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173B1 -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173B1
KR101609173B1 KR1020150073066A KR20150073066A KR101609173B1 KR 101609173 B1 KR101609173 B1 KR 101609173B1 KR 1020150073066 A KR1020150073066 A KR 1020150073066A KR 20150073066 A KR20150073066 A KR 20150073066A KR 101609173 B1 KR101609173 B1 KR 10160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substrate
coil
signal
eyeglas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하
김성준
김진호
박정환
권태목
김채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73B1/ko
Priority to US15/576,882 priority patent/US11065446B2/en
Priority to PCT/KR2016/005589 priority patent/WO20161906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61N1/36038Cochlea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1Cochlear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17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e.g. acoustic or tactile
    • A61N1/37223Circuits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 A61N1/37229Shape or location of the implanted or external anten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 A61N1/3787Electrical supply from an external energy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7Implantable hearing aids or parts thereof not covered by H04R25/6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rosthes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인공와우 장치는 착용 시에 신체의 콧잔등 부근에 안착될 수 있는 안경렌즈부와, 소리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이 일측에 설치되고, 안경렌즈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가요성의 안경다리부와, 안경다리부에 내장되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된 소리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기와, 안경다리부에 내장되며, 마이크로폰 및 신호처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안경다리부의 안경렌즈부와의 결합측 반대쪽의 종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안경다리부의 휨 정도에 따라 접촉되는 신체의 위치가 변화되고, 신호처리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신호 및 배터리에 의해 공급된 전력을 신체에 이식될 수 있는 청각기관 자극장치에게 제공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공와우 장치를 안경 형태로 설계하여 신체 착용성과 미용성이 향상되며, 안경다리의 종단에 송신 코일을 일체로 설치하여 안경다리의 휨 정도에 따라 송신 코일이 접촉되는 신체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석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신체에 이식된 수신 코일과 신체 외부의 송신 코일 간의 정렬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EYEGLASS TYPE COCHLEAR IMPLANT APPARATUS}
본 발명은 인공와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 형태로 설계하여 신체 착용성과 미용성을 향상시킨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공와우 장치는 귀걸이형(behind-the-ear type)과 몸체 착용형(body-worn type) 등이 공지되었다.
이러한 공지의 인공와우 장치는 외부장치와 체내이식장치로 구성되며, 외부장치는 수집된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신호 및 전력을 체내이식장치에게 제공하며, 체내이식장치는 전기신호를 복조하여 생성한 전기펄스를 청각기관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인공와우 장치는 신체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장치에서 신체 내부에 위치하는 체내이식장치에게 전기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여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이를 위해 외부장치에는 송신 코일이 구비되며, 체내이식장치에는 수신 코일이 구비된다.
또, 외부장치의 송신 코일과 체내이식장치의 수신 코일 사이의 효율적인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정렬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자석이 이용된다.
