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592B1 -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592B1
KR101787592B1 KR1020160165373A KR20160165373A KR101787592B1 KR 101787592 B1 KR101787592 B1 KR 101787592B1 KR 1020160165373 A KR1020160165373 A KR 1020160165373A KR 20160165373 A KR20160165373 A KR 20160165373A KR 101787592 B1 KR101787592 B1 KR 10178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window
inspection window
floor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호
Priority to KR102016016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패널이나 다공패널로 구성되며, 몸체(101) 중앙에 점검구(102)가 구비되고, 점검구(102) 내면에 다수의 띠체결공(103)이 구비된 바닥패널(100); 상부로 여닫히도록 바닥패널(100)의 내면 일측에 힌지(230)로 설치되어 점검구(102)를 개폐하는 점검창(200); 점검구 내면에 부착되어 점검창(200)이 처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받침띠(110); 점검구(102)와 점검창(200) 양쪽에 설치되어 점검창의 여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가스실린더(400);로 구성하여 점검창(200)의 열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점검창(200)은, 일부위 또는 모든 부위가 투명한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면서 나사(240)로 조립되도록 표면에 다수의 체결공(211)이 구비된 메인점검창(210)과 나사공(221)이 다수 구비된 보조점검창(220)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 사이에는 장비의 오동작 방지 및 주의를 요하는 주의표시(301) 또는 밸브의 설명이나 조정 및 검사방법과 배관의 내용물 흐름도에 대한 설명서(302)를 투명부위를 통해 보이도록 설치하여 점검 및 보수할 부분에 대한 사전 숙지를 정확하게 함으로서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Manufacturing Clean Rooms equipped with a floor panel structure is jeomgeomchang}
본 발명은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린룸의 바닥패널 중 일부에 점검창이 구비된 바닥패널을 설치하여 그 구간의 설비 조정 및 변경이 필요할 경우 점검창만을 쉽게 열어서 작업을 행하고, 점검창에 구비된 주의사항이나 설명서에 의해 오동작 방지 및 주의할 사항, 조정방법, 검사방법, 배관의 내용물 흐름 방향 등을 쉽게 숙지하여 작업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점검창이 구비된 크린룸용 바닥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룸은 반도체 등과 같이 오염에 민감한 부품이나 기재를 생산하는 곳으로서, 상기 오염에 민감한 부품이나 기재 생산에 매우 중요한 온도ㆍ습도를 엄격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클린룸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패널은 콘크리트 바닥면이나 H-빔 등의 건축 구조물 위에 패널용 받침지주(포스트)를 바둑무늬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 설치하고 그 위에 바닥패널을 연속 조립하는 이중 마루시스템(Raised Access Floor System)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이중 마루시스템을 이루는 바닥패널은 시공할 때 사람과 지게차 등과 같은 장비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시공된 후에는 생산을 위해 바닥패널 위에 놓이는 각종 장비의 무거운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켜서 균열되거나 침하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바닥패널은 금속철판으로 만들어지거나 알루미늄 재질로 다이캐스팅 되어 만들어지며 상부에 돌출된 곳이 없이 매끈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바닥패널의 표면에는 전도성 저항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타일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바닥패널은 일반 패널과 다공패널(Perforated panel)로 구분되며, 일반 패널은 에어홀이 없는 상태로 만들어지는 패널을 말한다.
상기 다공패널은 클린룸의 온도ㆍ습도 조절을 위해 필요한 개구율에 따라 소정 크기의 작은 에어홀들이 타일을 포함하여 무수히 뚫린 패널로서, 한류공기의 방지나 특수기계의 발열에 따른 과열방지가 요구되는 곳 또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 조절과 먼지, 분진, 미립자 등의 흡수 제거를 위해 공조용 덕트(풍도)가 설치되는 곳에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다공패널은 대부분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주조 방식에 의해 에어홀이 없는 상태로 가로와 세로 길이가 통상 600 mm × 600 mm 이 되는 패널몸체로 먼저 제조된 후 패널몸체 상판에 Ø8 ~ Ø9mm 의 작은 에어홀들을 개구율에 따라 1000~1300개 정도 뚫어서 형성하고 있다.
