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881B1 - 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881B1
KR101995881B1 KR1020190013438A KR20190013438A KR101995881B1 KR 101995881 B1 KR101995881 B1 KR 101995881B1 KR 1020190013438 A KR1020190013438 A KR 1020190013438A KR 20190013438 A KR20190013438 A KR 20190013438A KR 101995881 B1 KR101995881 B1 KR 101995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door body
actuating part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서
Original Assignee
박한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서 filed Critical 박한서
Priority to KR102019001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는 통로를 정의하는 프레임 조립체,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도어 본체,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페달부 및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단은 폐색되어 상기 도어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페달부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제1 작동부를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페달부가 압축되면, 유압에 의해 상기 제1 작동부가 인출되어, 상기 도어 본체를 상기 개방 위치로 가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구조체 {DOOR STRUCTURE}
본 발명은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출입문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도어로서, 미닫이식 도어와 여닫이식 도어가 있다. 미닫이식 도어는 사용자가 옆으로 밀어서 열 수 있는 방식을 말하고, 여닫이식 도어는 사용자가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어서 열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는 수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그밖에 손을 쓰기 불편한 상황에서 도어를 제대로 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동식 도어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거나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도어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는 관련 전자 부품으로 인해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끼이거나 그밖에 고장이 날 경우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열 수 있는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는 통로를 정의하는 프레임 조립체,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도어 본체,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페달부 및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단은 폐색되어 상기 도어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페달부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제1 작동부를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페달부가 압축되면, 유압에 의해 상기 제1 작동부가 인출되어, 상기 도어 본체를 상기 개방 위치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조립체는 직사각형의 상변, 하변, 좌변 및 우변을 이루는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본체는 미닫이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상에서 상기 제2 프레임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통로를 개폐하며,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4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4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조립체는 직사각형의 상변, 하변, 좌변 및 우변을 이루는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본체는 여닫이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4 프레임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통로를 개폐하며,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직각인 방향으로 배향되고,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일단은 상기 제1 작동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페달부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제2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페달부를 발로 밟아 페달부가 압축되면, 그 유압에 의해 작동부가 인출됨으로써, 도어 본체를 개방 위치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그밖에 손을 쓰기 불편한 상황에서 발로 도어 본체를 용이하게 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바닥의 일부와 프레임 조립체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바닥의 일부와 프레임 조립체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프레임 조립체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프레임 조립체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100, 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10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바닥의 일부와 프레임 조립체(110)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바닥의 일부와 프레임 조립체(110)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1a, 도 2a, 도 3a 및 도 4a는 도어 본체(120)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c, 도 2c, 도 3c 및 도 4c는 도어 본체(120)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b, 도 2b, 도 3b 및 도 4b는 도어 본체(12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도어 구조체(100)는 프레임 조립체(110), 도어 본체(120), 페달부(130), 작동부(14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프레임 조립체(110)는 통로를 정의한다.
이를테면 프레임 조립체(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상변을 이루는 제1 프레임(111), 직사각형의 하변을 이루는 제2 프레임(112), 직사각형의 좌변을 이루는 제3 프레임(113) 및 직사각형의 우변을 이루는 제4 프레임(114)을 포함하여, 직사각형으로 통로를 정의할 수 있다.
단 여기서 "상하좌우"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며, 절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레임 조립체(110)는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11)이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조립체(110)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본체(120)는 프레임 조립체(110)의 통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 조립체(110)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면, 도어 본체(120)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것이다.
도어 본체(120)는 프레임 조립체(110)의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 1a, 도 2a, 도 3a 및 도 4a 참조)와 프레임 조립체(110)의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1c, 도 2c, 도 3c 및 도 4c 참조)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100)에서 도어 본체(120)는 미닫이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 본체(120)는 제2 프레임(112)상에서 제2 프레임(112)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프레임 조립체(110)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어 본체(120)가 제4 프레임(114)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프레임 조립체(110)의 통로를 폐쇄하고, 제3 프레임(113)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프레임 조립체(110)의 통로를 개방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페달부(130)는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페달부(130)는 바닥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부(130)를 발로 밟는 동작에 의해 페달부(130)가 압축될 수 있다.