그러나 자석을 이용하여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을 정렬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피부에 기계적 압력을 가하므로 피부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또, 자기 공명 환경에서 자석에 의한 장치의 끌려감 현상 및 이미지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와우 이식자의 경우에는 MRI 촬영 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85704호, 등록일자 2015년 01월 22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안경 형태로 설계하여 신체 착용성과 미용성을 향상시킨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안경다리의 종단에 송신 코일을 일체로 설치하여 안경다리의 휨 정도에 따라 송신 코일이 접촉되는 신체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석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신체에 이식된 수신 코일과 신체 외부의 송신 코일 간의 정렬을 이룰 수 있는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는, 착용 시에 신체의 콧잔등 부근에 안착될 수 있는 안경렌즈부와, 소리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경렌즈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가요성의 안경다리부와, 상기 안경다리부에 내장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된 소리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기와, 상기 안경다리부에 내장되며, 상기 마이크로폰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안경다리부의 상기 안경렌즈부와의 결합측 반대쪽의 종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안경다리부의 휨 정도에 따라 접촉되는 신체의 위치가 변화되고, 상기 신호처리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신호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공급된 전력을 신체에 이식될 수 있는 청각기관 자극장치에게 제공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청각기관 자극장치는, 상기 송신 코일로부터 상기 전기신호 및 상기 전력을 제공받는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전기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와, 상기 펄스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펄스를 달팽이관에게 전달하여 자극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신 코일은 제 1 기판에 집적될 수 있고, 상기 펄스 생성기는 제 2 기판에 집적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이 적층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신 코일은 제 1 기판에 집적될 수 있고, 상기 펄스 생성기는 제 2 기판에 집적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가요성의 접철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전기신호를 재생하는 귓속형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안경다리부에 설치되며, 컴퓨터와의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안경렌즈부의 렌즈에 집적되어 시각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공와우 장치를 안경 형태로 설계하여 신체 착용성과 미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경다리의 종단에 송신 코일을 일체로 설치하여 안경다리의 휨 정도에 따라 송신 코일이 접촉되는 신체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석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신체에 이식된 수신 코일과 신체 외부의 송신 코일 간의 정렬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자석에 의해 지속적으로 피부에 기계적 압력이 가해지던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피부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으며, 자기 공명 환경에서 자석에 의한 장치의 끌려감 현상 및 이미지 왜곡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인공와우 이식자의 경우에도 MRI 촬영 등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중에서 외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중에서 외부장치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중에서 신체이식장치로서 청각기관 자극장치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중에서 신체이식장치로서 청각기관 자극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4는 수신 코일이 접히기 전 상태이고, 도 5는 수신 코일이 접힌 후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중에서 외부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중에서 외부장치의 착용 상태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인공와우 장치의 외부장치(100)는 착용 시에 신체의 콧잔등 부근에 안착될 수 있는 안경렌즈부(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안경렌즈부(110)의 렌즈에는 시각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기(111)가 집적된다.
또, 안경렌즈부(110)와 일체로 결합되는 가요성의 안경다리부(120)를 포함하며, 안경다리부(120)의 일측에는 소리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121)이 설치된다.
아울러, 마이크로폰(121)에 의해 수집된 소리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를 포함하며,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는 안경다리부(120)에 내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121)과 신호처리부(도시 생략됨) 및 송신 코일(12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도시 생략됨)를 포함하며, 배터리(도시 생략됨)는 안경다리부(120)에 내장된다.
여기서,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와 배터리(도시 생략됨)는 단일의 모듈로 집적된 상태에서 안경다리부(120)에 내장될 수 있다.
또,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에 의해 생성된 전기신호 및 배터리(도시 생략됨)에 의해 공급된 전력을 신체에 이식될 수 있는 청각기관 자극장치(도 3의 200, 도 4 및 도 5의 300)에게 제공하는 송신 코일(123)을 포함하며, 이러한 송신 코일(123)은 안경다리부(120)의 안경렌즈부(110)와의 결합측 반대쪽의 종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안경다리부(120)의 휨 정도에 따라 접촉되는 신체의 위치가 변화된다.
아울러, 컴퓨터와의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단자(125)를 포함하며, 이러한 인터페이싱 단자(125)는 안경다리부(120)에 설치된다.
또,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된 외부장치(100)에 귓속형 스피커(도시 생략됨)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귓속형 스피커(도시 생략됨)는 안경다리부(120)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경다리부(120)에 의해 지지를 받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귓속형 스피커(도시 생략됨)는 마이크로폰(121)에 의해 수집된 소리신호를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가 처리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면 이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중에서 신체이식장치로서 청각기관 자극장치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청각기관 자극장치(200)는 송신 코일(도 1의 123)로부터 전기신호 및 전력을 제공받는 수신 코일(2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신 코일(210)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복조하여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전기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220)를 포함한다.
