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648B1 -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648B1
KR101788648B1 KR1020170018419A KR20170018419A KR101788648B1 KR 101788648 B1 KR101788648 B1 KR 101788648B1 KR 1020170018419 A KR1020170018419 A KR 1020170018419A KR 20170018419 A KR20170018419 A KR 20170018419A KR 101788648 B1 KR101788648 B1 KR 10178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ading
screw
power transmission
unit
transmis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정유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Priority to KR102017001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F15/00487
    • B01F15/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3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screw-shaped, e.g.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rollers
    • B01F7/00416
    • B01F7/08
    • B01F2015/0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8Coo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는 원료투입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를 반죽하우징 내에서 반죽스크류에 의해 반죽한 후 하향 배출하는 반죽유닛; 및 상기 반죽유닛의 하층에 위치한 채, 상기 반죽유닛에서 배출되는 반죽물을 반죽물 수용모듈을 통해 수용하고, 이를 압출하우징 내에서 압출스크류에 의해 압출한 후 노즐을 통해 특정 형태로 연속성형하는 압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유닛과 반죽유닛은 별개로 구성되되, 상기 압출유닛은 베이스 판 상에 안착 설치되고, 상기 반죽유닛은 상기 베이스 판의 상측에 받침대에 의해 받침된 상태로 배치되는 지지판 상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반죽유닛의 말단에 설치되는 반죽측 노즐의 출구 직하방에는 반죽물 수용모듈의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반죽측 노즐의 출구와 반죽물 수용모듈의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상기 반죽물 수용모듈로 투입되는 반죽물의 상태 확인이 가능토록 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죽스크류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반죽하우징은, 상기 반죽스크류의 외주면 절반을 감싸는 반원통형의 제1 반죽하우징과, 상기 반죽스크류의 나머지 외주면 절반을 감싸는 반원통형의 제2 반죽하우징이 원형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 반죽하우징의 원형 결합을 용이하게 또한 견고하게 하기 위해 어느 한 반죽하우징의 결합면은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반죽하우징의 결합면에는 돌출부가 취합되는 요입부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죽하우징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나사형의 방해돌기가 다수개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죽스크류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로 구성되되, 상기 반죽스크류의 반죽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스크류 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독립스크류부와, 상기 독립스크류부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샤프트부로 이루어져, 반죽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정체구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Kneading and extrusion apparatus for combustion catalysts}
본 발명은 연소촉매의 반죽 및 압출공정을 연속적으로 자동 진행할 수 있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촉매는 파우더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파우더 형태의 촉매는 실제 쓰이는 반응조건에서 요구되는 형태로 성형을 해야 한다. 이는 파우더 형태로 반응기에 촉매가 충진 되면, 반응 조절이 어렵고 압력 손실이 크게 나타나며 촉매 파우더로 인한 반응기 및 다른 장치들의 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촉매는 보통 구형이나 펠렛(pellet) 형태로 성형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성형하는 기계로서 타정기와 압출기가 주로 사용된다.
타정기의 경우에는 펠렛 형태로 만드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즉, 강한 기계적 강도를 요구하는 촉매일 때 많이 사용된다. 타정기는 높은 압력을 이용한 촉매 성형기로 촉매 파우더를 성형 틀에 주입한 다음 강한 압력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촉매를 성형하는 기계이다. 이 기계는 연속적으로 촉매 성형작업을 할 수 있고, 촉매 파우더를 직접 사용할 수 있어서 전처리가 비교적 쉽고 성형된 촉매는 바인더나 이물질 제거 작업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타정기의 단점은 기계 및 부속품의 값이 고가이고, 성형 틀의 가공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한번 제조된 성형 틀을 다른 형상으로 재가공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촉매 성형 형태를 잘 선택하여야 한다.
