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601B1 -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601B1
KR101784601B1 KR1020160045065A KR20160045065A KR101784601B1 KR 101784601 B1 KR101784601 B1 KR 101784601B1 KR 1020160045065 A KR1020160045065 A KR 1020160045065A KR 20160045065 A KR20160045065 A KR 20160045065A KR 101784601 B1 KR101784601 B1 KR 10178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guide
container
guide groove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215A (ko
Inventor
가츠히코 다니구치
임선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12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2Removable lids or covers guided for removal by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용기에 대한 슬라이드식 덮개의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는 용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개폐한다.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1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50)을 형성하는 레일을 구비한다. 셔터(14)는 셔터 로어(20)와 외측의 셔터 어퍼(30)로 분할되어 있다. 셔터 로어(20)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본체(23)와, 가이드 홈(50)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25)를 가지며, 셔터 어퍼(30)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패널(33)과, 가이드 홈(50)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34)를 가진다. 일방의 맞닿음부(37)가 타방의 맞닿음부[본체(23)]를 탄지함으로써 셔터 로어(20)의 단부(25) 및 셔터 어퍼(30)의 단부(34)가 레일에 탄지된다.

Description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SLIDING LID STRUCTURE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의 개폐에 이용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로서 예를 들면, 자동차의 센터 콘솔 등에 설치한 용기의 개구부를 슬라이드식의 문으로 개폐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는 용기의 개폐에 이용되는 문 장치의 일례이며, 이 문 장치는 용기의 개구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문을 구비한다. 문은 발 형상의 만곡 가능한 덮개 본체와, 덮개 본체에 대해서 개구부의 표면측에 겹쳐서 설치된 가요성의 시트 형상 부재를 구비한다. 용기에는 덮개 본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본체와 시트 형상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 일단부끼리가 연결되고, 시트 형상 부재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상시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탄발(彈發) 수단에 의해 탄발 탄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094592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에 따르면, 시트 형상 부재에 대한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탄발 탄지에 의해서 덮개 본체와 가요성의 시트 형상 부재의 사이에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덮개 본체가 만곡했다고 해도, 덮개 본체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가요성 시트 형상 부재의 팽팽함이 유지되어 의장성(意匠性)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덮개 본체는 그 가장자리부와 당해 가장자리부가 배치되는 가이드 홈의 사이에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여유, 이른바 틈새가 설치됨으로써 가이드 홈 내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이 여유는 필요 이상으로 크면 덮개 본체가 가이드 홈에 대해서 덜컹거리게 된다. 반대로, 여유가 필요 이상으로 작아지면 덮개 본체와 가이드 홈 사이의 마찰이 증대하여 덮개를 슬라이드시킬 때의 조작성이 열화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에 감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기에 대한 슬라이드식 덮개의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는 용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개폐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셔터 로어(lower)와, 상기 셔터 로어보다도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셔터 어퍼(upper)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 로어는 상기 슬라이드하는 방향을 따라서 만곡 가능한 본체와, 상기 가이드 홈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셔터 어퍼는 상기 슬라이드하는 방향을 따라서 만곡 가능한 패널과, 상기 가이드 홈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셔터 로어 및 상기 셔터 어퍼는 이들이 상호 맞닿는 부분인 맞닿음부를 따로따로 가짐과 아울러, 일방의 상기 맞닿음부가 타방의 상기 맞닿음부를 이들 각 맞닿음부가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향하여 탄지함으로써, 상기 셔터 로어의 상기 단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향하여 상기 레일에 대해 탄지하고, 또한,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단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향하여 상기 레일에 대해 탄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셔터의 단부가 셔터 로어의 단부와 셔터 어퍼의 단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맞닿음부끼리의 맞닿음을 통해서 셔터 로어의 단부는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향하여 탄지되고, 또한, 셔터 어퍼의 단부는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향하여 따로따로 레일에 탄지된다. 따라서, 셔터에 있어서는 그 단부의 레일로의 탄지가 가이드 홈 내에 있어서의 단부의 위치를 안정화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용의 슬라이드식 덮개인 셔터의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 홈 내에서 안정되고 원활하게 되어 양호한 조작성이 유지됨과 아울러,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또, 셔터의 가이드 홈에 대한 위치나 이동의 안정화는 셔터의 볼품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셔터 로어 및 상기 셔터 어퍼의 적어도 일방은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한 수지제 부재이며, 상기 수지제 부재가 가지는 탄성력은 상기 맞닿음부에 대한 탄지력으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셔터 로어와 셔터 어퍼의 적어도 일방을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하면 좋기 때문에 셔터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 셔터가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맞닿음부로의 탄지력도 균일화되기 때문에 단부에 대한 탄지력도 균일화되어 가이드 홈에 대한 단부의 위치나 단부의 이동의 안정성도 향상되며, 셔터로서 일체감이 있는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셔터 로어나 셔터 어퍼의 탄성 변형이 셔터의 전체에 미치는 것에 의해 셔터의 형상을 팽팽하고 볼품 좋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셔터 어퍼의 두께 방향,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1 또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단부는 상기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며, 상기 레일은 상기 리브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리브를 상기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리브 홈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셔터 어퍼의 리브가 가이드 홈의 리브 홈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셔터 어퍼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나, 셔터 어퍼가 가이드 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슬라이드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 폭 방향이며,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닿는 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셔터 로어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셔터 로어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닿는 면으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셔터의 폭 방향에 대해서 양 단부와 닿는 면과의 3점 지지가 되는 구조에 의해서 셔터 로어와 셔터 어퍼를 가이드 홈 사이에서 확실하게 일체화된 셔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셔터는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볼품이 좋고, 조작성이 좋아진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셔터 어퍼는 상기 레일에 대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셔터 어퍼의 형상이 폭 방향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활 형상으로 되고, 그 후, 셔터 어퍼 등에 열변형 등 다소의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변형 후의 형상에도 탄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셔터 어퍼 등에 다소의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탄성 변형에 의한 형상이 유지되어 맞닿는 부분의 탄지력이 균일화되어 양호한 조작성이 유지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레일은 하측 가이드 부재와 상측 가이드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셔터의 두께 방향에 대해 상기 가이드 홈을 분할하고 있다.
