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025B1 -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025B1
KR101782025B1 KR1020150130364A KR20150130364A KR101782025B1 KR 101782025 B1 KR101782025 B1 KR 101782025B1 KR 1020150130364 A KR1020150130364 A KR 1020150130364A KR 20150130364 A KR20150130364 A KR 20150130364A KR 101782025 B1 KR101782025 B1 KR 10178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frame
smart watch
groove
wat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696A (ko
Inventor
김학권
김승재
Original Assignee
김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재 filed Critical 김승재
Priority to KR102015013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025B1/ko
Priority to US15/750,931 priority patent/US10761487B2/en
Priority to PCT/KR2016/010309 priority patent/WO2017048035A1/ko
Priority to CN201680003180.6A priority patent/CN107077100A/zh
Priority to JP2017503956A priority patent/JP6407403B2/ja
Publication of KR2017003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 G04B19/042Construction and manufacture of the hands; arrangements for increasing reading accuracy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69Cases and fixed parts with a special shap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스마트 워치와 함께 아날로그 워치를 겸비하고, 선택에 따라 스마트 워치 또는 아날로그 워치로 전환하여 볼 수 있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는, 일 측면에는 아날로그 워치(analogue watch)가 나타나고 타 측면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가 나타나도록, 아날로그 워치 유닛과 스마트 워치 유닛이 서로 등지고 결합된 시계 본체, 시계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앙에 홈 및 통공 중 하나가 형성된 프레임(frame), 및 일 측 단부에 시계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 단부는 프레임에 힌지(hinge) 결합된 것으로, 일 측 단부가 프레임에 가까워지는 제1 위치와, 일 측 단부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타 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브라켓(bracket)을 구비한다. 브라켓이 제1 위치인 때,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시계 본체가 끼워져 아날로그 워치 및 스마트 워치 중 하나가 프레임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며, 브라켓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시계 본체를 브라켓의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반바퀴 회전시키고, 브라켓을 다시 제1 위치로 복귀시키면, 아날로그 워치 및 스마트 워치 중 다른 하나가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Description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Convertible smart watch}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아날로그 워치(analogue watch)를 자유롭게 전환 가능한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워치(smart watch)는 일반 시계보다 향상된 기능들을 장착하고 있는 임베디드(embeded) 시스템 손목 시계를 말한다. 초기에는 기본적인 시간 표시 기능과 함께 계산 기능, 번역 기능, 게임 기능을 구비하는 정도였으나, 현재는 전화 통화, 음성 및 문자 메시지 수신,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 재생뿐 아니라 모바일 앱(app)을 구동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의 스마트 워치는 통상적으로 카메라, 가속도계, 온도계, 고도계, 기압계, 나침반, 크로노그래프, 터치스크린, GPS, SD 카드, 충방전 가능 배터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마트 워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전면에 구비하는데, 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자인(design)이 미래 지향적인 미감을 불러일으킬 수는 있으나, 시침과 분침을 갖는 아날로그 워치(analog watch)의 전통적인 미감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게는 선택을 꺼리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회전하는 시침과 분침을 표현하여 아날로그 워치에 가깝게 보이도록 디자인한 스마트 워치도 개시되고 있으나, 실제 시침과 분침이 회전하는 아날로그 워치의 미감을 완벽히 재현하기는 어렵다. 또한, 무선 통신 상태가 불량하거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시간을 확인할 수 없어 곤란을 겪을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0294호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와 함께 아날로그 워치를 겸비하고, 선택에 따라 스마트 워치 또는 아날로그 워치로 전환하여 볼 수 있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는 아날로그 워치(analogue watch)가 나타나고 타 측면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가 나타나도록, 아날로그 워치 유닛과 스마트 워치 유닛이 서로 등지고 결합된 시계 본체, 상기 시계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앙에 홈 및 통공 중 하나가 형성된 프레임(frame), 및 일 측 단부에 상기 시계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hinge) 결합된 것으로, 상기 일 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가까워지는 제1 위치와, 상기 일 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타 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브라켓(bracket)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 위치인 때,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상기 시계 본체가 끼워져 상기 아날로그 워치 및 상기 스마트 워치 중 하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며,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시계 본체를 상기 브라켓의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반바퀴 회전시키고, 상기 브라켓을 다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아날로그 워치 및 상기 스마트 워치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를 제공한다.