작동부(140)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작동부(140)는 특정한 내경을 갖는 하나의 관, 상기 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관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부(140)는 상기 관의 내부 공간으로서,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작동부(140)는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인입(도 2a와 도 4a 참조)/인출(도 2c와 도 4c 참조)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140)의 일단은 폐색되어 도어 본체(120)에 결합되고, 작동부(140)의 타단은 페달부(130)에 연결되어 페달부(130)의 내부 공간과 작동부(140)의 내부 공간이 연통한다.
연결부(150)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페달부(130)와 작동부(140)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페달부(130)의 내부 공간과 작동부(140)의 내부 공간이 연결부(150)의 내부 공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도어 구조체(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도어 구조체(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초기 상태는 도 1a, 도 2a,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120)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상한다.
사용자는 도어 본체(120)를 열기 위해 페달부(130)를 발로 밟을 수 있다.
이에 페달부(130)가 압축되면서 페달부(130)의 내부 공간의 유압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른 유압은 연결부(15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작동부(140)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그 유압에 의해, 도 1b, 도 2b,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40)가 인출되면서 도어 본체(120)를 좌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개방 위치로 밀어, 도 1c, 도 2c, 도 3c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120)를 열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도어 본체(120)를 발로 열 수 있어, 예컨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그밖에 손을 쓰기 불편한 상황에서 도어 본체(120)를 용이하게 열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112)은 제4 프레임(11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제2 프레임(112)이 제4 프레임(11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면, 도어 본체(120)는 중력에 의해 제2 프레임(112)상에서 제4 프레임(114) 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에 의하면 도어 본체(12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한 후 다시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면 제2 프레임(112)이 제4 프레임(11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면, 도어 본체(120)는 중력에 의해 제2 프레임(112)상에서 제3 프레임(113) 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에 의하면 도어 본체(12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비교적 작은 힘으로 도어 본체(120)를 더욱 용이하게 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200)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프레임 조립체(210)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2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프레임 조립체(210)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5a, 도 6a, 도 7a 및 도 8a는 도어 본체(220)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d, 도 6d, 도 7d 및 도 8d는 도어 본체(220)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b, 도 6b, 도 7b 및 도 8b 그리고 도 5c, 도 6c, 도 7c 및 도 8c는 도어 본체(22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100)에서 도어 본체(120)가 미닫이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200)에서 도어 본체(220)는 여닫이식으로 구성되는 차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도어 구조체(200)는 프레임 조립체(210), 도어 본체(220), 페달부(230), 제1 작동부(240), 제2 작동부(250) 및 연결부(260)를 포함한다.
프레임 조립체(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211), 제2 프레임(212), 제3 프레임(213) 및 제4 프레임(214)을 포함하여 통로를 정의한다.
도어 본체(220)는 프레임 조립체(210)의 통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서는 도어 본체(220)가 제3 프레임(213)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프레임 조립체(210)의 통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페달부(230)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제1 작동부(240)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제1 작동부(240)는 제1 프레임(211), 제2 프레임(212), 제3 프레임(213) 및 제4 프레임(214)에 모두 직각인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때 제1 작동부(240)의 일단은 폐색되어 도어 본체(220)에 결합되고, 제1 작동부(240)의 타단은 후술할 제2 작동부(25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작동부(240)의 내부 공간과 제2 작동부(250)의 내부 공간이 연통한다.
도면에서는 제1 작동부(240)의 일단이 도어 본체(220)의 우측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2 작동부(250)도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작동부(250)는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때 제2 작동부(250)의 일단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작동부(240)의 타단에 연결되어 그 내부 공간이 연통하고, 제2 작동부(250)의 타단은 페달부(230)에 연결되어 페달부(230)의 내부 공간과 제2 작동부(250)의 내부 공간이 연통한다.
도면에서는 제2 작동부(250)가 제1 프레임(211)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2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작동부(240)에 나란한 방향으로 제1 프레임(211)을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됨으로써, 제2 작동부(250)의 일단이 상기 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1 작동부(240)의 타단과 제2 작동부(250)의 일단이 만나게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260)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페달부(230)와 제2 작동부(25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페달부(230)의 내부 공간과 제2 작동부(250)의 내부 공간이 연결부(260)의 내부 공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통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연결부(260)가 제2 프레임(212) 내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도어 구조체(2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도어 구조체(2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초기 상태는 도 5a, 도 6a,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220)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상한다.
사용자는 도어 본체(220)를 열기 위해 페달부(230)를 발로 밟을 수 있다.
