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195B1 -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195B1
KR102208195B1 KR1020130147711A KR20130147711A KR102208195B1 KR 102208195 B1 KR102208195 B1 KR 102208195B1 KR 1020130147711 A KR1020130147711 A KR 1020130147711A KR 20130147711 A KR20130147711 A KR 20130147711A KR 102208195 B1 KR102208195 B1 KR 10220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isplay device
worn display
wo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742A (ko
Inventor
이상영
김대현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195B1/ko
Priority to US14/557,093 priority patent/US9778465B2/en
Publication of KR2015006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I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휴대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손목 장착형 휴대 장치, 머리 장착형 휴대 장치(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와 같은 다양한 휴대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머리 장착형 휴대 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행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온 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의 목적은 종래기술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 경감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능동적으로 머리 장착형 휴대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수용하는 프론트 프레임과, 적어도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템플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 하우징과, 상기 템플 프레임에 발생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감지부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션 정보를 검출하는 모션 센서부와, 상기 터치 입력과, 모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투과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구비된 화면 잠금 제어과정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의 머리(예를 들어, 눈)와 인접한 영역에 투명(see-through) 디스플레이 유닛이 위치하고, 사용자의 귀와 인접한 영역에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가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 및 청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헬멧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190)을 가지는 단안형(monocular-type)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190, 190a)을 가지는 양안형(binocular-type)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양안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190, 190a)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학 렌즈(10), 광학 렌즈(1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20),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30), 제1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30)을 연결하는 제1하우징 연결부(25)를 포함한다. 또한,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학 렌즈(10a), 광학 렌즈(10a)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3 하우징(20a),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4 하우징(30a), 제3 하우징(20a)과 제4 하우징(30a)을 연결하는 제2하우징 연결부(25a)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제1 하우징(20) 또는 제3 하우징(20a)에 위치할 수도 있다.
탄성에 의해 휘어지는(flexible)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에 의해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제1하우징(20)과 제1하우징 연결부(25)는 힌지(미 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 연결부(25)가 제1하우징(20)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히거나 외측으로 펼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하우징(20a)과 제2하우징 연결부(25a) 역시 힌지(미 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하우징 연결부(25a)가 내측으로 접히거나 외측으로 펼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하우징(20)과 제3 하우징(20a)을 연결하는 브리지(bridge, 21)을 포함한다.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 투과 유닛(195, 도1b 참조)을 포함한다. 광 투과 유닛(195)은 광학 렌즈(10)의 후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광 투과 유닛(195)는 광학 렌즈(10)의 전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90 또는 190a)은 광학 렌즈(10)의 전면에서부터 이격된 거리(예를 들어, 5 cm 이하)에 위치하거나 또는 광학 렌즈(10)의 후면에서부터 이격된 거리(예를 들어, 5 cm 이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과 광학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 유닛(150, 도2 참조)과 센서 유닛(170, 도2 참조)을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150)은 제1 하우징(20), 제3 하우징(20a)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150)은 제1 하우징(20) 및 제3 하우징(20a) 중 하나 또는 제1 하우징(20) 및 제3 하우징(20a)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카메라 유닛(150)은 브리지(21)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 유닛(170)는 제1 하우징(20), 제3 하우징(20a)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0) 및 제3 하우징(20a) 중 하나 또는 제1 하우징(20) 및 제3 하우징(20a)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센서 유닛(170)은 브리지(21)에 위치할 수 있다.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하우징(20)은 버튼(161, 도2 참조), 마이크(162, 도2 참조), 스피커(163, 도2 참조) 또는 터치 패드(165, 도2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이라는 용어는 제1 하우징(20), 제2 하우징(30), 제3 하우징(20a) 및 제4 하우징(30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a의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위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투과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광 투과 유닛(195)은 광학 렌즈(10)의 후면과 결합된다. 또한, 광 투과 유닛(195)은 광학 렌즈(10)의 전면과 결합될 수도 있다.
