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513A - 천장 점검구 - Google Patents

천장 점검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513A
KR20170141513A KR1020160074657A KR20160074657A KR20170141513A KR 20170141513 A KR20170141513 A KR 20170141513A KR 1020160074657 A KR1020160074657 A KR 1020160074657A KR 20160074657 A KR20160074657 A KR 20160074657A KR 20170141513 A KR20170141513 A KR 20170141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upper portion
casing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대창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창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513A/ko
Publication of KR2017014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이나, 전기배선 등을 작업자가 천장에 출입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천장에 설치되며, 본체의 네 변을 이루는 프레임 간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로부터 도배지의 가장자리가 떨어지지 않고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 점검구{INSPECTION IMPLEMENT FOR CEILING}
본 발명은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이나, 전기배선 등을 작업자가 천장에 출입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천장에 설치되며, 본체의 네 변을 이루는 프레임 간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로부터 도배지의 가장자리가 떨어지지 않고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 내부에는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배관, 배전선로 같은 각종 설비 등이 배치되며, 이들 설비들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하거나 고장발생시 수리작업을 하기 위하여 해당 천장면에는 점검구가 설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104169호에는 천장 마감재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천장 점검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천장 점검구는 메인프레임의 네 변을 이루는 수직연장부 및 도어프레임의 네 변을 이루는 수직연장부가 꺾쇠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결합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배시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도배지의 가장자리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169호(2010.09.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이나, 전기배선 등을 작업자가 천장에 출입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천장에 설치되며, 본체의 네 변을 이루는 프레임 간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로부터 도배지의 가장자리가 떨어지지 않고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천장 점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천장 점검구로써,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에 결합되며, 복수의 본체프레임이 네 변을 이루면서 상,하부가 개방되는 사각 링 형태를 이루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외측이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에 접하거나, 인접하는 외부케이싱;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케이싱; 상기 내,외부케이싱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판; 및 상기 외부케이싱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상부 외측에 안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싱은, 상부가 상기 내부케이싱보다 상부에 외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싱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부가 안착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상부로부터 그 내부케이싱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싱의 상부에 안착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싱은,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이 안착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부에 위치되면서 양단부가 상호 교차되는 두 본체프레임의 내,외부케이싱 사이로 인입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를 상기 복수의 본체프레임에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ㄱ'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거나 접하는 두 본체프레임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외부케이싱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과의 사이로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외부케이싱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판은, 하부면에 요철이 형성되면서 천장 도배시 접착제가 충분히 발라지면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위치되는 도배지의 가장자리가 안정적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본체의 네 변을 이루는 프레임 간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체를 이루는 하부면에 요철이 형성되면서 도배시 접착제가 충분히 발라지면서 도배지의 가장자리가 떨어지지 않고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에서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에서 본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에서 본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천장(100)에 형성되는 개구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천장 점검구(1)로써, 상기 개구부(110)를 이루는 둘레에 결합되며 복수의 본체프레임(20)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면서 상,하부가 개방되는 사각 링 형태를 이루는 본체부(10) 및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110)를 이루는 둘레는 석고보드 등의 패널(111)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되며 외측이 상기 개구부(110)를 이루는 둘레에 접하거나, 인접하는 외부케이싱(11),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외부케이싱(11)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케이싱(12), 상기 내,외부케이싱(12,11)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판(13) 및 상기 외부케이싱(11)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0)를 이루는 상부 외측에 안착되는 플랜지(14)를 포함한다.
상기 내,외부케이싱(12,11)은 하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연결판(13)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판(13)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요철(1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13a)은 상기 연결판(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천장 도배시 접착제가 충분히 발라지면서 상기 개구부(110)의 둘레에 위치되는 도배지(140)의 가장자리가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천장 점검구(1)는 상기 개구부(110)의 둘레에 위치되는 도배지(140)의 가장자리가 쉽게 떨어짐 없이 안정적인 접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싱(11)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케이싱(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랜지(14)의 상부에 위치되는 별개의 다른 구조물(120)에 상기 보강케이싱(15)이 나사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13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조물(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싱(1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상기 내부케이싱(12)보다 상부에 외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싱(12)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부(30)가 안착된다.
상기 도어부(30)는 상기 내부케이싱(12)의 상부로부터 그 내부케이싱(12)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도어(31) 및 상기 도어(31)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싱(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이탈방지턱(32)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케이싱(12)은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턱(32)이 안착되는 지지턱(1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진행되면서 개방된 상기 내부케이싱(12)으로 인입되는 한편, 상기 이탈방지턱(32)이 상기 내부케이싱(12)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하강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부(30)는 개방된 상기 내부케이싱(12)을 차단하면서 상기 개구부(110)를 닫는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도어부(30)는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내부케이싱(12)을 개방하는 한편, 상기 개구부(110)를 개방한다.
상기 개구부(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3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부케이싱(12)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개구부(110)를 다시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내부케이싱(12)을 개폐함과 함께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20)은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각 링 형태를 이루는 상기 본체부(10)의 네 변을 이룬다.
즉, 상기 본체프레임(20)은 복수개가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부(10)를 이룬다.
상기 본체프레임(20)은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양측 즉, 내,외측이 상기 본체부(10)의 내,외부케이싱(12,11)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 사이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판(13)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천장 점검구(1)는 상기 본체프레임(20)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모서리부에 위치되면서 양단부가 상호 교차되는 두 본체프레임(20)의 내,외부케이싱(12,11) 사이로 인입되는 복수의 연결부재(41)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41)를 상기 복수의 본체프레임(2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4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41)는 'ㄱ'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거나 접하는 두 본체프레임(20)으로 인입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본체부(10)의 모서리부에 위치되면서 양단부가 상호 교차되는 두 본체프레임(20)의 내,외부케이싱(12,11) 간으로 인입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내,외부케이싱(12,11)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13)과의 사이로 상기 연결부재(4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17)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기(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속수단(42)은 나사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며,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41)를 상기 복수의 본체프레임(20)에 결속하면서 상기 본체프레임(20) 간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본체프레임(20)은 상기 본체부(10)의 네 변을 이루는 본체프레임(20) 간이 간편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부(10)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천장 점검구 10 : 본체부
11 : 외부케이싱 12 : 내부케이싱
12a : 지지턱 13 : 연결판
13a : 요철 14 : 플랜지
15 : 보강케이싱 16 : 돌기
17 : 결합공간 20 : 본체프레임
30 : 도어부 31 : 도어
32 : 이탈방지턱 40 : 연결부
41 : 연결부재 42 : 결속수단
100 : 천장 110 : 개구부
111 : 패널 120 : 구조물
130 : 체결구 140 : 도배지