압출기는 스크류(screw) 타입 및 배치(batch) 타입의 압출기가 있는데, 연속 작업이 가능한 스크류 타입의 압출기가 주로 사용된다. 스크류압출기는 촉매 파우더를 반죽함과 동시에 압출 성형을 할 수 있어서 별도의 반죽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스크류압출기에서 촉매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바인더를 필히 사용해야 하므로, 성형 후 바인더 제거 작업을 거쳐야 하고 타정된 촉매보다 기계적 강도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스크류압출기는 노즐만 변경하면 여러 가지 형태의 촉매로 성형이 가능하고 노즐 가공 또한 저렴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촉매 성형 방법 중 하나이다.
일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58554호에 개시된 촉매 펠렛 제조장치의 경우, 압출기로 원료를 투입하여 반죽 및 성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인데, 이러한 종래의 촉매 펠렛 제조장치는 하나의 압출기에서 반죽 및 압출을 동시에 행함에 따라 완전한 반죽이 어렵고 이로 인해 압출되어져 나온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775978호(2006년 11월 24일 공개) 2. 등록특허공보 제10-1158554호(2011년 09월 01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촉매용 분말원료와 바인더를 반죽하는 반죽유닛과, 반죽물을 압출하는 압출유닛을 연계구성하여, 이들 공정을 연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촉매의 압출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료투입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를 반죽하우징 내에서 반죽스크류에 의해 반죽한 후 하향 배출하는 반죽유닛; 및
상기 반죽유닛의 하층에 위치한 채, 상기 반죽유닛에서 배출되는 반죽물을 반죽물 수용모듈을 통해 수용하고, 이를 압출하우징 내에서 압출스크류에 의해 압출한 후 노즐을 통해 특정 형태로 연속성형하는 압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유닛과 반죽유닛은 별개로 구성되되,
상기 압출유닛은 베이스 판 상에 안착 설치되고,
상기 반죽유닛은 상기 베이스 판의 상측에 받침대에 의해 받침된 상태로 배치되는 지지판 상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반죽유닛의 말단에 설치되는 반죽측 노즐의 출구 직하방에는 반죽물 수용모듈의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반죽측 노즐의 출구와 반죽물 수용모듈의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상기 반죽물 수용모듈로 투입되는 반죽물의 상태 확인이 가능토록 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죽스크류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반죽하우징은,
상기 반죽스크류의 외주면 절반을 감싸는 반원통형의 제1 반죽하우징과, 상기 반죽스크류의 나머지 외주면 절반을 감싸는 반원통형의 제2 반죽하우징이 원형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 반죽하우징의 원형 결합을 용이하게 또한 견고하게 하기 위해 어느 한 반죽하우징의 결합면은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반죽하우징의 결합면에는 돌출부가 취합되는 요입부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죽하우징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나사형의 방해돌기가 다수개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죽스크류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로 구성되되,
상기 반죽스크류의 반죽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스크류 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독립스크류부와, 상기 독립스크류부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샤프트부로 이루어져, 반죽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정체구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료투입모듈은, 상측의 입구를 통해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가 투입되는 원료투입블록; 및 상기 원료투입블록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를 원료투입블록의 내부로 강제 투입시키는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원료투입블록의 양측에는 냉각유체가 출입되는 냉각챔버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 및 반죽스크류는 제1 동력제공유닛 및 제1 동력전달유닛에 의해 연동되되,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제1 동력제공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반죽스크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된 채, 제1 동력전달기어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 중 어느 한 원료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제2 동력전달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3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3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된 채, 제3 동력절단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 중 다른 한 원료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4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반죽하우징의 외면에는 냉각유체가 출입되는 횡장형의 냉각챔버가 마련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반죽물 수용모듈은, 상측의 입구를 통해 상기 반죽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반죽물을 수용하는 반죽물 수용블록; 및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입구를 통해 수용되는 반죽물을 반죽물 수용블록의 내부로 강제 투입시키는 반죽물 투입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의 양측에는 냉각유체가 출입되는 냉각챔버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 및 압출스크류는 제2 동력제공유닛 및 제2 동력전달유닛에 의해 연동되되,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제2 동력제공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압출스크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5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된 채, 제5 동력전달기어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 중 어느 한 반죽물 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6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6 동력전달기어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제6 동력전달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7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7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된 채, 제7 동력전달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 중 다른 