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544B1 -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544B1
KR101788544B1 KR1020150164712A KR20150164712A KR101788544B1 KR 101788544 B1 KR101788544 B1 KR 101788544B1 KR 1020150164712 A KR1020150164712 A KR 1020150164712A KR 20150164712 A KR20150164712 A KR 20150164712A KR 101788544 B1 KR101788544 B1 KR 10178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actic acid
acid bacteria
cosmetic composition
skin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647A (ko
Inventor
김민지
이동걸
강승현
김연준
김대현
김효정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5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otbacillus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의 배양물로 구성된 유산균 복합제제, 즉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산균 복합제제의 경우,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표피 분화 유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할 수 있으며, 피부장벽을 강화함으로써 항아토피 효과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Description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for enhancing skin barrier}
본 발명은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otbacillus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의 배양물로 구성된 유산균 복합제제, 즉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는 수많은 균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특히 장(腸) 내에는 약 300 종류, 약 100조(兆)의 세균이 존재하고 그 전체 중량은 약 1kg 정도로서 인체의 총세포수 약 60조개 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장 내 세균들의 집합체인 장내 세균총은 인체에 대한 유익균과 유해균이 일정한 비율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장내 세균총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건강이나 각종 질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종래로부터 역학적 조사나 연구에 의하여 점차 명백해지고 있다.
인간이 건강할 때에는 유산균군(乳酸菌群)에 속하는 유익균으로서 전형적인 비피도박테리움속(Bifidobacterium genus)과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genus)이 우세한 상태로 균형을 유지하며 공존하는 반면, 섭취하는 음식의 양적 또는 질적 변화나, 항생제 사용, 과로, 수면부족, 정신적 스트레스, 또는 환경조건 변화 등을 겪게 되면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이 깨져 유해균의 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설사, 위염, 만성피로나 거친 피부, 간장 장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질병이 유발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 있다.
한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항생물질을 의미하는 안티바이오틱스 (antibiotics)와는 대립 되는 어원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장내의 미생물 균형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 제제 또는 미생물 성분으로 정의되며, 락토바실러스균과 비피더스균 등 유산균이라고 총칭하는 균종이 대표적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은 장내에서 병원균 증식을 억제하고, 장상피세포나 면역세포로 하여금 면역 능력을 조절하는 물질을 생성시키며, 병원균과 경합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이차적으로는 항생제 치료나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해 장내 세균총의 항상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는 비피도박테리움속이나 락토바실러스속의 장내 유용 미생물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유해 미생물 수가 감소 되면 장내 항상성 유지에 유용할 것이라는 사고를 근거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입증되어 왔다. 그러나 모든 프로바이오틱스가 항상 유용한 것은 아니며, 같은 속의 장내 세균이라 하더라도 종에 따라 임상 효과가 있기도 하고, 또는 아예 없는 경우도 있으며, 일부에서는 오히려 임상 경과를 악화시키기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체내의 제 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기타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다. 특히, 표피에서는 인체 내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표피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천연보습인자 (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생활에서 발생 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푸석거리고 촉촉함을 잃어 생기가 없어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피부는 인체가 생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내부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벽 기능, 외부 변화를 인지하기 위한 감각 기능, 체온 조절 기능 등이 가장 대표적인 피부의 기능에 속하며 이들은 모두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내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피부의 기능 중, 특히 피부의 장벽 기능은 주로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질층은 단순한 장벽 기능뿐 아니라 내부의 살아있는 세포층, 즉 표피층이나 진피층의 기능 및 역할, 구조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각질층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피부의 수분 보유능력에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세포외 기질 성분인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각질층의 수분이 저하되어 피부가 본래의 기능을 잃고 거칠어지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필라그린은 표피에 있는 주요 단백질로서, 필라그린의 증가는 정상적인 피부 장벽을 형성하여 피부 수분 증발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히알루론산을 합성을 담당하는 HAS3의 발현과 필라그린의 발현의 증가는 피부 표피의 기능을 유지하고 개선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인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는 다양한 생물학적 신호전달을 비정상적으로 하여 면역불균형을 유발하는 최상위 단백질로, 외부 항원이나 미생물의 접촉 시 피부를 구성하는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 혹은 비만세포에서 생산되는 단백질이다. 이렇게 생산된 TSLP는 다양한 면역적 기전을 통해 면역계를 Th2로 편항시키게 만든다. 근래의 보고에 의하면 TSLP가 아토피 피부염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각질형성세포에서는 TSLP의 농도가 증가한데 반해, 다른 피부염에서는 그 농도가 정상과 비슷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특이한 인자로 알려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를 위해서는 보습제를 꾸준히 바르고, 심할 때는 스테로이드 연고나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한다. 