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889B1 -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889B1
KR101731889B1 KR1020160152594A KR20160152594A KR101731889B1 KR 101731889 B1 KR101731889 B1 KR 101731889B1 KR 1020160152594 A KR1020160152594 A KR 1020160152594A KR 20160152594 A KR20160152594 A KR 20160152594A KR 101731889 B1 KR101731889 B1 KR 101731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ed
main
main cover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은
조소현
하수종
Original Assignee
김수은
조소현
하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은, 조소현, 하수종 filed Critical 김수은
Priority to KR102016015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는 전방에 형성되어 휴대 단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제1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1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1모서리와 마주보는 제2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2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1모서리와 수직한 제3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3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3모서리와 마주보는 제4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4커버; 상기 제3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제3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의 전방을 향하여 펼쳐지는 제1렌즈부; 및 상기 제4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제4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의 전방을 향하여 펼쳐지는 제2렌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Case for mobile device which transformed to virtual reality apparatus}
본 발명은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 케이스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을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다.
휴대 단말 케이스는 휴대 단말의 보호 목적에서 시작하였으나, 휴대 단말의 온/오프(on/off) 기능, 카드 수납 구조 등의 부가적인 기능도 겸하는 제품들이 실시되고 있다.
한편, 가상현실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등을 의미한다.
가상현실의 개념은 이전부터 존재하여 왔으나 최근 360도 영상 기술의 발달과 헤드 마운트(head mount) 기기의 발달로 가상현실 장치(virtual reality device)의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헤드 마운트(head mount) 가상현실 장치는 사용자의 대부분의 시야를 가상의 화면으로 메워 사용자가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헤드 마운트(head mount) 가상현실 장치와 보조 기구들을 결합하여 가상 롤러코스터 체험과 같은 가상현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 케이스가 헤드 마운트(head mount) 가상현실 장치의 구조로 전환 가능하도록 설계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는 전방에 형성되어 휴대 단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제1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1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1모서리와 마주보는 제2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2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1모서리와 수직한 제3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3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3모서리와 마주보는 제4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4커버; 상기 제3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제3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의 전방을 향하여 펼쳐지는 제1렌즈부; 및 상기 제4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제4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의 전방을 향하여 펼쳐지는 제2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는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안면에 밀착시 상기 메인커버와 함께 외부 빛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는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되며 소정거리만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한 고정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상기 제3커버 및 상기 제4커버에는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 상호 밀착시 포개어지는 결합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결합구에 관통 및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의 밀착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는 헤드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밴드는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가 후면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와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는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메인커버의 전방으로부터 후면으로의 회전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보호하면서 간편하게 헤드 마운트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커버 내지 제4커버가 메인커버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5는 제1커버 내지 제4커버를 밀착 고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의 동작을 보조하는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는 메인커버(110), 제1커버(120), 제2커버(130), 제3커버(140), 제4커버(150), 제1렌즈부, 제2렌즈부, 고정고리(160), 헤드밴드(170) 및 버튼(180)을 포함한다.
메인커버(110)는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와 각각 결합된다.
메인커버(110)는 휴대 단말(200)이 안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메인커버(110)는 양측 면이 존재하며, 본 명세서에서 메인커버(110)의 전면은 휴대 단말(200)이 안착되는 방향 후면은 전면의 반대방향을 지칭하기로 한다. 전방은 휴대 단말(200)이 메인커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200)의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방향을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특별한 설명이 없다면 휴대 단말 케이스가 안면에 밀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머리 방향을 상방향, 발 방향을 하방향, 안면과 케이스로 정의되는 내부공간에 접하는 면을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의 내측면으로 하기로 한다.
제1커버(120)는 메인커버(110)의 상부 모서리에 결합된다. 상부 모서리는 제1모서리로 칭하기로 한다. 제1커버(120)는 메인커버(110)의 상부에 후술할 회전보조부(122)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120)는 메인커버(11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까지 회전한다. 즉, 후면으로부터 전방까지 270도 범위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커버(120)는 휴대 단말(200)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 렌즈 및 플래시(flash)가 개방될 수 있는 슬라이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120)는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기 위하여 안면에 밀착되는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20)의 단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밀착쿠션이 덧붙여질 수 있다.
제2커버(130)는 메인커버(110)의 하부 모서리에 결합된다. 하부 모서리는 제1모서리로 칭하기로 하며, 제1모서리와 마주본다. 제2커버(130)는 메인커버(110)의 하부에 회전보조부(132)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버(130)는 메인커버(11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까지 회전한다. 즉, 후면으로부터 전방까지 270도 범위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커버(130)는 휴대 단말(200)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 렌즈 및 플래시(flash)가 개방될 수 있는 슬라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130)는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기 위하여 안면에 밀착되는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130)의 단부 중 중앙에는 사용자의 코와 부드럽게 밀착되도록 제2모서리 측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130)의 단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밀착쿠션이 덧붙여질 수 있다.
