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433B1 - 유성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성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433B1
KR101786433B1 KR1020177002538A KR20177002538A KR101786433B1 KR 101786433 B1 KR101786433 B1 KR 101786433B1 KR 1020177002538 A KR1020177002538 A KR 1020177002538A KR 20177002538 A KR20177002538 A KR 20177002538A KR 101786433 B1 KR101786433 B1 KR 10178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oily
mass
cosmetic composition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322A (ko
Inventor
노조미 후지야마
유키에 요다
가즈유키 미야자와
노부유키 이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7003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로 용이하게 지울 수 있고, 내수성이 우수한 유성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화장료는 다음의 (a)~(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형 알킬렌 옥시드 유도체 1~25질량% (b) 실리콘화 플루란 및/또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15질량% (c) 물 10질량% 이하:
(화학식 1)
Figure 112017009466557-pc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EO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 p, q, r은 평균부가몰수이고 p≥1, r≥1, 10≤p+r≤70, 10≤q≤60이다. R1 및 R2는 동일해도 또는 달라도 좋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임).

Description

유성 화장료{OILY COSMETIC}
본 발명은 유성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로 용이하게 지울 수 있고, 내수성도 우수한 유성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 등으로 대표되는 속눈썹용 화장료에는 속눈썹을 진하고 길게 보이게 하는, 속눈썹에 볼륨감을 주는 등의 효과 이외에, 컬 효과(속눈썹을 컬링시켜서 위로 향하게 하는 효과), 컬 유지효과(시간경과에 따라 컬을 지속시키는 효과), 시간경과에서의 화장지속효과(내수성, 내피지성) 등의 기능면으로부터 효과가 구해지고 있다. 그러나, 내수성·내피지성을 높이면, 그 효과가 높은 탓에 클렌징료나 세안료로도 잘 지워지지 않고, 아이메이크업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으면 지워지지 않는 제품도 있다.
최근에는 그와 같은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로 지우는 것이 가능한, 즉 온수 클렌징 효과를 갖는 마스카라 등의 속눈썹용 화장료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물이나 온수로 용이하게 지울 수 있는 수중유형 속눈썹용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다가알코올과 양친매성 물질과의 액정을 유상중에 배합함으로써, 물이나 온수로 용이하게 지우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물이나 온수로 씻어낼 수 있는 수중유형의 속눈썹용 화장료의 컬 효과는 유성 타입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수중유형 화장료는 내수성이 없으므로, 빗물 등에도 지워지는 것이다.
한편, 유성 마스카라는 컬 효과 등의 기능은 우수하지만, 물이나 온수로 지우기 곤란하다.
또한, 특정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피막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가 아니므로, 컬 효과에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이었다.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이외의 일반적인 유성 화장료에 대해서도 내수성이 우수하지만, 메이크업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으면 지워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내수성을 유지하면서, 온수로 용이하게 지울 수 있는 유성 화장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6-30684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5-12005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기 위한 과제는 온수 클렌징 효과 및 내수성이 우수한 유성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a) 특정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b) 실리콘화 플루란 및/또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을 특정량 배합한 유성 화장료가, 온수 클렌징 효과 및 내수성, 컬 효과가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화장료는 다음의 (a)~(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1~25질량%
(b) 실리콘화 플루란 및/또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15질량%
(c) 물 10질량% 이하
Figure 112017009466557-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EO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 p, q, r은 평균부가몰수이고 p≥1, r≥1, 10≤p+r≤70, 10≤q≤60이다. R1 및 R2는 동일해도 또는 달라도 좋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임)
상기 화장료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R1 및 R2가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서 휘발성 유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는 상기 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화장방법은 상기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공정, 및
35~45℃의 온수로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화장료를 지우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 클렌징 효과 및 내수성이 우수한 유성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를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로 한 경우에는, 컬 효과도 우수한 유성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화장료는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및 (b) 실리콘화 플루란 및/또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을 특정량 배합한 유성 화장료이고, 온수 클렌징 효과, 컬 효과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온수라는 것은 접촉하면 약간 따뜻한 정도의 물, 즉 35~45℃ 정도의 물이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서 상술한다.