종래, 용기에 셔터를 장착할 때, 좌우 가이드 홈의 간격을 크게 벌리고, 일방의 가이드 홈에 셔터의 일변을 끼워넣은 후, 타방의 가이드 홈을 셔터의 타변에 끼워넣도록 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셔터의 단부를 가이드 홈에 끼워넣는 것에 수고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특히, 넓어지도록 탄지되어 있는 단부를 가이드 홈의 폭으로 좁힌 다음에 가이드 홈에 찔러넣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해,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 홈이 하측 가이드 부재와 상측 가이드 부재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위에 셔터를 올려놓고 나서 상측 가이드를 겹치도록 하여 장착하면, 단부가 넓어지도록 탄지되어 있는 셔터인 가이드 홈으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어 장착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와 같은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에 따르면, 용기에 대한 슬라이드식 덮개의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가 설치되는 용기를 구체화한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그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동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를 가지는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수용체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수용체의 좌우에 배치되는 가이드 장착부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동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측 가이드 부재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동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셔터를 구성하는 셔터 로어 및 셔터 어퍼의 각각의 외면측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동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셔터를 구성하는 셔터 로어 및 셔터 어퍼의 각각의 내면측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동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셔터의 탄성 부여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동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가 설치된 용기의 상면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에 있어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에 있어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10-10선에 있어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용기의 개요]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를 구비하는 용기(10)를 구체화한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용기(10)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센터 콘솔 등 차 실내에 설치되는 이른바 수용 박스 등이다. 용기(10)는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로서의 수용체(11)와, 수용체(11)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장착부(12, 13)를 구비한다. 또 용기(10)는 각 가이드 장착부(12, 13)에 고정되어 그들 가이드 장착부(12, 13)와 함께 가이드 홈(50)을 구성하는 상측 가이드 부재(40)와, 가이드 홈(50)에 슬라이드(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터 (1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셔터(14)의 조작부(312)가 화살표가 나타내는 셔터 개폐 방향인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용체(11)의 개구부가 셔터(14)에 의해 개폐된다.
용기(10)는 차량에 설치될 때, 상측 가이드 부재(40)의 프레임 부분과 셔터 (14)의 표면을 내장 패널로부터 노출시키는 한편, 상측 가이드 부재(40)의 프레임 부분보다도 외측 부분을 내장 패널의 아래에 숨기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노출되는 셔터(14)의 표면은 셔터(14)가 폐쇄되어 있을 때나, 셔터(14)의 개폐 조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의 볼품이 높은 의장성이 요구된다. 또, 차량에 있어서 셔터(14)는 개폐 조작 때나, 주행 중 일 때, 덜컹거림이 없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차량에 있어서 셔터(14)는 개폐 조작이 실행될 때, 쓸데없는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고, 조작에 필요로 하는 힘이 적당한 것 등 조작성이 양호한 것이 요구된다.
[용기의 구성]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체(11)는 하부에 바닥을 가지는 폐관 상자 형상의 상자체(111)와, 상자체(111)의 상부에 개구하는 개구부(112)를 구비한다. 또, 상자체(111)는 개구부(112)의 길이 방향의 전측의 단부(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단부)에 전방부(113)와, 개구부(112)의 길이 방향의 후측의 단부(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단부)에 후방부(115)를 구비한다.
전방부(113)는 수용체(11)의 전측으로서, 폐쇄된 셔터(14)의 선단이 대향하는 부분이며, 셔터(14)가 개방 조작의 시점, 환언하면, 폐쇄 조작의 종점에 있을 때 그 선단이 대향하는 위치이다.
후방부(115)는 수용체(11)의 후측으로서, 셔터(14)의 후방부가 배치되는 부분이며, 개폐되는 셔터(14)의 경로 도중에 대응하고, 셔터(14)가 전체 개방 및 전체 폐쇄되더라도 그 상부에는 항상 셔터(14)의 일부가 배치된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111)는 전방부(113, 전측)에서 보아 우측에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가 장착되고, 좌측에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3)가 장착된다. 우측용 및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 13)는 가이드 홈(50)을 구성한다.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는 그 측면(120)을 상자체(111)의 우측면에 대향 배치시킨다.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는 그 상부에 측면(120)보다 좌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얹어놓음부(121)를 구비하고, 얹어놓음부(121)의 하면을 상자체(111)의 우측의 개구부(112)에 얹어놓게 하는 형태로 상자체(111)의 우측면에 장착된다.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3)는 그 측면 (130)을 상자체(111)의 좌측면에 대향 배치시킨다.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3)는 그 상부에 측면(130)보다 우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얹어놓음부(131)를 구비하고, 얹어놓음부(131)의 하면을 상자체(111)의 좌측의 개구부(112)에 얹어놓게 하는 형태로 상자체(111)의 좌측면에 장착된다.
우측용 및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 13)는 좌우 대칭의 구조를 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주로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에 대해서 설명하고, 설명의 편의상,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3)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부호를 병기(倂記)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할애한다.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 (13)]는 얹어놓음부[121, (131)]의 상부에 하측 가이드 부재로서의 하측 가이드[123, (133)]를 구비한다. 하측 가이드(123)는 얹어놓음부(121)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장착부[12, (13)]의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123, (133)]는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 (13)]의 상부에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상단 가이드[123U, (133U)]와, 상단 가이드[123U, (133U)]보다 상자체(111) 내측 또한 하방의 위치에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이드[123L, (133L)]를 구비한다. 또 하측 가이드[123, (133)]는 상자체(111)의 후방부(115) 바로 앞 부근에서 내측 가이드[124, (134)] 및 외측 가이드[125, (135)]로 구획되는 수납 가이드(51)에 연속 설치되어 있다.
