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028B1 - 플로어 패널 - Google Patents

플로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028B1
KR102485028B1 KR1020210068398A KR20210068398A KR102485028B1 KR 102485028 B1 KR102485028 B1 KR 102485028B1 KR 1020210068398 A KR1020210068398 A KR 1020210068398A KR 20210068398 A KR20210068398 A KR 20210068398A KR 102485028 B1 KR102485028 B1 KR 10248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caffolding
floor panel
protrud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321A (ko
Inventor
김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02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dders (AREA)

Abstract

플로어 패널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은: 베이스몸체부와, 베이스몸체부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설정 깊이를 가지는 수용홈부와, 베이스몸체부에 수용홈부와 이격되게 개구된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홈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수용홈부에 배치되고, 덮개부의 개방시 노출되는 발판부; 발판부와 연결되고, 발판부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 및 회전부와 연결되고,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관통홀부에서 출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어 패널{FLOOR PANEL}
본 발명은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부의 가압에 의해 플로어 패널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플로어 패널은 손잡이를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손잡이와 플로어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경우, 이물질이 고착화되어 손잡이의 작동이 원할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7592호(2017.10.12. 등록, 발명의 명칭: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부의 가압에 의해 플로어 패널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로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은: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설정 깊이를 가지는 수용홈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에 상기 수용홈부와 이격되게 개구된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수용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의 개방시 노출되는 발판부; 상기 발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발판부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부에서 출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수용홈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발판플레이트부; 일단이 상기 발판플레이트부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발판로드부; 및 상기 수용홈부와 상기 발판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발판플레이트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플레이트부의 폭은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홀부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몸체부에서 돌출된 베이스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로드부; 상기 회전로드부의 일단부에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로드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장공부; 및 상기 회전로드부의 타단부에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장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장공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로드부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손잡이승강부; 및 상기 손잡이승강부에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관통홀부에서 출몰되는 손잡이출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출몰부는, 상기 손잡이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관통홀부에서 출몰되는 역 U자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출몰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손잡이출몰몸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손잡이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부에 걸리는 스톱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베이스몸체부의 삽입홈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하는 덮개몸체부; 및 상기 덮개몸체부에 돌출 형성되는 덮개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에 의하면, 베이스부의 하부에 손잡이부가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손잡이부의 돌출에 의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부의 미사용시 덮개부로 발판부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 상에서 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부의 가압에 의해 회전부가 회전되면서 손잡이부가 베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베이스부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에서 손잡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에서 손잡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베이스부(100), 덮개부(200), 발판부(300), 회전부(400), 손잡이부(5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배치된 기기함(미도시)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손잡이부(500)의 승강에 의해 기기함을 개폐한다. 기기함은 내부 공간에 전기 장치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베이스부(100)는 베이스몸체부(110), 수용홈부(120), 관통홀부(130)를 포함한다. 베이스몸체부(110)는 기기함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베이스몸체부(110)의 하부는 기기함의 외측면을 감싸게 형성된다.
베이스몸체부(110)에는 삽입홈부(111)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삽입홈부(111)는 덮개부(200)의 덮개몸체부(21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수용홈부(120)는 베이스몸체부(110)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설정 깊이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수용홈부(12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부(120)는 내부 공간에 덮개부(200)를 수용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부(100)는 베이스로드부(14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로드부(140)는 베이스몸체부(110)의 일측(도 2 기준 하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정 길이를 가지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로드부(140)의 단부(도 2 기준 하단부)에 회전부(400)의 회전로드부(4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부(400)의 회전로드부(410)는 베이스로드부(140)에 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덮개부(200)는 베이스몸체부(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홈부(120)를 개폐한다. 미사용시 덮개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수용홈부(120)를 커버하여 보행할 수 있게 한다. 사용시 덮개부(200)는 베이스몸체부(110)의 삽입홈부(111)에 슬라이드 이동으로 삽입되어 발판부(300)를 노출되게 한다.
덮개부(200)는 덮개몸체부(210)와 덮개돌출부(220)를 포함한다. 덮개몸체부(210)는 베이스몸체부(110)의 삽입홈부(1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홈부(120)를 개폐한다.