또, 펄스 생성기(220)에 의해 생성된 전기펄스를 달팽이관에게 전달하여 자극하는 전극(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청각기관 자극장치(200)는 수신 코일(210)이 제 1 기판에 집적되고, 펄스 생성기(220)가 제 2 기판에 집적되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중에서 신체이식장치로서 청각기관 자극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4는 수신 코일이 접히기 전 상태이고, 도 5는 수신 코일이 접힌 후 상태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청각기관 자극장치(300)는 송신 코일(도 1의 123)로부터 전기신호 및 전력을 제공받는 수신 코일(3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신 코일(310)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복조하여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전기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320)를 포함한다.
또, 펄스 생성기(320)에 의해 생성된 전기펄스를 달팽이관에게 전달하여 자극하는 전극(3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청각기관 자극장치(300)는 수신 코일(310)이 제 1 기판에 집적되고, 펄스 생성기(320)가 제 2 기판에 집적되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가요성의 접철부재(340)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공와우 장치의 외부장치(100)를 안경형태로 설계하여 별도의 장치 착용에 의한 불편을 최소화하고, 또한 청각장애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한다.
마이크로폰(121)은 안경테의 안경다리부(120)에 집적되어 소리신호를 수집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121)에 의해 수집된 소리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는 배터리(도시 생략됨)와 함께 안경다리부(120)에 내장된다. 여기서, 신호 처리기(도시 생략됨)와 배터리(도시 생략됨)는 일체로 모듈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및 배터리(도시 생략됨)의 충전, 환자의 매핑(mapping) 등은 안경다리부(120)에 설치된 인터페이싱 단자(125)를 통해 이루어지며, 퍼스널컴퓨터 등의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장치 등과 인터페이싱 단자(125)를 통해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진다.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에서 생성된 전기신호와 배터리(도시 생략됨)의 전력은 안경다리부(120)의 끝부분에 위치한 송신 코일(123)을 통해 청각기관 자극장치(200, 300)로 전달된다.
송신 코일(123)은 청각기관 자극장치(200, 300)와의 정렬을 위해서는 위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경다리부(120)의 종단에 송신 코일(12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에 안경다리의 휨 정도에 따라 송신 코일(123)이 접촉되는 신체의 위치가 변화되어 청각기관 자극장치(200, 300)와의 정렬을 이룰 수 있다.
안경다리부(120)에 설치된 마이크로폰(121)을 통해 수집된 소리신호는 안경다리부(120)에 내장된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로 전달되며, 신호처리기(도시 생략됨)는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또, 이렇게 생성된 전기신호는 안경렌즈부(110)의 렌즈에 집적된 디스플레이기(111)를 통해 캡션, 키워드, 그래픽 등을 표시되어 인공와우 이용자에게 별도의 시각적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인공와우 장치는 폴리머 기반의 소형 청각기관 자극장치(200, 300)와 호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장점이 극대화 된다. 폴리머는 체내 호환성 (biocompatibility)이 뛰어나며 수분 흡수율이 낮은 폴리이미드 (polyimide), 패릴린 (parylene-C), 액정폴리머 (liquid crystal poly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를 이용할 경우에 미세전자기계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기술을 이용하여 폴리머 기판 위에 구리 등의 전기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소형 수신 코일(210, 310)을 집적할 수 있으며, 폴리머로 패키징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신효율이 높고, 송수신 코일 사이의 정렬오차에 둔감하므로 정렬을 위한 자석 없이도 대략적인 위치만을 정해줌으로써 코일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석에 의한 코일부착의 필요를 없앰으로써 인공와우 장치의 MRI 호환성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다.