상기 시계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시계 본체의 일 측 단부에서 타 측 단부까지 연장된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끼워지는 연결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시계 본체는, 상기 연결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연결 돌기에 상기 가이드 그루브가 체결된 상태로 미끄러져 상기 브라켓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그루브는 상기 시계 본체의 양 측면에 하나씩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기가 마련된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 일대일로 체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인 때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홈 또는 통공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는,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스마트 워치 유닛이 작동하도록 하는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on-off unit)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시계 본체 중 하나에서 탄성 수축 가능하게 돌출된 탄성 돌기, 및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시계 본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접촉 가압되면 상기 스마트 워치 유닛의 작동을 허용하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상기 시계 본체가 끼워지고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탄성 돌기에 의해 상기 터치 스위치가 접촉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시계 본체에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파여진 제1 록킹 홈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 스위치는 상기 제1 록킹 홈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상기 시계 본체가 끼워지고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상기 제1 록킹 홈에 삽입되어 상기 터치 스위치를 접촉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시계 본체의 상기 제1 록킹 홈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파여진 제2 록킹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상기 시계 본체가 끼워지고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상기 제2 록킹 홈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상기 제1 록킹 홈 및 상기 제2 록킹 홈 중의 하나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시계 본체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lock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는, 상기 시계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끼워진 경우에, 상기 시계 본체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하는 시계 본체 록킹 유닛(locking unit)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워치 유닛과 아날로그 워치 유닛이 서로 등지고 겹쳐지게 배치되고, 스마트 워치 및 아날로그 워치 중 하나가 노출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손목시계로 사용자의 옷차림, 모임의 분위기 등에 맞춰서 스마트 워치로 이용하거나 아날로그 워치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는 시계 본체가 브라켓을 매개로 프레임에 연결된 구조로서,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스마트 워치가 노출된 상태에서 아날로그 워치가 노출된 상태로, 또는 그 반대의 경우로 전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는 무선 통신 상태가 불량하거나 배터리가 방전되어 스마트 워치 유닛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아날로그 워치 유닛을 통해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에서 아날로그 워치 유닛로부터 스마트 워치 유닛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에서 아날로그 워치 유닛으로부터 스마트 워치 유닛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에서 아날로그 워치 유닛로부터 스마트 워치 유닛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1)는 프레임(frame)(5), 시계 본체(20), 및 브라켓(10)을 구비한다. 프레임(5)은 시계 본체(2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앙에 직사각형으로 파여진 홈(8)이 형성된다. 프레임(5)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스트랩 지지 바(strap supporting bar)(6)가 마련되고, 프레임(5)을 손목에 찰 수 있도록 스트랩(2)이 연결된다. 상기 홈(8)은 프레임(5)의 전면(前面) 측은 개방되고 배면(背面) 측은 개방되지 않으나, 시계 본체(20)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서 홈(8)을 대신하여 전면 측 및 배면 측이 모두 개방된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시계 본체(20)는 가로 및 세로보다 두께가 작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아날로그 워치 유닛(30)과 스마트 워치 유닛(36)이 서로 등지고 결합되어, 일 측면에는 아날로그 워치(analogue watch)가 나타나고, 타 측면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가 나타난다. 시계 본체(20)는 아날로그 워치 유닛(30)과 스마트 워치 유닛(36)의 테두리를 감싸는 베젤(bezel)(21)을 더 구비한다.
