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1Y1 - 천정 점검구 - Google Patents

천정 점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1Y1
KR200300631Y1 KR20-2002-0031893U KR20020031893U KR200300631Y1 KR 200300631 Y1 KR200300631 Y1 KR 200300631Y1 KR 20020031893 U KR20020031893 U KR 20020031893U KR 200300631 Y1 KR200300631 Y1 KR 200300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rame
door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황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철 filed Critical 황인철
Priority to KR20-2002-0031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점검구, 더욱 상세히는 천정에 설치된 각종 배관, 전기배선등의 시설물을 검사하기 위한 천정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앵커(A)하단의 브라켓(B)에 고정설치 되는 사각틀체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상부 내에 개폐 가능하게 덮어 설치되는 도어(2)로 구성된 천정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브라켓(B)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장 현성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천정판(C)이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13)와, 상기 연결부(13)의 하측에 걸림턱(14)이 형성 되도록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15)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2)는, 수평의 폐쇄판(21) 둘레에 상향 절곡된 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2)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걸림턱(14)에 얹혀 지지되는 지지판(23)이 절곡 형성되어,
제품의 규격화와 경량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각종 체결부재들이 은폐 설치되어 작업자의 부상 우려 해소와 작업복 파손방지에 의해 작업효율 향상과 작업소요 시간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 점검구{Checking door for ceiling}
본 고안은 천정 점검구, 더욱 상세히는 천정에 설치된 각종 배관, 전기배선등의 시설물을 검사하기 위한 천정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규격화된 앵글재로 프레임 및 도어를 제작함으로써 제품의 규격화, 경량화 및 대량생산의 용이함을 구현하고, 설치된 상태에서는 각종 체결부재들의 외부노출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상우려와 옷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각층에는 천정슬라브의 하부에 앵커를 매립하여 상,하수도 배관과 전기배선등의 시설물을 고정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천정판을 설치하여 상기 각종 시설물을 은폐시키고 있음은 주지와 같으며, 천정판의 특정 위치에는 상기 시설물들의 정기,부정기 점검및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천정점검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 점검구를 구성하는 프레임 및 도어는 단순한 형태의 앵글재 또는 철판재로 제작하였으므로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유발되었다.
우선, 점검구 프레임의 경우에는 천정슬라브에 고정된 앵커에 철재 앵글재의 프레임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경우 지질 특성에 의해 프레임의 전체 중량이 과대해지고, 프레임에 천정판을 고정시키면 그 체결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작업자의 부상우려가 높음은 물론 작업복이 찢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유발된다.
또한 점검구 도어의 경우에는 철판재를 필요규격으로 절단하고 양 모서리를 절곡시킨후 또하나의 금속 판재를 용접등의 방법에 의해 접착시키게 되므로, 제작이 매우 번거롭고, 상당한 제품 중량을 갖게 되므로 안전상의 문제점이 유발되며, 특히 제품의 규격화가 어려워 대량생산 및 원가절감이 구현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시킬수 있는 천정 점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규격화된 알루미늄재 앵글을 필요 길이로 절단하여 점검구 프레임 및 도어를 제작하도록 하여 제품의 규격화와 경량화 및 대량생산에 의한 원가 절감을 구현하고, 제품의 조립, 설치 상태에서는 외관의 미려함과 함께 체결부재의 외부 노출이 방지 되게 하여 작업자의 부상우려와 작업복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 점검구의 설치 상태 단면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도어의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레임 2 : 도어
11 : 고정부 12 : 지지부
13 : 연결부 14 : 걸림턱
15 : 걸림부 21 : 폐쇄판
22 : 삽입부 23 : 지지판
A : 앵커 B : 브라켓
C : 천정판 S : 천정점검구
이하에서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점검구(S)의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A)는 천정스라브에 고정된 앵커이고, (B)는 천정점검구(S)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이며, (C)는 천정판을 나타낸다.
본 고안 천정점검구(S)는, 브라켓(B)에 고정설치 되는 사각틀체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상부 내에 개폐 가능하게 덮어 설치되는 도어(2)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은, 브라켓(B)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 (11)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장 현성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천정판(C)이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13)와, 상기 연결부(13)의 하측에 걸림턱(14)이 형성 되도록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15)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는, 수평의 폐쇄판(21) 둘레에 상향 절곡된 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2)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걸림턱(14)에 얹혀 지지되는 지지판(23)이 절곡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1)은 알루미늄 압출재를 필요길이로 절단한 후 네 모서리 부위를 용접하여 완성된 프레임(1)을 얻게 되고, 상기 도어(2)는 얇은 철판재를 프레싱 가공하여 얻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16)은 출입구이고, (3a,3b)는 각각 프레임(1)과 브라켓 (B), 프레임(1)과 천정판(C)을 고정 시키는 체결나사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 천정점검구(S)는 설치시에 우선, 앵커(A)의 하단에 브라켓(B)을 고정시키고, 프레임(1)의 고정부(11)를 상기 브라켓(B)에 걸어 체결나사(3a)로 고정시키며, 프레임(1)의 연결부(13)에는 천정판(C)들을 체결나사(3b)로 체결시키게 된다.
또한, 프레임(1)의 출입구(16)에는 도어(2)를 얹어 그 지지판(23)이 프레임(1)의 걸림턱(14)에 얹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를 완료하게된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 천정점검구(S)의 도어(2)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천정 시설물의 점검 또는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도어(2)의 폐쇄판(21)을 밀어 올리게 되면, 도어(2)는 프레임(1)의 걸림턱(14)에 얹혀 지지된 상태이므로 쉽게 개방되며, 따라서 작업자는 개방된 프레임(1)의 출입구(16)를 통해 시설물의 점검 및 보수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체결나사(3a,3b)들은 고정부(11)와 연결부(13)의 사이에 은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부상 우려와 작업복 파열 우려는 근본적으로 배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 천정점검구(S)는 규격화된 알루미늄재 앵글로 프레임(1)을 신속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규격화와 경량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각종 체결부재들이 은폐 설치되어 작업자의 부상 우려 해소와 작업복 파손방지에 의해 작업효율 향상과 작업소요 시간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앵커(A)하단의 브라켓(B)에 고정설치 되는 사각틀체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상부 내에 개폐 가능하게 덮어 설치되는 도어(2)로 구성된 천정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브라켓(B)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 (11)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장 현성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천정판(C)이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13)와, 상기 연결부(13)의 하측에 걸림턱(14)이 형성 되도록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15)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2)는, 수평의 폐쇄판(21) 둘레에 상향 절곡된 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2)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걸림턱(14)에 얹혀 지지되는 지지판(23)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점검구.
KR20-2002-0031893U 2002-10-25 2002-10-25 천정 점검구 KR200300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893U KR200300631Y1 (ko) 2002-10-25 2002-10-25 천정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893U KR200300631Y1 (ko) 2002-10-25 2002-10-25 천정 점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1Y1 true KR200300631Y1 (ko) 2003-01-14