이에 페달부(230)가 압축되면서 페달부(230)의 내부 공간의 유압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른 유압은 연결부(26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제2 작동부(250)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고, 제1 작동부(240)의 내부 공간으로 더 전달된다.
따라서 그 유압에 의해, 도 5b, 도 6b, 도 7b 및 도 8b 그리고 도 5c, 도 6c, 도 7c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부(250)가 인출되면서 도어 본체(220)를 전방으로 가압함과 함께, 제1 작동부(240)가 인출되면서 도어 본체(220)를 좌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개방 위치로 밀어, 도 5d, 도 6d, 도 7d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220)를 열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도어 구조체(100, 2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체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Claims (5)

  1. 통로를 정의하는 프레임 조립체,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도어 본체,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페달부 및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단은 폐색되어 상기 도어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페달부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제1 작동부를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페달부가 압축되면, 유압에 의해 상기 제1 작동부가 인출되어, 상기 도어 본체를 상기 개방 위치로 가압할 수 있되,
    상기 프레임 조립체는 직사각형의 상변, 하변, 좌변 및 우변을 이루는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본체는 여닫이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4 프레임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통로를 개폐하며,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직각인 방향으로 배향되고,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일단은 상기 제1 작동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페달부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제2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3438A 2019-02-01 2019-02-01 도어 구조체 KR101995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438A KR101995881B1 (ko) 2019-02-01 2019-02-01 도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438A KR101995881B1 (ko) 2019-02-01 2019-02-01 도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881B1 true KR101995881B1 (ko) 2019-07-04

Family

ID=6725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438A KR101995881B1 (ko) 2019-02-01 2019-02-01 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5255A1 (it) * 2021-03-12 2022-09-12 Vds Automazioni S R L Sistema per rendere invisibile l’apparato di movimentazione automatizzata di cancelli scorrevol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15B1 (ko) * 1993-02-18 1996-10-28 현대정공 주식회사 중력에 의한 자동복귀 미닫이문의 설치구조
JP2000220343A (ja) * 1999-01-29 2000-08-08 Tateyama Alum Ind Co Ltd 自動開閉戸
KR20000018062U (ko) * 1999-03-11 2000-10-05 김성룡 자판기용 인출도어 개폐장치
KR20020089751A (ko) * 2001-05-24 2002-11-30 박우현 전동차용 승강장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15B1 (ko) * 1993-02-18 1996-10-28 현대정공 주식회사 중력에 의한 자동복귀 미닫이문의 설치구조
JP2000220343A (ja) * 1999-01-29 2000-08-08 Tateyama Alum Ind Co Ltd 自動開閉戸
KR20000018062U (ko) * 1999-03-11 2000-10-05 김성룡 자판기용 인출도어 개폐장치
KR20020089751A (ko) * 2001-05-24 2002-11-30 박우현 전동차용 승강장의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5255A1 (it) * 2021-03-12 2022-09-12 Vds Automazioni S R L Sistema per rendere invisibile l’apparato di movimentazione automatizzata di cancelli scorrevol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3182B2 (en) Automatic sliding mechanism
KR970074318A (ko) 뚜껑 개폐 장치
EP3121131A1 (en) A single-button suction nozzle unlocking structure on a cup cover
KR101995881B1 (ko) 도어 구조체
EP2881341A1 (en) Garbage can lid having garbage compressing mechanism and garbage can including the same
KR200476646Y1 (ko)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
KR920006608B1 (ko) 래치 장치
TWI425906B (zh) 手持電子裝置
KR20150115984A (ko) 도어 스토퍼
EP1947667A1 (en) Switch
KR200441129Y1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CH696621A5 (it) Cursore con due tiretti.
KR10029591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JP7041496B2 (ja) トイレ補助装置
JP2524390Y2 (ja) 蓋付きガスコックの構造
WO2006025184A1 (ja) スライド装置及び携帯電話
KR101750632B1 (ko) 도어 스토퍼 기능을 가지는 경첩
US20200040610A1 (en) Locking device for hinged door
JP2014105485A (ja) 折戸
KR102485028B1 (ko) 플로어 패널
KR102410129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0761275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US20060032523A1 (en) Automated-open-close umbrella
JPH0437087Y2 (ko)
KR20220067050A (ko) 하향 전개식 피난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