덮개돌출부(220)는 덮개몸체부(210)에 돌출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20)는 덮개몸체부(210)에서 상측(도 2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 또는 손으로 밀어 덮개몸체부(210)가 베이스몸체부(110)의 삽입홈부(111)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덮개돌출부(220)에 의해 덮개몸체부(21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홈부(120)를 개폐함으로써, 베이스부(100) 상에서 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발판부(300)는 수용홈부(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덮개부(200)의 개방시 노출된다. 덮개부(200)가 개방된 발판부(300)를 사용자가 발 또는 손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회전부(400)를 회전시킨다.
발판부(300)는 발판플레이트부(310), 발판로드부(320), 탄성부(330)를 포함한다. 발판플레이트부(310)는 수용홈부(120)의 내부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발판플레이트부(310)는 원형플레이트 또는 사각플레이트 등의 다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발판로드부(320)는 일단(도 4 기준 상단)이 발판플레이트부(310)에 장착되고, 타측(도 4 기준 하단)이 회전부(400)의 제1장공부(420)와 연결된다. 발판로드부(320)는 제1장공부(420)에 핀으로 연결된다.
탄성부(330)는 수용홈부(120)와 발판플레이트부(310) 사이에 개재되고, 발판플레이트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330)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가압으로 하강하는 발판플레이트부(310)에 의해 압축된다. 발판플레이트부(310)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330)는 발판플레이트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발판플레이트부(310)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발판플레이트부(310)의 폭(W1)은 수용홈부(120)의 개구홀부(121)의 폭(W2)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수용홈부(120)의 개구홀부(121)는 사용자가 발판플레이트부(310)를 가압할 수 있게 수용홈부(120)의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발판플레이트부(310)의 폭(W1)은 수용홈부(120)의 개구홀부(121)의 폭(W2)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탄성부(330)에 의해 상승되는 발판플레이트부(310)가 개구홀부(121)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고, 개구홀부(12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부(400)는 발판부(300)와 연결되고, 발판부(300)의 가압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부(400)는 발판부(300)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어, 손잡이부(500)를 베이스부(100)의 베이스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회전부(400)는 회전로드부(410), 제1장공부(420), 제2장공부(430)를 포함한다.
회전로드부(410)는 베이스로드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로드부(410)의 중심부는 베이스로드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제1장공부(420)는 회전로드부(410)의 일단부(도 4 기준 우측단부)에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발판로드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 연결된다. 제2장공부(430)는 회전로드부(410)의 타단부(도 4 기준 좌측단부)에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손잡이부(500)의 손잡이승강부(5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장공부(420)와 제2장공부(430)는 각각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회전로드부(410)의 회전시 핀 결합된 발판로드부(320)와 손잡이승강부(510)가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손잡이부(500)는 회전부(400)와 연결되고, 회전부(400)의 회전에 따라 관통홀부(130)에서 출몰된다. 미사용시 손잡이부(500)는 베이스부(100)의 베이스몸체부(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사용시 베이스부(100)의 관통홀부(130)를 통해 노출된다.
손잡이부(500)는 손잡이승강부(510)와 손잡이출몰부(520)를 포함한다. 손잡이승강부(510)는 제2장공부(430)에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로드부(410)의 회전에 따라 승강된다. 손잡이승강부(510)는 단면의 형상이 T자형으로 형성된다(도 8 참조).
손잡이출몰부(520)는 손잡이승강부(510)에 장착되고, 손잡이승강부(510)의 승강에 따라 관통홀부(130)에서 출몰된다. 손잡이출몰부(520)는 손잡이승강부(510)에 용접, 본딩 등에 의해 결합된다. 손잡이출몰부(520)가 관통홀부(130)를 통해 베이스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손잡이출몰부(520)는 당겨 베이스부(100)를 상승시키고, 기기함을 개방시킬 수 있다.
손잡이출몰부(520)는 손잡이출몰몸체부(521)와 스톱퍼부(523)를 포함한다. 손잡이출몰몸체부(521)는 손잡이승강부(510)의 승강에 따라 관통홀부(130)에서 출몰되는 역 U자형으로 형성된다. 손잡이출몰부(520)는 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다. 사용자는 손잡이출몰몸체부(521)를 잡아 당겨 베이스부(100)를 상승시키고, 기기함을 개방시킬 수 있다.
스톱퍼부(523)는 역 U자형으로 형성된 손잡이출몰몸체부(521)의 하측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도 8 기준 상측)이 손잡이출몰몸체부(521)에 연결되고, 타측(도 8 기준 하측)이 손잡이승강부(510)에 연결된다. 스톱퍼부(523)는 손잡이승강부(510)에 용접, 본딩 등에 의해 결합된다.
스톱퍼부(523)는 관통홀부(130)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스톱퍼부(523)는 관통홀부(13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관통홀부(130)의 테두리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관통홀부(130)의 외부로 상승되는 손잡이출몰몸체부(521)의 이동을 제한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플로어 패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 또는 손을 이용하여 덮개부(200)의 덮개돌출부(220)를 밀어 인접한 손잡이부(500) 측으로 덮개몸체부(210)를 이동시킨다. 덮개몸체부(210)는 베이스몸체부(110)의 삽입홈부(11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덮개몸체부(210)의 이동에 의해 발판부(300)는 수용홈부(120)의 개구홀부(1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발을 이용하여 발판부(300)의 발판플레이트부(310)를 가압한다. 발판플레이트부(310)의 가압에 의해 탄성부(330)는 압축되고, 발판로드부(320)는 하강된다.
발판로드부(320)의 하강에 따라 회전부(400)의 회전로드부(410)는 베이스로드부(140)에 연결된 핀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로드부(410)의 회전에 따라 손잡이부(500)의 손잡이출몰부(520)가 관통홀부(130)를 통해 베이스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스톱퍼부(523)에 의해 손잡이출몰부(520)의 손잡이출몰몸체부(521)의 상승이 제한된다. 사용자는 역 U자형의 손잡이출몰몸체부(521)를 잡아 당겨 베이스부(100)를 상승시키고, 기기함을 개방시킬 수 있다.
발판플레이트부(310)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330)는 발판플레이트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발판플레이트부(310)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발판플레이트부(310)가 상승되면서, 회전부(400)의 회전로드부(410)도 회전되고, 관통홀부(130)를 통해 베이스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부(500)의 손잡이출몰몸체부(521)는 베이스몸체부(110)의 내부로 수용된다.
사용자는 손 또는 발을 사용하여, 덮개부(200)의 덮개돌출부(220)를 밀어 인접한 손잡이부(500)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덮개몸체부(210)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에 의하면,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손잡이부(500)가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손잡이부(500)의 돌출에 의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부(300)의 미사용시 덮개부(200)로 발판부(300)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100) 상에서 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부(300)의 가압에 의해 회전부(400)가 회전되면서 손잡이부(500)가 베이스부(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베이스부(100)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몸체부
111: 삽입홈부 120: 수용홈부
130: 관통홀부 140: 베이스로드부
200: 덮개부 210: 덮개몸체부
220: 덮개돌출부 300: 발판부
310: 발판플레이트부 320: 발판로드부
330: 탄성부 400: 회전부
410: 회전로드부 420: 제1장공부
430: 제2장공부 500: 손잡이부
510: 손잡이승강부 520: 손잡이출몰부
521: 손잡이출몰몸체부 523: 스톱퍼부

