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561B1 -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561B1
KR101785561B1 KR1020110058635A KR20110058635A KR101785561B1 KR 101785561 B1 KR101785561 B1 KR 101785561B1 KR 1020110058635 A KR1020110058635 A KR 1020110058635A KR 20110058635 A KR20110058635 A KR 20110058635A KR 101785561 B1 KR101785561 B1 KR 10178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lm
sealing portion
substrate
apertures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075A (ko
Inventor
김태규
김은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561B1/ko
Priority to US13/399,899 priority patent/US8564198B2/en
Publication of KR2012013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6Spacers having different siz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가지는 기판;과,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씰링부;와, 제 1 기판과 씰링부 사이에 개재된 금속막;을 포함하되, 금속막에는 인가되는 에너지원의 에너지 크기와 비례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공이 패턴화된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레이저에 의한 씰링 영역에서의 씰링시, 씰링부에 특정 형상의 금속막을 패턴화시켜서 가우시안 형태의 불균일한 형태의 에너지가 인가되더라도 균일한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 영역에서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having enhanced sealing por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 사이의 씰링 영역에서의 씰링 균일도를 확보하도록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나, 캠코더나, 휴대 정보 단말기나,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씰링(Sealing)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기판 사이에 씰링재를 도포하고, 레이저 등에서 출사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복수의 기판을 접합하게 된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씰링시, 광의 프로파일(Profile)은 중앙 부분이 볼록한 가우시안(Gaussian) 분포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씰링부의 폭을 기준으로 씰링부의 중앙부가 씰링부의 주변부보다 과도하게 가열된다. 이처럼, 씰링부의 중앙부 및 주변부의 씰링 에너지의 불균일로 인하여 접합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너지의 불균일에 따른 씰링 균일도 차이에 의하여 접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하여 강도적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씰링시 씰링 에너지의 불균일로 인한 씰링 영역에서의 균일도를 확보하여 접착력을 강화시키도록 구조가 개선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른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가지는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씰링부;와,
상기 제 1 기판과 씰링부 사이에 개재된 금속막;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막에는 인가되는 에너지원의 에너지 크기와 비례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공이 패턴화된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의 크기는 상기 에너지원의 에너지 크기가 가장 큰 쪽으로부터 작은 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상기 씰링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며, 상기 개구공의 크기는 상기 금속막의 중심 부분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의 폭 방향으로 중심 부분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공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며, 좌우 최가장자리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공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의 패턴은 금속막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 및 금속막은 상기 제 1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개구공은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패턴화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의 패턴은 상기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폭 방향을 따라 크기가 다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동일한 크기로 패턴화되고, 금속막의 폭 방향을 따라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간격을 두고 작아지게 패턴화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 및 금속막은 상기 제 1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개구공은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패턴화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금속막의 폭 방향을 따라 중앙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간격을 두고 작아지게 패턴화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상기 금속막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홈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원은 레이저 빔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은 발광 영역인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표시부로 구획되고, 상기 금속막은 상기 표시부에 형성되는 패턴층에 대하여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발광부,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제 2 금속막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글라스 프릿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Li, Ca, LiF, Al, Mg, Mo, Ti, Ag 및 이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중 어느 하나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레이저에 의한 씰링 영역에서의 씰링시, 씰링부에 특정 형상의 금속막을 패턴화시켜서 가우시안 형태의 불균일한 형태의 에너지가 인가되더라도 균일한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 영역에서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접착력의 균일도가 향상되어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하더라도 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씰링 영역을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씰링 공정시 이용되는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도 1의 금속막의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막의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막의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1의 표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는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과, 씰링부(130)와, 금속막(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와 같은 글래스 기판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성의 고분자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발광 영역인 표시부(150)와, 상기 표시부(150)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비표시부(160)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부(150)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액정 소자와 같은 다른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부(160)에는 별도로 마련되는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이나, 경성 회로 기판(Hard Printed Circuit Board, HPCB)과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170)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상기 제 1 기판(110)과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표시부(150)를 보호하고,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표시 장치(100)의 발광 방향에 따라 다른 소재로 변경가능하다.
