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359B1 - 스크린 유닛을 갖는 입도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유닛을 갖는 입도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359B1
KR101786359B1 KR1020160077179A KR20160077179A KR101786359B1 KR 101786359 B1 KR101786359 B1 KR 101786359B1 KR 1020160077179 A KR1020160077179 A KR 1020160077179A KR 20160077179 A KR20160077179 A KR 20160077179A KR 101786359 B1 KR101786359 B1 KR 101786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body
mat
screen ma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7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5Cleaning with fluid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스크린 유닛 및 이를 갖는 입도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스크린 유닛은, 스크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 봉에 끼워지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눈목을 형성하는 다수의 분할판을 포함하는 스크린 매트와, 상기 분할판들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끼워져 상기 분할판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스크린 몸체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연계되어 상기 가이드 봉을 그 길이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작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유닛 및 이를 갖는 입도 선별장치{SCREEN UNIT AND APPARATUS FOR SORTING GRAIN SIZ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린 유닛 및 이를 갖는 입도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매트의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수시로 자동으로 제거하여 입도 선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크린 매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유닛 및 이를 갖는 입도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 투입되는 제선 원료(예컨대, 철광석, 코크스 등)는 복수의 호퍼로 이루어진 원료 저장조에 저장된 후 외부로 불출되어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동되어 고로의 내부로 투입된다.
원료는 고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20mm 이상의 입도, 5~20mm의 입도, 그리고 5mm 이하의 입도 크기로 선별하여 고로에 투입되는 분함량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5mm 이하의 미분이 고로에 투입되면 통기성이 악화되어 노황 불량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료의 크기를 정확하게 선별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원료 저장조의 출축에는 원료를 입도별로 선별하기 위한 입도 선별장치가 설치된다.
입도 선별장치에는 눈목이 형성된 스크린 매트가 구비되어 스크린 매트의 눈목을 통과하지 못한 괴광은 고로 공정의 원료로 사용하고 스크린 매트의 눈목을 통과한 분광은 회수되어 소결 원료로 재사용하고 있다.
수분 함유 등으로 원료의 품질이 불량하거나 원료의 크기가 스크린 매트의 눈목 크기와 비슷한 경우에는 원료가 스크린 매트의 눈목을 막아 스크린 매트의 입도 선별 능력이 상실되고, 이로 인해 후공정인 고로 공정에 품질이 불량한 원료가 공급되어 고로의 노황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크린 매트의 눈목이 막히게 되면 스크린 매트에 원료가 과다 적치됨에 따라 스크린 매트가 찢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스크린 매트의 눈목이 막히거나 스크린 매트가 찢어지면 입도 선별장치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작업자가 입도 선별장치 내부로 들어가서 치구 등으로 스크린 매트의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제거하거나 찢어진 스크린 매트를 교체하고 있으나, 이로 인한 설비 가동중지, 인건비 및 자재비의 증가로 인해 원료 제조원가의 상승이 초래되었고, 특히 스크린 매트 교체시 작업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어 설비 가동율이 저하되었다. 게다가, 입도 선별장치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자가 입도 선별장치 내부로 들어가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스크린 매트의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수시로 자동 제거하여 입도 선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크린 매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유닛 및 이를 갖는 입도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스크린 유닛은, 스크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 봉에 끼워지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눈목을 형성하는 다수의 분할판을 포함하는 스크린 매트와, 상기 분할판들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끼워져 상기 분할판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스크린 몸체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연계되어 상기 가이드 봉을 그 길이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작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판들은 그 측면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분할판들은 그 양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치홈을 구비하며, 상기 분할판들은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 치홈이 다른 분할판의 치홈과 연결되어 상기 눈목을 형성하도록 상호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입도 선별장치는, 스크린 몸체 및 상기 스크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유닛에 구비된 상기 스크린 매트의 일단부는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크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일단부와 대향하는 스크린 매트의 타단부는 스크린 매트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부재에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스크린 매트의 타단부에 축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의 측면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연결판과, 상기 스크린 몸체 외부에서 상기 연결판에 연계되어 상기 연결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재와, 상기 연결판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도 선별장치는, 상기 스크린 몸체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 토출구들과, 상기 연결판 및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 토출구들과 연계된 에어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도 