일례로 개구율 18%인 1장의 다공패널에는 Ø9 × 1024개의 에어홀이 형성되고, 개구율 20%인 1장의 다공패널에는 Ø8.5 × 1296개의 에어홀이 형성되며, 개구율을 10%로 할 경우에는 1000개 이하의 에어홀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에어홀 개수는 개구율 및 홀 크기에 따라 변경된다.
그리고 패널몸체의 에어홀이 형성되는 상판은 대부분 약 2~3mm 두께(t)로 형성되며, 상판에서 저면(밑면) 까지의 전체 두께는 약 45~50mm 정도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바닥패널은 받침지주(포스트)에 받쳐져 설치되므로 바닥패널의 저면에는 일정 높이의 공간부가 확보되며, 그 공간부를 이용하여 바닥패널 위에 놓인 각종 장비의 유틸리티라고 할 수 있는 수많은 배선 케이블(전선, 전화선, 네트웍 케이블)과 물이나 가스가 통과되는 각종 배관 등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클린룸에 설치되는 바닥패널과 관련하여 개발된 선행기술로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2-0028414호 (2002.04.17.공개)의 "클린룸용 바닥판넬의 보강 지지구와 지지방법 및 구조"(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가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클린룸의 바닥패널 저면에 설치된 배관의 조절밸브를 설치하고 게이지를 설치할 경우가 생기면 바둑 무늬와 같이 격자 형태로 설치된 수많은 바닥패널 중 일부를 들어내고 밸브를 조절하거나 점검을 하여야만 한다.
그런데, 상기 바닥패널 1장의 무게가 작게는 8kg 에서 많게는 25kg에 달하기 때문에 이를 일일이 들고 내리기가 매우 힘들며, 다시 놓았을 때 평면을 맞추기가 여간 쉽지 않은 관계로 자주 열고 닫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케이블과 배관의 유지 보수에 따른 작업을 원활히 행하지 못하였다.
특히 수시로 점검을 하고 수리를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무거운 바닥패널 자체를 들어올리기가 어려워서 자주 수리 및 점검하는 과정을 생략하거나 대충하게 되면 그로 인해 생산성 및 품질이 상당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개발된 선행기술로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27606호(2014.09.25.공고)의 "힌지개폐식 청정실용 안전도어"(이하 '선행기술 2'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청정실용 플로어의 일정 지점에 하나 이상 관통면을 형성하고, 그 관통면 테두리에 결합되는 사각프레임 상부에는 투명재질의 개폐판을 힌지 결합하고, 사각프레임 하부에는 와이어메쉬망이 구비된 제1와이어프레임을 설치하되 제1와이어프레임은 내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는 돌출부 및 다수의 절개로를 형성한 것으로서, 힌지 결합된 개폐판을 이용하여 하부층의 배선 작업 등이 가능하고 추락방지용 안전망에 의해 작업 안전성이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2는 플로어의 관통면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프레임의 내부 저면에 추락방지용 와이어메쉬망이 설치된 제1와이어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어서 그 상부에 서러치되는 투명 개폐판은 그만큼 얇은 두께로 설치될 수밖에 없으며, 개폐판이 얇으면 그 위를 지나다니는 지게차 등의 장비에 의해 쉽게 파손될 위험이 있다.
특히 개폐판을 여닫기 위한 경첩이 사각프레임과 개폐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경첩의 힌지핀 부위가 상부로 돌출되거나 할 경우 지게차나 장비 이동시 간섭을 받아 설치 상태에 변화가 생김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진다.
또한 개폐판 하부에 와이어메쉬망을 지지하기 위해 제1와이어프레임 및 제2와이어프레임을 설치할 경우 그만큼 투명 개폐판은 더 얇게 설치될 수밖에 없어서 개폐판이 작은 하중에도 쉽게 파손된다.