상기 씰링부(130)는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씰링부(130)는 결합된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씰링부(130)는 상기 표시부(150)의 둘레를 따라 비표시부(16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씰링부(130)는 표시부(15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인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씰링부(130)는 글라스 프릿(Glass frit)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막(140)은 상기 제 1 기판(110)과 씰링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금속막(140)은 표시부(150)가 구획된 제 1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것이 제조 공정상 유리하다. 이것은 상기 표시부(150)의 특정 패턴층을 형성시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금속막(140)은 결합된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20)이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상기 씰링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막(140)은 상기 표시부(150)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씰링부(13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어 있다. 상기 금속막(140)은 Li, Ca, LiF, Al, Mg, Mo, Ti, Ag 및 이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표시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을 서로 정렬하고, 상기 제 2 기판(120)의 상부에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게 되면, 상기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20) 사이에 개재된 씰링부(130)는 경화하게 된다.
레이저 빔이 상기 씰링부(130)로 조사될 때,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상기 씰링부(130)에 대하여 중첩되게 형성된 금속막(140)은 레이저 빔을 화살표와 같이 반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씰링부(130)는 제 2 기판(120)의 상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하여 1차로 경화되고, 상기 금속막(140)을 통하여 반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하여 2차로 경화된다. 따라서, 상기 씰링부(130)는 견고하게 경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막(140)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우시안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금속막(14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기 금속막(140)의 중심 부분(C)에서 레이저 빔의 에너지 강도가 가장 세고, 상기 금속막(140)의 양 가장자리 부분(LP)(RP)으로 갈수록 세기가 낮아진다.
따라서, 레이저 빔 조사시 금속막(140)의 폭을 기준으로 가장자리 부분(LP)(RP)보다 중심 부분(C)에 더 높은 에너지가 입사된다. 이로 인하여 금속막(140)은 불균일한 에너지 분포를 가지게 되어 불균일하게 팽창하고, 레이저 빔 조사후 냉각시 불균일하게 수축한다.
이러한 불균일한 팽창과 수축은 상기 금속막(140)의 영역별로 불균일한 잔류 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20)을 씰링하는 씰링부(130)의 씰링 균일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막(140)에는 인가되는 레이저빔의 에너지 크기와 비례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공(180)이 패턴화된다.
도 4는 도 1의 금속막(140)의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금속막(140)은 기판(도 1의 100)의 일방향(Y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상기 금속막(140)은 표시부(150)의 둘레를 따라 사각틀 형상으로 패턴화되어 있다.
상기 금속막(140)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개구공(180)이 패턴화되어 있다. 즉, 상기 개구공(180)은 상기 금속막(140)에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크기가 큰 쪽으로부터 작은 쪽으로 갈수록 개구공(180)의 크기가 작아지게 패턴화되어 있다. 상기 개구공(180)은 상기 금속막(14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개구공(180)은 상기 금속막(140)의 폭 방향을 따라서 중심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소정 간격을 두고 작아지게 패턴화되어 있다. 상기 개구공(180)은 레이저 빔의 에너지 강도가 가장 센 금속막(140)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C)에서 일열로 배열(즉, Y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개구공(181)의 크기가 가장 크다.
반면에, 상기 개구공(180)은 레이저 빔의 강도가 낮아지는 좌측 가장자리부(LP)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2 개구공(182), 복수의 제 3 개구공(183), 복수의 제 4 개구공(184) 순으로, 우측 가장자리(RP)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5 개구공(185), 복수의 제 6 개구공(186), 복수의 제 7 개구공(187) 순으로 점차적으로 작게 패턴화된다. 상기 개구공(180)의 크기 변화는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크기와 비례한다.
또한, 금속막(140)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C)을 기준으로 좌측 가장자리부(LP)로 배열된 복수의 제 2 개구공(182), 복수의 제 3 개구공(183), 복수의 제 4 개구공(184)에 대하여 우측 가장자리부(RP)로 배열된 복수의 제 5 개구공(185), 복수의 제 6 개구공(186), 복수의 제 7 개구공(187)은 좌우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공(180)은 금속막(140)의 폭 방향으로 중심 부분(C)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개구공(181)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며, 좌측 최가장자리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4 개구공(184)의 크기 및 우측 최가장자리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7 개구공(187)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금속막(140)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강도가 금속막(140)의 중심 부분(C)에서 가장 세므로, 개구공(180)의 크기를 가장 크게 형성하여서 상대적으로 레이저 빔의 에너지 강도를 줄이고, 좌측 가장자리부(LP) 및 우측 가장자리부(RP) 쪽으로 갈수록 약해지므로,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크기와 비례하여 개구공(180)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줄이게 되어서 상대적으로 레이저 빔의 에너지 강도를 크게 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개구공(180)은 금속막(140)의 길이 방향(Y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패턴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공(180)은 연속적인 띠 형상이 아니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금속막(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열에 배열된 개구공(180)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이와는 달리, 상기 금속막(140)의 폭 방향(X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개구공(180)은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개구공(180)은 상기 금속막(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d)을 두고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동일한 열에 배열된 개구공(180)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패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금속막(140)의 전체 영역에 배열된 복수의 개구공(180)은 소정 간격을 두고 패턴화된 정사각형의 홈이다.