선별장치는, 상기 스크린 몸체의 외측에 틸팅 수단에 의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 조립대와, 상기 조립대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의 측면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서 상기 스크린 몸체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스크린 유닛에 구비된 스크린 매트의 하부에서 원료를 수집하는 받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도 선별장치는, 상기 받음판의 측면에 상기 받음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배설된 랙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그 회전축에 조립된 제3 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도 선별장치는, 상기 스크린 몸체 내부에서 상기 스크린 유닛에 구비된 스크린 매트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매트의 눈목보다 큰 크기의 눈목을 갖는 추가 스크린 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매트의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수시로 제거하여 눈목 막힘에 따른 스크린 매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 매트의 교체 주기를 늘리어 스크린 매트 교체에 따르는 인력 및 자제 소모를 줄이어 원료, 예컨대 철광석 및 코크스 등의 제선 원료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매트의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협소한 입도 선별장치의 내부에서 작업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눈목 막힘에 의한 스크린 매트의 입도 선별 능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후공정인 고로 공정에 양질의 원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고로의 노황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도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크린 매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분할판들간 간격이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분할판들간 간격이 벌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도 선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상부 스크린 매트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하부 스크린 매트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도 선별장치는 스크린 몸체(100) 및 스크린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린 몸체(100)는 중공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료 공급기(300)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그 내부에 원료를 수용하고 일정한 입도를 갖는 원료를 선별한 후 원료가 이송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스크린 유닛(200)은 스크린 몸체(100)를 관통하여 스크린 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 봉(201)에 끼워지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눈목(H)을 형성하는 다수의 분할판(211)들로 이루어진 스크린 매트(210)와, 분할판(211)들 사이에서 가이드 봉(201)에 끼워지는 탄성부재(220)와, 스크린 몸체(100) 외부에서 가이드 봉(201)에 연계되어 가이드 봉(201)을 스크린 몸체(100)를 향하여 밀거나 스크린 몸체(100)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도록 작동하는 구동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린 매트(210)는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 소정의 기울기를 형성한 상태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몸체(100) 내에서 스크린 매트(210)가 기울어져서 장착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 스크린 매트(210)가 평행하게 장착되고 스크린 몸체(100) 자체가 기울어져서 기울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스크린 몸체(100) 및 스크린 매트(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크린 몸체(100)의 외측면에는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 공급된 원료가 스크린 매트(210)를 거쳐서 스크린 몸체(100) 하부 배출구(110)로의 낙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진동 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스크린 몸체(100)에 진동을 인가하여 원료가 스크린 매트(210)를 경유하고 스크린 몸체(100) 하단의 배출구(110)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크린 매트(210)의 일측 상부에는 원료 공급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낙하한다. 이때, 스크린 매트(210)로 투입되는 원료는 스크린 매트(210)의 경사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면서 입도에 따라서 선별되게 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료가 이동되는 방향, 즉 스크린 매트(210)의 길이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스크린 매트(210)의 폭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할 것이다.
스크린 매트(210)를 구성하는 분할판(211)들은 y축 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분할판(211)의 양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치홈(R)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판(211)들은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 치홈(R)이 다른 분할판(211)의 치홈(R)과 연결되어 일정한 크기의 눈목(H)을 형성하도록 x축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눈목(H)은 스크린 매트(210) 상에 공급된 원료 중 입도가 큰 원료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눈목(H)의 크기보다 큰 입도를 갖는 원료는 스크린 매트(210)의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걸러지게 되고 눈목(H)의 크기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원료는 스크린 매트(210B) 하부의 배출구(110)로 낙하하여 배출구(11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판(211)들이 스크린 매트(2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치홈(R)이 스크린 매트(210)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분할판(211)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분할판(211)들이 스크린 매트(210)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분할판(211)들은 스크린 매트(210)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치홈(R)은 스크린 매트(2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분할판(211)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분할판(211)들은 스크린 매트(210)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 봉(201)은 스크린 몸체(100)의 측면판 및 분할판(211)들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스크린 몸체(100) 및 분할판(211)들을 하나로 조립한다. 