이는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해주는 효과는 있으나 스테로이드 호르몬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피부가 위축되거나 모세혈관이 확장될 수 있고, 오히려 피부장벽 기능의 약화 및 골다공증 유발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 치료에는 뛰어난 효과는 있으면서 부작용은 적은 새로운 기작의 아토피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이 아토피의 환자 700여명으로부터 변을 채취해 검사해 본 결과, 장내 세균의 수가 보통의 건강한 사람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1000분의 1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또한 장내의 유익균과 유해균의 밸런스가 무너져 유해균이 우성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사실로부터, 장내 세균과 면역 기구는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면역 기구의 불안정이나, 장내 세균의 감소 또는 장내 세균의 불균형이 각 계나 각 장기의 기능을 쇠약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아토피 증상을 초래하게 되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갓 태어난 아이의 아토피 증상은 모유를 수유하는 시점에서, 장내의 유산균이 적으므로 역으로 면역 과잉이 일어나 발병할 수 있다. 따라서 장내의 균종이나 균종 간 밸런스를 정상화하지 못한다면 가려움이나 발진 등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없으므로 아토피 증상은 만족스러운 정도로 완화되지 않는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아토피로 고통받는 이유기의 유아나 아동, 청소년은 물론, 성인은 장내세균 즉, 유익균을 충분히 증식시켜 균체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식사(발효 식품, 식물 섬유)를 하는 것이 아토피 증상의 완화 경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는 유산균의 세포표면에 있는 당단백질이 히스타민을 중화시켜 조직이나 혈관세포의 리셉터에 히스타민이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해한다. 그 결과 과잉의 히스타민 반응을 억제하여 알러지 반응과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에 도움을 준다. 임상실험 결과, 일반적인 항히스타민 약제만큼 상기한 유산균이 항알러지 효과를 가져다주지만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알러지 효과는 생균이나 사균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장내 부패성 미생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o pylori)의 생장을 억제하고, 미네랄 흡수 증진, 장내 면역기능 증진, 항암효과,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비타민 B군의 합성능력이 있으며, 장내 정착이 가능한 미생물이다.
또한,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은 비타민 B군, 바이오틴을 생성하며, 간 기능 개선, 상사선 장해의 개선, 지방의 과산화 억제 능력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 작용 및 면역조절 작용을 갖고 있으며, 로타바이러스 감염 억제능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장내 유익세균 중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는 프로바이오틱에 유용한 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요구르트 등 기타 유류식품에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어린아이의 설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타 여러 종류의 성인 및 어린아이의 설사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어린아이의 호흡기 질환 예방, 치료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302505호는 ‘유산균 발효액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황버섯분말을 함유하는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를 접종하여 얻은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미백 및 보습효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과 같이 피부장벽 개선, 보습효과 및 항아토피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otbacillus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otbacillus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의 배양물로 구성된 유산균 복합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표피 분화 유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할 수 있으며, 피부장벽을 강화함으로써 항아토피 효과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0302505 B
J.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Eric B. Brandt et al. J Clin Cell Immunol, 2011, 2(3)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표피 분화 유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할 수 있으며, 피부장벽을 강화함으로써 항아토피 효과를 갖는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산균 복합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용어 ‘유산균 복합제제’란, 세 가지 종의 유산균을 각각 배양하여 얻은 배양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배양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복합제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otbacillus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의 배양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복합제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의 배양물을 1~2 : 1~2 : 1~2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 1 : 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표피 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AS3 및 필라그린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 본원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가 각각의 유산균들(비교예 1-3)에 보다 HAS3 및 필라그린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원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는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담당하는 HAS3 유전자 및 피부 표면에서 보습을 담당하는 천연보습 인자의 전구 단백질인 필라그린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의 피부 표피 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람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확인한 결과, 유산균 복합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control)에 비해 유산균 복합제제를 처리한 군의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이동이 더 활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원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는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표피 분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는 피부장벽 기능을 유지 및 강화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피부보습의 효과뿐만 아니라 표비 분화 효과 또한 우수하므로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아토피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의 항아토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SLP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본원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를 처리함에 따라 TSLP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원발명의 유산균 복합제제는 아토피 피부염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TSLP를 억제함으로써, 아토피를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복합 제제는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표비 분화 효과 및 항아토피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로서 적합하다.