또한, 투명 개폐판은 경첩에 의해서만 열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폐판을 열어 세워놓았을 때 경첩이 무거운 개폐판 하중을 그대로 지탱하여야 하므로 얼마 못 가 경첩이 떨어지게 되며, 열린 개폐판은 외부에서 약간의 충격만 가해져도 저절로 닫히게 되므로 안전 사고가 자주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2-0028414호 (2002.04.17.공개)의 "클린룸용 바닥판넬의 보강 지지구와 지지방법 및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27606호(2014.09.25.공고)의 "힌지개폐식 청정실용 안전도어"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린룸의 바닥패널 중 일부 구간에서 바닥패널을 들어내고 설비 조정 및 변경이 필요할 경우 바닥패널 자체를 들어내지 않고 점검창만을 쉽고 안정적으로 열어서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점검창이 구비된 크린룸용 바닥패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점검창에 구비된 주의사항이나 설명서를 이용하여 오동작 방지 및 주의할 사항, 조정방법, 검사방법, 배관의 내용물 흐름 방향 등을 사전에 숙지하도록 하여 점검 및 보수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바닥패널 위를 지나다니는 지게차와 같은 공사장비나 생산장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갖는 점검창이 구비된 크린룸용 바닥패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클린룸의 이중마루시스템용 바닥패널을 일반패널이나 다공패널로 구성하되, 몸체 중앙에 일정 크기의 점검구가 구비되고, 점검구 테두리 내면 하단에 다수의 띠체결공이 구비된 바닥패널; 손잡이공에 의해 상부로 여닫히도록 바닥패널의 내면 일측에 힌지로 설치되어 점검구를 개폐하는 점검창; 점검구의 띠체결공에 부착되어 점검창이 처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받침띠; 점검구의 양쪽 테두리 내면과 점검창 양쪽에 설치되어 점검창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가스실린더(가스스프링);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점검창을, 일부위 또는 모든 부위가 투명한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되어 나사로 조립되는 메인점검창 및 보조점검창으로 분리 구성하되 오동작 방지 및 주의를 요하는 주의표시 또는 밸브의 설명이나 조정방법, 검사방법, 배관의 내용물 흐름 방향에 대한 설명도를 메인점검창과 보조점검창의 투명부위를 통해 보이도록 표시하거나 설치하고, 이때 메인점검창은 20mm 내외의 두꺼운 두께로, 보조점검창은 5~8mm의 얇은 두께로 구성하면 점검창이 약 24~30mm 로 두꺼운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클린룸의 바닥패널 중 일부 구간에서 바닥패널을 들어내고 설비 조정 및 변경이 필요할 경우, 종래처럼 1장의 무게가 8kg 내지 25kg에 달하는 바닥패널 자체를 들어내지 않고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소재의 점검창 만을 가스실린더를 이용하여 최대한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열 수 있으며, 열린 점검창은 가스실린더에 의해 열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점검 및 보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검창을 메인점검창과 보조점검창으로 조립되도록 형성하되 그 내부면에 구비된 그 구간의 주의사항이나 설명서를 투명한 부위를 통해 오동작 방지 및 주의할 사항, 조정방법, 검사방법, 배관의 내용물 흐름 방향 등을 사전에 숙지할 수 있어 점검 및 보수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점검창과 보조점검창으로 이루어진 점검창을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하더라도 그 두께가 24~30mm에 달하므로 바닥패널 위를 지나다니는 지게차와 같은 공사장비나 생산장비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서 점검창이 장비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닥패널에 점검창이 실시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닥패널에 점검창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점검창이 다공패널과 일반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의 바닥패널에서 보조점검창을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닥패널에서 점검창이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닥패널에서 점검창이 열리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서 점검창에 설치되는 필름지의 기재 내용을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 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닥패널에 점검창이 실시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닥패널에 점검창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점검창이 다공패널과 일반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은 클린룸의 이중마루시스템용으로 설치되는 바닥패널을 아래와 같이 구성한 것이다.