제3커버(140)는 메인커버(110)의 좌측 모서리에 결합된다. 좌측 모서리는 제3모서리로 칭하기로 한다. 제3커버(140)는 메인커버(110)의 좌측에 회전보조부(142)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3커버(140)는 메인커버(11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까지 회전한다. 즉, 후면으로부터 전방까지 270도 범위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커버(140)는 휴대 단말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 렌즈 및 플래시(flash)가 개방될 수 있는 슬라이드(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커버(140)는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기 위하여 안면에 밀착되는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커버(140)의 단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밀착쿠션이 덧붙여질 수 있다.
제3커버(140)의 내측면에는 제1렌즈부가 결합된다.
제1렌즈부는 렌즈 지지대(145) 및 제1렌즈(146)를 포함한다.
렌즈 지지대(145)의 일단은 제3커버(140)의 단부와 가까운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제1렌즈(146)와 결합된다.
렌즈 지지대(145)는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3커버(140)의 내측면으로부터 전방까지 회전할 수 있다. 즉, 렌즈 지지대(145)는 90도 범위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렌즈(146)는 가상현실 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어안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제3커버(140)의 내측면에는 제1렌즈부가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4커버(150)는 메인커버(110)의 우측 모서리에 결합된다. 우측 모서리는 제4모서리로 칭하기로 한다. 제4커버(150)는 메인커버(110)의 우측에 회전보조부(152)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4커버(150)는 메인커버(11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까지 회전한다. 즉, 후면으로부터 전방까지 270도 범위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4커버(150)는 휴대 단말(200)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 렌즈 및 플래시(flash)가 개방될 수 있는 슬라이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커버(150)는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기 위하여 안면에 밀착되는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커버(150)의 단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밀착쿠션이 덧붙여질 수 있다.
제4커버(150)의 내측면에는 제2렌즈부가 결합된다.
제2렌즈부는 렌즈 지지대(155) 및 제2렌즈를 포함한다.
렌즈 지지대(155)의 일단은 제4커버(150)의 단부와 가까운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제2렌즈(156)와 결합된다.
렌즈 지지대(155)는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4커버(150)의 내측면으로부터 전방까지 회전할 수 있다. 즉, 렌즈 지지대(155)는 약 90도 범위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렌즈(156)는 가상현실 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어안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제4커버(150)의 내측면에는 제1렌즈부가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는 전방으로 회전함으로써 대략 전방이 개방된 6면체 형상을 띈다.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는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서의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하여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서로 고정결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버(120)의 우측 모서리는 제4커버(150)의 상측 모서리와 단추, 자석, 요철 등의 결합수단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커버(120)의 좌측 모서리는 제3커버(140)의 상측 모서리와, 제3커버(140)의 하측 모서리는 제2커버(130)의 좌측 모서리와, 제2커버(130)의 좌측 모서리는 제4커버(150)의 하측 모서리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고정고리(160)는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의 메인커버(110) 후면으로의 밀착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고리(16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커버(120),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에는 고정고리(160)의 형상에 상응하는 결합구(16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헤드밴드(170)는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의 회전보조부(142, 152)에 각각 단부가 결합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밴드(170)는 단부가 각각 메인커버(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헤드밴드(170)의 일단이 제3커버(140)의 회전보조부(142)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제4커버(150)의 회전보조부(152)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헤드밴드(170)가 제4커버(150)의 회전보조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헤드밴드(170)의 타단은 고리, 벨크로 등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헤드밴드(170)는 탄성력에 의하여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의 안면으로의 밀착상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밴드(170)는 뒤집어서 메인커버(110)의 후면에 밀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
버튼(180)은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버튼(180)은 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가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는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 홈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가 메인커버(110)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는 메인커버(110)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후면에 밀착되는 순서는 제조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한다.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를 먼저 메인커버(110) 후면으로 회전시켜 밀착시킨다. 제3커버(140)나 제4커버(150)가 밀착되는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그 후에,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가 메인커버(110) 후면으로 밀착된 후 제1커버(120)를 그 위로 밀착시킨다. 여기까지 동작시키면 후술할 결합구(165)가 포개어진다.
그 후에, 제2커버(130)는 제1커버(120) 위로 밀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후술할 고정고리(160)의 고리(162)를 결합구(165)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는 후술할 토션스프링(123)에 의하여 다시 전방으로 회전하려는 복원력을 받는다. 본 발명에 토션스프링(123)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라도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를 밀착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은 미관상, 사용편의상 필요하다.
그 후에, 제1커버(120)의 고정고리(16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의 밀착상태를 고정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보조부(122) 내측으로 토션스프링(123)이 삽입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23)은 일단이 제1커버(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메인커버(110)에 결합된다.
제1커버(120)가 메인커버(110)의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123)은 평형상태에 있다.