광 투과 유닛(195)은 제1 산화 인듐 주석(Indium Tin Oxide: ITO) 층(195a), 전기 변색 층(195b), 전해질 층(195c), 제2 산화 인듐 주석 층(195d), 및 전극(195e)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산화 인듐 주석(Indium Tin Oxide: ITO) 층을 ITO층이라 칭한다. ITO층은 ITO 필름 또는 ITO 글라스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TO층은 ITO의 대체 가능한 실버나노 와이어, 구리 메쉬, 실버 메쉬, 은염, 은나노 입자로 구현될 수 있다.
광 투과 유닛(195)은 제1 ITO층(195a), 상기 ITO층(195a) 위에 위치하고, 공급 전압에 대응하여 광 투과율이 변경되는 전기 변색 층(195b), 전기 변색 층(195b) 위에 위치하는 전해질 층(195c), 전해질 층(195c) 위에 위치하는 제2 ITO층(195d), 및 상기 제1 ITO층(195a) 및 상기 제2 ITO 층(195b)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공급 전압이 입력되는 전극(195e)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95e)는 투명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전극(195e)의 위치(예를 들어, 제1 ITO층(195a)의 우측 상단, 제2 ITO층(195d)의 좌측 상단)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통신 유닛(120), 서브통신 유닛(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190, 190a)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화면을 포함하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태블릿 PC, 3D-TV, 스마트 TV, LED TV, LCD TV 또는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다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가능한 다른 외부 장치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인터랙션, 예를 들어, 음성, 모션, 터치 또는 터치 제스처)을 이용하여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음성, 비디오 등)의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90) 및 광 투과 유닛(195)을 포함한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유닛(120), 서브통신 유닛(130), 멀티미디어 유닛(140), 카메라 유닛(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센서 유닛(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통신 유닛(130)은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 통신 유닛(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유닛(140)은 오디오 재생 유닛(141) 및 동영상 재생 유닛(1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유닛(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커넥터(164), 및 터치 패드(1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센서 유닛(170)은 조도 센서(171), 근접 센서(172) 및 자이로 센서(173)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프로세서(Processor, 111),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95)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전원공급부(180)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95)에게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저장부(175)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11)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가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유닛(120), 서브통신 유닛(130), 멀티미디어 유닛(140), 카메라 유닛(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센서 유닛(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디스플레이 유닛(190) 및 광 투과 유닛(195)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조도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결정된 광 투과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투과 유닛의 광 투과율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유닛(12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이동통신 유닛(120)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가능한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유닛(130)은 무선랜 유닛(131)과 근거리통신 유닛(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통신 유닛(132) 중 하나만 포함, 또는 무선랜 유닛(131)과 근거리통신 유닛(132)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유닛(131)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을 이용하여 AP(access point)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유닛(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유닛(132)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없이 무선으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장치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유닛(120),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통신 유닛(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유닛(120),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통신 유닛(132) 중 하나 또는 이동통신 유닛(120),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통신 유닛(132)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유닛'이라는 용어는 이동통신 유닛(120), 서브 통신 유닛(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유닛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통신 유닛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로 데이터 또는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부터 수신 조도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유닛(140)은 오디오 재생 유닛(141) 또는 동영상 재생 유닛(142)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유닛(142)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소스(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오디오 파일)를 오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유닛(142)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 투과 유닛(195)의 광 투과율 변경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소스의 출력 등)을 오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유닛(142)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소스(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swf, fla 또는 mkv인 파일)을 비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가능한 대부분의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코덱 유닛 또는 비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또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실행가능한 대부분의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소스 또는 정지 이미지(still image)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유닛(142)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 투 유닛(195)의 광 투과율 변경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소스의 출력 등)을 비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 유닛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멀티미디어 유닛(140)의 오디오재생 유닛(142) 또는 동영상재생 유닛(143)은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디오 코덱 유닛'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디오 코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코덱 유닛'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오디오 코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5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방향의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 유닛(150)은 브리지(21), 제1 하우징(20) 및 제3 하우징(20a)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150)은 브리지(21), 제1 하우징(20) 및 제3 하우징(20a)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또는 카메라 유닛(150)은 브리지(21), 제1 하우징(20) 및 제3 하우징(20a) 중 복수에 위치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카메라(151)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두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하우징(30) 및 제4 하우징(30a) 중 하나에 위치하고 사용자 후방의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 가능한 제3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가 상호 인접(예를 들어, 제1 카메라(151)과 제2 카메라(152) 사이의 간격이 2 cm 보다 크고, 8 cm 보다 작은)하게 위치하는 경우,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 중 하나는 별도의 어댑터(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광각, 망원 및 접사 촬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유닛(150)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의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통신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수신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조도를 산출할 수 있다.