수납 가이드(51)는 그 기단이 하측 가이드[123, (133)]의 하단 가이드[123L, (133L)]에 연속하고 있다. 또 수납 가이드(51)는 그 선단으로 향하여 상자체(111)의 후방부(115)의 후방에서 동일 상자체(111)의 바닥면 하방까지 반원호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부분과, 동일 상자체(111)의 바닥면 하방에 있어서 후방부(115)로부터 전방부(113)로 향하여 소정 길이만 연장 설치된 부분을 구비한다. 수납 가이드 (51)의 기단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는 셔터(14)의 슬라이드 방향(X1)의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으며, 개구부(112)를 슬라이드 수납 방향(X2)으로 이동시켜서 전체 개방한 셔터(14)를 수납 가이드(51)에 수납시킬 수 있다. 즉,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 [12, (13)]는 셔터(14)를 하측 가이드[123, (133)]에 의해 구성되는 가이드 홈(50)에서 수납 가이드(51)로 안내하고, 상자체(111)의 하부까지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수납 가이드(51)는 내측 가이드[124, (134)]의 외주측에 외측 가이드[125, (135)]를 구비한다. 외측 가이드[125, (135)]는 하측 가이드[123, (133)]에 연속하는 내측 가이드[124, (134)]의 위치가 슬라이드 수납 방향(X2)에 있어서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하측 가이드[123, (133)]보다도 낮아진 위치로부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 가이드(51)는 기단에 있어서도 내측 가이드[124, (134)]와 외측 가이드[125, (135)]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가이드 장착부[12, (13)]는 상측 가이드 부재(40)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 홈[122, (132)]을 구비하고, 상측 가이드 부재(40)가 복수의 장착 홈[122, (132)]을 통하여 장착된다.
그리고 나중에 상세히 서술하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장착부[12, (13)]는 레일을 구성하는 하측 가이드[123, (133)]의 상방에 레일을 구성하는 상측 가이드 부재(40)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상측 가이드[420, (440)]가 하측 가이드[123, (133)]에 대한 상면으로서 배치된다. 따라서, 상측 가이드 부재(40)의 상측 가이드[420, (440)]와 가이드 장착부[12, (13)]의 하측 가이드[123, (133)]에 의해서 셔터(14)를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홈인 가이드 홈 (50)이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홈(50)은 셔터(1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 부재(40)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하고 있으며, 우측용 및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 13)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상자체(111)의 개구부(112)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측 가이드 부재(40)는 도면의 좌방 하측을 전방부로 할 때, 우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우측의 장착부(41)와, 좌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장착부(43)를 구비한다. 우측의 장착부(41)는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의 가이드 얹어놓음부(126)에 장착되는 부분이며,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의 장착 홈 (122)에 대응하는 복수의 장착다리(4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우측의 장착부 (41)는 그 장착다리(47)를 대응하는 장착 홈(122)에 장착된다. 좌측의 장착부(43)는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3)의 가이드 얹어놓음부(136)에 장착되는 부분이며,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3)의 장착 홈(132)에 대응하는 복수의 장착다리(4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의 장착부(43)는 그 장착다리(47)를 대응하는 장착 홈 (132)에 장착된다.
또, 상측 가이드 부재(40)는 우측의 장착부(41)에 대해서 좌측에 설치되는 우측 프레임(42)과, 좌측의 장착부(43)에 대해서 우측에 설치되는 좌측 프레임(44)과, 우측 프레임(42)의 전단과 좌측 프레임(44)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측 프레임 (45)과, 우측 프레임(42)의 후단과 좌측 프레임(44)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측 프레임(46)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우측 프레임(42), 전측 프레임(45), 좌측 프레임 (44) 및 후측 프레임(46)에 의해서 프레임이 형성된다. 우측 프레임(42), 좌측 프레임(44), 전측 프레임(45) 및 후측 프레임(46)은 폭 방향의 단면시로 상측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장이나 장식 등에 의해 양호한 볼품이나 감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측 프레임(42)은 우측의 장착부(41)와 함께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 설치되고, 좌측 프레임(44)은 좌측의 장착부(43)와 함께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 설치된다. 전측 프레임(45)과 후측 프레임(46)은 각각, 전측에서 보아 상방으로 만곡하는 형상으로 좌측 프레임(44)과 우측 프레임(42)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전측 프레임(45)과 후측 프레임(46)은 각각, 용기(10)에 있어서,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와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3)의 사이로 건너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프레임(42)은 그 하면에 상측 가이드(420)를 구비하고, 상측 가이드(420)를 우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2)의 하측 가이드(123)의 상방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우측의 가이드 홈(50)을 구성한다. 또 좌측 프레임(44)은 그 하면에 상측 가이드(440)를 구비하고, 상측 가이드(440)를 좌측용의 가이드 장착부(13)의 하측 가이드(133)의 상방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좌측의 가이드 홈(50)을 구성한다.
우측 프레임(42)의 상측 가이드(420)는 하방에 개구하고,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리브 홈(421)을 구비하고 있다. 리브 홈(421)에 대한 프레임 외측에는 우측의 장착부(41)가 배치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내측 단부(422)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단부(422)의 하부 선단에는 리브 홈(421)측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내측단 돌출부(423)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프레임(44)의 상측 가이드(440)도 좌우 대칭인 것이 상위할 뿐이며, 우측 프레임(42)의 상측 가이드(420)와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부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우측의 가이드 홈(50)은 전측에서 보아 용기(10)의 좌측 방향으로 개구함과 아울러,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 좌측의 가이드 홈(50)은 전측에서 보아 용기(10)의 우측 방향으로 개구함과 아울러,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셔터의 구성]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14)는 상자체(111)의 개구부(112)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셔터(14)는 셔터 로어(20)와, 셔터 로어(20)보다 상자체(111)의 외측(상방)에 배치되는 셔터 어퍼(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셔터(14)는 셔터 로어(20)와 셔터 어퍼(30)로 분할되어 있다.