((a)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a)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09466557-pc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EO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이다. p, q, r은 평균부가몰수로 p≥1, r≥1, 10≤p+r≤70, 10≤q≤60이다.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가 너무 적으면, 온수 클렌징 효과가 떨어지고, 너무 많으면 사용감이 떨어진다.
R1 및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이다.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및 R2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탄소수 4 이상의 탄화수소기에서는 친수성이 저하되고, 온수 클렌징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R1 및 R2는 각각 동종의 것을 사용해도, 이종의 것이 혼재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산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에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를 부가 중합한 후, 할로겐화 알킬을 알칼리 촉매의 존재하에 에테르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POE(35)POP(40)디메틸에테르, POE(50)POP(40)디메틸에테르, POE(22)POP(40)디메틸에테르, POE(55)POP(30)디메틸에테르, POE(30)POP(34)디메틸에테르, POE(25)POP(30)디메틸에테르, POE(36)POP(41)디메틸에테르, POE(52)POP(32)디메틸에테르, POE(35)POP(32)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POE, POP는 각각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약칭이고, 이하, 이와 같이 약칭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a)성분은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 중에서 미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를 도포한 피부에 온수를 묻히면, 온수에 의해 미셀이 붕괴되어 화장료를 용이하게 지우는 것이 가능하다.
(a)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배합량은 1~25질량%이고, 3~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1질량% 미만에서는 미셀 형성이 적으므로 온수 클렌징 효과가 떨어진다. 25질량%를 초과하면, 끈적거림을 발생시킨다.
((b)실리콘화 플루란 및/또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
실리콘화 플루란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7009466557-pc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H3)3SiO]3Si(CH2)3NHCO기를 의미한다.
실리콘화 플루란에서 플루란의 반응성 관능기에 대한 실리콘 화합물의 결합비율은 그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 다당화합물의 구성당 1단위 당의 실리콘 화합물의 평균결합수(치환도)가 0.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치환도는 화합물 중의 Si함유량(질량%)으로부터 환산한 것이다.
또한, 실리콘화 플루란의 배합시에는 저분자량 실리콘유나 경질 이소파라핀에 용해시켜 배합하면, 배합의 용이성이나 사용감 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화 플루란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플루란이다.
Figure 112017009466557-pct00004
상기 화학식 3에서 PL은 플루란의 글루코스 잔기를 나타낸다.
실리콘화 플루란은 공지의 제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평10-29910호 공보).
또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TSPL-30-ID(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플루란, 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30% 이소도데칸 용액), TSPL-30-D5(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플루란, 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3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용액)을 들 수 있다.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은 공지의 제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SSD-R2(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3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용액), MQ-1600 Solid Resin(도레다우실리콘사제, 순분 100%), Wacker-Belsil TMS803(아사히가세이와카실리콘사제, 순분 100%) 등을 들 수 있다.
(b)실리콘화 플루란 및/또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배합량은 순분으로서 1~15질량%이고, 2~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막제의 배합량이 1질량% 미만에서는 온수 클렌징 효과, 화장 지속 효과, 컬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15질량%를 초과하면, 컬 효과가 떨어진다.