한 반죽물 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8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출하우징은, 압출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제1 앤드플레이트; 상기 제1 앤드플레이트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채, 압출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제2 앤드플레이트; 상기 제1, 2 앤드플레이트 사이에서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통되게 연결하며, 그 내부로는 압출 스크류가 관통되는 압출실린더; 및 상기 제1, 2 앤드플레이트에 양단이 고정된 채, 압출실린더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냉각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압출실린더의 외부를 감싸고 있으며, 냉각챔버로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포트 및 냉각챔버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가 각각 마련된 냉각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수단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소촉매용 분말원료와 바인더를 반죽하는 반죽유닛과 반죽물을 압출하는 압출유닛을 연계구성하여, 이들 공정을 연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촉매의 압출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고 양질의 촉매를 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투입블록 및 반죽물 수용블록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하우징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스크류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측 노즐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하우징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스크류의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측 노즐의 상세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유첨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100)는 분말원료와 바인더를 반죽하는 반죽유닛과, 반죽물을 압출하는 압출유닛을 연계구성하여, 이들 공정을 연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촉매의 압출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게 반죽유닛(200)과 압출유닛(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반죽유닛(20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분말원료와 바인더를 반죽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지지판(101) 상에 일렬 배열되는 원료투입모듈(210)과 반죽부재(240)로 구성된다.
상기한 원료투입모듈(210)은 원료투입블록(220)과 원료투입롤러(230)로 세부 구성된다.
상기 원료투입블록(220)은 도 3에서와 같이, 사각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측에는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가 투입되는 입구(221)가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입구(221)와 연통되는 설치공간(222)이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간(222)은 상기 원료투입롤러(230)가 설치되는 롤러설치공간(222a)과, 상기 롤러설치공간의 하부에 마련되어 분말원료 및 바인더가 투입됨과 함께 후술될 반죽스크류가 설치되는 스크류 설치공간(222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료투입블록(220)의 양측에는 냉각챔버(223)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각 냉각챔버(223)는 커버(224)에 의해 밀봉되되, 이 커버(224)에는 냉각챔버(223)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포트(224a)와, 냉각챔버(223)로부터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냉매배출포트(224b)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죽스크류 및 원료투입롤러(230)가 회전구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열을 냉각챔버(223)에 의해 냉각시켜서 열화(degradation)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료투입롤러(23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원료투입블록(220)의 횡장형 롤러설치공간(222a)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 원료투입롤러(23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원료투입블록(230)의 입구(221)를 통해 투입되는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를 원료투입블록(230)의 스크류 설치공간(222b)으로 강제 투입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230)는 기어처럼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분말원료 및 바인더를 보다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반죽부재(240)는 도 4 및 5에서와 같이, 반죽하우징(241)과 반죽스크류(242)로 구성한다.
상기 반죽하우징(241)은 그 일단이 상기 원료투입블록(220)에 지지되며, 상기 반죽스크류(242)의 외주면 절반을 감싸는 반원통형의 제1 반죽하우징(241a)과, 반죽스크류(242)의 나머지 외주면 절반을 감싸는 반원통형의 제2 반죽하우징(241b)으로 구성된 채 제 1, 2 반죽하우징(241a,241b)을 원형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2 반죽하우징(241a,241b)의 원형 결합을 용이하게 또한 견고하게 하기 위해 어느 한 반죽하우징의 결합면은 돌출부(241c)가 형성되고, 다른 한 반죽하우징의 결합면에는 돌출부(241c)가 취합되는 요입부(241d)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반죽하우징(241a,241b)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상부 경사면(241e)과 하부 경사면(241f)이 구성되고, 상기 각 경사면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지연)하기 위한 나사상의 방해돌기(243)들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2 반죽하우징(241a,241b)의 내부에는 반죽물이 반죽스크류(242)에 의해 반죽되면서 통과하게 되는데, 각 반죽하우징의 내면에 방해돌기(243)들이 돌출되면 반죽물이 방해돌기에 의해 진행이 방해되면서 통과가 지연되고, 이 과정을 통해 반죽스크류(242)에 의한 반죽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어서 반죽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2 반죽하우징(241a,241b)의 각 외면에는 냉각유체가 출입되는 횡장형의 냉각챔버(241g)가 구성될 수 있다. 