아날로그 워치 유닛(30)은 시계 본체(20)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시침(32)과 분침(33)을 통해 시간을 알려준다. 아날로그 워치 유닛(30)은 시침(32)과 분침(33)을 회전시키기 위해 기계식 무브먼트(mechanical movement) 또는 쿼츠 무브먼트(quartz mov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 유닛(36)은 시계 본체(20)의 타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에서 예컨대, 시간을 숫자로 표현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간을 알려준다. 스마트 워치 유닛(36)은 시간 알림, 전화 통화, 음성 및 메시지 수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앱(app)을 통하여 계산기, 번역기, 게임기 등 다앙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 유닛(36)은 카메라, 가속도계, 온도계, 고도계, 기압계, 나침반, 크로노그래프, 터치스크린, GPS, SD 카드, 충방전 가능 배터리 등을 구비하고 있다.
브라켓(10)은 프레임(5)과 시계 본체(20)를 연결하는 것으로, 시계 본체(20)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브라켓(10)의 일 측 단부에는 시계 본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시계 본체(20) 측면의 베젤(21)에는 시계 본체(20)의 일 측 단부에서 타 측 단부까지 직선 경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22)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10)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그루브(22)에 끼워지는 연결 돌기(11)가 마련된다. 시계 본체(20)가 프레임(5)의 홈(8)에 끼워져 있지 않고 상기 홈(8)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시계 본체(20)는 한 쌍의 연결 돌기(1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돌기(11)에 한 쌍의 가이드 그루브(22)가 체결된 상태로 미끄러져 한 쌍의 브라켓(10)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그루브(22)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연결 돌기(11)가 안착되는 연결 돌기 안착 홈(23)이 형성된다.
한편, 가려져서 명확하게 도시되진 않지만, 한 쌍의 브라켓(10)의 타 측 단부는 프레임(5)의 홈(8) 내측면의 인접한 한 쌍의 코너(corner)에 각각 힌지(hinge)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브라켓(10)은 연결 돌기(11)가 마련된 일 측 단부가 프레임(5)에 가까워지는 제1 위치와, 상기 일 측 단부가 프레임(5)에서 멀어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브라켓(10)의 타 측 단부를 중심으로, 즉 한 쌍의 브라켓(10)의 타 측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브라켓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1 및 도 6이 한 쌍의 브라켓(10)이 제1 위치인 상태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가 한 쌍의 브라켓(10)이 제2 위치인 상태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브라켓(10)은 제1 위치인 때 프레임(5)의 홈(8)에 삽입되고, 상기 홈(8)에 시계 본체(20)가 끼워져 아날로그 워치 및 스마트 워치 중 하나가 프레임(5)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 전면(前面)으로 노출된 상태로 시계 본체(20)가 프레임(5)의 홈(8)에 끼워진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한 쌍의 브라켓(10)을 회전시켜 브라켓(1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홈(8)에서 빠져 나와 멀어진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본체(20)를 가이드 그루브(22)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연결 돌기(11)에 가이드 그루브(22)가 체결된 상태로 시계 본체(20)가 미끄러져, 시계 본체(20)가 브라켓(10)의 상기 타 측 단부와 멀어지게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 그루브(22) 일 측 단부의 연결 돌기 안착 홈(23)에 안착되었던 연결 돌기(11)는 여기를 벗어나서, 가이드 그루브(22) 타 측 단부의 연결 돌기 안착 홈(23)으로 이동하여 안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그루브(22) 타 측 단부의 연결 돌기 안착 홈(23)에 안착된 한 쌍의 연결 돌기(11)를 연결하는 가상의 시계 본체 회전 축선(RC2)을 중심으로 반바퀴 회전시키면, 프레임(5)의 전면(前面)으로 스마트 워치가 노출되고, 아날로그 워치는 가려진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브라켓(10)을 브라켓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시키면, 도 1의 모습과 달리 시계 본체(20)가 프레임(5)의 홈(8)에 삽입된 채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아날로그 워치를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하고자 하면 상술한 과정과 반대되는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1)는 상기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스마트 워치 유닛(36)이 작동하도록 하는 스마트 워치 유닛 온-오프 유닛(on-off unit)을 더 구비한다. 상기 스마트 워치 유닛 온-오프 유닛은 탄성 돌기(16) 및 터치 스위치(touch switch)(28)를 구비한다.