즉, 에어홀이 없는 일반패널(100b)이나 에어홀(104)이 무수히 형성되는 다공패널(100a)로 만들어지는 바닥패널(100)은 몸체(101) 중앙에 일정 크기의 점검구(102)가 구비되고, 점검구(102)의 테두리 내면 하단에는 다수의 띠체결공(103)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패널(100)의 점검구(102)에는 일측에 손잡이공(250)이 형성된 점검창(200)이 일측에 부착되는 힌지(230)에 의해 상부로 여닫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닥패널(100)의 점검구(102) 테두리 내면의 띠체결공(103)에는 상부의 점검창(200)이 닫혔을 때 점검창(200)을 받쳐주어 처짐을 방지하는 받침띠(110)가 나사(111)로 부착된다.
그리고 점검구(102)의 양쪽 테두리 내면과 점검창(200)의 힌지(230)가 있는 저면 양쪽에는 점검창(200)의 여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가스실린더(가스스프링)(400)가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0)은 일반패널(100b)이나 다공패널(100a)의 표면에 부착되는 전도성 저항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타일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클린룸 바닥에 설치되는 수많은 바닥패널(100)(일반패널과 다공패널) 중 배관에 밸브를 달아 필요한 설비들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 또는 수시로 점검을 필요로 하는 부위마다 본 발명의 바닥패널(100)을 설치하면 된다.
즉, 클린룸의 설비 조정 또는 수시 점검을 하고자 할 때 종래와 같이 1장의 무게가 8kg 내지 25kg에 달하는 무거운 바닥패널(100) 자체를 힘들게 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바닥패널(100)의 점검구(102)에 설치된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소재의 점검창(200) 만을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열어서 설비의 조정이나 점검 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및 도 4b 와 같이 점검창(200)이 점검구(102)에 닫힌 상태로 바닥패널(100)이 놓인 상태에서 설비의 조정이나 수시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 와 같이 손잡이공(250)을 이용하여 점검창(200)을 위로 들어 올리면 점검창(200)은 힌지(230)를 기점으로 위로 회전되어 열리게 된다.
이때 저면 양단에 설치된 가스실린더(400)는 점검창(200)을 닫을 때는 힘(압력)을 저장하고 점검창(200)을 열 때는 가스 압력으로 열리도록 힘을 가하여 주므로 작업자가 큰 힘을 주지 않고서도 점검창(200)을 쉽게 열 수 있는 것이며, 점검창(200)이 완전히 열리면 가스 압력을 스스로 닫아서 점검창(200)이 쉽게 닫히지 않도록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문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5 에서는 점검창(200)을 직각이 안되는 각도의 열린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점검창(200)은 가스실린더(400)의 압력과 로드를 조절하여 직각 또는 그 이상으로 열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린 점검창(200)은 가스실린더(400)의 가스압력에 의해 열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작업 도중 원하지 않는 물리적 충격이 외부에서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이 가스실린더(400)의 가스압력 범위 내의 것이라면 점검창(200)은 열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뿐 쉽게 닫히지 않으므로 불시에 점검창(200)이 닫힘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의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열린 점검창(200)을 작업자가 가스실린더(400)의 가스 압력보다 큰 힘을 가하여 닫으면 점검창(200)은 서서히 내려가 점검구(102)에 닫히게 되며, 이때 점검창(200)은 점검구(102) 테두리 하단에 설치된 받침띠(110)에 받쳐진다.