GPS 유닛(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주기적으로 정보(예를 들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가능한 GPS위성의 정확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GPS위성에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또는 시간을 알 수 있다.
입/출력 유닛(16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버튼(161),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이크(162),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피커(163),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넥터(164), 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터치 패드(1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참조하면, 버튼(161)은 제1 하우징(20)에 위치하는 전원/잠금 버튼(161a)을 포함한다. 버튼(161)은 제1 하우징(20)에 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에서 버튼(161)은 물리적 버튼뿐만 아니라 터치 버튼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서부터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162)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는 오디오 코덱 유닛에서 변환되어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62)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20,20a)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62)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30, 30a)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이크가 위치할 수도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유닛(120), 서브통신 유닛(130), 멀티미디어 유닛(140), 카메라 유닛(150)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콘텐트(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방송 신호, 오디오 소스,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를 들어, 전화 번호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음, 또는 사진 촬영버튼 조작음)를 출력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참조하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예를 들어, 출력되는 사운드를 수신 가능한 사용자의 귀 인접 영역에 있는) 영역에 스피커(163)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피커(163)는 공기 전도 스피커 또는 골 전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6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 투과 유닛의 광 투과율 변경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커넥터(164)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넥터(164)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을 수신하거나 또는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터치 패드(165)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터치 앤드 드래그 등)을 수신한다. 터치 패드(165)는 평판(예를 들어,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rounded rectangle))에 센서를 내장하고 있다. 터치 패드(165)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4 하우징(20, 30, 20a, 30a),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 브리지(21)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마련되거나, 제1 내지 제4 하우징(20, 30, 20a, 30a),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 브리지(21)의 전체에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터치 패드(165)는 사용자의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4 하우징(20, 30, 20a, 30a),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 브리지(21)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패드(165)의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등)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 패드(165)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패드(165)와 입력 유닛(167)과의 검출 가능한 간격이 20 mm 이하의 호버링(hov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165)에서 검출가능한 비접촉 간격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패드(165)와 호환 가능한 트랙볼(도시되지 아니함) 및 포인팅 스틱(도시되지 아니함)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 유닛(170)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또는 주변 상태를 검출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170)은 사용자의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1 내지 제4 하우징(20, 30, 20a, 30a),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 브리지(21)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가능한 조도 센서(171), 다른 오브젝트(도시되지 아니함)의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근접 여부를 검출가능한 근접 센서(172),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관성을 이용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기를 검출가능한 자이로 센서(173),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3축(예를 들어, x축, y축, z축)의 이동 상태를 검출가능한 가속도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가능한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가능한 고도계(Altimeter,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 센서(171)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조도를 검출한다. 조도 센서(171)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조도에 대응되는 조도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 유닛(17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는 별개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의 칩(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6축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9축 센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 유닛(170)의 센서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75)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유닛(120), 서브통신 유닛(130), 멀티미디어 유닛(140), 카메라 유닛(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센서 유닛(170), 디스플레이 유닛(190) 또는 광 투과 유닛(195)의 동작에 대응되어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내 롬(112), 램(113) 또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가능한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디스플레이 유닛(190)에 표시되는 명령어, 명령어 목록, 알림, 텍스트(예를 들어, Yes, No), 아이콘, 오브젝트, 어플리케이션 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트, 화면 데이터, 또는 다양한 서브 화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 구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명세서 파일(예를 들어, OS가 안드로이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명세서 파일은 매니페스트 파일(AndroidManifest.xml))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프로그램 매니저(예를 들어, 액티비티 매니저 또는 패키지 매니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예를 들어, 마이크(162)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모션(예를 들어, 센서(170)를 통해 검출가능한), 사용자 터치(예를 들어, 버튼(161)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또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예를 들어, 터치 패드(165)를 통해 검출가능한 터치, 플릭(flick) 또는 스와이프(swipe)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하우징(30, 30a)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충전(예를 들어, 자기 공명 방식, 전자기파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전원을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90)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화상 통화, 데이터 전송, 정지 이미지 촬영, 동영상 촬영, 또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90)은 버튼(161), 마이크(162), 터치 패드(165), 센서 유닛(17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G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90)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와 광학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90)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아니함, 예를 들어, LCD 또는 OLED 등)에 표시되는 영상을 렌즈와 웨이브 가이드(wave-guide)를 포함하는 광학계(예를 들어, 자유곡면 광학계)를 통해 사용자의 눈으로 투사할 수 있다.