도 1은 HAS3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RA: 레티놀, BL: Bifidobacterium bifidum, LA: Latobacillus acidophilus, LR: Lactobacillus rhamnosus, mix: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
도 2는 필라그린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BL: Bifidobacterium bifidum, LA: Latobacillus acidophilus, LR: Lactobacillus rhamnosus, mix: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
도 3은 표피 분화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에 대한 결과이다(RA: 레티놀, mix: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
도 4는 TSLP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Dex: dexamethasone, mix: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유산균은 자체적으로 분리배양 하였다. 상기한 유산균은 모두 표준균과 유전적 염기서열 유사성이 99% 이상이지만 표현형질이 다소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1: 유산균을 이용한 복합제제 발효물의 제조
유산균을 배양하기 위해 3종의 유산균(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otbacillus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을 MRS media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균 3종을 각각 배양하기 위해 플라스크에 1리터 기준으로 각 55g의 MRS media를 물과 혼합하여 121℃ 15분간 멸균을 실시하였다. 멸균 후 상온에서 27℃까지 냉각 하였고, 동결건조 보관된 종균을 각각 100㎕ 접종하였으며, 최적의 배양을 위해 교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37℃ 항온이 되는 배양기에 약 5일간 배양 및 숙성 기간을 거쳤다. 배양이 완료된 후 3종 각각의 배양액은 0.2um 필터멸균을 실시하였으며, 필터가 완료된 배양액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혼합되었다.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은 2:1:1 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산균을 이용한 복합제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각 유산균의 배양 및 제제 방법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otbacillus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유산균 각각을 액체 MRS 브로스 배지 250㎖에 접종하고 37℃에서 36시간 혐기적으로 정치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균을 액체 MRS 브로스 배지 1L에 다시 접종하여 마찬가지로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였다. 제거된 배양물은 0.2um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 멸균을 실시하였다. 필터가 완료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비교예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비교예 2),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비교예 3) 배양물 각각은 이하 실시되는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유산균 복합 제제의 보습 평가
1) 세포 배양
세포주와 세포 배양인체 각질형성 세포주(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를 10% 우혈청 (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1210-0038)에서 배양하였고, 배양은 모두 37℃, 5% CO2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2) mRNA 발현 조사 (Real time RT-PCR)
사람 각질형성세포에서 유산균 복합 제제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람 각질형성세포를 6 well 세포 배양 접시에 5 x 105의 밀도로 접종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레티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유산균 복합 제제를 각각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회수하여 트리졸 (RNA iso, DAKARA, 일본) 1 ㎖을 첨가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Nanodrop 2000 (Thermo, USA)를 이용해 RNA를 정량한 후, 42 ℃ 에서 55 min, 70 ℃에서 15 min 동안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Reverse Transcriptase Mix, ELPIS biotech, 한국). RT-PCR은 PCR 기계 (Step One Plus, Applied Biosystems, 미국)를 이용하였고 사이버그린 (SYBR Green supermix, Applied Biosystems, 미국)을 HAS3 (hyaluronic acid synthase3), filaggrin, β-actin 프라이머 및 cDNA와 함께 첨가하여 94℃에서 5분 동안 중합효소 활성화, 95℃ 30초, 54℃ 1분, 72℃ 1분간 40 사이클로 중합반응 하였다. 프라이머와 반응 조건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프라이머 이름 서열
HAS3 정방향 5'-CTTAAGGGTTGCTTGCTTGC-3'
HAS3 역방향 5'-GTTCGTGGGAGATGAAGGAA-3'
Filaggrin 정방향 5'-GGCACTGAAAGGCAAAAAGG-3'
Filaggrin 역방향 5'-AAACCCGGATTCACCATAATCA-3'
β-actin 정방향 5'-GGCCATCTCTTGCTCGAAGT-3'
β-actin 역방향 5'-GACACCTTCAACACCCCAGC-3'