여기서 상기 받침띠(110)는 점검창(200)이 밑으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해주며, 점검창(200)에서 받는 하중을 바닥패널(100)의 몸체(101)로 분산시키는 역활을 하여 주므로 점검창(200)은 받침띠(110)에 의해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받쳐진 상태로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점검창(200)은, 도 1 및 도 4a 와 같이 보조점검창(220) 및 보조점검창(220)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메인점검창(210)으로 분리 구성하되, 메인점검창(210)의 표면에는 다수의 체결공(211)을 형성하고, 보조점검창(220)은 메인점검창(210)의 체결공(211)에 나사(240)로 조립되도록 다수의 나사공(221)을 구비하여 메인점검창(210) 표면에 조립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구간별로 작업자의 오동작 방지 및 주의를 요하는 주의표시(301) 또는 밸브의 설명이나 조정방법, 검사방법, 배관의 내용물 흐름도에 대한 설명서(302)를 상기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의 접촉면 중 어느 한쪽 면에 도시하거나 또는 도 6 과 같이 상기 주의표시(301)나 설명서(302)가 도시된 필름지(300)를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지(300)는 이면에 점착제와 보호지를 구비하여 보호지를 떼어내면 이면의 점착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인점검창(210)에 보조점검창(220)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4a 와 같이 나사(240)를 풀면 보조점검창(220)을 메인점검창(210)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사이에 설치되는 주의표시(301)나 설명서(302)를 필요시마다 수시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하면 그 투명 소재를 통해 내부에 표시된 주의표시(301)나 설명서(302)를 신속 간편하게 숙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점검창(200)을 열고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그 구간의 배관에 밸브를 새로 달아 필요한 설비들을 조정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것이며, 그에 대하여 변경되거나 보수된 주의표시(301)나 설명서(302) 또는 이들이 도시된 필름지(300)를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 사이에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언제라도 이를 이용하여 점검 및 보수할 부분에 대한 숙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의 접촉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상기 필름지(300)가 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필름지부착용 홈부를 구획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창(200)을 구성하는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 중 일부위 또는 모든 부위를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하되 메인점검창(210)은 20mm 내외의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고, 보조점검창(220)은 5~8mm의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점검창(200)을 구성하는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 모두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경우 점검창(200)을 굳이 열지 않고서도 점검할 부위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으로 이루어진 점검창(200)의 두께가 약 24~30mm 로 형성됨에 따라 바닥패널(100) 위를 지나다니는 지게차와 같은 공사장비나 생산장비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를 유지하므로 공사장비나 생산장비가 수시도 지나다니더라도 점검창(200)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없어 내구성이 매우 좋은 것이다.
100 : 바닥패널 100a: 다공패널
100b: 일반패널 104 : 에어홀
102 : 점검구 103 : 띠체결공
110 : 받침띠 111,221 : 나사
120 : 타일 200 : 점검창
210 : 메인점검창 211 : 체결공
220 : 보조점검창 221 : 나사공
300 : 필름지 301 : 주의표시
302 : 설명서 400 : 가스실린더

Claims (3)

  1. 에어홀이 없는 일반패널(100b)이나 에어홀(104)이 무수히 형성된 다공패널(100a)로 클린룸의 이중마루시스템용 바닥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101) 중앙에 일정 크기의 점검구(102)가 구비되고, 점검구(102)의 테두리 내면 하단에 다수의 띠체결공(103)이 구비된 바닥패널(100);
    바닥패널(100)의 점검구(102) 테두리 내면 일측에 부착되는 힌지(230) 및 타측의 손잡이공(250)에 의해 상부로 여닫히도록 설치되어 점검구(102)를 개폐하는 점검창(200);
    점검구(102) 테두리 내면의 띠체결공(103)에 나사(111)로 부착되며, 상부에 놓이는 점검창(200)을 받쳐주어 처짐을 방지하는 받침띠(110);
    점검구(102)의 양쪽 테두리 내면과 점검창(200)의 힌지(230)가 있는 저면 양쪽에 설치되어 점검창(200)의 여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가스실린더(400);로 구성하여 설비의 조정 및 변경시 점검창(200)만을 손쉽게 열어서 작업을 안전하게 하도록 하되