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는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 LCD) 방식, 오엘이디(Organic Light Emitted Diode, OLED) 방식, 에이엠오엘이디(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 방식 등의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단안형(monocular-type)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190)을 가질 수 있다. 양안형(binocular-type) 디스플레이 장치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190, 190a)를 가질 수 있다.
광 투과 유닛(195)은 투과되는 광에 대해 공급 전압 또는 공급 전류에 대응하여 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광 투과 유닛(195)는 광학 렌즈(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광 투과 유닛(195)는 디스플레이 유닛(190)의 광학계 전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광 투과 유닛(195)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또는 공급 전류)에 따라 광 투과 유닛(80)의 광 투과율은 약 100 %에 근접되게 조정되어 대부분의 광을 투과하거나 또는 약 0 %에 근접되게 조정되어 대부분의 광을 투과하지 않을 수 있다.
광 투과 유닛(195)의 광 투과율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0 % 내지 100 %의 사이의 값을 갖도록 공급 전압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율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5 % 내지 95 %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율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10 % 내지 80 %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광 투과율에 대응하여 입사되는 광은 광 투과 유닛(195)를 투과하고 나머지 광은 광 투과 유닛(195)에서 반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하우징(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지를 감지하는 과정(410)과정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42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터치 입력과,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43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거나, 탈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특히,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을 잡은 상태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에는 사용자가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을 잡고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터치 패드(16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410과정에서, 제어부(110)는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에 구비된 터치 패드(165)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을 잡고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420)은 센서 유닛(170) 등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방향과, 이동한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유닛(170)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 방향(중력방향 또는 중력반대 방향 등)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가속도 정보를 통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속도, 이동 시간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430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410)의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상기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에 구비된 터치 패드(165)를 통해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센서 유닛(170)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65)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의 착용 또는 탈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 유닛(17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센서 유닛(170)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410)을 수행한 후,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420)을 진행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420)을 수행한 후,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410)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이와 같이, 상기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420)을 수행한 후,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410)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움직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이동 거리 이상을 이동함에 따라,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410)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상기 움직임 정보가 중력 또는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된 이동 벡터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드(165)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의 착용 또는 탈거 상태 확인을 위한 터치 패드(16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터치 패드(165)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430)은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인지 또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한 상태인지에 맞춰 화면 잠금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인지 또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한 상태인지에 대한 확인은 적어도 상기 움직임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의 일 부분을 파지한 채,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켜 사용자의 머리 부분까지 위치시켜야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거리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용이나 미 착용을 확인하기 위해 설정되는 거리로써,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용 습관이나 착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용 습관이나 착용 환경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기립해 있고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책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지하여 착용하는 등의 환경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기립해 있고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지 및 탈거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책상에 놓는 등의 환경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거리는 사용자의 평균적인 키의 크기, 책상의 평균적인 높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평균적인 키의 크기, 책상의 평균적인 높이 등은 사용자의 키, 앉은 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상 시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소정거리의 이동은 움직임 정보에 포함되는 가속도 이나, 이동 방향 정보 등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일 부분을 파지에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됨을 지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해제한다.
