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250Y1 - 천정 점검구 - Google Patents

천정 점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250Y1
KR200291250Y1 KR2020020021058U KR20020021058U KR200291250Y1 KR 200291250 Y1 KR200291250 Y1 KR 200291250Y1 KR 2020020021058 U KR2020020021058 U KR 2020020021058U KR 20020021058 U KR20020021058 U KR 20020021058U KR 200291250 Y1 KR200291250 Y1 KR 200291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eiling
frame
fixed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황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철 filed Critical 황인철
Priority to KR2020020021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2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250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점검구, 더욱 상세히는 천정에 설치된 각종 배관, 전기배선등의 시설물을 검사하기 위한 천정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앵커(A)에 고정설치되는 사각틀체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도어(2)와, 상기 도어(2)의 일측 양단에 출몰 가능하게 대향 설치되어 연결 고정력을 제공하는 힌지부재(3)와, 상기 도어(2)의 타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천정판(B)에 고정설치되어 도어(2)를 잠금/해지 시키는 잠금부재(4)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과 도어(2)는 경량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구성하여,
규격화된 알루미늄재 앵글로 프레임(1)과 도어(2)를 신속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규격화와 경량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각종 체결부재들이 은폐 설치되어 작업자의 부상 우려 해소와 작업복 파손방지에 의해 작업효율 향상과 작업소요 시간 최소화를 도모할수 있으며, 도어(2)를 외부인이 임으로 개폐할수 없으므로 시설물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 점검구{Checking door for ceiling}
본 고안은 천정 점검구, 더욱 상세히는 천정에 설치된 각종 배관, 전기배선등의 시설물을 검사하기 위한 천정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규격화된 앵글재로 프레임 및 도어를 제작함으로써 제품의 규격화, 경량화 및 대량생산의 용이함을 구현하고, 설치된 상태에서는 각종 체결부재들의 외부노출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상우려와 옷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각층에는 천정슬라브의 하부에 앵커를 매립하여 상,하수도 배관과 전기배선등의 시설물을 고정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천정판을 설치하여 상기 각종 시설물을 은폐시키고 있음은 주지와 같으며, 천정판의 특정 위치에는 상기 시설물들의 정기,부정기 점검및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천정점검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 점검구를 구성하는 프레임 및 도어는 단순한 행태의 앵글재 또는 철판재로 제작하였으므로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유발되었다.
우선, 점검구 프레임의 경우에는 천정슬라브에 고정된 앵커에 철재 앵글재의 프레임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경우 재질 특성에 의해 프레임의 전체 중량이 과대해지고, 프레임에 천정판을 고정시키면 그 체결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작업자의 부상우려가 높음은 물론 작업복이 찢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유발된다.
또한 점검구 도어의 경우에는 철판재를 필요규격으로 절단하고 양 모서리를절곡시킨 후, 또하나의 금속 판재를 용접등의 방법에 의해 접착시키게 되므로, 제작이 매우 번거롭고, 상당한 제품 중량을 갖게 되므로 안전상의 문제점이 유발되며, 특히 제품의 규격화가 어려워 대량생산 및 원가절감이 구현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시킬수 있는 천정 점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규격화된 알루미늄재 앵글을 필요 길이로 절단하여 점검구 프레임 및 도어를 제작하도록 하여 제품의 규격화와 경량화 및 대량생산에 의한 원가 절감을 구현하고, 제품의 설치 상태에서는 외관의 미려함과 함께 체결부재의 외부 노출이 방지 되게 하여 작업자의 부상우려와 작업복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 점검구의 설치 상태 단면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도어의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도어의 부분 평면도
도 4 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힌지부재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 점검구의 개방상태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 도어
3: 힌지부재 4: 잠금부재
11: 고정부 12: 지지부
13: 연결부 14: 은폐부
21: 수납실 23: 수납부
24: 함몰부 33: 작동홈
36: 힌지축 38: 탄성스프링
A: 앵커 B: 천정판
S: 천정점검구
이하에서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점검구(S)의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A)는 천정슬라브에 고정된 앵커이고, (B)는 천정판을 나타낸다.