이러한 가이드 봉(201)의 일단부는 스크린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부와 대향하는 가이드 봉(201)의 타단부는 분할판(211)들 및 스크린 몸체(100)의 측면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스크린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 배치된 가이드 봉(201)의 일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큰 크기로 된 머리(201A)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봉(201)이 분할판(211)들 및 스크린 몸체(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탄성부재(220)는 분할판(211)들 사이에서 가이드 봉(201)에 삽입되어 분할판(211)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220)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분할판(211)들은 그 양 측면에 탄성부재(220)가 삽입되는 홈(211A)을 구비한다. 홈(211A)은 가이드 봉(201)이 끼워진 구멍과 연계되며 탄성부재(220)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어 가이드 봉(201)에 끼워진 탄성부재(220)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 부재(230)는 스크린 몸체(100)의 외벽에 고정되며 스크린 몸체(100) 외부에서 가이드 봉(201)에 연계되어 실린더 운동하면서 가이드 봉(201)을 스크린 몸체(100)를 향하여 밀거나 스크린 몸체(100)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가이드 봉(201)에 끼워진 분할판(211)들이 상호 인접하여 눈목(H)을 형성하도록 하거나 혹은 탄성부재(220)의 작용에 의해서 분할판(211)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눈목(H)이 벌어질 수 있도록 작동한다. 구동부재(230)로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도 선별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 및 응용 가능하다. 이러한 변경 및 응용 가능한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료를 입도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1차 스크린 매트(210A) 및 2차 스크린 매트(210B)가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료가 일정한 입경을 갖도록 스크린 매트를 1차, 2차로 구비하여 2번 선별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스크린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원료가 일정한 입경을 가질 수 있도록 스크린을 다수로 구비하여 원료를 선별해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1차 스크린 매트(210A)는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서 기울기를 형성하며 장착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plate)의 형태로 형성된다. 1차 스크린 매트(210A)에는 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제1 눈목(H1)이 형성된다.
1차 스크린 매트(210A)의 일측 상부에는 원료 공급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낙하하며, 제1 눈목(H1)은 1차 스크린 매트(210A) 상에 공급된 원료 중 입도가 큰 원료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눈목(H1)의 크기보다 큰 입도를 갖는 원료는 1차 스크린 매트(210A)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걸러지게 되고 제1 눈목(H1)의 크기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원료는 제1 눈목(H1)을 통과하여 1차 스크린 매트(210A) 하부에 설치된 2차 스크린 매트(210B) 상으로 낙하하게 된다.
스크린 몸체(100)의 측면판은 상단에서부터 중단에 이르는 부분이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에는 스크린 몸체(100)의 외부에 설치된 원료 보관통(41)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출판(120)이 설치되어 있다. 1차 스크린 매트(210A)는 배출판(120)이 설치된 단부를 향하여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1차 스크린 매트(210A)에 의해 걸러진 원료를 배출판(120)을 통해서 원료 보관통(41)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2차 스크린 매트(210B)는 1차 스크린 매트(210A)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1차 스크린 매트(210A)에 의해 선별된 원료를 다시 한번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2차 스크린 매트(210B)는 1차 스크린 매트(210A)와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즉, 2차 스크린 매트(210B)는 그 상류부가 1차 스크린 매트(210A)의 하류부 아래에 배치되고, 그 하류부가 1차 스크린 매트(210A)의 상류부 아래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도 7에서는 2차 스크린 매트(210B)가 도 6에 도시된 1차 스크린 매트(210A)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7은 도 6과 비교해서 18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실제로는 2차 스크린 매트(210B)가 1차 스크린 매트(210A)와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2차 스크린 매트(210B)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 눈목(H2)을 형성하는 다수의 분할판(211)들로 구성된다. 2차 스크린 매트(210B)를 구성하는 분할판(211)들은 y축 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분할판(211)의 양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치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판(211)들은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 치홈이 다른 분할판(211)의 치홈과 연결되어 일정한 크기의 제2 눈목(H2)을 형성하도록 x축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눈목(H2)은 1차 스크린 매트(210A)에 형성된 제1 눈목(H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2차 스크린 매트(210B)의 상부에는 1차 스크린 매트(210A)를 통과한 원료가 낙하하며, 제2 눈목(H2)은 2차 스크린 매트(210B) 상에 공급된 원료 중 입도가 큰 원료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눈목(H2)의 크기보다 큰 입도를 갖는 원료는 2차 스크린 매트(210B)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걸러지게 되고 제2 눈목(H2)의 크기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원료는 제2 눈목(H2)을 통과하여 배출구(110)로 낙하되며 배출구(11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봉(201)은 스크린 몸체(100)의 측면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 삽입된다. 2차 스크린 매트(210B)를 구성하는 분할판(211)들에는 가이드 봉(201)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판(211)들 및 스크린 몸체(100)는 가이드 봉(201)에 의하여 하나로 조립된다.
