,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모듈부; 및
    상기 리프트모듈부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모듈부는,
    상기 리프트고정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리프트모듈;
    상기 제1 리프트모듈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제1 흡착판;
    상기 리프트고정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리프트모듈;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제2 흡착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프트모듈과 상기 제1 흡착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리프트모듈과 상기 제2 흡착판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리트프고정부와 상기 제1 리프트모듈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리트프고정부와 상기 제2 리프트모듈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흡착판 및 상기 제2 흡착판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는,
    리프트고정부에 형성되는 리프트고정부모터;
    상기 리프트고정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1 리프트모듈 및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각도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리프트모듈 및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리프트모듈 및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각도를 유지하게끔 상기 제2 기어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도록 신축되는 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관;
    상기 진공관과 연결되는 진공펌프; 및
    상기 진공관에 구비되는 진공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흡착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와의 흡착력을 높이도록 물 또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물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흡착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상측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석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브러쉬하우징;
    상기 브러쉬하우징에 내재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브러쉬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모터를 신축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브러쉬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는 브러쉬개폐구;를 포함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12. 석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수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주프레임 및 제2 지주프레임;
    상기 제1 지주프레임과 상기 제2 지주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와 결합하는 리프트고정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휠;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리프트고정부와 연결되고,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모듈부; 및
    상기 리프트모듈부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모듈부는,
    상기 리프트고정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리프트모듈;
    상기 제1 리프트모듈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제1 흡착판;
    상기 리프트고정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리프트모듈;
    상기 제2 리프트모듈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석재를 흡착하는 제2 흡착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주프레임은,
    석재를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KR1020150163202A 2015-11-20 2015-11-20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KR10178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02A KR101789117B1 (ko) 2015-11-20 2015-11-20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02A KR101789117B1 (ko) 2015-11-20 2015-11-20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186A KR20170059186A (ko) 2017-05-30
KR101789117B1 true KR101789117B1 (ko) 2017-10-23

Family

ID=5905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202A KR101789117B1 (ko) 2015-11-20 2015-11-20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037A (zh) * 2017-06-20 2017-11-24 安徽悦尔伟塑料机械有限公司 板材运输用机械手
CN117166784A (zh) * 2023-09-11 2023-12-05 潮威建设科技(广州)有限公司 超高层石材单元专用装配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2846B2 (ja) * 2005-12-21 2010-09-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板材吸引移送装置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2846B2 (ja) * 2005-12-21 2010-09-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板材吸引移送装置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186A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95462U (zh) 一种板材自动转运装置
CN105059609A (zh) 一种包装袋自动装袋机
KR101197659B1 (ko) 알루미늄 합금판 반전 장치
CN107082276A (zh) 一种汽车坐垫自动上线系统
KR101691506B1 (ko) 4주식 베드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KR101185804B1 (ko) 자동포장기의 포대공급장치
CN103144002B (zh) 大理石磨角机
CN106586446A (zh) 一种物料输送装置
KR101789117B1 (ko)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CN213036949U (zh) 一种大米搬运码垛机构
CN103935776B (zh) 一种全自动型材码垛机
CN105966914B (zh) 滤芯中心管移载机械手
CN106181759A (zh) 一种自动砂光装置
KR101621798B1 (ko) 마블칩 파쇄기용 자재시트 투입장치
CN204895973U (zh) 一种包装袋自动装袋机
CN206886183U (zh) 一种汽车坐垫自动上线系统
CN105480452A (zh) 卷筒纸保护套包装机
CN205239984U (zh) 卷筒纸保护套包装机
CN114261709A (zh) 一种自动定位的滑轨输送机构
KR101244121B1 (ko)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KR101191439B1 (ko) 용지공급장치
CN206544772U (zh) 一种料箱用上线装置
CN206544803U (zh) 一种堆拆垛设备
CN105836429A (zh) 一种自动上料装置
JP6928229B2 (ja) 容器受渡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