탄성 돌기(16)는 프레임(5)의 홈(8)의 4면의 내측면 중에서 한 쌍의 브라켓(1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2면의 내측면 중 하나에 마련된다. 프레임(5)의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 돌기 삽입 홈(13)에 탄성 돌기(16)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 돌기 삽입 홈(13)의 바닥면과 탄성 돌기(16) 사이에 압축 스프링(19)이 개재되어 탄성 돌기(16)는 프레임(5)의 홈(8) 중심을 향해 탄성 수축 가능하게 돌출된다. 탄성 돌기(16)는 방사 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flange)(17)을 구비하고, 탄성 돌기 삽입 홈(13)의 입구 내주부에는 걸림턱(14)이 마련된다. 따라서, 탄성 돌기(13)는 탄성 돌기 삽입 홈(13)에서 이탈되지 않고 단부만 프레임(5)의 홈(8) 측으로 돌출되고, 시계 본체(20)가 프레임(5)의 홈(8)에 끼워지는 과정이나 상기 홈(8)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베젤(21) 부분과 접촉되면 탄성 돌기(16)가 탄성 돌기 삽입 홈(13)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터치 스위치(28)는 접촉 가압되면 스마트 워치 유닛(36)의 작동을 허용하고, 접촉 가압되지 않으면 스마트 워치 유닛(36)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여기서, 스마트 워치 유닛(36)의 작동이 멈춘다는 것은 충방전 가능 배터리에서 시계 본체(20)의 일 표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문자 또는 문양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터치 스위치(28)는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시계 본체(20)가 상기 홈(8)에 끼워지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 돌기(16)와 정렬되도록 시계 본체(20)의 베젤(21)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8)에 시계 본체(20)가 끼워지고 상기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때에만 탄성 돌기(16)에 의해 터치 스위치(28)가 접촉 가압되어 스마트 워치 유닛(36)이 작동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8)에 시계 본체(20)가 끼워지나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때에는 스마트 워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베젤(21)에는 제1 록킹 홈(locking groove)(25)과 제2 록킹 홈(26)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록킹 홈(25)은 상기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시계 본체(20)가 상기 홈(8)에 끼워지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 돌기(16)와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록킹 홈(26)은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시계 본체(20)가 상기 홈(8)에 끼워지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 돌기(16)와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터치 스위치(28)는 제1 록킹 홈(25)의 내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의 홈(8)에 시계 본체(20)가 끼워지고 상기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때에는 탄성 돌기(16)의 단부가 제1 록킹 홈(25)에 끼워져 시계 본체(20)가 의도하지 않게 프레임(5)의 홈(8)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locking)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돌기(16)의 단부에 의해 터치 스위치(28)가 접촉 가압되어 스마트 워치 유닛(36)이 작동한다.