((c)물)
본 발명에서 물은 배합해도 하지 않아도 좋지만, 배합하는 경우에는 물은 (a)성분이 형성하는 미셀 중에 안정적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물의 배합량이 화장료 전량 중 10질량%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a)성분이 형성하는 미셀 중에 들어가기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로 한 경우, 도포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a)~(c)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온수 클렌징 효과 및 내수성, 컬 효과가 우수한 유성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배합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휘발성 유분 등의 유분, 왁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변성 점토광물, 색재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유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등의 탄화수소유, 저분자량 휘발성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사슬형 폴리실록산유,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유분의 배합량은 10~80질량%가 바람직하고, 30~6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휘발성 유분의 배합량이 10질량% 미만에서는 도포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80질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유지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유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중질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등이 탄화수소유;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글리콜-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호호바유, 해바라기유, 샤플라워유, 동백유, 마카네미아 너츠유, 밍크유, 액상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피마자유 등의 유지;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 형상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유분; 불소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카본 등의 불소계 유분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로서는 예를 들어 밀랍, 칸델릴라 왁스, 면랍,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고래 왁스,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셀락 왁스,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세레신, 폴리에틸렌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슈가 왁스,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왁스의 배합량은 1~20질량%가 바람직하고, 3~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왁스의 배합량이 1질량% 미만에서는 컬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20질량%를 초과하면 응어리가 되어 부착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8~24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 10~50의 덱스트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팔미트산 덱스트린, 스테아르산 덱스트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르산 덱스트린,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1~15질량%가 바람직하고, 3~10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이 1질량% 미만에서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15질량%를 초과하면,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유기변성 점토광물은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등의 천연 또는 합성의 몬모릴로나이트군(시판품에서는 비검, 구니피아, 라포나이트 등) 및 나트륨실리식마이카나 나트륨 또는 리튬테니올라이트의 명칭으로 불리는 합성운모 등의 점토 광물을 제4급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어진다. 예를 들어,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디메틸알킬암모늄헥토라이트,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처리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변성 점토광물의 배합량은 1~10질량%가 바람직하고, 2~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토광물의 배합량이 1질량% 미만에서는 칙소트로피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10질량%를 초과하면,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색재로서는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수성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적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 무기계 백색 안료(예를 들어,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어, 티탄산철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 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어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탈크, 착색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fish scale foil)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색재의 배합량은 1~30질량%가 바람직하고, 2~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b)성분 이외의 피막제, 섬유, 보습제, 약제, 방부제, 증점제, 향료,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b) 성분 이외의 피막제를 배합해도, 본 발명의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b)성분 이외의 피막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b) 성분 이외의 피막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 4급화염,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산-N,N-디메틸-에틸안티니오에틸염 공중합체, 실리콘/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알킬)코폴리머, 덱스트린, (비닐피롤리돈/VA)코폴리머, 아크릴산 알킬 코폴리머-암모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알킬/옥틸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아크릴레이츠/메타크릴산프로필트리메티콘)코폴리머, 폴리아세트산 비닐, (아크릴산 알킬/디메티콘)코폴리머, 폴리에테르 그래프트 아크릴 실리콘,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플루오로 변성 실리콘 레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널리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스카라나 마스카라 베이스 등의 속눈썹용 화장료, 립글로즈, 아이섀도우, 블러셔,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미용액, 유액, 크림, 팩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네일 에나멜, 헤어왁스, 스프레이, 무스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화장료는 컬 효과도 우수하므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온수보다 저온인 땀이나 물에 젖어도 가볍게 누르는 정도이면 지워지거나 무너지지 않는다.
한편, 온수를 사용하면,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문지르는 것만으로 유성 화장료가 피부로부터 제거되므로, 메이크업 리무버 등의 클렌징료나 세안료 등의 세정료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만으로 메이크업 클렌징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성 화장료를 지울 때에는 천, 가제, 솜 등에 온수를 스며들게 하여 지울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온수라는 것은 35~45℃ 정도의 물을 가리키지만, 피부에 대한 부담이나 열자극의 측면에서 온수는 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그 성분이 배합되는 계에 대한 질량%로 나타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시험의 평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평가방법에서 플레이트라는 것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플레이트 작성방법)
동판(강재)를 기계 가공함으로써, 폭이 300㎛이고, 깊이가 80㎛이고, 단면이 V자 형상인 홈형상의 오목부를, 세로 방향으로 1개/2㎜, 가로 방향으로 1개/1㎜, 비스듬히 45° 방향으로 2개/3㎜가 되도록 형성하고, 가로세로(角) 50㎜의 제1 마스터를 제작했다. 제1 마스터에 니켈로 전주(電鑄)하고, 제1 금형을 제작했다. 제1 금형을 사용하여 PMMA로서의 아크리펫VH000(미츠비시레이욘사제)를 사출 성형했다. 샌드블러스트 장치 PNEUMA BLASTER(후니세이사쿠쇼사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성형품의 홈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표면에, 백색 용융 알루미나질 연마재 후지란다무WA 입자도 #80(후니세이사쿠쇼사제)를 분사하여, 샌드블러스트 가공하고, 제2 마스터를 제작했다. 제2 마스터를 사용하여 메탈레진을 몰드 성형하고, 볼록부가 면취(面取)되어 있고 또한 평면부에 면취되어 있는 거칠기가 부여되어 있는 제2 금형을 제작했다. 제2 금형을 사용하여, 아크리페토VH000(미츠비시레이욘사제)를 사출 성형하여 플레이트(피부 대체막)을 제작했다.