각 냉각챔버(241g)는 커버(241h)에 의해 밀봉되되, 이 커버(241h)에는 냉각챔버(241g)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포트(241i)와, 냉각챔버(241g)로부터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냉매배출포트(241j)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축과정에서 발생되는 압출열에 의해 제1, 2 반죽하우징(241a,241b)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죽스크류(242)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크류 샤프트(242a)와, 스크류 날(242b)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242a)는 후술될 제1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스크류 날(242b)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242a)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반죽하우징(241) 내부의 반죽물을 가압 및 이송시키면서 반죽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죽스크류(242)의 반죽하우징(241)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스크류 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독립스크류부(242d)와, 상기 독립스크류부(242d)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242a)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샤프트부(242e)로 구성되는 정체구간(242c)이 마련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반죽스크류(242)는 도입구간(242f), 정체구간(242c), 도출구간(242g)으로 구성되는데, 도입구간(242f)과 도출구간(242g)은 스크류 날(242b)이 일률적인 형태를 가지는 반면, 정체구간(242c)은 다른 구간과는 달리 불규칙한 형태의 독립스크류부(242d)가 구성되어 있고 연결샤프트(242e)의 직경이 작은 관계로 반죽물의 수용량이 많고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아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입구간(242f)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던 반죽물이 정체구간(242c)에서 정체됨에 따라 정체구간(242c)을 통과하는 반죽물은 다른 구간에 비해 느리게 되므로 도입구간(242f)으로부터 밀려오는 반죽물에 의해 가압되면서 반죽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죽유닛(200)은 상기 반죽하우징(241)의 타단에 결합된 채, 반죽부재(240)로부터 반죽이 완료된 반죽물을 상기 압출유닛(300)으로 배출하기 위한 반죽측 노즐(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반죽측 노즐(250)은 도 6에서와 같이, 깔때기 형상의 결합부(251)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하측에 배출구(252a)를 갖는 배출부(25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51)는 상기 지지판(101) 상에 설치되는 지지블록(260)의 내부를 관통하게 설치된 채, 앤드캡(270)에 의해 지지블록(260)에 조임 결합된다.
또한, 반죽유닛(200)은 상기 원료투입롤러(230) 및 반죽스크류(24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수단(2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수단(280)은 도 1, 2에서와 같이, 제1 동력제공유닛(281)과, 상기 제1 동력제공유닛(281)의 회전동력을 원료투입롤러(230) 및 반죽스크류(242)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동력전달유닛(2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282)은 상기 제1 동력제공유닛(281)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반죽스크류(24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전달기어(282a)와,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282a)와 치합된 채, 제1 동력전달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 중 어느 한 원료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 동력전달기어(282b)와,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282b)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제2 동력전달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3 동력전달기어(282c)와, 상기 제3 동력전달기어(282c)와 치합된 채, 제3 동력전달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 중 나머지 한 원료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4 동력전달기어(282d)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압출유닛(300)은 상기 반죽유닛(200)의 하층에 위치한 채, 상기 반죽유닛(200)에서 배출되는 반죽물을 압출하여 일정한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베이스 판(102) 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반죽물 수용모듈(310)과 압출부재(34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반죽물 수용모듈(310)은 반죽물 수용블록(320) 및 반죽물 투입롤러(330)를 포함한다.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320)은 앞선 원료투입모듈(23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 3에서와 같이, 반죽물 수용블록(320)은 사각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반죽유닛(200)의 반죽측 노즐(250)로부터 배출되는 반죽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321)가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입구(321)와 연통되는 설치공간(322)이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간(322)은 상기 반죽물 투입롤러(330)가 설치되는 롤러설치공간(322a)과, 상기 롤러설치공간의 하부에 마련되어 반죽물이 투입됨과 함께 후술될 압출스크류가 설치되는 스크류 설치공간(322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320)의 양측에는 냉각챔버(323)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각 냉각챔버(323)는 커버(324)에 의해 밀봉되되, 이 커버(324)에는 냉각챔버(323)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포트(324a)와, 냉각챔버(323)로부터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냉매배출포트(324b)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출스크류 및 반죽물 투입롤러(330)가 회전구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열을 냉각챔버(323)에 의해 냉각시켜서 열화(degradation)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죽물 투입롤러(330)는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320)의 횡장형 롤러설치공간(322a)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 반죽물 투입롤러(33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320)의 입구(321)를 통해 투입되는 반죽물을 반죽물 수용블록(320)의 스크류 설치공간(322b)으로 강제 투입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330)는 기어처럼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반죽물을 보다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압출부재(340)는 도 7 및 8에서와 같이, 압출하우징(341)과 압출스크류(342)로 구성된다.