셔터 로어(20)는 슬라이드 방향(X1)인 길이 방향에 대해서, 전측에 배치되는 전방부(21)와, 전방부(21)보다도 후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요성을 가지는 가요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부(21)는 그 최전부(最前部)에 배치되는 전단(前端, 211)과, 셔터 어퍼(30)와의 연결이 실행되는 연결부(213)를 구비한다. 연결부(213)는 관통 구멍이며, 보스나 비스, 나사 등의 결합 부재가 삽입되고, 이들의 삽입된 결합 부재를 통하여 셔터 어퍼(30)의 연결부(313)를 연결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로어(20)와 셔터 어퍼(30)의 연결은 연결부(213)와 연결부(313)의 연결만으로 확보된다. 이에 따라, 셔터(14)가 길이 방향으로 만곡했을 때, 내측의 셔터 로어(20)와 외측의 셔터 어퍼(30)의 2개 사이에 발생하는 곡률 반경의 차이가, 셔터 로어(20)와 셔터 어퍼(30)가 대향하는 위치에 연결부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을 길이 방향으로 떨어뜨려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요부(22)는 셔터 로어(20)가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이동하여 수납 가이드 (51)를 따라서 만곡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가요부(22)는 길이 방향에 대해서 만곡 가능하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해서 좌측의 가이드 홈(50)과 우측의 가이드 홈(50)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폭의 본체(23)와, 본체(23)에서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돌출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23)는 길이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마다 얇은 두께 형상으로 형성된 얇은 두께부(26, 도 8, 10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얇은 두께부(26)는 길이 방향에 대해서 셔터 로어(20)의 본체(23)에 가요성을 부여한다. 상세히 서술하면, 각 얇은 두께부(26)는 각각 폭 방향으로 본체(23)를 횡단하는 형태로 연장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길이 방향에는 각각이 평행한 형태로 배치된다. 그래서 얇은 두께부(26)가 길이 방향의 전후를 만곡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23)가 길이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게 된다. 즉, 셔터(14)가 길이 방향으로 만곡될 때, 그것에 따라서 셔터 로어(20)의 본체(23)가 만곡한다. 또한, 본체(23)는 얇은 두께부(26)의 간격이 좁을수록 원활하게 구부러지게 되지만, 얇은 두께부(26)의 증가는 형상의 복잡화나 강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얇은 두께부(26)의 간격은 길이 방향에 대해서 본체(23)를 필요한 곡률로 원활하게 구부릴 수 있는 최대의 간격으로 되어 있으며, 그 값은 실험이나 경험, 이론적으로 정해진다.
본체(23)는 폭 방향에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면에 있어서 중앙부를 높게 하는 원호 형상을 하고 있다. 본체(23)는 상방에 설치되는 셔터 어퍼 (30)가 맞닿는 부분이며, 맞닿는 부분인 상면이 맞닿는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얇은 두께부(26)는 폭 방향으로 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만곡에 대한 항력이 높아져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상태의 보유력(保維力)이 높아지는 한편, 만곡에 대한 항력이 너무 높아 지면 만곡시키기 위해서 힘을 필요로 함과 아울러, 개폐 조작중에 발생하는 항력의 변동이 커져서 조작성이 저하된다. 또, 본체(23)의 폭 방향의 폭이 좁아지면, 본체(23)의 강도, 나아가서는 셔터(14)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체(23)의 폭 방향의 폭은 얇은 두께부(26)를 매우 적합하게 만곡시킬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체(23)의 폭 방향의 폭은 실험이나 경험, 이론적으로 정해진다.
연장돌출부(24)는 2개의 얇은 두께부(26)의 사이에 있어서 본체(23)로부터 폭 방향에 봉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연장돌출부(24)는 본체(23)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다. 연장돌출부(24)는 폭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방에 설치되는 셔터 어퍼(30)의 하부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체(23)에 대해서 우측의 연장돌출부(24)는 그 상면을 폭 방향에 있어서 본체(23)에 접속되는 기단을 본체(23)와 같은 위치로 하고, 선단으로 향하여 우측 아래로의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본체(23)에 대해서 좌측의 연장돌출부(24)는 그 상면을 폭 방향에 있어서 본체(23)에 접속되는 기단을 본체(23)와 같은 위치로 하고, 선단으로 향하여 좌측 아래로의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폭 방향에 대해서 우측의 연장돌출부(24), 본체(23) 및 좌측의 연장돌출부(24)는 그들의 상면을 본체(23)의 중앙부를 정상점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곡선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의 각 연장돌출부(24)와 본체(23)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 형상은 셔터 로어(20)의 상방에 설치되고, 동일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셔터 어퍼(30)와의 간격을 폭 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 짧은 거리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셔터 로어(20)는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이 오목한 것을 규제하고,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에 의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하 부착 등의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복수의 연장돌출부(24)는 1개 간격으로 폭 방향의 선단에 가이드 홈(50)에 배치되는 단부(25)를 구비한다. 단부(25)는 용기(10)에 설치된 가이드 홈(50) 및 수납 가이드(51)를 슬라이드 이동한다. 단부(25)는 연장돌출부(24)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연장돌출부(24)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 로어(2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장돌출부(24)의 선단까지의 폭은 우측 프레임(42)과 좌측 프레임(44) 사이의 폭보다 같던지 조금 짧은 길이인 반면, 좌우 단부(25)의 선단까지의 폭은 우측 프레임(42)과 좌측 프레임(44) 사이의 폭보다도 가이드 홈(50)에 끼워 넣어지는 분량만큼 긴 길이로 되어 있다. 또, 단부 (25)는 그 하부에 볼록부(28)를 구비한다. 볼록부(28)는 길이 방향에 곡면을 가지는 아래로 볼록한 형상이며, 폭 방향에는 하측 가이드(123)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8)는 하측 가이드(123)와의 맞닿는 면적을 작게 함과 아울러, 슬라이드 방향(X1)에 대해서 곡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어퍼(30)는 상자체(111)에 대해서 셔터 로어(20)의 상방인 외측에 겹쳐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셔터 어퍼(30)는 패널 형상의 얇은 판인 수지제 부재이며, 슬라이드 방향(X1)에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에 대해서 패널(33)의 표면(33A)을 위로 하여 보았을 때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 어퍼(30)는 패널(33)의 표면(33A)을 폭 방향에 대해서 중앙부가 부풀어오르는 볼록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패널(33)의 표면(33A) 반대면인 이면(36)은 이면(36)을 위로 보았을 때 폭 방향에 대해서 아래로 오목한 형상이 된다. 패널(33)의 표면(33A)은 요철이 적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장이나 필름 가식(加飾) 등의 장식이 용이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셔터 어퍼(30)는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에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한 강성을 가지고 있다. 셔터 어퍼(30)는 길이 방향의 전방부에 들보부(梁部, 311)를 구비한다. 셔터 어퍼(30)는 폭 방향에 대해서 위로 볼록한 형상[용기(10)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들보부(311)는 전방부에 있어서, 셔터 어퍼(30)의 형상을 폭 방향에 대해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셔터 어퍼(30)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유지가 용이하지 않은 위로 볼록한 형상이 매우 적합하게 유지된다. 또, 셔터 어퍼(30)의 위로 볼록한 형상이 유지되는 것에 의해, 그 패널(33)의 표면(33A)의 만곡이 매우 적합하게 유지되어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의 만곡 형상은 셔터 로어(20) 상측의 곡선 형상의 곡률과 같던지, 그것보다도 작은 곡률로 되어 있다.