평가(1): 온수 클렌징 효과
시료를 플레이트(5㎝×5㎝)에 0.04g 도포하고, 실온에서 5시간 건조시킨 후, 40℃의 온수를 사용하여 손으로 문지르고, 플레이트로부터의 시료의 지워짐을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S: 가볍게 문지르는 것만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A: 문지르는 것만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B: 문질러도 좀처럼 제거할 수 없었지만, 강하게 문지르면 제거할 수 있었다.
C: 강하게 문질러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었다.
평가 (2): 내수성
시료를 플레이트(5㎝×5㎝)에 0.04g 도포하고, 실온에서 5시간 건조한 후, 얻어진 피막을, 플레이트마다 25℃의 물에 침지하고, 바로 끌어올리는 조작을 10회 반복한 후, 지워짐이나 무너짐이 없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했다(침지 직후). 또한, 실온(25℃)에서 1분간 방치한 후, 손가락으로 가볍게 문질러 지워짐이나 무너짐이 없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했다(문질렀을 때). 관찰 결과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S: 지워짐이나 무너짐이 전혀 없다.
A: 지워짐이나 무너짐이 거의 없다.
B: 문질렀을 때 지워짐이나 무너짐이 있다.
C: 침지 직후에 지워짐이나 무너짐이 있다.
평가(3): 컬 효과
전문 패널 5명이 속눈썹에 시료를 30회 도포하고, 도포 직후의 컬 효과를 처방 X(수중유형 마스카라 화장료)를 동일하게 도포한 경우의 컬 효과와 비교하여 평가했다.
A: 패널 4명 이상이 시료의 컬 효과쪽이 높다고 평가했다.
B: 패널 3명 이하가 시료의 컬 효과쪽이 낮다고 평가했다.
처방 X
POE(36)POP(41)디메틸에테르(블록 형상) 5질량%
아세트산 비닐에멀전 20
카르나우바 왁스 5
밀랍 8
스테아르산 2
벤토나이트 2
유동 파라핀 3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저점도) 0.2
라우릴황산나트륨 0.1
카본블랙 1.5
페녹시에탄올 5
정제수 잔여
컬 효과가 높은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에서, 온수로 용이하게 지울 수 있게 되는 첨가성분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본 발명자들은 유성의 피막 중에 미셀을 형성시키면, 유성 피막을 온수로 무너뜨리는 것이 가능해지지 않을까라는 가설에 기초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각 시료(유성 마스카라)를, 상법으로 조제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상기 평가방법 (1)~(3)으로 평가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POE·POP 디메틸에테르에는 블록 폴리머를 사용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09466557-pct0000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 효과가 높은 시험예 1-1의 유성 마스카라에, 양친매성 폴리머인 POE(35)POP(40) 디메틸에테르를 배합한 시험예 1-2는 온수 클렌징 효과가 우수했다.
또한, 시험예 1-1의 유성 마스카라에, 양친매성 폴리머인 POE(50)POP(40)디메틸에테르를 배합한 시험예 1-3은 온수 클렌징 효과가 우수했다.
한편, 시험예 1-1의 유성 마스카라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배합해도, 온수 클렌징 효과가 없었다.