제1커버(120)가 메인커버(110)의 후면을 향하여 회전하면 토션스프링(123)은 제1커버(120)에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2커버(130) 내지 제4커버(150)도 제1커버(120)와 동일한 방식으로 토션스프링(123)과 결합되어 메인커버(110)의 후면으로 회전시 전방으로의 복원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가 후면으로 회전된 상태라도 고정고리(160)에 의하여 밀착고정되지 않는 한 다시 전방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동작은 반대로 후면에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고정고리(160)만을 해제하면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가 자동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5는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를 밀착 고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고정고리(160)는 ‘ㄴ’자형 고리(162) 및 슬라이드홈(164)을 포함한다.
고리(162)는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를 구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것이다.
슬라이드홈(164)은 고정고리(160)가 제1커버(120)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도 5b 및 도 5c는 고정고리(160)가 제1커버(120),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의 결합구(165)에 삽입되고 슬라이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다른 구성요소는 생략되었다.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는 제4커버(150), 제3커버(140), 제1커버(120) 및 제2커버(130) 순으로 적층된다.
제4커버(150), 제3커버(140) 및 제1커버(120)가 적층되면, 각각에 형성된 결합구(165)가 포개어진다. 이 때, 제2커버(130)의 고정고리(160)의 고리(162)가 결합구(16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고리(162)를 결합구(165)에 삽입한 후 고정고리(160)를 이동시키면 고정고리(160)의 하부면이 제2커버(130)의 상부면, 고리(162)의 하부가 제4커버(15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의 밀착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의 동작을 보조하는 버튼(18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커버(140)를 관통하여 버튼(180)이 배치되고, 버튼(180) 가운데는 버튼 보조부(182)가 배치된다.
버튼(180)은 버튼 보조부(182)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버튼(180)을 누르면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제1렌즈부를 버튼(180) 반대편으로 밀 수 있어 제1렌즈부와 제3커버(140) 내측면의 밀착을 해제할 수 있다.
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도 제1커버(120) 내지 제4커버(150)의 경우와 유사하게 토션스프링을 통하여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는 제3커버(140) 및 제4커버(150)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버튼(180)을 누름으로써 펼쳐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메인커버
120: 제1커버
122, 132, 142, 152: 회전보조부
123: 토션스프링
124, 134, 144, 154: 슬라이드
130: 제2커버
140: 제3커버
145, 155: 렌즈 지지대
146: 제1렌즈
150: 제4커버
156: 제2렌즈
160: 고정고리
162: 고리
164: 슬라이드홈
165: 결합구
170: 헤드밴드
180: 버튼
182: 버튼 보조부

Claims (4)

  1. 전방에 형성되어 휴대 단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제1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1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1모서리와 마주보는 제2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2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1모서리와 수직한 제3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3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상기 제3모서리와 마주보는 제4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는 제4커버;
    상기 제3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제3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의 전방을 향하여 펼쳐지는 제1렌즈부;
    상기 제4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제4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의 전방을 향하여 펼쳐지는 제2렌즈부; 및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되며 소정거리만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한 고정고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커버, 상기 제3커버 및 상기 제4커버에는 상기 메인커버의 후면으로 상호 밀착시 포개어지는 결합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결합구에 관통 및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의 밀착상태를 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헤드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밴드는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가 후면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와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내지 제4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메인커버의 전방으로부터 후면으로의 회전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KR1020160152594A 2016-11-16 2016-11-16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KR10173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94A KR101731889B1 (ko) 2016-11-16 2016-11-16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94A KR101731889B1 (ko) 2016-11-16 2016-11-16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889B1 true KR101731889B1 (ko) 2017-05-04

Family

ID=5874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594A KR101731889B1 (ko) 2016-11-16 2016-11-16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085B1 (ko) * 2014-12-01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085B1 (ko) * 2014-12-01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9028B2 (en) Portable computer-communicator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US9194536B2 (en) Portable foldable cradle
JP2013519910A (ja) 個人用通信装置用アクセサリ
US11258890B2 (en) Portable terminal accessory device for holographic projection and user interface
TWI677709B (zh) 顯示裝置組件
KR101533085B1 (ko)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2208195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2033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US20190212809A1 (en) Electronic device, hinge assembly and augmented reality interaction process for electronic device
JP3176005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ケース
JP2003333151A (ja) パーソナル・コミュニケータ
TW201628482A (zh) 提把結構及具有該提把結構之電子裝置
US20170090208A1 (en) Compact stereoscopic viewing apparatus
JP2022524660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プロジェクションのためのポータブル端末アクセサリデバイス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101919051B1 (ko) 디스플레이부 힌지 회전 모바일 단말기
US20180017803A1 (en) Accessory and lens system
KR101731889B1 (ko)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TW201349999A (zh) 電子裝置
JP2019009536A (ja) Vrグラス
KR20160026602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JP6159380B2 (ja) 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KR200461377Y1 (ko) 태블릿피씨용 케이스
KR20200118466A (ko) 정보, 사운드 및 비디오를 처리,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포터블 디바이스
KR102371463B1 (ko)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