셔터 어퍼(30)는 길이 방향에 대해서 셔터 로어(20)의 전방부(21)에 대응하는 전방부(31)와, 셔터 로어(20)의 가요부(22)에 대응하는 만곡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부(31)는 셔터(14)의 개폐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312)를 패널(33)의 표면(33A)에 구비하고, 셔터 로어(20)와의 연결이 실행되는 연결부(313)를 셔터 로어(20)에 대향하는 이면(36)에 구비한다. 연결부(313)는 셔터 어퍼(30)의 이면(36)에 폐관 형상의 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며, 보스나 비스, 나사 등으로 셔터 로어 (20)의 연결부(213)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13)는 패널(33)의 표면(33A)에 조작부(31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이면(36)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선단을 조작부(312) 내에 배치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13)가 패널(33)의 표면(33A)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패널(33)의 표면(33A)의 의장성이 높게 유지되게 된다.
셔터 어퍼(30)는 폭 방향에 대해서 패널(33)의 표면(33A) 양단에 가이드 홈 (50)이나 수납 가이드(51)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 (34)의 선단에는 길이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패널(33)의 표면(33A)에 대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35)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35)는 폭 방향의 길이인 폭은 가이드 홈(50)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되고, 단부(34)가 가이드 홈 (50)에 끼워 맞추어졌을 때 가이드 홈 내에 수용된다. 또 리브(35)는 셔터 어퍼 (30)의 길이 방향으로의 만곡을 규제하는 것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의 길이는 셔터 어퍼(30)를 길이 방향으로 적절하게 만곡시킬 수 있는 소정의 간격으로서 정해지는 간격 이하의 길이가 실험이나 경험, 이론적으로 정해진다. 또한, 셔터 어퍼(30)는 리브(35)에 의해 굽힘 위치에 다소의 규제는 발생하지만, 리브(35)와 리브(35)의 사이를 띄우는 것에 의해 굴곡 부분이 특정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정된 굴곡 부분에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이나 자국 등의 발생이 억제되며, 이에 따라서도 높은 의장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셔터 어퍼(30)는 이면(36)에 있어서 폭 방향에 대해서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닿음부(37)를 구비한다. 맞닿음부(37)는 폭 방향에 대해서 만곡되어 있는 이면(36)을 내주 방향으로 장출(張出)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면(36)은 폭 방향에 대해서 당해 이면(36)과 같던지 그 이상으로 만곡한 셔터 로어 (20)가 겹쳐질 때, 셔터 로어(20)의 맞닿음부인 중앙부가 셔터 어퍼(30)의 맞닿음부(37)에 맞닿는 한편, 셔터 로어(20)의 양 단부가 이면(36)으로부터 떠오르게 되어 있다. 즉, 맞닿음부(37)는 셔터 로어(20)에 대한 맞닿는 면이 된다.
[셔터의 작용]
도 6∼도 10을 참조하여 용기(10)에 있어서의 셔터(14)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어퍼(30)의 이면(36)에 이면(36)과 동일한 곡률, 또는, 큰 곡률의 셔터 로어(20)의 상방이 맞닿는 것에 의해, 셔터 로어(20)의 본체(23)의 상면이 맞닿음부가 되어 셔터 어퍼(30)의 맞닿음부(37)에 맞닿는다. 즉, 셔터 어퍼(30)가 맞닿음부(37)를 용기(10)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게 하는 형태가 된다. 한편, 이때, 셔터 어퍼(30)의 단부(34)와 셔터 로어(20)의 단부(25)의 사이에는 맞닿음부(37)의 높이, 또는, 곡률의 차이에 의거하여 발생하는 소정의 간격이 확보된다. 그리고 이 확보된 소정의 간격보다도 좁은 가이드 홈(50)에 셔터 어퍼(30)의 단부(34)와 셔터 로어(20)의 단부(25)를 격납(格納)한다. 그러면 패널 형상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고, 셔터 로어(20)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가지는 셔터 어퍼(30)가 그 단부(34)를 셔터 로어(20)에 가까이하도록 예를 들면 활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며, 이 탄성 변형에 의해서 맞닿음부(37)가 셔터 로어(20)의 맞닿음부가 되는 본체(23)를 하부로 탄지한다. 환언하면, 맞닿음부(37)는 셔터 로어(20)에서 상방으로의 반력을 받는다.