이처럼, 상기 금속막(140)에는 레이저 빔의 가우시안 분포에 따라서 이와 비례하도록 개구공(180)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되므로, 레이저 빔의 반사에 의한 균일한 에너지 분포를 씰링부(130)에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막(540)의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금속막(540)은 기판의 일 방향(Y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상기 금속막(540)에는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크기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개구공(580)이 패턴화되어 있다.
즉, 상기 개구공(580)은 레이저 빔의 에너지 강도가 가장 센 금속막(540)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C)에서 일열로 배열(즉, Y 방향)된 복수의 제 1 개구공(581)의 크기가 가장 크며, 레이저 빔의 강도가 낮아지는 좌측 가장자리부(LP)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2 개구공(582), 복수의 제 3 개구공(583), 복수의 제 4 개구공(584) 순으로, 우측 가장자리부(RP)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5 개구공(585), 복수의 제 6 개구공(586), 복수의 제 7 개구공(587) 순으로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크기와 비례하여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패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막(540)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C)을 기준으로 좌측 가장자리부(LP)로 배열된 복수의 제 2 개구공(582), 복수의 제 3 개구공(583), 복수의 제 4 개구공(584)과, 우측 가장자리부(RP)로 배열된 복수의 제 5 개구공(585), 복수의 제 6 개구공(586), 복수의 제 7 개구공(587)은 좌우 대칭되는 패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공(580)은 상기 금속막(540)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개구공(580)은 직사각형의 형상 이외에도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이나, 타원형 패턴이 가능하며, 일열에 배열된 각각의 개구공(580)의 면적이 동일하다면 다각형이나, 원형이나, 타원형 패턴을 혼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공(580)은 금속막(540)의 폭 방향으로 중심 부분(C)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개구공(581)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며, 좌측 최가장자리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4 개구공(584)의 크기 및 우측 최가장자리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7 개구공(587)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막(640)의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금속막(640)은 기판의 일 방향(Y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상기 금속막(640)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개구공(680)이 패턴화되어 있다.
상기 개구공(680)은 상기 금속막(640)에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크기가 가장 센 금속막(640)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C)에서 일열로 배열(즉, Y 방향)된 복수의 제 1 개구공(681)의 크기가 가장 크다.
또한, 상기 개구공(680)은 레이저 빔의 강도가 낮아지는 좌측 가장자리부(LP)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2 개구공(682), 복수의 제 3 개구공(683), 복수의 제 4 개구공(684) 순으로, 우측 가장자리(RP)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5 개구공(685), 복수의 제 6 개구공(686), 복수의 제 7 개구공(687) 순으로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 크기와 비례하여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패턴화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구공(680)의 패턴은 도 4의 개구공(180)의 패턴이나, 도 5의 개구공(580)의 패턴처럼 불연속적인 패턴과는 달리 상기 기판의 일 방향(Y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스트립 형상이다.
이처럼, 상기 개구공(680)은 금속막(640)의 폭 방향으로 중심 부분(C)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개구공(681)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며, 좌측 최가장자리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4 개구공(684)의 크기 및 우측 최가장자리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7 개구공(687)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된다.