상기 압출하우징(341)은 압출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41b)를 가지며,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320)에 결합 지지되는 제1 앤드플레이트(341a)와, 상기 제1 앤드플레이트(341a)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채, 압출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41d)를 갖는 제2 앤드플레이트(341c)와, 상기 제1, 2 앤드플레이트(341a,341c) 사이에서 유입구(341b)와 배출구(341d)를 연통하게 연결하며, 그 내부로는 상기 압출스크류(342)가 관통되는 압출실린더(341e)와, 상기 제1, 2 앤드플레이트(341a,341c)에 양단이 지지된 채 상기 압출실린더(341e)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냉각실린더(341f)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린더(341f)는 상기 압출실린더(341e)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냉각챔버(c)가 형성되도록 이격설치되어 있고, 이 냉각챔버(c)로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포트(341g)와, 냉각챔버(c)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341h)가 각각 마련된다. 특히, 상기 주입포트(341g)와 배출포트(341h)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냉각수가 냉각챔버(c)의 전(全)영역을 경유함에 따라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압출스크류(342)는 도 8에서와 같이, 스크류 샤프트(342a)와, 스크류 날(342b)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342a)는 제2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스크류 날(342b)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342a)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압출하우징(341) 내부의 압출물을 가압 및 이송시키면서 압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압출스크류(342)는 상기 반죽스크류(242)와는 달리 스크류 날(342b)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또한, 압출유닛(300)은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상기 압출하우징(341)의 타단에 결합된 채, 압출부재(340)로부터 압출이 완료된 압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압출측 노즐(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출측 노즐(350)은 도 9에서와 같이, 깔때기 형상의 결합부(351)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에 배출구(352a)를 갖는 배출부(35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351)는 상기 베이스 판(102) 상에 설치되는 지지블록(360)의 내부를 관통하게 설치된 채, 앤드캡(370)에 의해 지지블록(360)에 조임 결합된다.
또한, 압출유닛(300)은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상기 반죽물 투입롤러(330) 및 압출스크류(34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수단(3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구동수단(380)은 제2 동력제공유닛(381)과, 상기 제2 동력제공유닛(381)의 회전동력을 반죽물 투입롤러(330) 및 압출스크류(300)로 전달하기 위한 제2 동력전달유닛(3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382)은 도 1, 2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동력제공유닛(381)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압출스크류(34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 동력전달기어(382a)와, 상기 제5 동력전달기어(382a)와 치합된 채, 제5 동력전달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 중 어느 한 반죽물 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6 동력전달기어(382b)와, 상기 제6 동력전달기어(382b)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제6 동력전달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7 동력전달기어(382c)와, 상기 제7 동력전달기어(382c)와 치합된 채, 제7 동력전달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 중 나머지 한 반죽물 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8 동력전달기어(382d)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연소촉매의 원료인 분말원료를 반죽하기 위한 바인더를 원료투입블록(220)의 입구(221)로 투입하면, 투입되는 분말원료 및 바인더는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230)의 사이를 통해 스크류 설치공간(222b)로 공급된다.
스크류 설치공간(222b)로 공급되는 분말원료 및 바인더는 스크류 설치공간 내에서 회전되고 있는 반죽스크류(242)에 의해 반죽되면서 반죽하우징(241)의 내부로 이송된다.