    상기 점검창(200)은, 일부위 또는 모든 부위가 투명한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면서 나사(240)로 조립되도록 표면에 다수의 체결공(211)이 구비된 메인점검창(210)과 나사공(221)이 다수 구비된 보조점검창(220)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메인점검창(210)과 보조점검창(220) 사이에는 장비의 오동작 방지 및 주의를 요하는 주의표시(301) 또는 밸브의 설명이나 조정 및 검사방법과 배관의 내용물 흐름도에 대한 설명서(302)를 투명부위를 통해 보이도록 설치하여
    점검 및 보수할 부분에 대한 사전 숙지를 정확하게 함으로서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창이 구비된 크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60165373A 2016-12-06 2016-12-06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KR10178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73A KR101787592B1 (ko) 2016-12-06 2016-12-06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73A KR101787592B1 (ko) 2016-12-06 2016-12-06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592B1 true KR101787592B1 (ko) 2017-10-19

Family

ID=6029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373A KR101787592B1 (ko) 2016-12-06 2016-12-06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5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47B1 (ko) * 2019-05-16 2020-04-16 신지원 제전성 투명 그레이팅
TWI730668B (zh) * 2020-03-11 2021-06-11 惠亞工程股份有限公司 視窗模組
KR20220160321A (ko) * 2021-05-27 2022-12-06 한국전력공사 플로어 패널
KR102632824B1 (ko) 2022-12-23 2024-02-05 주식회사 서호 점검 도어가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323A (ja) * 1998-08-19 2000-02-29 Yokohama Yoshikura:Kk 共同溝点検口の開閉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323A (ja) * 1998-08-19 2000-02-29 Yokohama Yoshikura:Kk 共同溝点検口の開閉機構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47B1 (ko) * 2019-05-16 2020-04-16 신지원 제전성 투명 그레이팅
WO2020231233A1 (ko) * 2019-05-16 2020-11-19 신지원 제전성 투명 그레이팅
CN113874588A (zh) * 2019-05-16 2021-12-31 申智媛 抗静电性透明光栅
CN113874588B (zh) * 2019-05-16 2023-11-17 申智媛 抗静电透明光栅
TWI730668B (zh) * 2020-03-11 2021-06-11 惠亞工程股份有限公司 視窗模組
KR20220160321A (ko) * 2021-05-27 2022-12-06 한국전력공사 플로어 패널
KR102485028B1 (ko) 2021-05-27 2023-01-06 한국전력공사 플로어 패널
KR102632824B1 (ko) 2022-12-23 2024-02-05 주식회사 서호 점검 도어가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592B1 (ko)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US9267252B1 (en) Removable flood control cover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y vents and openings
US20150096695A1 (en) Privacy Screen
US20110203210A1 (en) Profile-bending means for frame to be pocketed
DE112014001831T5 (de) Opakes Außenwandelement mit verdecktem Rahmen
WO2022243883A1 (en) Apparatus for installing a frame of a fixture
KR10126875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CA2508389A1 (en) Projection window operator
JP6973013B2 (ja) ブローアウト装置
JP5738646B2 (ja) クリーンルーム内床開口作業用囲い
JP612051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スタンド
US20140360110A1 (en) Protective structure for tables and optical table comprising said protective structure
CN108301640A (zh) 移动板房
KR20170141513A (ko) 천장 점검구
CN204850468U (zh) 大型建筑幕墙检测安装箱体
JP2021105333A (ja) 天井点検口
CN211136045U (zh) 防火门板体焊接加工固定安装支架
JP5751943B2 (ja) 防煙垂壁取り付け装置
US20080056853A1 (en) Mechanical load bearing device
JP534391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耐久性試験装置
JP3164750U (ja) ユニットハウス用空調機一体型パネル
KR102632824B1 (ko) 점검 도어가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JP7265709B2 (ja) 設備架台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建物
JPH11131676A (ja) 天井漏水からの防護設備
KR102117423B1 (ko) 표준시공 부재 종류의 위치가 표시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