도 7은 도 1의 표시부(150)가 유기 발광 소자로 형성된 경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기판(110) 상에는 버퍼층(701)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701)은 제 1 기판(110)의 상부에 평탄한 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기판(110) 방향으로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버퍼층(701) 상에는 소정 패턴의 반도체 활성층(702)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702)은 비정질 실리콘이나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으로 반도체 활성층(702)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다. 3족 원소인 붕소(B) 등으로 도핑하면, P-type, 5족 원소인 질소(N) 등으로 도핑하면, N-type 반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702)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703)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703) 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704)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703)은 반도체 활성층(702)과 게이트 전극(704)을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물이나 SiNx, SiO2와 같은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704)은 Au, Ag, Cu, Ni, Pt, Pd, Al, Mo, 또는 Al:Nd, Mo:W 합금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착성, 평탄성, 전기 저항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704)은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704)의 상부로는 층간 절연막(705)이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705) 및 게이트 절연막(703)은 활성층(70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활성층(702)의 노출된 영역에 소스 전극(706) 및 드레인 전극(707)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스 전극(706) 및 드레인 전극(707)을 이루는 물질은 Au, Pd, Pt, Ni, Rh, Ru, Ir, Os 외에도, Al, Mo, Al:Nd 합금, MoW 합금 등과 같은 2종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소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 활성층(702), 게이트 전극(704), 소스 전극(706), 및 드레인 전극(707)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713)가 형성된다.
상기 소스 전극(706) 및 드레인 전극(707)을 덮도록 패시베이션층(708)이 형성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708)은 무기 절연막 및/또는 유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708)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의 복합 적층체로도 형성할 수 있다.
무기 절연막으로는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5, HfO2, ZrO2, BST, PZT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고, 유기 절연막으로는 일반 범용 고분자(PMMA, PS), Phenol 그룹을 가지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 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708)은 상기 드레인 전극(707)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드레인 전극(707)과 연결되도록 유기 발광 소자(709)를 형성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709)는 제 1 전극(710), 제 2 전극(712) 및 중간층(71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전극(710)과 드레인 전극(707)이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중간층(711)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제 1 전극(710)과 제 2 전극(712)을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면, 가시광선을 구현한다.
상기 제 1 전극(710) 상에는 절연재로 된 화소 정의막(Pixel Define Layer, PDL, 713)을 형성한다. 상기 화소 정의막(713)에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여 제 1 전극(710)이 노출되도록 한다. 노출된 제 1 전극(710) 상에 유기 발광부인 중간층(711)을 형성한다. 상기 중간층(711) 상에는 제 2 전극(712)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711), 제 2 전극(712)은 각각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의 극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제 1 전극(711)과 제 2 전극(712)의 극성이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2 전극(712) 상에는 제 2 기판(120)이 배치된다. 이때, 제 2 전극(712)을 형성시, 표시부(150)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비표시부(도 1의 160)에는 제 2 전극(712)과 동일한 소재로 된 금속막(도 1의 140)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막(140)과 제 2 전극(712)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100...표시 장치 110...제 1 기판
120...제 2 기판 130...씰링부
140...금속막 150...표시부
160...비표시부 180...개구공

Claims (21)

  1.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가지는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씰링부; 및
    상기 제 1 기판과 씰링부 사이에 개재된 금속막;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막은 복수의 개구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공은 상기 금속막이 연장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인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씰링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며,
    각각의 개구공의 크기는 상기 금속막의 폭 방향으로 금속막의 중심 부분에서 금속막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의 폭 방향으로 상기 금속막의 중심 부분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공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며, 상기 금속막의 좌우 최가장자리 부분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공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의 패턴은 금속막의 폭 방향으로 상기 금속막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 및 금속막은 상기 제 1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상기 개구공은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패턴화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의 패턴은 상기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폭 방향을 따라 크기가 다른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상기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동일한 크기로 패턴화되고, 상기 금속막의 폭 방향을 따라 금속막의 중심 부분에서 금속막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간격을 두고 작아지게 패턴화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의 폭 방향으로 금속막의 중심 부분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공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며, 금속막의 좌우 최가장자리 부분에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공의 크기가 가장 작은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의 패턴은 다각형이나, 원형이나, 타원형 패턴이나, 이들이 혼용된 패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 및 금속막은 상기 제 1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개구공은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패턴화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상기 금속막의 폭 방향으로 금속막의 중심 부분에서 금속막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간격을 두고 작아지게 패턴화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의 패턴은 스트립 형상으로 배열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상기 금속막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홈 형상인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은 발광 영역인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표시부로 구획되고,