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의 홈(8)에 시계 본체(20)가 끼워지고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때에는 탄성 돌기(16)의 단부가 제2 록킹 홈(26)에 끼워져 시계 본체(20)가 의도하지 않게 프레임(5)의 홈(8)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locking)된다. 이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 스위치(28)가 탄성 돌기(16)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므로 스마트 워치 유닛(36)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탄성 돌기(16)와 제1 및 제2 록킹 홈(25, 26)은 시계 본체(20)가 프레임(5)의 홈(8)에 끼워진 경우에 시계 본체(20)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홈(8)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locking)하는 시계 본체 록킹 유닛(locking unit)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1)에서는 제1 록킹 홈(25) 내부에 터치 스위치(28)를 구비하여 시계 본체 록킹 유닛과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이 합쳐져 있으나, 시계 본체 록킹 유닛과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이 분리되어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에서는 프레임(5)에 탄성 돌기(16)가 탑재되고 시계 본체(20)에 터치 스위치(28)가 탑재되나, 이와 반대로 시계 본체(20)에 탄성 돌기가 탑재되고 프레임(5)에 터치 스위치가 탑재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에서 아날로그 워치 유닛으로부터 스마트 워치 유닛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50)는 프레임(frame)(55), 시계 본체(70), 및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을 구비한다. 프레임(55)은 시계 본체(7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앙에 직사각형으로 파여진 통공(58)이 형성된다. 프레임(55)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스트랩 지지 바(strap supporting bar)(56)가 마련되고, 프레임(55)을 손목에 찰 수 있도록 스트랩(52)이 연결된다.
시계 본체(70)는 가로 및 세로보다 두께가 작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아날로그 워치 유닛(80)과 스마트 워치 유닛(86)이 서로 등지고 결합되어, 일 측면에는 아날로그 워치(analogue watch)가 나타나고, 타 측면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가 나타난다. 시계 본체(70)는 아날로그 워치 유닛(80)과 스마트 워치 유닛(86)의 테두리를 감싸는 베젤(bezel)(71)을 더 구비한다. 시계 본체(70)는 프레임(55)의 통공(58) 내에서 가상의 회전 축선(RC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아날로그 워치 유닛(80)은 시계 본체(70)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시침(82)과 분침(83)을 통해 시간을 알려준다. 아날로그 워치 유닛(80)은 시침(82)과 분침(83)을 회전시키기 위해 기계식 무브먼트(mechanical movement) 또는 쿼츠 무브먼트(quartz mov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 유닛(86)은 시계 본체(70)의 타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에서 예컨대, 시간을 숫자로 표현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간을 알려준다. 스마트 워치 유닛(86)은 시간 알림, 전화 통화, 음성 및 메시지 수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앱(app)을 통하여 계산기, 번역기, 게임기 등 다앙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 유닛(86)은 카메라, 가속도계, 온도계, 고도계, 기압계, 나침반, 크로노그래프, 터치스크린, GPS, SD 카드, 충방전 가능 배터리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前面)으로 나타나고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배면(背面)으로 나타난 때의 모습이고, 도 10은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나타나고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5)의 배면으로 나타난 때의 모습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본체(70)를 상기 회전 축선(RC3)을 중심으로 반바퀴 회전시키면, 시계 본체(70)의 아날로그 워치와 스마트 워치의 위치가 서로 전환되어,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나타나고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5)의 배면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시계 본체(70)를 상기 회전 축선(RC3)을 중심으로 반바퀴 회전시키면, 원래 위치대로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복귀하고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배면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은, 상기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前面)으로 나타나고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상기 프레임(55)의 배면(背面)으로 나타날 때 상기 스마트 워치 유닛(86)이 작동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워치 유닛 온-오프 유닛은 탄성 돌기(64) 및 터치 스위치(touch switch)(75)를 구비한다.