환자가 양측에 모두 와우이식 (bilateral cochlear implant)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측 안경다리부(120)에 모두 송신 코일(123)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을 착용하는 것만으로 단측 또는 양측 인공와우 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장치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과 장애가 드러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청각기관 자극장치(200, 300)는 외부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받은 전기신호 데이터를 복조하여 전기펄스를 생성하며, 달팽이관에 이식된 다채널의 전극(230, 330)으로 생성된 전기펄스를 전달한다. 이 전기펄스에 의해 청신경은 자극이 되고 소리를 전기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공와우의 체내임플란트 장치는 티타늄을 패키징 물질로 사용하며, 수신 코일은 티타늄 패키지와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며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코팅되고 자석을 통해 외부장치의 송신 코일과 정렬한다. 이 때 수신 코일은 티타늄 패키지 외부에 있으며 수분 흡수도가 높은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코팅되므로 백금 또는 금과 같이 생체호환성이 뛰어나지만 전기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물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송수신 코일 사이의 통신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송수신 코일 사이의 정렬에 민감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청각기관 자극장치(200, 300)가 폴리머 (폴리이미드, 패릴린, 액정폴리머 등)로 이루어지며, 수신 코일(310), 320)이 폴리머로 패키징 되므로 통신효율이 뛰어난 구리와 같은 물질로 코일을 제작할 수 있으며, 폴리머 기판 위에 MEMS 기술로 패턴된 평면형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형 코일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폴리머 기판의 청각기관 자극장치(200, 300)와 안경형태의 외부장치(100)가 인터페이싱 하는 경우에는 정렬을 위해 자석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경다리부(120)에 위치한 송신 코일(123)을 이용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MRI 안전성, 호환성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다.
외부장치(100)의 송신 코일(123)과 청각기관 자극장치(200, 300)의 수신 코일(310, 320) 사이의 거리를 좀 더 가깝게 해야 하거나 일부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청각기관 자극장치(300) 및 수신 코일(310)이 이용될 수 있다.
청각기관 자극장치(300) 중에서 펄스 생성기(320)는 측두골 위에 위치 (필요시 측두골 일부 드릴링)시키고, 도 5와 같이 가요성의 접철부재(340)를 접어서 수신 코일(310)은 측두근 위 또는 피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수신 코일(310) 및 접철부재(340)를 유연한 폴리머 기판 위에 구현하면 손쉽게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피부가 두껍거나 측두근이 발달한 이식자의 경우에도 청각기관 자극장치(300) 및 수신 코일(310)이 이용되면 충분한 통신거리가 확보된다.
또한, 안경테의 안경다리부(120)는 좌측과 우측에 모두 위치하므로 양측 와우이식 (bilateral cochlear implant)를 적용이 추가적인 외부처리장치의 착용 없이 가능하다. 또한 보청기와 인공와우를 이용해 소리자극신호와 전기자극신호를 단측에 전달하는 EAS (electric acoustic stimulation) 적용 또한 안경다리부(120)에 귓속형 스피커(도시 생략됨)를 추가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적용이 용이하다.
아울러, 안경렌즈에 집적된 디스플레이기(111)를 이용하여 캡션, 키워드, 그래픽 등의 시각적 단서를 제공할 경우에는, 잡음 하에서의 인지율 증가에 기여할 수 있고, 와우 이식 후 언어재활 훈련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외부장치 110 : 안경렌즈부
111 : 디스플레이기 120 : 안경다리부
121 : 마이크로폰 123 : 송신 코일
125 : 인터페이싱 단자
200, 300 : 청각기관 자극장치 210, 310 : 수신 코일
220, 320 : 펄스 생성기 230, 330 : 전극
340 : 접철 부재

Claims (7)

  1. 착용 시에 신체의 콧잔등 부근에 안착될 수 있는 안경렌즈부와,
    소리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경렌즈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가요성의 안경다리부와,
    상기 안경다리부에 내장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된 소리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기와,
    상기 안경다리부에 내장되며, 상기 마이크로폰 및 상기 신호처리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안경다리부의 상기 안경렌즈부와의 결합측 반대쪽의 종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안경다리부의 휨 정도에 따라 접촉되는 신체의 위치가 변화되고, 상기 신호처리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신호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공급된 전력을 신체에 이식될 수 있는 청각기관 자극장치에게 제공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기관 자극장치는, 상기 송신 코일로부터 상기 전기신호 및 상기 전력을 제공받는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전기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와,