그 결과 도 1 내지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는 피부 수분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외 기질 성분인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담당하는 HAS3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레티놀보다 더 높은 효능을 보였다. 또한, 피부 표면에서 보습을 담당하는 천연보습 인자의 전구 단백질인 필라그린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유의적으로 보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는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이고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켜 피부 보습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2: 유산균 복합 제제의 피부 표피 분화 유도 효과
Flex kit ENZ-KIT117(Enzo Life Science, USA)를 사용하여 유산균 복합제제의 피부장벽 강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4-stopper strips이 꽂혀있는 96well plate에 사람 각질형성세포를 3 x 104농도로 100㎕ 씩 접종한 후 18시간 배양한다. Stopper tool로 4-stopper strips를 제거한 후 레티놀, 유산균 복합 제제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다. 이후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control과 시료를 처리한 group에서 4-stopper strips에 의한 원형 공간에 각질형성세포가 어느 정도 찼는지를 현미경으로 촬영한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산균 복합 제제 처리군이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control에 비하여 각질형성세포를 더 많이 증식 및 이동시켰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유산균 복합제제는 표피 분화를 통해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TSLP 저해능 시험
HaCaT (5*105/well)을 분주하고 배양 24시간 후, 인산 완충 식염수 용액(PBS)로 세척하고, 각 웰에 FBS를 넣지 않은 DMEM 배지에 Poly I:C/IL-4와 함께 dexamethasone, 유산균 복합 제제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4시간 후 cDNA를 합성하고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프라이머와 반응 조건은 하기의 표 2와 같다.
프라이머 이름 서열
TSLP 정방향 5'-GCTATCTGGTGCCCAGGCTAT-3'
TSLP 역방향 5'-CGACGCCACAATCCTTGTAAT-3'
β-actin 정방향 5'-GGCCATCTCTTGCTCGAAGT-3'
β-actin 역방향 5'-GACACCTTCAACACCCCAGC-3'
그 결과,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poly I:C와 IL-4에 의해 과발현된 TSLP가 유산균 복합 제제 처리에 따라 억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dexamethasone보다 저해효과가 높았다. (-대조군에 대하여 **: p<0.01; + 대조군에 비하여 ##: p<0.01)

Claims (6)

  1. 유산균 복합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산균 복합제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otbacillus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의 배양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복합제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의 배양물을 1~2 : 1~2 : 1~2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표피 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아토피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64712A 2015-11-24 2015-11-24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712A KR101788544B1 (ko) 2015-11-24 2015-11-24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712A KR101788544B1 (ko) 2015-11-24 2015-11-24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47A KR20170060647A (ko) 2017-06-02
KR101788544B1 true KR101788544B1 (ko) 2017-10-23

Family

ID=5922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712A KR101788544B1 (ko) 2015-11-24 2015-11-24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5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351B1 (ko) 2018-09-10 2019-04-17 (주)더마펌 피부 건조증에 기인한 가려움증 개선을 위한 세포간 지질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리포좀 조성물
KR101975031B1 (ko) 2019-04-02 2019-05-07 (주)에이투젠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atg-f5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8067B1 (ko) 2019-03-29 2019-09-27 (주)지에프씨생명과학 비피도박테리움 속 gfc-b09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물
KR20200002008A (ko)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56423B1 (ko) * 2021-07-02 2022-02-09 (주)에스디생명공학 항균, 피부 보습, 항아토피,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99330B1 (ko) 2022-04-26 2023-02-1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콤부차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복합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97B1 (ko) * 2018-03-09 2019-09-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산균 배양물 혼합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2675B1 (ko) * 2018-12-27 2020-02-28 조형준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2157B1 (ko) * 