반면,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일부분을 파지한 채,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력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벗어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일부분의 파지를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됨을 지시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던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탈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430)은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430)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 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가 펼침 상태(또는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됨을 지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가 펼침 상태(또는 접힘 상태에서 편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되지 않고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지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가 접힘 상태임(또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가 접힘 상태(또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됨)가 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되지 않고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유닛(190)의 동작을 개시하여, 가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투사광을 광 투과 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눈으로 제공함으로써,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은 디스플레이 유닛(190)에서 출력되는 투사광을 차단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의 해제는 디스플레이 유닛(190)에서 출력되는 투사광이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눈으로 제공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구비된 화면 잠금 제어과정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31과정에서, 제어부(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화면 상태를 확인한다. 예컨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는 잠금 상태이거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가 잠금 상태인 경우(432-a),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지를 확인한다(433). 433과정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경우(435-예), 제어부(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해제한다(437).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는 사용자 터치 입력, 움직임 정보 등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머리 부분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됨을 지시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제어부(110)는 모션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움직임 정보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되지 않고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되고 있음 지시함을 확인하고,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을 잡은 상태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경우, 제어부 (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인 정보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을 지시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경우, 제어부(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되지 않고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되고 있음을 지시함을 확인하고,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은 제1 및 제3하우징(20, 20a)이 구비된 방향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반대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는, 제1 및 제3하우징(20, 20a)이 구비된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접힌 상태로 보관된 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는 제1 및 제3하우징(20, 20a)과 대략적으로 수직인 상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음을 확인하는 다양한 실시예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의 접힌 상태나 펼쳐진 상태를 더 반영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와 제1 및 제3하우징(20, 20a)을 연결하는 힌지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 등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가 펼쳐진 상태인 경우에 한하여, 전술한 움직임 정보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었음을 지시함에 따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음을 확인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432-b),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 및 사용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되는지를 확인한다(434). 434과정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되는 경우(436-예), 제어부(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실행한다(438).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되었는지는 사용자 입력, 움직임 정보 등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하게 되면,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이상 착용하지 않으므로 주머니 또는 탁자와 같은 장소에 보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인 중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인 정보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됨을 지사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하는 경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탈거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주머니 또는 탁자와 같은 장소에 안정적으로 보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제어부(110)는 모션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움직임 정보가 중력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되지 않고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을 잡은 상태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경우, 제어부(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인 정보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됨을 지시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특히, 제1하우징(20), 제3하우징(20a), 제1하우징 연결부(25), 제2하우징 연결부(25a), 브릿지(21) 등)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경우, 제어부(11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되지 않고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가 구비된 방향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반대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는, 제1 및 제3하우징(20, 20a)이 구비된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되었음을 확인하는 다양한 실시예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의 접힌 상태나 펼쳐진 상태를 더 반영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탈거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제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와 제1 및 제3하우징(20, 20a)을 연결하는 힌지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 등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연결부(25, 25a)가 접혀진 상태인 경우에 한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완전하게 탈거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거나, 탈거되는 것을 확인하여 자동적으로 화면 잠금 또는 화면 해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 잠금 또는 화면 해제를 위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 또는 화면 해제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프로그램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가 특정 장소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템플 프레임의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의 변화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템플 