Family

ID=4939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893U KR200300631Y1 (ko) 2002-10-25 2002-10-25 천정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79511B2 (ko)
JPH0151623B2 (ko)
KR200300631Y1 (ko) 천정 점검구
CA2459638A1 (en) Cab construction
JP2003252550A (ja) エレベータかご室天井の改修方法
KR100472701B1 (ko) 천정 점검구
KR200291249Y1 (ko) 천정 점검구
JP4574538B2 (ja) バスダクト支持構造
KR200300632Y1 (ko) 천정 점검구
KR20170141513A (ko) 천장 점검구
JP2000118935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養生扉装置
KR200293429Y1 (ko) 천정 점검구
JP3336264B2 (ja) 壁材設置用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既設建築物の外壁材施工法
CN206767345U (zh) 一种挂式电梯操纵箱
JP2000001911A (ja) 屋根付き建物ユニット
KR200293428Y1 (ko) 천정 점검구
JP2007186858A (ja) 化粧材の取付部材及び取付方法
JPH0754436A (ja) システム天井
JP2003097160A (ja) 面格子取付金具
KR100510924B1 (ko) 천정 점검구
ITRN20010043A1 (it) Pannello in cartongesso con apertura di ispezione e relativo elementodi chiusura
KR200291250Y1 (ko) 천정 점검구
JPH0742450A (ja) 出窓の取り付け構造
JPH0732698Y2 (ja) システム天井
KR200312852Y1 (ko) 천장 점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