셔터(14)에 있어서, 셔터 어퍼(30)가 탄성 변형했을 때 각 부에 발생하는 작용을 각각 설명한다. 우선, 셔터 어퍼(30)의 단부(34)는 셔터 어퍼(30)의 탄성 변형에 대항하는 힘에 의해서 상방으로의 탄지력을 가지며, 가이드 홈(50)을 형성하는 상측 가이드 부재(40)를 상방으로 탄지한다. 또, 셔터 로어(20)의 단부(25)는 본체(23)가 셔터 어퍼(30)의 맞닿음부(37)에서 하방으로 탄지되는 힘에 의거하여 하방으로의 탄지력을 가지며, 가이드 홈(50)을 형성하는 하측 가이드(123)를 하방으로 탄지한다. 즉, 셔터(14)는 셔터 로어(20)와 셔터 어퍼(30)의 맞닿음부를 지점으로 하여 가이드 홈(50)을 상하 방향으로 탄지한다. 이에 따라, 셔터(14)의 각 단부가 가이드 홈(50)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틈새를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셔터 (14)의 각 단부와 가이드 홈(50) 사이의 틈새가 없어짐으로써, 셔터(14)가 그 틈새 내를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덜컹거림 등의 발생이 경감된다. 또, 셔터(14)는 가이드 홈(50)을 상시 탄지하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셔터(14)의 위치 안정성이 높아지고, 개폐 조작시의 조작성이나 조작감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셔터 어퍼 (30)에는 탄성 변형을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상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패널 (33)의 표면(33A)은 항상 팽팽함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높은 의장성이 매우 적합하게 유지되게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이 상측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구획되는 프레임 내에 배치됨으로써, 셔터(14)의 외면에 높은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용기(10)의 조립을 실행할 때, 상자체(111)에 2개의 가이드 장착부(12, 13)를 장착한 상태에서 양측의 하측 가이드(123, 133)에 셔터(14)를 얹어놓게 할 수 있다. 셔터(14)는 가이드 홈(50)에 끼워져 있지 않을 때, 셔터 로어(20)의 단부(25)와 셔터 어퍼(30)의 단부(34)가 가이드 홈(50)의 개구보다도 크게 넓어져 있지만, 이와 같이 넓어진 상태라도 하측 가이드(123, 133)로의 얹어놓음은 용이하다. 또, 상측 가이드 부재(40)는 각 가이드 장착부(12, 13)의 하측 가이드(123, 133)에 상방으로부터 얹어서 장착하기 때문에, 셔터(14)의 단부가 넓어져 있다고 해도, 그 얹어놓을 때, 상측 가이드 부재(40)와 셔터(14)의 사이에 세세한 위치 맞춤 등의 작업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즉, 상측 가이드 부재(40)는 셔터(14)가 가이드 장착부(12, 13)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가이드 장착부(12, 13)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셔터(14)의 배치 위치를 유지시킨 채 상측 가이드 부재(40)를 장착할 수 있다. 셔터(14)는 배치 위치에서 단부를 상하로 개방하고 있지만, 그것을 상방에서 누르는 것만으로 상측 가이드 부재(40)에 대해서 셔터(14)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면서, 상측 가이드 부재(40)가 가이드 장착부(12, 13)에 장착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셔터(14)에 대해서, 그 장착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효율, 이른바 조립(ASSY)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로어(20)에 소정의 간격마다 얇은 두께부 (26)를 설치함으로써, 셔터 로어(20)에 강성을 확보하면서, 길이 방향에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로어(20)에는 셔터 어퍼(30)가 맞닿는 면을 외주로 하는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얇은 두께부 (26)의 사이에는 본체(23)와 연장돌출부(24)에 높은 강성을 주어 셔터 로어(20)의 강도를 매우 적합하게 유지시키는 것, 및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 및 상대적으로 강성의 낮은 셔터 어퍼(30)를 매우 적합한 형상으로 만곡시키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의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단부(422)의 리브 홈(421)의 하방에는 가이드 장착부(12)의 상단 가이드(123U)가 대향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측 단부(422)와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고, 그 틈새로부터 리브 홈(421)의 방향으로 셔터 어퍼(30)의 단부(34)가 삽입 배치되어 있다. 또, 상측 가이드 부재(40)의 우측 프레임(42)의 내측 단부(422)는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에 맞닿는다. 상세히 서술하면, 내측 단부 (422)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내측단 돌출부(423)가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4A)에 맞닿는다. 내측단 돌출부(423)와 오목부 (34A)는 모두, 길이 방향에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셔터(14)가 슬라이드될 때 내측단 돌출부(423)와 오목부(34A)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내측단 돌출부 (423)와 오목부(34A)에 따르면, 슬라이드 이동면이 좁아지는 것으로부터 슬라이드에 필요로 하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오목부(34A)에 내측단 돌출부(423)가 빠짐으로써 폭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으로부터, 셔터(14)의 폭 방향의 위치의 안정화가 도모됨과 아울러, 슬라이드시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위치의 안정화도 도모된다. 내측단 돌출부(423)는 내측 단부(422)에 있어서 리브 홈(421)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폭 방향에 있어서의 패널(33)의 표면(33A)과 우측 프레임(42)의 맞닿는 위치가 내측 단부(422)보다도 우측 프레임(42)의 내측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맞닿음에 의해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에 발생하는 오염이나 상처가 내측에 발생하고, 이러한 오염이나 상처 등이 외측에서 인지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셔터 어퍼(30)의 패널(33)의 표면(33A)에 높은 의장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얇은 두께부(26)는 셔터 어퍼(30)의 두께와 같던지, 그것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 로어(20)에 높은 가요성을 부여한다. 셔터 어퍼(30)의 단부 (34)에 있어서 패널(33)의 표면(33A)측으로 돌출되는 리브(35)는 가이드 홈(50)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우측 프레임(42)의 리브 홈(421)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셔터 어퍼(30)에 폭 방향으로의 장력이 인가되더라도 단부(34)의 리브(35)가 리브 홈(421)에 걸리는 형태가 되어, 셔터 어퍼(30)가 우측 프레임(4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억제되어 셔터(14)의 신뢰성이나 조작성, 조작에 대한 허용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 리브 홈(421)의 하방에는 상단 가이드(123U)가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셔터 어퍼(30)의 좌우의 단부(34)가 과잉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함과 아울러, 리브(35)가 가이드 홈(5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에 따르면, 이하에 나열하여 기재하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1) 셔터(14)의 단부가 셔터 로어(20)의 단부(25)와 셔터 어퍼(30)의 단부 (34)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23) 및 맞닿음부(37)끼리의 맞닿음을 통해서 셔터 로어(20)의 단부(25)는 상자체(111)의 내측으로 향하여 탄지되고, 또한, 셔터 어퍼 (30)의 단부(34)는 상자체(111)의 외측으로 향하여 따로따로 레일에 탄지된다. 따라서, 셔터(14)에 있어서는 그 단부(25, 34)의 레일로의 탄지가 가이드 홈(50) 내에 있어서의 단부(25, 34)의 위치를 안정화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용의 슬라이드식 덮개인 셔터(14)의 슬라이드 방향(X1)으로의 이동이 가이드 홈 내에서 안정되고 원활하게 되어 양호한 조작성이 유지됨과 아울러,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또, 셔터 (14)의 가이드 홈(50)에 대한 위치나 이동의 안정화는 셔터(14)의 볼품을 향상시킨다.