가이드 봉(201)의 일단부는 스크린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부와 대향하는 가이드 봉(201)의 타단부는 분할판(211)들 및 스크린 몸체(100)의 측면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스크린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 배치된 가이드 봉(201)의 일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큰 크기로 된 머리(201A)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봉(201)이 분할판(211)들 및 스크린 몸체(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봉(201)에는 분할판(211)들 사이 사이에 탄성부재(220)가 삽입되어 분할판(211)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부재(220)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분할판(211)들은 그 양 측면에 탄성부재(220)가 삽입되는 홈(211A)을 구비한다. 홈(211A)은 가이드 봉(201)이 끼워진 구멍과 연계되며 탄성부재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어 가이드 봉(201)에 끼워진 탄성부재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스크린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봉(201)의 타단부에는 제1 구동부재(230)가 연계되어 있다.
제1 구동부재(230)는 스크린 몸체(100)의 외벽에 고정되며 스크린 몸체(100) 외부에서 가이드 봉(201)에 연계되어 실린더 운동하면서 가이드 봉(201)을 스크린 몸체(100)를 향하여 밀거나 스크린 몸체(100)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가이드 봉(201)에 끼워진 분할판(211)들이 상호 인접하여 제2 눈목(H2)을 형성하도록 하거나 혹은 탄성부재(220, 도 3 참조)의 작용에 의해서 분할판(211)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눈목(H2)이 벌어질 수 있도록 작동한다. 제1 구동부재(230)로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2차 스크린 매트(210B)의 일단부, 예컨대 상측 단부는 축(24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스크린 몸체(100)에 고정되고, 2차 스크린 매트(210B)의 타단부, 예컨대 하측 단부에는 2차 스크린 매트(210B)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 부재(400)가 연계된다.
진동 부재(400)는 연결판(410)과, 제2 구동부재(420) 및 도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판(410)은 2차 스크린 매트(210B)를 구성하는 분할판(211)들의 하측 단부에 축(250)에 의해 조립되며, 스크린 몸체(100)의 측면판을 절개하여 형성된 개구부(130)를 통해서 스크린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제2 구동부재(420)은 스크린 몸체(100) 외부에서 연결판(410)과 연계되어 실린더 운동하면서 연결판(410)을 밀거나 당겨서 연결판(410)으로 하여금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여 연결판(410)에 조립된 2차 스크린 매트(210B)가 상하로 진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구동부재(420)으로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도어(430)는 연결판(410)의 상부면에 볼트체결 또는 접합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스크린 몸체(100)에 개구부(130)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140)에 삽입되어, 연결판(410)이 축(250)을 중심으로 회동하지 않고 위, 아래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연결판(410)에 연계된 2차 스크린 매트(210B)가 상하로 진동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430)가 연결판(410)의 상부면에 고정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430)는 연결판(41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스크린 몸체(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40)은 개구부(130)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스크린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어(43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에어 토출구(431)들이 가공되어 있다. 에어 토출구(431)들은 도어(430) 및 연결판(410)을 관통하여 형성된 에어 공급 라인(440)과 연계되어, 에어 공급 라인(440)을 통한 기체 공급시에 공급된 기체가 에어 토출구(431)들을 통해서 스크린 몸체(100) 내부로 분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스크린 몸체(100) 내부에서 비산하는 분진이 도어(430)와 스크린 몸체(100) 사이의 틈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스크린 몸체(100)의 외측에는 조립대(510)가 틸팅 수단(520)에 의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립대(510)는 그 하부면에 회동축(511)을 구비하며 회동축(511)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다. 틸팅 수단(520)은 그 일단부가 스크린 몸체(100)의 외벽에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부가 조립대(510)의 회동축(511)에 힌지 결합되어 조립대(510)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며 조립대(510)를 원료 보관통(42)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틸팅시킬 수 있다. 이러한 틸팅 수단(620)으로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틸팅 수단(520)으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틸팅 수단(520)은 유압 실린더뿐만 아니라 조립대(510)를 틸팅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조립대(510) 상에는 받음판(530)이 스크린 몸체(1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스크린 몸체(100)의 반대 방향으로 슬리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음판(530)은 조립대(5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스크린 몸체(100)의 측면판에 형성된 절개부(150)를 통과하여 스크린 몸체(100) 내부로 인입되어 2차 스크린 매트(210B)의 하부에서 원료를 수집한다.