반죽하우징(241)의 내부로 이송된 반죽물은 반죽하우징(24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반죽스크류(242)의 정체구간(242c)에 의해 보다 강력하게 반죽된 후, 반죽측 노즐(250)의 선단 하측에 마련된 배출구(252a)를 통해 하층에 위치하는 압출유닛(300)의 반죽물 수용블록(320)으로 전달된다.
빈죽물 수용블록(320)으로 전달되는 반죽물은 반죽물 투입롤러(330)의 사이를 통해 스크류 설치공간(322b)로 공급된다.
스크류 설치공간(322b)으로 공급되는 반죽물은 스크류 설치공간 내에서 회전되고 있는 압출스크류(342)에 의해 반죽되면서 공간이 협소한 압출하우징(341)의 내부를 통과할 때 강하게 압출된 후, 압출측 노즐(350)의 배출구(352a)를 통해 일정한 형태로 연속압출되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소촉매를 반죽 및 압출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양질의 제품을 양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101 : 지지판 102 : 베이스 판
200 : 반죽유닛 210 : 원료투입모듈
220 : 원료투입블록 230 : 원료투입롤러
240 : 반죽부재 241 : 반죽하우징
242 : 반죽스크류 243 : 방해돌기
250 : 반죽측 노즐 280 : 제1 구동수단
300 : 압출유닛 310 : 반죽물 수용모듈
320 : 반죽물 수용블록 330 : 반죽물 투입롤러
340 : 압출부재 350 : 압출측 노즐
360 : 지지블록 370 : 앤드캡
380 : 제2 구동수단

Claims (9)

  1. 원료투입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를 반죽하우징 내에서 반죽스크류에 의해 반죽한 후 하향 배출하는 반죽유닛; 및
    상기 반죽유닛의 하층에 위치한 채, 상기 반죽유닛에서 배출되는 반죽물을 반죽물 수용모듈을 통해 수용하고, 이를 압출하우징 내에서 압출스크류에 의해 압출한 후 노즐을 통해 특정 형태로 연속성형하는 압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유닛과 반죽유닛은 별개로 구성되되,
    상기 압출유닛은 베이스 판 상에 안착 설치되고,
    상기 반죽유닛은 상기 베이스 판의 상측에 받침대에 의해 받침된 상태로 배치되는 지지판 상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반죽유닛의 말단에 설치되는 반죽측 노즐의 출구 직하방에는 반죽물 수용모듈의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반죽측 노즐의 출구와 반죽물 수용모듈의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상기 반죽물 수용모듈로 투입되는 반죽물의 상태 확인이 가능토록 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죽스크류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반죽하우징은,
    상기 반죽스크류의 외주면 절반을 감싸는 반원통형의 제1 반죽하우징과, 상기 반죽스크류의 나머지 외주면 절반을 감싸는 반원통형의 제2 반죽하우징이 원형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 반죽하우징의 원형 결합을 용이하게 또한 견고하게 하기 위해 어느 한 반죽하우징의 결합면은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반죽하우징의 결합면에는 돌출부가 취합되는 요입부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죽하우징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나사형의 방해돌기가 다수개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죽스크류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로 구성되되,
    상기 반죽스크류의 반죽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스크류 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독립스크류부와, 상기 독립스크류부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샤프트부로 이루어져, 반죽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정체구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모듈은,
    상측의 입구를 통해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가 투입되는 원료투입블록; 및
    상기 원료투입블록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연소촉매용 분말원료 및 바인더를 원료투입블록의 내부로 강제 투입시키는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원료투입블록의 양측에는 냉각유체가 출입되는 냉각챔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 및 반죽스크류는 제1 동력제공유닛 및 제1 동력전달유닛에 의해 연동되되,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제1 동력제공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반죽스크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된 채, 제1 동력전달기어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 중 어느 한 원료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제2 동력전달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3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3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된 채, 제3 동력절단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 중 다른 한 원료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4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반죽하우징의 외면에는 냉각유체가 출입되는 횡장형의 냉각챔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 수용모듈은,