(2) 셔터 로어(20)와 셔터 어퍼(30)의 적어도 일방을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하면 좋기 때문에, 셔터(14)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 셔터(14)가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본체(23) 및 맞닿음부(37)로의 탄지력도 균일화되기 때문에, 단부 (25, 34)에 대한 탄지력도 균일화되기 때문에 가이드 홈(50)에 대한 단부(25, 34)의 위치나 단부(25, 34)의 이동의 안정성도 향상되고, 셔터(14)로서 일체감이 있는 슬라이드 방향(X1)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셔터 로어(20)나 셔터 어퍼 (30)의 탄성 변형이 셔터(14)의 전체에 미치는 것에 의해 셔터(14)의 형상을 팽팽함이 있는 볼품으로 할 수 있다.
(3) 셔터 어퍼(30)의 리브(35)가 가이드 홈(50)의 리브 홈(421)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셔터 어퍼(3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나, 셔터 어퍼(30)가 가이드 홈 (50)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4) 셔터(14)의 폭 방향(짧은 측 방향)에 대해서 양 단부(25, 34)와 본체(23) 및 맞닿음부(37)의 맞닿는 면의 3점 지지가 되는 구조에 의해서 셔터 로어 (20)와 셔터 어퍼(30)를 가이드 홈 사이에서 확실하게 일체화된 셔터(14)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셔터(14)는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볼품이 좋고, 조작성이 좋아진다.
(5) 폭 방향의 중앙부를 용기(10)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셔터 어퍼(30)의 형상이 폭 방향(짧은 측 방향)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활 형상이 되고, 그 후, 셔터 어퍼(30) 등에 열변형 등 다소의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변형 후의 형상에도 탄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셔터 어퍼(30) 등에 다소의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탄성 변형에 의한 형상이 유지되어 맞닿는 부분의 탄지력이 균일화되어 양호한 조작성이 유지된다.
(6) 종래, 용기에 셔터를 장착할 때, 좌우의 가이드 홈의 간격을 크게 벌리고, 일방의 가이드 홈에 셔터의 일변을 끼워넣은 후, 타방의 가이드 홈을 셔터의 타변에 끼워넣도록 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셔터의 단부를 가이드 홈에 끼워넣는 것에 수고를 필요로 하고 있고, 특히, 넓어지도록 탄지되어 있는 단부를 가이드 홈의 폭으로 좁힌 다음에 가이드 홈에 끼워넣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홈(50)이 가이드 장착부(12, 13)와 상측 가이드 부재(40)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장착부(12, 13)의 하측 가이드(123, 133)의 위에 셔터(14)를 얹어놓고 나서 상측 가이드 부재(40)의 상측 가이드(420)를 겹치도록 하여 장착하면, 단부(25, 34)가 넓어지도록 탄지되어 있는 셔터(14)이면 가이드 홈(50)으로 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장착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이하의 변경예를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호 조합하여 적용해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로어(20)의 단부(25)에는 볼록부(28)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셔터 로어의 단부에는 볼록부(28)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에 따라, 셔터 로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가이드 홈(50)에 셔터 로어(20)의 단부(25)와 셔터 어퍼(30)의 단부(34)가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홈이 셔터 로어의 단부가 배치되는 홈과 셔터 어퍼의 단부가 배치되는 홈의 2개의 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가이드 부재(40)의 프레임 부분이 내장 패널로부터 노출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가이드 부재를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여 내장 패널의 아래에 숨기도록 설치해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가이드 부재(40)가 우측 프레임(42), 전측 프레임(45), 좌측 프레임(44) 및 후측 프레임(46)으로부터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면, 전측 프레임 및 후측 프레임의 적어도 일방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상측 가이드 부재가 하면에 상측 가이드를 가지는 우측 프레임과 하면에 상측 가이드를 가지는 좌측 프레임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가이드 부재(40)가 셔터(14)의 단부를 눌러 내려 각 가이드 장착부(12, 13)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홈(50)이 형성됨과 아울러, 셔터(14)의 단부가 가이드 홈(50)에 끼워 넣어지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에 셔터의 단부를 끼워 넣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자체를 좌우 방향으로 2분할하고, 일방의 상자체의 가이드 홈에 셔터의 단부를 끼워 넣고 나서, 타방의 상자체를 장착함과 아울러, 타방의 상자체의 가이드 홈에도 셔터의 단부를 끼워 넣도록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셔터의 단부가 형성된 가이드 홈의 단부에 끼워넣도록 하여 장착해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어퍼(30)의 폭 방향의 중앙부가 상자체(111)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형태인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맞닿음부에 의해 셔터 로어를 하방으로 탄지할 수 있다면 셔터 어퍼가 상자체의 외측에 평행이거나, 폭 방향의 중앙부가 오목한 형태라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어퍼(30)의 이면(36)에 내주 방향으로 장출하는 맞닿음부(37)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셔터 로어의 본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당해 맞닿음부를 셔터 어퍼의 이면에 맞닿게 하도록 해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로어(20)와 셔터 어퍼(30)는 폭 방향에 있어서 1개소에서 맞닿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셔터 로어와 셔터 어퍼는 상호 탄지하여 맞출 수 있다면 폭 방향으로 복수개소에서 맞닿아도 좋다. 예를 들면, 셔터 로어의 본체에 길이 방향에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를 설치하고, 그들의 돌출부에서 셔터 어퍼와 맞닿아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패널(33)의 표면(33A)에 대해서 복수의 리브(3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셔터를 슬라이드 수납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셔터 어퍼가 적절히 만곡한다면, 패널의 표면의 리브는 셔터 어퍼의 전방부에서 후방부까지 연속하는 1개의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분할수가 2개 이상 중 적은 수라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홈(50)에는 리브 홈(42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홈에는 리브홈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때, 셔터 어퍼에 대해서도 리브를 설치하지 않으면 좋다. 이에 따라, 가이드 홈의 구조나 셔터 어퍼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어퍼(30)가 탄성 변형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셔터 로어와 셔터 어퍼가 넓어진 단부를 가이드 홈에 끼울 수 있으면, 셔터 로어가 탄성 변형해도 좋고, 셔터 로어와 셔터 어퍼가 탄성 변형해도 좋다. 이에 따라, 셔터의 구조의 자유도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연장돌출부(24)는 1개 간격으로 폭 방향의 선단에 단부(25)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를 매우 적합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면, 단부를 가지는 연장돌출부의 배치 형태는 어떤 형태라도 좋다. 예를 들면, 모든 연장돌출부에 단부를 설치해도 좋고, 반대로 2 이상의 간격으로 단부를 설치해도 좋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로어(20)의 본체(23)는 폭 방향에 있어서 위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셔터 로어의 본체는 셔터 어퍼를 만곡시키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높이가 확보될 수 있다면,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벽을 설치하거나, 복수의 돌기를 설치하거나 하는 등 곡선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맞닿음부 형태의 확장이 도모된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10)는 자동차의 센터 콘솔 등 차 실내에 설치되는 이른바 수용 박스 등인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는 셔터식의 덮개 구조를 가지는 용기이면, 잡화나 가구, 가전 등의 덮개 부착 용기라도 좋다. 이에 따라,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의 적용 범위의 확대가 도모되게 된다.