탄성 돌기(64)는 프레임(55)의 통공(58)의 4면의 내측면 중에서 하나의 내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 축선(RC3)과 겹쳐지는 위치를 피하여 탑재된다. 프레임(55)의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 돌기 삽입 홈(61)에 탄성 돌기(64)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 돌기 삽입 홈(61)의 바닥면과 탄성 돌기(64) 사이에 압축 스프링(67)이 개재되어 탄성 돌기(64)는 프레임(55)의 통공(58) 중심을 향해 탄성 수축 가능하게 돌출된다. 탄성 돌기(64)는 방사 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flange)(65)을 구비하고, 탄성 돌기 삽입 홈(61)의 입구 내주부에는 걸림턱(62)이 마련된다. 따라서, 탄성 돌기(64)는 탄성 돌기 삽입 홈(61)에서 이탈되지 않고 단부만 프레임(55)의 통공(58) 측으로 돌출되고, 시계 본체(70)가 회전 축선(RC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베젤(71) 부분과 접촉되면 탄성 돌기(64)가 탄성 돌기 삽입 홈(6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터치 스위치(75)는 접촉 가압되면 스마트 워치 유닛(86)의 작동을 허용하고, 접촉 가압되지 않으면 스마트 워치 유닛(86)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여기서, 스마트 워치 유닛(86)의 작동이 멈춘다는 것은 충방전 가능 배터리에서 시계 본체(70)의 일 표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문자 또는 문양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터치 스위치(75)는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나타나고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5)의 배면으로 나타나는 때에 탄성 돌기(64)와 정렬되도록 시계 본체(70)의 베젤(71)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본체(70)가 프레임(55)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나타난 때에 탄성 돌기(64)에 의해 터치 스위치(75)가 접촉 가압되어 스마트 워치 유닛(86)이 작동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본체(70)가 프레임(55)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으로 배치되나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나타난 때에는 스마트 워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50)는 상기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나타나고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5)의 배면으로 나타난 경우, 및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나타나고 상기 스마트 워치가 프레임(55)의 배면으로 나타난 경우에, 시계 본체(7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 축선(RC3)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록킹(locking)하는 시계 본체 록킹 유닛(locking unit)을 더 구비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시계 본체 록킹 유닛은 시계 본체(70)의 베젤(71)에서 외측으로 탄성 수축 가능하게 돌출된 한 쌍의 잠금 돌기(73)와, 상기 프레임 통공(58)의 내측면에 상기 한 쌍의 잠금 돌기(73)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파여진 한 쌍의 록킹 홈(locking groove)(69)을 구비한다. 상기 잠금 돌기(73)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탄성 수축 가능하게 돌출된 탄성 돌기(64)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는 가려져 있어서 하나의 잠금 돌기(73)와 록킹 홈(69)만이 나타나 있지만, 상기 한 쌍의 잠금 돌기(73) 및 한 쌍의 록킹 홈(69)은 각각 상기 회전 축선(RC3)에 대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본체(70)가 프레임(55)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으로 배치되며, 스마트 워치 및 아날로그 워치 중 하나가 프레임(55)의 전면으로 나타나고 스마트 워치 및 아날로그 워치 중 다른 하나가 프레임(55)의 배면에 나타난 때에 한 쌍의 잠금 돌기(73)의 단부가 한 쌍의 록킹 홈(69)에 끼워지며, 이로 인해 시계 본체(70)는 의도하지 않게 회전 축선(RC3)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50)에서는 시계 본체 록킹 유닛과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이 분리되어 별개로 존재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시계 본체 록킹 유닛과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이 합쳐져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시계 본체 록킹 유닛에서는 시계 본체(70)에 잠금 돌기(73)가 탑재되고 프레임(55)에 록킹 홈(69)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프레임(55)에 잠금 돌기가 탑재되고 시계 본체(70)에 록킹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5: 프레임
10: 브라켓 20: 시계 본체
22: 가이드 그루브 28: 터치 스위치
30: 아날로그 워치 유닛 36: 스마트 워치 유닛

Claims (8)

  1. 일 측면에는 아날로그 워치(analogue watch)가 나타나고 타 측면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가 나타나도록, 아날로그 워치 유닛과 스마트 워치 유닛이 서로 등지고 결합된 시계 본체; 상기 시계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앙에 홈 및 통공 중 하나가 형성된 프레임(frame); 및, 일 측 단부에 상기 시계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hinge) 결합된 것으로, 상기 일 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가까워지는 제1 위치와, 상기 일 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타 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브라켓(bracket);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 위치인 때,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상기 시계 본체가 끼워져 상기 아날로그 워치 및 상기 스마트 워치 중 하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고,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시계 본체를 상기 브라켓의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반바퀴 회전시키고, 상기 브라켓을 다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아날로그 워치 및 상기 스마트 워치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스마트 워치 유닛이 작동하도록 하는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on-off unit);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시계 