    상측의 입구를 통해 상기 반죽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반죽물을 수용하는 반죽물 수용블록; 및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입구를 통해 수용되는 반죽물을 반죽물 수용블록의 내부로 강제 투입시키는 반죽물 투입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반죽물 수용블록의 양측에는 냉각유체가 출입되는 냉각챔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 및 압출스크류는 제2 동력제공유닛 및 제2 동력전달유닛에 의해 연동되되,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제2 동력제공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압출스크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5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된 채, 제5 동력전달기어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 중 어느 한 반죽물 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6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6 동력전달기어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제6 동력전달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7 동력전달기어;
    상기 제7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된 채, 제7 동력전달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반죽물 투입롤러 중 다른 한 반죽물 투입롤러를 회전시키는 제8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하우징은,
    압출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제1 앤드플레이트;
    상기 제1 앤드플레이트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채, 압출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제2 앤드플레이트;
    상기 제1, 2 앤드플레이트 사이에서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통되게 연결하며, 그 내부로는 압출 스크류가 관통되는 압출실린더; 및
    상기 제1, 2 앤드플레이트에 양단이 고정된 채, 압출실린더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냉각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압출실린더의 외부를 감싸고 있으며, 냉각챔버로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포트 및 냉각챔버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가 각각 마련된 냉각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KR1020170018419A 2017-02-10 2017-02-10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KR10178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19A KR101788648B1 (ko) 2017-02-10 2017-02-10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19A KR101788648B1 (ko) 2017-02-10 2017-02-10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648B1 true KR101788648B1 (ko) 2017-11-03

Family

ID=6038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419A KR101788648B1 (ko) 2017-02-10 2017-02-10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6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619B1 (ko) * 2008-07-22 2010-12-07 신일화학공업(주) 연속식 압출기
KR101446809B1 (ko) * 2007-07-25 2014-10-02 부스 아게 연속 합성용 혼합 및 반죽 기계와, 혼합 및 반죽 기계를이용한 연속 합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09B1 (ko) * 2007-07-25 2014-10-02 부스 아게 연속 합성용 혼합 및 반죽 기계와, 혼합 및 반죽 기계를이용한 연속 합성 방법
KR100998619B1 (ko) * 2008-07-22 2010-12-07 신일화학공업(주) 연속식 압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682B2 (en) Extruder screw having paths within the screw, extruder, and extrusion method
US11400632B2 (en) Extruder screw with conveying portions and barrier portions and extrusion methods using the extruder screw and a plurality of barrel blocks
US11220022B2 (en) Extruder screw having paths within the screw, extruder, and extrusion method
US11224991B2 (en) Extruder screw having paths within the screw, extruder, and extrusion method
US4416543A (en) Apparatus for treating powdery rubber mixtures
US6595765B1 (en) Device for homogenizing, mixing and/or granulating chemical substances
CN112423953B (zh) 混合捏合机器
KR101788648B1 (ko) 연소촉매용 반죽 및 압출장치
JP4968828B2 (ja) 樹脂押出機用スクリュー、樹脂押出機、およびペレット製造方法
EP1462235B1 (en) Extruder
EP1960092B1 (en) Device and process for continuous horizontal mixing
KR100756058B1 (ko) 연속 혼련 압출 성형기
KR102086085B1 (ko) 특수형 코니컬 트윈 스크류 압출성형장치
CN114434771A (zh) 一种塑料母粒连续加工装置及方法
CN213344324U (zh) 自动膨化设备
RU2690637C1 (ru) Пресс-гранулятор
JP7058542B2 (ja) 押出機及び混練押出方法
JP2008132703A (ja) 樹脂押出機用スクリュー、樹脂押出機、およびペレット製造方法
CN110711604B (zh) 立式催化剂载体成型系统
CN212021300U (zh) 一种高强度再生橡胶造粒机
RU2778433C2 (ru) Смешивающе-месильная машина
KR20180065802A (ko) 탄소 발열체 열선을 갖는 카본 케이블 이중압출 성형장치
CN202155159U (zh) 转子一字型排列的锥形三转子连续混炼机组
RU2709089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гранулирования измельченного сырья с зубчатыми кольцевыми матрицами в процессе ди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нагрева
JP2003339363A (ja) 食品材料の押出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