조립대(510) 상에는 받음판(530)이 슬리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받음판(530)을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게 조립대(510)의 상부면에는 받음판(530)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512)이 배설되고, 받음판(630)의 하부면에는 가이드 레일(512)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부(531)가 구비된다.
더불어, 조립대(510)에는 받음판(530)이 가이드 레일(51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재(540)이 설치된다. 제3 구동부재(540)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받음판(530)의 측면에는 레일부(531)과 나란한 방향으로 랙기어(532)가 배설되고, 제3 구동부재(540)의 회전축에는 랙기어(532)와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541)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입도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 공급기(300)로 투입된 원료는 스크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원료는 1차 스크린 매트(210A) 및 2차 스크린 매트(210B)를 거치면서 하부로 낙하된다.
이때, 1차 스크린 매트(210A)에는 제1 눈목(H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눈목(H1)의 크기보다 큰 입도를 갖는 원료는 제1 눈목(H1)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되며, 제1 눈목(H1)의 크기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원료는 제1 눈목(H1)을 통과하여 1차 스크린 매트(210A) 하부에 설치된 2차 스크린 매트(210B) 상으로 낙하하게 된다.
1차 스크린 매트(210A)에 의해 걸러진 원료는 1차 스크린 매트(210A)의 경사면을 따라서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며 배출판(120)을 통해서 원료 보관통(41)으로 이동되어 모아지게 된다.
2차 스크린 매트(210B)에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분할판(211)들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제2 눈목(H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2차 스크린 매트(210B) 상으로 낙하한 원료 중에서 제2 눈목(H2)의 크기보다 큰 입도를 갖는 원료는 제2 눈목(H2)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되며 제2 눈목(H2)의 크기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원료는 제2 눈목(H2)을 통과하여 하부의 배출구(11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 다음, 제3 구동부재(540)를 구동시켜 받음판(530)을 스크린 몸체(100) 내부로 인입시키어 2차 스크린 매트(210B)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제1 구동부재(230)의 피스톤 로드를 인입시키면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서 2차 스크린 매트(210B)를 구성하는 분할판(211)들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눈목(H2)이 벌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2차 스크린 매트(210B)에 의해 걸러진 원료와 2차 스크린 매트(210B)의 제2 눈목(H2)에 끼어있던 원료가 하부의 받음판(530)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 다음, 제3 구동부재(540)를 구동시켜 받음판(530)을 스크린 몸체(100) 외부로 인출시킨 후에, 틸팅 수단(520)을 작동시켜 조립대(510)를 보관통(42)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틸팅시키어 받음판(530) 상의 원료가 보관통(42)으로 이동되어 모아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매트의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수시로 제거하여 스크린 매트의 입도 선별 능력이 상실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스크린 매트의 입도 선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후공정인 고로 공정에 양질의 원료를 공급하여 고로의 노황 안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매트의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눈목에 끼어있는 원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협소한 입도 선별장치의 내부에서 작업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눈목 막힘에 따른 스크린 매트 파손을 방지하여 스크린 매트의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으므로 스크린 매트 교체에 따르는 인력 및 자제 소모를 줄이어 제선 원료, 예컨대 철광석 및 코크스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크린 몸체 110: 배출구
200: 스크린 유닛 210: 스크린 매트
210A,210B: 1차, 2차 스크린 매트
211: 분할판 201: 가이드 봉
220: 탄성부재 230: 구동부재, 제1 구동부재
R: 치홈 H : 눈목
H1,H2: 제,제2 눈목 300: 원료 공급기
400: 진동 부재 410: 연결판
420: 제2 구동부재 430: 도어
431: 에어 토출구 440: 에어 공급 라인
510: 조립대 520: 틸팅 수단
530: 받음판 540: 제3 구동부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스크린 몸체;및
    스크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유닛은 상기 스크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 봉에 끼워지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눈목을 형성하는 다수의 분할판을 포함하는 스크린 매트;
    상기 분할판들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끼워져 상기 분할판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및
    상기 스크린 몸체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연계되어 상기 가이드 봉을 그 길이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작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매트의 일단부는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크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일단부와 대향하는 스크린 매트의 타단부는 스크린 매트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부재에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선별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스크린 매트의 타단부에 축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의 측면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연결판;
    상기 스크린 몸체 외부에서 상기 연결판에 연계되어 상기 연결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재;및
    상기 연결판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선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몸체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 토출구들;및
    상기 연결판 및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 토출구들과 연계된 에어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선별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몸체의 외측에 틸팅 수단에 의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 조립대;및
    상기 조립대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의 측면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서 상기 스크린 몸체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스크린 유닛에 구비된 스크린 매트의 하부에서 원료를 수집하는 받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선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받음판의 측면에 상기 받음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배설된 랙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그 회전축에 조립된 제3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선별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몸체 내부에서 상기 스크린 유닛에 구비된 스크린 매트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매트의 눈목보다 큰 크기의 눈목을 갖는 추가 스크린 매트를 더 포함하는 입도 선별장치.