10: 용기 11: 수용체
12, 13: 가이드 장착부 14: 셔터
20: 셔터 로어 21: 전방부
22: 가요부 23: 본체
24: 연장돌출부 25: 단부
26: 얇은 두께부 28: 볼록부
30: 셔터 어퍼 31: 전방부
32: 만곡부 33: 패널
33A: 표면 34: 단부
34A: 오목부 35: 리브
36: 이면 37: 맞닿음부
40: 상측 가이드 부재 41: 장착부
42: 우측 프레임 43: 좌측 프레임
43: 장착부 44: 좌측 프레임
45: 전측 프레임 46: 후측 프레임
47: 장착다리 50: 가이드 홈
51: 수납 가이드 111: 상자체
112: 개구부 113: 전방부
115: 후방부 120: 측면
121: 얹어놓음부 122: 장착 홈
123: 하측 가이드 123L: 하단 가이드
123U: 상단 가이드 124: 내측 가이드
125: 외측 가이드 126: 가이드 얹어놓음부
130: 측면 131: 얹어놓음부
132: 장착 홈 133: 하측 가이드
133L: 하단 가이드 133U: 상단 가이드
134: 내측 가이드 135: 외측 가이드
136: 가이드 얹어놓음부 211: 전단
213: 연결부 311: 들보부
312: 조작부 313: 연결부
420: 상측 가이드 421: 리브 홈
422: 내측 단부 423: 내측단 돌출부
440: 상측 가이드

Claims (6)

  1. 용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개폐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셔터 로어(lower)와, 상기 셔터 로어보다도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셔터 어퍼(upper)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 로어는 상기 슬라이드하는 방향을 따라서 만곡 가능한 본체와, 상기 가이드 홈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셔터 어퍼는 상기 슬라이드하는 방향을 따라서 만곡 가능한 패널과, 상기 가이드 홈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셔터 로어 및 상기 셔터 어퍼는 이들이 상호 맞닿는 부분인 맞닿음부를 따로따로 가짐과 아울러, 일방의 상기 맞닿음부가 타방의 상기 맞닿음부를 이들 각 맞닿음부가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향하여 탄지함으로써, 상기 셔터 로어의 상기 단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향하여 상기 레일에 대해 탄지하고, 또한,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단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향하여 상기 레일에 대해 탄지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 폭 방향이며,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닿는 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셔터 로어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셔터 로어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닿는 면으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셔터 어퍼와 셔터 로어가 맞닿음부에서 맞닿을 때, 셔터 어퍼의 단부와 셔터 로어의 단부의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 로어 및 상기 셔터 어퍼의 적어도 일방은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한 수지제 부재이며,
    상기 수지제 부재가 가지는 탄성력은 상기 맞닿음부에 대한 탄지력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셔터 어퍼의 두께 방향,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1 또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셔터 어퍼의 상기 단부는 상기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며,
    상기 레일은 상기 리브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리브를 상기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리브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 어퍼는 상기 레일에 대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하측 가이드 부재와 상측 가이드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셔터의 두께 방향에 대해 상기 가이드 홈을 분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KR1020160045065A 2015-04-28 2016-04-12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KR101784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1726 2015-04-28
JP2015091726A JP6404176B2 (ja) 2015-04-28 2015-04-28 容器用スライド式蓋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15A KR20160128215A (ko) 2016-11-07
KR101784601B1 true KR101784601B1 (ko) 2017-10-11

Family

ID=5719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065A KR101784601B1 (ko) 2015-04-28 2016-04-12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04176B2 (ko)
KR (1) KR101784601B1 (ko)
WO (1) WO2016174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6475B2 (ja) * 2018-05-16 2021-07-21 株式会社ニフコ スライド式蓋構造
KR102598163B1 (ko) * 2018-12-21 2023-11-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슬라이드커버
JP7179709B2 (ja) * 2019-10-15 2022-11-29 株式会社ニフコ 収納装置、収納装置用カバー体
WO2023135877A1 (ja) * 2022-01-12 2023-07-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ケー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4256A (ja) * 2012-03-27 2013-10-07 Toyoda Gosei Co Ltd シャッタ式物入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4592B2 (ja) * 2004-08-23 2008-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扉装置
JP5763422B2 (ja) * 2011-05-31 2015-08-1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ャッ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4256A (ja) * 2012-03-27 2013-10-07 Toyoda Gosei Co Ltd シャッタ式物入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15A (ko) 2016-11-07
WO2016174964A1 (ja) 2016-11-03
JP2016205090A (ja) 2016-12-08
JP6404176B2 (ja)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601B1 (ko)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US8801075B2 (en) Vehicle door trim
US20120112490A1 (en) Mirror unit, and sun visor body having mirror unit
US10099589B2 (en) Headrest guide
KR101484234B1 (ko) 차체의 시트백 마운팅구조
JP2013018403A (ja) 車両用ルーフ装置
JP2013052841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6341757A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21155038A (ja) シートベルト用アンカー装置
US20170305243A1 (en) Sunroof device
JP5456439B2 (ja) サンルーフ装置及び遮蔽体
JP5343376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レール及びシートスライドレール用モール
JP6091005B2 (ja) 車両用シート
JP5246618B2 (ja) 電装品用プロテクタ及びその取付構造
JP2018002042A (ja) 車体構造
JP5741269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KR100589271B1 (ko) 트레이의 가이드 구조
JP7146357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6168698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016275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5254881A (ja) アームレスト
JP2018202994A (ja) スタビライザー
JP5932532B2 (ja) ドアグラスランの取付構造
JP2019089395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6672703B2 (ja) 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