다음에, 양친매성 폴리머의 종류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각 시료(유성 마스카라)를, 상법으로 조제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상기 평가방법(1)~(3)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09466557-pct00006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EO, PO의 수에 따라, 온수 클렌징 효과에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랜덤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나 그 밖의 양친매성 폴리머를 배합해도, 온수 클렌징 효과가 우수한 유성 마스카라를 얻을 수 없었다.
이들 검토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화장료는 (a) R1O-[(EO)p(PO)q(EO)r]-R2로 표시되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단, 화학식에서 EO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 p, q, r은 평균부가몰수이고 p≥1, r≥1, 10≤p+r≤70, 10≤q≤60이다. R1 및 R2는 동일해도 또는 달라도 좋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이다.)
또한, R1 및 R2는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a)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배합량에 관한 검토를 실시했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각 시료(유성 마스카라)를, 상법으로 조제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상기 평가방법 (1)~(3)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09466557-pct00007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1질량%라도 첨가에 의한 효과가 보인다. 그러나, 3질량% 이상 배합함으로써 더욱 온수 클렌징 효과가 우수한 유성 마스카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a)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배합량을 1~25질량%로 함으로써, 온수 클렌징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보다 우수한 온수 클렌징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a)성분의 배합량이 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피막제의 종류에 관한 검토를 실시했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각 시료(유성 마스카라)를, 상법으로 조제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상기 평가방법 (1)~(3)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09466557-pct00008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막제인 실리콘화 플루란을 트리메틸실록시규산으로 치환해도, 온수 클렌징 효과 및 내수성이 우수한 유성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화장료에서 (b)실리콘화 플루란 및/또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을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로 하는 경우에는 컬 효과를 고려하여, 실리콘화 플루란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의 처방예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처방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유성 마스카라
POE(35)POP(40)디메틸에테르 10 질량%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플루란 3
이소도데칸 7
소수화 처리 산화철(흑) 10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에멀전 18
고형 파라핀 8
경질 이소파라핀 30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4
정제수 1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처방예 2 유성 마스카라
POE(50)POP(40)디메틸에테르 20 질량%
트리메틸실록시규산 2
이소도데칸 2
소수화 처리 산화철(흑) 10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에멀전 16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8
고형파라핀 8
경질이소파라핀 20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4
정제수 1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처방예 3 블러셔
POE(35)POP(40)디메틸에테르 1.5 질량%
POE(14)POP(7)디메틸에테르 1.5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플루란 10
트리메틸실록시규산 3
이소도데칸 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
메틸트리메티콘 15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
PEG-10디메티콘 3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20 수소첨가 피마자유 2
팔미트산 덱스트린 8
(팔미트산/옥탄산)덱스트린 1
옥틸실란 처리 이산화삼철 2
옥틸실란 처리 산화철 1
옥틸실란 처리 산화철 0.2
적색 226호 0.5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5
1,3-부틸렌글리콜 2
정제수 2
L-아르기닌 0.1
히알루론산 나트륨 0.01
루틸형 산화티탄 피복 실리카 5
산화철 피복 실리카 2
옥틸실란 처리 흑산화철 피복 마이카 1
경질 이소파라핀 잔여
처방예 4 아이섀도우
POE(35)POP(40)디메틸에테르 2 질량%
POE(14)POP(7)디메틸에테르 2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플루란 8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