본 고안 천정점검구(S)는, 앵커(A)에 고정설치되는 사각틀체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도어(2)와, 상기도어(2)의 일측 양단에 출몰 가능하게 대향 설치되어 연결 고정력을 제공하는 힌지부재(3)와, 상기 도어(2)의 타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천정판(B)에 고정설치되어 도어(2)를 잠금/해지 시키는 잠금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은 도2에서와 같이, 앵커(A)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외측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천정판(B)이 고정되는 연결부(13)와, 상기 연결부(13)의 상부에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은폐부(14)와, 상기 고정부(11)의 내측에 연장형성된 걸림부(15)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는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내부 중앙의 수납실(21)에 안내돌기(22)가 형성된 수납부(23)와, 상기 수납부(23)의 내측에 용접부위가 은폐되도록 형성시킨 함몰부(24)와, 상기 수납부(23)의 외측에 연장 형성된 덮개부(25)로 구성되는데, 상기 함몰부(24)의 상단을 기점으로 상하 양단이 동일형태로 구성되어 임의 방향으로 선택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부재(3)는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도어(2)의 수납실(21)에 삽입 설치되며 그 외면 복수개소에 고정구멍(31)이 형성된 홀더(32)와, 상기 홀더(32)의 하면에 안내돌기(22)에 의해 폐쇄되도록 개구형성된 작동홈(33)과, 상기 작동홈(33)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작동실(34)과, 상기 작동홈(33)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그 내측에 절곡부(35)가 형성된 힌지축(36)과, 상기 힌지축(36)에 고정 설치된 스톱링(37)과, 상기 작동실(34) 내에서 스톱링(37)에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힌지축(36)에 관통 설치된 탄성스프링(38)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홀더(32)는 직각 형태로 형성되고, 작동실(34)을 포함하는 작동홈(33)도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힌지축(36)의 설치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부재(4)는 도어(2)에 체결된 천정판(B)에 고정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프레임(1)의 걸림부(15)에 대응하는 록킹레버(41)가 구비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5)는 천정판(B) 고정용 피스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 천정점검구(S)는 제작시에 도 2 에서와 같이 길게 압출되는 알루미늄재의 프레임(1)과 도어(2)를 필요 길이로 절단한후 네 모서리 부위를 용접하여 완성된 프레임(1) 및 도어(2)를 얻게된다.
상기한 용접작업시에 프레임(1)은 지지부(12)의 약간 내측으로 절곡된 부위에, 도어(2)는 함몰부(24)에 용접을 실시하게 되며, 이경우 용접부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외관불량 우려는 해소된다.
완성된 프레임(1)은 천정슬라브에 고정된 앵커(A)에 그 고정부(11)를 맞추어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로 체결 고정시키게 되며, 고정된 프레임(1)의 연결부(13)에는 천정판(B)을 피스(5)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완성된 도어(2)의 일측 양끝단에는 힌지부재(3)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힌지부재(3)는 그 홀더(32)를 수납부(23)의 수납실(21) 내부로 삽입하여 도어(2)의 함몰부(24) 외측에서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고정구멍(31)으로 관통시켜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힌지부재(3) 하면의 작동홈(33) 하부에는 수납부(23) 중앙의 안내돌기(22)가 삽입되므로 힌지축(36)의 이탈 우려는 배제되며,힌지축(36)은 탄성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축(36)의 끝단이 도어(2)의 양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5 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된 프레임(1)에 대해 직교되도록 도어(2)를 맞추고, 그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축(36)을 프레임(1)의 지지부(12)에 뚫어 놓은 연결구멍(도시되지 않음)에 맞추어 조립하게 된다.
이경우, 힌지축(36)은 외면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수납부(23)의 수납실(21)로 삽입하여 힌지축(36) 내측의 절곡부(35)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힌지축(36)이 몰입 되도록 한후, 힌지축(36)과 연결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절곡부(35)에 대한 구속을 해지시키게 되면, 압축된 탄성스프링(38)의 복귀력에 의해 힌지축(36)은 원래의 상태 즉, 도어(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조립은 신속 용이하게 완료된다.
또한, 도 5 의 상태는 작업자가 천정의 시설물을 점검하기 위해 도어(2)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작업자는 프레임(1)을 통해 천정 내부의 시설물들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프레임(1)에 고정된 피스(5)들은 은폐부(14)에 의해 외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부상과 작업복 파열등의 우려는 배제되며, 도어(2)에 고정된 천정판(B) 고정용 피스(5)는 수납실(21) 내에 은폐되어 있으므로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 할 수 있게된다.