프레임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과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템플 프레임이 펼침 상태로 변화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력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안정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됨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과정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거됨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안정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반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이 접힘 상태임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후,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검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수용하는 프론트 프레임과, 적어도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 하우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에 발생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감지부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션 정보를 검출하는 모션 센서부와,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상기 템플 프레임의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의 변화를 판단하고,
    상기 템플 프레임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과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템플 프레임이 펼침 상태로 변화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력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안정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템플 프레임이 펼침 또는 접힘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잠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 프레임의 터치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모션 센서부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47711A 2013-11-29 2013-11-29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711A KR102208195B1 (ko) 2013-11-29 2013-11-29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4/557,093 US9778465B2 (en) 2013-11-29 2014-12-01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i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711A KR102208195B1 (ko) 2013-11-29 2013-11-29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742A KR20150062742A (ko) 2015-06-08
KR102208195B1 true KR102208195B1 (ko) 2021-01-27

Family

ID=5326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711A KR102208195B1 (ko) 2013-11-29 2013-11-29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78465B2 (ko)
KR (1) KR102208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636A (ko) * 2014-04-16 201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hmd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78903A1 (en) * 2014-12-19 2016-06-23 Kabushiki Kaisha Toshiba Head mounted display
KR101609173B1 (ko) * 2015-05-26 2016-04-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JP6262177B2 (ja) * 2015-09-03 2018-01-17 株式会社東芝 ウェアラブル端末、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70067058A (ko) * 2015-12-07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4088B1 (ko) * 2016-04-22 2022-12-05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에스에이에스 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0699691B1 (en) * 2017-06-29 2020-06-30 Amazon Technologies, Inc. Active noise cancellation for bone conduction speaker of a head-mounted wearable device
JP6506454B1 (ja) 2018-06-14 2019-04-24 株式会社バーチャルキャスト データ差し替え装置、端末、およびデータ差し替えプログラム
US11119321B2 (en) * 2018-09-10 2021-09-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attached to a lens element
US11055056B1 (en) * 2018-09-25 2021-07-06 Facebook Technologies, Llc Split system for artificial reality
CN111625085A (zh) * 2020-04-07 2020-09-0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8305B2 (ja) * 2006-09-08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
JP5223689B2 (ja) * 2009-01-16 2013-06-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512884B2 (ja) 2010-07-20 2014-06-04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拡張現実の近接感知
KR101218636B1 (ko) * 2010-12-08 2013-01-04 주식회사 이랜텍 원격 제어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CN201909093U (zh) * 2010-12-22 2011-07-27 济南高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压缩气体单作用执行器
US8223024B1 (en) * 2011-09-21 2012-07-17 Google Inc. Locking mechanism based on unnatural movement of head-mounted display
KR20130047474A (ko) 2011-10-31 2013-05-08 대덕위즈주식회사 착용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방법
US8235529B1 (en) 2011-11-30 2012-08-07 Google Inc. Unlocking a screen using eye tracking information
US9146618B2 (en) * 2013-06-28 2015-09-29 Google Inc. Unlocking a head mounted device
US8958158B1 (en) * 2013-12-03 2015-02-17 Google Inc. On-head detection for head-mounted display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공개특허 제2011-0267321호(2011.11.03.) 1부.*
미국공개특허 제2013-0069787호(2013.03.21.)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0069호(2009.05.19.)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3598호(2012.06.1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78465B2 (en) 2017-10-03
US20150153825A1 (en) 2015-06-04
KR20150062742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195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1100B1 (ko)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169600B1 (en) Virtual object display interface between a wearable device and a mobile device
KR102153599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투과율 변경 방법
JP6573593B2 (ja) 入出力構造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KR102227087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220391047A1 (en) Split-screen display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026505A (ko) 객체 조작을 사용한 증강 현실 경험들
US20160063767A1 (en) Method for providing visual reality ser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BR112015031234B1 (pt) Método para renderizar um objeto virtual em um visor transparente montado em cabeça e aparelho de exibição
KR20150142282A (ko)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9766098B (zh) 应用程序的运行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6379572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11422380B2 (en) Eyewear including virtual scene with 3D frames
CN114531951A (zh) 自动视频捕捉和合成系统
KR102283690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투과율 변경 방법
KR102463080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트 표시방법
KR20230079125A (ko) 컨텍스트-센시티브 원격 안경류 컨트롤러
US11733789B1 (en) Selectively activating a handheld device to control a user interface displayed by a wearable device
US11762202B1 (en) Ring-mounted flexible circuit remote control
KR20230067197A (ko)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전자 장치 사이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