메틸트리메티콘 1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
PEG-10 디메티콘 4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20 수소첨가 피마자유 1
팔미트산 덱스트린 5
(팔미트산/옥탄산)덱스트린 3
옥틸실란 처리 이산화삼철 3
옥틸실란 처리 산화철 5
적색 226호 0.5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3
1,3-부티렌글리콜 1
정제수 1
황벽나무 엑기스 0.5
루틸형 산화티탄 피복 실리카 3
산화철 피복 실리카 2
옥틸실란 처리 흑산화철 피복 마이카 2
운모티탄 10
벵가라 피복 운모 15
경질 이소파라핀 잔여
처방예 5 네일에나멜
POE(35)POP(40)디메틸에테르 5 질량%
POE(14)POP(7)디메틸에테르 1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플루란 15
트리메틸실록시규산 3
이소도데칸 3
메틸트리메티콘 3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
PEG-10 디메티콘 2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20 수소첨가 피마자유 1
팔미트산 덱스트린 3
(팔미트산/옥탄산)덱스트린 1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5
1,3-부티렌글리콜 2
정제수 2
L-아르기닌 0.1
히알루론산 나트륨 0.01
루틸형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1
산화철 피복 실리카 1
옥틸실란 처리 흑산화철 피복 마이카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 적층말 10
경질 이소파라핀 잔여
처방예 6 립글로스
POE(35)POP(40)디메틸에테르 3 질량%
POE(14)POP(7)디메틸에테르 1.5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 플루란 8
트리메틸실록시규산 2
이소도데칸 10
칸데릴라 왁스 2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10
유동 파라핀 10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10
스쿠알란 2
δ-토코페롤 0.0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5
PEG-10디메티콘 1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20 수소첨가 피마자유 2
팔미트산 덱스트린 3
(팔미트산/옥탄산)덱스트린 7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3
1,3-부티렌글리콜 1.5
정제수 0.5
히알루론산 나트륨 0.01
루틸형 산화티탄 피복 실리카 1
산화철 피복 실리카 1
옥틸실란 처리 흑산화철 피복 마이카 1
카민 피복 운모 티탄 0.5
염료 적량
향료 적량
메틸트리메티콘 잔여

Claims (9)

  1. 다음의 (a)~(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화장료: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1~25 질량%
    (b) 실리콘화 플루란 및 트리메틸실록시규산 중 적어도 하나 1~15 질량%
    (c) 물 0질량% 초과 10질량% 이하
    (화학식 1)
    Figure 112017065264241-pc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EO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 p, q, r은 평균부가몰수이고 p≥1, r≥1, 10≤p+r≤70, 10≤q≤60이다. R1 및 R2는 동일해도 또는 달라도 좋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R1 및 R2가 탄소수 1~3의 탄화수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휘발성 유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화장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5. 제 3 항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공정, 및
    35~45℃의 온수로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유성 화장료를 지우는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
  7. 제 3 항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공정, 및
    35~45℃의 온수로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유성 화장료를 지우는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
  8. 제 4 항에 기재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공정, 및
    35~45℃의 온수로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지우는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
  9. 제 5 항에 기재된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공정, 및
    35~45℃의 온수로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유성 속눈썹용 화장료를 지우는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
KR1020177002538A 2014-07-28 2015-07-28 유성 화장료 KR101786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3240 2014-07-28
JP2014153240 2014-07-28
PCT/JP2015/071348 WO2016017624A1 (ja) 2014-07-28 2015-07-28 油性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322A KR20170033322A (ko) 2017-03-24
KR101786433B1 true KR101786433B1 (ko) 2017-10-17

Family

ID=5521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538A KR101786433B1 (ko) 2014-07-28 2015-07-28 유성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39268B2 (ko)
EP (1) EP3175841B1 (ko)
JP (1) JP5927328B2 (ko)
KR (1) KR101786433B1 (ko)