한편, 작업 완료후에 도어(2)를 밀어 올리게 되면, 도어(2)는 힌지부재(3)의 힌지축(36)을 기점으로 회동하여 도 1 에서와 같이 프레임(1)과 일치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도어(2)의 수납부(23) 외측 모서리부와 접촉되는 프레임(1)의 지지부(12)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으므로 도어(2)의 회동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도시되지 않은 열쇠를 잠금부재(4)에 투입하여 돌려주게 되는데 이경우, 잠금부재(4)의 록킹레버(41)는 회동하여 프레임(1)의 걸림부(15)에 걸림고정됨으로써 도어(2)의 록킹상태를 유지 시키게 되며, 따라서 관계인 이외의 사람이 도어(2)를 임의 개방하거나 내부 시설물에 접근함으로써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 천정점검구(S)는 규격화된 알루미늄재 앵글로 프레임(1)과 도어(2)를 신속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규격화와 경량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각종 체결부재들이 은폐 설치되어 작업자의 부상 우려 해소와 작업복 파손방지에 의해 작업효율 향상과 작업소요 시간 최소화를 도모할수 있으며, 도어(2)를 외부인이 임으로 개폐할수 없으므로 시설물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앵커(A)에 고정설치되는 사각틀체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도어(2)와, 상기 도어(2)의 일측 양단에 대향 설치되어 연결 고정력을 제공하는 힌지부재(3)와, 상기 도어(2)의 타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천정판(B)에 고정설치되어 도어(2)를 잠금/해지 시키는 잠금부재(4)로 구성된 천정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앵커(A)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외측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천정판(B)이 고정되는 연결부(13)와, 상기 연결부(13)의 상부에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은폐부(14)와, 상기 고정부(11)의 내측에 연장형성된 걸림부(15)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2)는, 내부 중앙의 수납실(21)에 안내돌기(22)가 형성된 수납부(23)와, 상기 수납부(23)의 내측에 용접부위가 은폐되도록 형성시킨 함몰부(24)와, 상기 수납부(23)의 외측에 연장 형성된 덮개부(25)로 구성하되, 상기 함몰부(24)의 상단을 기점으로 상하 양단이 동일형태로 구성되어 임의 방향으로 선택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점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3), 도어(2)의 수납실(21)에 삽입 설치되며 그 외면 복수개소에 고정구멍(31)이 형성된 홀더(32)와, 상기 홀더(32)의 하면에 안내돌기(22)에 의해 폐쇄되도록 개구형성된 작동홈(33)과, 상기 작동홈(33)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작동실(34)과, 상기 작동홈(33)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그 내측에 절곡부(35)가 형성된 힌지축(36)과, 상기 힌지축(36)에 고정 설치된 스톱링(37)과, 상기 작동실(34) 내에서 스톱링(37)에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힌지축(36)에 관통 설치된 탄성스프링(38)으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32)는 직각 형태로 형성되고, 작동실(34)을 포함하는 작동홈(33)도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힌지축(36)의 설치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점검구.
KR2020020021058U 2002-07-13 2002-07-13 천정 점검구 KR200291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058U KR200291250Y1 (ko) 2002-07-13 2002-07-13 천정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058U KR200291250Y1 (ko) 2002-07-13 2002-07-13 천정 점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962A Division KR100510924B1 (ko) 2002-07-13 2002-07-13 천정 점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250Y1 true KR200291250Y1 (ko) 2002-10-09

Family

ID=7312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058U KR200291250Y1 (ko) 2002-07-13 2002-07-13 천정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2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0418A (en) Access panel assembly with door and multi-functional frame
US5775032A (en) Exterior mounting plate assembly
KR200291250Y1 (ko) 천정 점검구
KR100510924B1 (ko) 천정 점검구
US6314691B1 (en) Inspection opening frame
KR200300632Y1 (ko) 천정 점검구
KR101167005B1 (ko) 천정점검구의 개폐장치
KR200291249Y1 (ko) 천정 점검구
KR100472701B1 (ko) 천정 점검구
KR200484266Y1 (ko) 클립장치
JP2021095726A (ja) 引手
KR200300631Y1 (ko) 천정 점검구
KR200293428Y1 (ko) 천정 점검구
JP2020073779A (ja) 建材の連結装置、そ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
KR0113235Y1 (ko) 천정 점검구
WO2020110588A1 (ja) 開口枠
KR200256266Y1 (ko) 도어용 힌지어셈블리.
KR200275878Y1 (ko) 방화문
KR0116538Y1 (ko) 내장판넬
GB2411431A (en) Lever-operated expansion fastenings for hinge parts
JP3532399B2 (ja) 廻り縁構造
KR950006045Y1 (ko) 도어용 실내 자물쇠
KR200293429Y1 (ko) 천정 점검구
JP3078695U (ja) ガラスドア用安全装置
KR200299576Y1 (ko) 천장검사구용 지지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