Claims (7)

  1.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설정 깊이를 가지는 수용홈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에 상기 수용홈부와 이격되게 개구된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수용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의 개방시 노출되는 발판부;
    상기 발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발판부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부에서 출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수용홈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발판플레이트부;
    일단이 상기 발판플레이트부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발판로드부; 및
    상기 수용홈부와 상기 발판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발판플레이트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플레이트부의 폭은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홀부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몸체부에서 돌출된 베이스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로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로드부;
    상기 회전로드부의 일단부에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로드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장공부; 및
    상기 회전로드부의 타단부에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장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장공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로드부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손잡이승강부; 및
    상기 손잡이승강부에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관통홀부에서 출몰되는 손잡이출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출몰부는,
    상기 손잡이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관통홀부에서 출몰되는 역 U자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출몰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손잡이출몰몸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손잡이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부에 걸리는 스톱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베이스몸체부의 삽입홈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하는 덮개몸체부; 및
    상기 덮개몸체부에 돌출 형성되는 덮개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KR1020210068398A 2021-05-27 2021-05-27 플로어 패널 KR10248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398A KR102485028B1 (ko) 2021-05-27 2021-05-27 플로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398A KR102485028B1 (ko) 2021-05-27 2021-05-27 플로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21A KR20220160321A (ko) 2022-12-06
KR102485028B1 true KR102485028B1 (ko) 2023-01-06

Family

ID=8440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398A KR102485028B1 (ko) 2021-05-27 2021-05-27 플로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0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592B1 (ko) 2016-12-06 2017-10-19 주식회사 서호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JP2020073767A (ja) 2017-06-29 2020-05-14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二重床用の蓋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993U (ko) * 1989-07-11 1991-03-11
JP2531807Y2 (ja) * 1991-11-15 1997-04-09 ミサワ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床下収納庫
JPH0710575U (ja) * 1993-07-14 1995-02-14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開閉部材の作動緩衝装置
KR200258989Y1 (ko) * 1999-05-07 2002-01-09 주용섭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매립형 콘센트
KR200487513Y1 (ko) * 2016-07-14 2018-10-01 윤국원 바닥구조물용 지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592B1 (ko) 2016-12-06 2017-10-19 주식회사 서호 점검창이 구비된 클린룸용 바닥패널 구조
JP2020073767A (ja) 2017-06-29 2020-05-14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二重床用の蓋構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22993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21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755899A (en) Safety system to prevent the functioning of a blender or food processor if the top of its cup is not in place
JP2019515163A (ja) スライドドア用シール装置
KR102485028B1 (ko) 플로어 패널
CN110578771B (zh) 绳锁
DE112011100896T5 (de) Integrierte Beutelklappe und Tragegriff für einen Staubsauger
US9339156B2 (en) Cover installation
JP6149167B2 (ja) 蓋を上昇させて水平に平行移動させる機構を備えるトラップ又はマンホール用の蓋
KR20200012357A (ko) 바퀴 출몰식 보행 보조장치
US5819856A (en) Lawn edging tool
KR20150115984A (ko) 도어 스토퍼
JP4129960B2 (ja) ステー
KR101995881B1 (ko) 도어 구조체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0229068Y1 (ko) 도어 스톱퍼
KR200476486Y1 (ko) 건축공사용 미닫이 개폐식 안전발판
JP2987122B2 (ja) 扉の上部ヒンジピン昇降装置
KR200346118Y1 (ko) 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고정장치
KR101750632B1 (ko) 도어 스토퍼 기능을 가지는 경첩
KR102356619B1 (ko)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200300464Y1 (ko) 문개방 고정구
JP7135229B1 (ja) 足でドアの開閉及び固定を可能とする補助装置
JPS6110585Y2 (ko)
JPS621703Y2 (ko)
CN220512768U (zh) 除螨仪
KR200494365Y1 (ko) 착탈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