Claims (6)

  1. 천장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천장 점검구로써,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에 결합되며, 복수의 본체프레임이 네 변을 이루면서 상,하부가 개방되는 사각 링 형태를 이루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외측이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에 접하거나, 인접하는 외부케이싱;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케이싱;
    상기 내,외부케이싱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판; 및
    상기 외부케이싱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상부 외측에 안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싱은,
    상부가 상기 내부케이싱보다 상부에 외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싱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부가 안착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상부로부터 그 내부케이싱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싱의 상부에 안착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싱은,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이 안착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부에 위치되면서 양단부가 상호 교차되는 두 본체프레임의 내,외부케이싱 사이로 인입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를 상기 복수의 본체프레임에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ㄱ'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거나 접하는 두 본체프레임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외부케이싱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과의 사이로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외부케이싱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하부면에 요철이 형성되면서 천장 도배시 접착제가 충분히 발라지면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위치되는 도배지의 가장자리가 안정적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KR1020160074657A 2016-06-15 2016-06-15 천장 점검구 KR20170141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57A KR20170141513A (ko) 2016-06-15 2016-06-15 천장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57A KR20170141513A (ko) 2016-06-15 2016-06-15 천장 점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13A true KR20170141513A (ko) 2017-12-26

Family

ID=6093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57A KR20170141513A (ko) 2016-06-15 2016-06-15 천장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15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490B1 (ko) * 2019-08-19 2020-06-02 주식회사 락소 천장 히든점검구
JP2021011699A (ja) * 2019-07-04 2021-02-04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枠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天井点検口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1699A (ja) * 2019-07-04 2021-02-04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枠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天井点検口構造
KR102113490B1 (ko) * 2019-08-19 2020-06-02 주식회사 락소 천장 히든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6357B (zh) 用于干墙施工的可闭合检查口
US9493945B2 (en) Wall panel connect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 units
CN104379850A (zh) 灵活的墙壁系统
KR20170141513A (ko) 천장 점검구
KR101788778B1 (ko) 착탈 가능한 슬라이드 방충망
JP538962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建造物
JP6236788B2 (ja) 設備機器及び設備機器の施工方法
TWI242175B (en) Wall-surface mounted illumination signboard device
JP2017036573A (ja) 子扉ユニット及び子扉ユニットの施工方法
JP3352015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天井の構造
JP3233458U (ja) 間仕切り
JP2946408B2 (ja) 入口枠装置及び入口部の施工方法
JP3001370B2 (ja) 分割方立の連結装置
JP4922501B2 (ja) ワイヤードリモコン
KR101044331B1 (ko) 부스용 조립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제조방법
KR102031114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KR101156801B1 (ko) 천정 점검구
KR200300631Y1 (ko) 천정 점검구
JP2021179146A (ja) 浴室天井固定構造
JP2023088743A (ja) 建物ユニットの上面雨仕舞構造および上面雨仕舞方法
JP2009243861A (ja) フィルタボックス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6620074B2 (ja) 外壁目地の止水構造
JPH03100289A (ja) 枠体のパネル取付装置
JP2023088744A (ja) 建物ユニットの上面雨仕舞構造
TWM608951U (zh) 窗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