KR1020160077179A 2016-06-21 2016-06-21 스크린 유닛을 갖는 입도 선별장치 KR101786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79A KR101786359B1 (ko) 2016-06-21 2016-06-21 스크린 유닛을 갖는 입도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79A KR101786359B1 (ko) 2016-06-21 2016-06-21 스크린 유닛을 갖는 입도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359B1 true KR101786359B1 (ko) 2017-10-17

Family

ID=6029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179A KR101786359B1 (ko) 2016-06-21 2016-06-21 스크린 유닛을 갖는 입도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3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3575A (zh) * 2018-11-12 2019-03-08 衡阳博思科技有限公司 一种茶叶制备用分拣筛选装置
KR20200030178A (ko) *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포스코 광석 입도 선별장치
KR102201383B1 (ko) * 2019-10-17 2021-01-11 강조신 블루베리 선별장치
CN112642686A (zh) * 2020-11-19 2021-04-13 温州铂柜化妆品有限公司 用于制药设备的固体颗粒过滤器
CN115090525A (zh) * 2022-08-25 2022-09-23 江苏耀海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具有滤网清理功能的y型过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67Y1 (ko) * 2000-12-27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크린 매트의 메시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67Y1 (ko) * 2000-12-27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크린 매트의 메시 조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178A (ko) *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포스코 광석 입도 선별장치
KR102219039B1 (ko) * 2018-09-12 2021-02-23 주식회사 포스코 광석 입도 선별장치
CN109433575A (zh) * 2018-11-12 2019-03-08 衡阳博思科技有限公司 一种茶叶制备用分拣筛选装置
KR102201383B1 (ko) * 2019-10-17 2021-01-11 강조신 블루베리 선별장치
CN112642686A (zh) * 2020-11-19 2021-04-13 温州铂柜化妆品有限公司 用于制药设备的固体颗粒过滤器
CN115090525A (zh) * 2022-08-25 2022-09-23 江苏耀海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具有滤网清理功能的y型过滤装置
CN115090525B (zh) * 2022-08-25 2022-11-18 江苏耀海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具有滤网清理功能的y型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359B1 (ko) 스크린 유닛을 갖는 입도 선별장치
DE102007021004B3 (de) Siebmaschine
KR101177824B1 (ko) 진동 선별장치
MX2012012445A (es) Aparato y metodo para separacion de solidos de un fluido de perforacion cargado de solidos.
EP2704838B1 (de) Vorrichtung zur prallzerkleinerung und ausbringung von materialien, insbesondere von holz, in mehreren fraktionen
KR20190055270A (ko) 진동 스크리닝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EP0168495B1 (de) Siebvorrichtung
DE112009001455B4 (de) Siebmaschine und zugehörige Siebplatte
DE3109319C2 (de) Mehrsiebapparat
EP0265669B1 (de) Sortiermaschine
CN116833089B (zh) 一种石墨化阴极生产用原料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211937819U (zh) 一种具有匀料进料箱的振动清理筛
CA3022695C (en) Rock box splitter
DE2919500C3 (de) Austauschbares Plansieb für Siebmaschinen
CN110439055B (zh) 一种挖掘机铲斗
DE102005062090B4 (de) Sich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von schweren und leichten Partikeln von Tabakmaterial
EP1115492B1 (de) Vertikalrotormühle
EP3554723B1 (d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m polysilicium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CN215430110U (zh) 一种可定量取料的粉末加工用筛分装置
DE4212017C2 (de) Deckschichtstreuvorrichtung
CN212633381U (zh) 一种提升超微粉筛分精度的筛分装置
CN209935195U (zh) 一种麦仁生产除尘装置
EP1206978B1 (de) Vorrichtung zur Sortierung, Unterteilung einer Fraktion
CN115349036A (zh) 用于单晶生长的原料供应设备
EP0081087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chtetrennung eines Schüttgutgemis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