CN (1) CN107072931B (ko)
ES (1) ES2729493T3 (ko)
TW (1) TWI598112B (ko)
WO (1) WO2016017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7328B2 (ja) 2014-07-28 2016-06-01 株式会社 資生堂 油性化粧料
ITUB20155181A1 (it) * 2015-11-05 2017-05-05 Chromavis Spa A decorative polish composition for nails and a method of decorating nails with the polish composition / Composizione di smalto decorativo per unghie e metodo per decorare le unghie con la composizione di smalto
JP6803776B2 (ja) * 2016-03-29 2020-12-23 株式会社コーセー 爪用化粧料
JP6134998B1 (ja) * 2016-06-08 2017-05-31 株式会社 資生堂 目元用化粧料組成物
JP7043263B2 (ja) * 2017-01-13 2022-03-29 大同化成工業株式会社 非水系ポリマーディスパージョン及び非水系ポリマーディスパージョンを含む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6887267B2 (ja) * 2017-03-07 2021-06-16 株式会社コーセー 爪用化粧料
CN115209870B (zh) * 2020-03-18 2024-05-10 信越化学工业株式会社 化妆品组合物
CN115427013A (zh) * 2020-04-01 2022-12-02 花王株式会社 皮肤外用剂组合物
KR20220156583A (ko) * 2020-04-01 2022-11-25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화장 방법
US20230172835A1 (en) * 2020-04-01 2023-06-08 Kao Corporation Topical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US20220241170A1 (en) * 2021-01-28 2022-08-04 L'oreal Eyelash compositions containing sugar
FR3120525B1 (fr) * 2021-03-15 2024-02-09 Oreal Compositions pour cils contenant du suc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057A (ja) 2003-10-20 2005-05-12 Shiseido Co Ltd マスカラ組成物
JP2006265216A (ja) 2005-03-25 2006-10-05 Kose Corp 油性睫用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37871B1 (ko) 1973-07-20 1976-12-03 Rhone Poulenc Sa
FR2826260B1 (fr) * 2001-06-22 2003-09-1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JP2006306849A (ja) 2005-03-29 2006-11-09 Kose Corp 水中油型アイメークアップ化粧料
US9125837B2 (en) * 2007-03-30 2015-09-08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silylated pullulan and cosmetic preparation
JP6113654B2 (ja) * 2011-03-29 2017-04-12 株式会社 資生堂 睫用化粧料
JP5927328B2 (ja) 2014-07-28 2016-06-01 株式会社 資生堂 油性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057A (ja) 2003-10-20 2005-05-12 Shiseido Co Ltd マスカラ組成物
JP2006265216A (ja) 2005-03-25 2006-10-05 Kose Corp 油性睫用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2931A (zh) 2017-08-18
JP5927328B2 (ja) 2016-06-01
US10639268B2 (en) 2020-05-05
CN107072931B (zh) 2018-10-16
ES2729493T3 (es) 2019-11-04
US20170224608A1 (en) 2017-08-10
JP2016033130A (ja) 2016-03-10
EP3175841A1 (en) 2017-06-07
EP3175841B1 (en) 2019-05-08
KR20170033322A (ko) 2017-03-24
TWI598112B (zh) 2017-09-11
TW201609180A (zh) 2016-03-16
EP3175841A4 (en) 2018-02-14
WO2016017624A1 (ja)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433B1 (ko) 유성 화장료
JP5893004B2 (ja) カチオン性(メタ)アクリルシリコーン系グラフト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5121316B2 (ja) 整髪用油性化粧料
CN102648264A (zh) 用于基于油的原料的增稠剂或胶凝剂
KR20010006595A (ko) 친수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메이커업 또는캐어 조성물
JP2010507671A (ja) ポリアルキルシルセスキオキサン粉末エマルションを含んだ水系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5558669B2 (ja) 油中水乳化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WO2005039516A1 (ja) 油性固形化粧料
WO2000057841A1 (fr) Produits cosmetiques contenant des derives de polysaccharide-sterol
JP4801918B2 (ja) 油性睫用化粧料
JP5784932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0119134A (ja) 油性固型化粧料
JP4064874B2 (ja) 睫用化粧料
JP2006241003A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2154932A (ja) 睫用化粧料
JPH09323916A (ja) 化粧料
JP2003026529A (ja) 油性化粧料
JP2006273828A (ja) 油性睫用化粧料
JP6954756B2 (ja) 油性睫用化粧料
JP7212563B2 (ja) 睫毛用化粧料
JP7299811B2 (ja) 睫用化粧料
JP4191976B2 (ja) 油性化粧料
JP2003113042A (ja) 水中油型メ−キャップ化粧料
KR102507672B1 (ko) 피부 화장료, 신체 세정제 조성물 및 유성 메이크업 화장료
WO2023120226A1 (ja) 油性睫毛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