    상기 금속막은 상기 표시부에 형성되는 패턴층에 대하여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소자는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발광부,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제 2 전극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표시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씰링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상기 개구공은 금속막의 전체 영역을 따라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패턴화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금속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동일한 크기로 패턴화되고, 상기 금속막의 폭 방향으로 금속막의 중심 부분에서 금속막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간격을 두고 작아지게 패턴화된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글라스 프릿을 포함하는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Li, Ca, LiF, Al, Mg, Mo, Ti, Ag 및 이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중 어느 하나인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1020110058635A 2011-06-16 2011-06-16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10178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635A KR101785561B1 (ko) 2011-06-16 2011-06-16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US13/399,899 US8564198B2 (en) 2011-06-16 2012-02-17 Display apparatus including enhanced sealing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635A KR101785561B1 (ko) 2011-06-16 2011-06-16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75A KR20120139075A (ko) 2012-12-27
KR101785561B1 true KR101785561B1 (ko) 2017-11-07

Family

ID=4735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635A KR101785561B1 (ko) 2011-06-16 2011-06-16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64198B2 (ko)
KR (1) KR101785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095A (ko) * 2012-11-13 2014-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93331B1 (ko) 2013-01-03 2019-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49369B1 (ko) * 2013-05-21 2019-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825253B2 (en) * 2013-06-28 2017-11-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35882B1 (ko) * 2013-07-22 2020-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50033195A (ko) 2013-09-23 2015-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6381B1 (ko) 2013-10-14 2020-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16672B1 (ko) 2013-10-22 2021-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385174B2 (en) 2013-10-22 2016-07-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61286B1 (ko) * 2013-10-22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60694B1 (ko) * 2013-11-01 2020-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3006B1 (ko) 2014-01-06 2021-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184676B1 (ko) * 2014-02-19 2020-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97935B1 (ko) 2014-02-21 2021-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08463A (ko) * 2014-03-17 2015-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TWI574442B (zh) * 2014-04-10 2017-03-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US20150372251A1 (en) * 2014-06-19 2015-12-24 Toshishige Fujii Electric element package
KR102303242B1 (ko) * 2014-10-17 2021-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09620B1 (ko) * 2014-11-18 2021-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5404A (ko) 2014-11-28 2016-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405124B1 (ko) 2014-12-09 2022-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0092B1 (ko) 2015-01-22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62188B1 (ko) * 2015-01-28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78362B1 (ko) * 2015-03-20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560556B2 (ja) * 2015-07-16 2019-08-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23357B1 (ko) * 2015-07-21 2021-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9308B1 (ko) * 2015-10-06 2022-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91875B1 (ko) * 2015-11-26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1924A (ko) * 2016-07-25 2018-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2308B1 (ko) 2018-07-26 2023-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10507A (ko) 2019-03-13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185423B1 (ko) * 2020-07-14 2020-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8776B2 (en) 2003-04-16 2006-02-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package that is hermetically sealed with a frit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0508948B1 (ko) 2003-09-02 2005-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7247986B2 (en) 2003-06-10 2007-07-24 Samsung Sdi. Co., Ltd.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538488B2 (en) * 2004-02-14 2009-05-2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KR20060077466A (ko) 2004-12-30 2006-07-05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의 봉지 구조 및 봉지 방법
TW200732807A (en) 2006-02-22 2007-09-01 Prime View Int Co Ltd Electronic ink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80051788A (ko) 2006-12-07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자외선 노광 장치
KR101365120B1 (ko) 2007-10-24 2014-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072571B2 (en) * 2007-12-06 2011-12-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75A (ko) 2012-12-27
US20120319574A1 (en) 2012-12-20
US8564198B2 (en)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561B1 (ko) 강화된 씰링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US10930887B2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dam in a folding region
US10707429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211416B2 (en)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2631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LED display device, mask, and method of designing mask
EP3488478B1 (en)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JP4248591B2 (ja) 表示パネル
EP2854186A1 (en) Light source module,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2009010301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35363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0532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031642A1 (en) Adhesive tap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5705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61377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08241227B (zh) 用于液晶显示器的阵列基板和包括其的液晶显示器
JP2008070874A (ja) 可撓性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20110058135A1 (en) Display device
JP2011123150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127468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51580B1 (ko)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27975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의 제조방법
US20210202658A1 (en) Display device
JP200712199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479464B (zh) 顯示面板及其封裝方法
KR102046297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