2022-07-12 2022-12-29 (주)더마랩 황 함유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피부 스트레스 개선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혼합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6077415B (zh) * 2023-02-28 2023-12-26 广东中科卓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调节皮肤微生态平衡的三元益生因子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6016A (ja) * 2005-08-25 2009-02-12 ラボラトワール・リヨサーントル アトピー性皮膚炎の治療のためのシンバイオティック(symbiotic)の使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6016A (ja) * 2005-08-25 2009-02-12 ラボラトワール・リヨサーントル アトピー性皮膚炎の治療のためのシンバイオティック(symbiotic)の使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08A (ko)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45351B1 (ko) 2018-09-10 2019-04-17 (주)더마펌 피부 건조증에 기인한 가려움증 개선을 위한 세포간 지질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리포좀 조성물
KR101998067B1 (ko) 2019-03-29 2019-09-27 (주)지에프씨생명과학 비피도박테리움 속 gfc-b09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물
KR101975031B1 (ko) 2019-04-02 2019-05-07 (주)에이투젠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atg-f5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204260A1 (ko) * 2019-04-02 2020-10-08 (주) 에이투젠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atg-f5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6423B1 (ko) * 2021-07-02 2022-02-09 (주)에스디생명공학 항균, 피부 보습, 항아토피,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99330B1 (ko) 2022-04-26 2023-02-1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콤부차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복합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47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544B1 (ko) 복합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JP5791009B2 (ja) 乳酸菌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飲食物又は化粧品
SG171922A1 (en)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2012533319A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JP2012533290A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KR20180108504A (ko) 초유의 발효산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WO2018155660A1 (ja) 乳酸菌の死菌体又はその処理物を含有する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含む化粧品、生活用品、薬剤又は食品
Pacini et al. Description of a novel probiotic concept: Implications for the modulation of the immune system
Zhao et al. Potential anti-aging effects of fermented wheat germ in aging mice
CN114504599A (zh) 副干酪乳杆菌et-22在抗衰老、提高先天免疫方面的新应用
CN115927122A (zh) 副干酪乳酪杆菌制备的具有促进宿主ha合成并增强ha应用效果的后生元
CN113278544B (zh) 一种副干酪乳杆菌、其发酵液的制备方法、应用及产品
KR20190060556A (ko) 초유 발효산물의 항여드름용 화장료
TW201100086A (en) Lactobacillus plantarum BB9 with gastrointestinal tract adhering ability and cholesterol eliminating capability
CN102742654B (zh) 一种养颜美容益生菌羊奶片及其制备方法
KR20200012236A (ko) 신규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11743921B (zh) 一种副酪蛋白乳酸杆菌或其代谢产物用于制备促进脂肪酸代谢的组合物的用途
CN114703106A (zh) 益生菌GforU-12及应用
CN114711429A (zh) 一株具有增强骨健康作用的罗伊氏乳杆菌及其应用
RU2393214C1 (ru) Иммунобиологическое противоаллерг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штамм lactobacillus acidophilus nkjc, штамм lactobacillus acidophilus jch, штамм lactobacillus acidophilus kaa
RU2805505C2 (ru) Консорциум штаммов бифидобактерий,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ифидосодержащей продукции
RU2180915C1 (ru) Консорциум бифидобактерий и лактобацилл,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актериальных препаратов, заквасок для кисломол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х и не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коррекции микрофлоры детей в возрасте до 3-х лет
Thaer et al. Comparing the effect of probiotic and chlorhexidine as a mouth rinses in bacterial plaque
RU2460777C1 (ru) Штамм bifidobacterium longum,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фидосодержащей продукции
KR102615130B1 (ko) 초유의 발효산물의 항아토피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