본체의 일 측 단부에서 타 측 단부까지 연장된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끼워지는 연결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시계 본체는, 상기 연결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연결 돌기에 상기 가이드 그루브가 체결된 상태로 미끄러져 상기 브라켓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그루브는 상기 시계 본체의 양 측면에 하나씩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기가 마련된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 일대일로 체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인 때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홈 또는 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 온-오프 유닛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시계 본체 중 하나에서 탄성 수축 가능하게 돌출된 탄성 돌기, 및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시계 본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접촉 가압되면 상기 스마트 워치 유닛의 작동을 허용하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상기 시계 본체가 끼워지고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탄성 돌기에 의해 상기 터치 스위치가 접촉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에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파여진 제1 록킹 홈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 스위치는 상기 제1 록킹 홈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상기 시계 본체가 끼워지고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상기 제1 록킹 홈에 삽입되어 상기 터치 스위치를 접촉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의 상기 제1 록킹 홈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파여진 제2 록킹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상기 시계 본체가 끼워지고 상기 아날로그 워치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된 때에만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상기 제2 록킹 홈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가 상기 제1 록킹 홈 및 상기 제2 록킹 홈 중의 하나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시계 본체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lock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 끼워진 경우에, 상기 시계 본체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프레임의 홈 및 통공 중 하나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하는 시계 본체 록킹 유닛(locking unit);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KR1020150130364A 2015-09-15 2015-09-15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KR10178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64A KR101782025B1 (ko) 2015-09-15 2015-09-15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US15/750,931 US10761487B2 (en) 2015-09-15 2016-09-13 Convertible smart watch
PCT/KR2016/010309 WO2017048035A1 (ko) 2015-09-15 2016-09-13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CN201680003180.6A CN107077100A (zh) 2015-09-15 2016-09-13 可转换智能手表
JP2017503956A JP6407403B2 (ja) 2015-09-15 2016-09-13 コンバーチブルスマートウォッ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64A KR101782025B1 (ko) 2015-09-15 2015-09-15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96A KR20170032696A (ko) 2017-03-23
KR101782025B1 true KR101782025B1 (ko) 2017-09-26

Family

ID=5849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364A KR101782025B1 (ko) 2015-09-15 2015-09-15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637A (ko) * 2020-11-16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41852A1 (en) 2014-02-27 2015-08-27 Sun Jong YANG Mechanical/quartz movement smart watch hybr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96A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7403B2 (ja) コンバーチブルスマートウォッチ
KR20180045249A (ko)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TWI532356B (zh) 可客製的模組化多功能通訊裝置
CN106200777B (zh) 可穿戴智能装置
EP3291045B1 (en) Wearable smart device
US20150370224A1 (en) Locking pins for a wearable device
US8753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CN103869683B (zh) 内装部件的定位结构、钟表以及内装部件的定位方法
US7197345B2 (en)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KR20070111012A (ko)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
KR101782025B1 (ko)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KR200484729Y1 (ko) 컨버터블 스마트 워치
KR20160090008A (ko) 전자기기
CN1953469A (zh) 便携式电子装置
JP2001189783A (ja) 携帯型通信装置
CN203909485U (zh) 手表及其表带
US11947317B1 (en) Interchangeable smartwatch cover
KR20160003533U (ko) 터치 타입 스마트시계
KR20110137676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731889B1 (ko)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JP2007067892A (ja) 携帯電話機
JP2007046935A (ja) 時計ケース
KR20150080705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CN2638345Y (zh) 一种腕戴式手机的翻盖装置
JP2020159697A (ja) ケース、ケ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