    상기 펄스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펄스를 달팽이관에게 전달하여 자극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은 제 1 기판에 집적되고, 상기 펄스 생성기는 제 2 기판에 집적되며,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은 제 1 기판에 집적되고, 상기 펄스 생성기는 제 2 기판에 집적되며,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가요성의 접철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기에서 생성된 상기 전기신호를 재생하는 귓속형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부에 설치되며, 컴퓨터와의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부의 렌즈에 집적되어 시각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KR1020150073066A 2015-05-26 2015-05-26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KR101609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66A KR101609173B1 (ko) 2015-05-26 2015-05-26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US15/576,882 US11065446B2 (en) 2015-05-26 2016-05-26 Glasses-shaped cochlear implant device
PCT/KR2016/005589 WO2016190685A1 (ko) 2015-05-26 2016-05-26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66A KR101609173B1 (ko) 2015-05-26 2015-05-26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173B1 true KR101609173B1 (ko) 2016-04-20

Family

ID=5591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066A KR101609173B1 (ko) 2015-05-26 2015-05-26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65446B2 (ko)
KR (1) KR101609173B1 (ko)
WO (1) WO2016190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173B1 (ko) 2015-05-26 2016-04-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US11672990B2 (en) * 2019-01-15 2023-06-13 Stimwave Technologies Incorporated Headsets for positioning electronic devices
CN113941087A (zh) * 2021-09-29 2022-01-18 北京品驰医疗设备有限公司 头戴式无线充电设备和脑深部电刺激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384B2 (ja) 1992-06-02 2000-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出庫システム
JP2004205839A (ja) 2002-12-25 2004-07-22 Fuji Iryoki:Kk 補聴器具
KR200416313Y1 (ko) 2006-02-23 2006-05-12 박경완 보청기 일체형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5100B1 (en) * 1998-02-23 2001-07-24 Research International, Inc. Rechargeable battery
US6308101B1 (en) * 1998-07-31 2001-10-23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Fully implantable cochlear implant system
US6358281B1 (en) * 1999-11-29 2002-03-19 Epic Biosonics Inc. Totally implantable cochlear prosthesis
AU2003901867A0 (en) * 2003-04-17 2003-05-08 Cochlear Limited Osseointegration fixation system for an implant
KR20070049195A (ko) * 2004-09-07 2007-05-10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안경형 통신 장치
KR20060001786A (ko) * 2004-10-15 2006-01-06 민준기 다목적 안경
US8112157B2 (en) * 2005-05-27 2012-02-0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agnetic material-containing microfabricated devices for wireless data and power transfer
US11428937B2 (en) * 2005-10-07 2022-08-30 Percept Technologies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WO2007099707A1 (ja) * 2006-02-28 2007-09-07 Temco Japan Co., Ltd. メガネ型音響・通信機器
US8352046B1 (en) * 2009-01-30 2013-01-08 Advanced Bionics, Llc Sound processing assembly for use in a cochlear implant system
KR101285364B1 (ko) * 2011-03-15 2013-07-11 황진성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485704B1 (ko) * 2013-10-08 2015-01-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분 이식형 인공와우
KR102208195B1 (ko) * 2013-11-29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US9544675B2 (en) * 2014-02-21 2017-01-10 Earlens Corporation Contact hearing system with wear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70027812A1 (en) * 2015-03-27 2017-02-02 Elwha Llc Nerve stimulation system and related controller
WO2016176668A1 (en) * 2015-04-30 2016-11-03 Somtek, Inc. Breathing disorder 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and methods
KR101609173B1 (ko) 2015-05-26 2016-04-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CN108348748B (zh) * 2015-09-04 2021-12-03 赛恩神经刺激有限责任公司 用于具有包调制的神经刺激的系统、设备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384B2 (ja) 1992-06-02 2000-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出庫システム
JP2004205839A (ja) 2002-12-25 2004-07-22 Fuji Iryoki:Kk 補聴器具
KR200416313Y1 (ko) 2006-02-23 2006-05-12 박경완 보청기 일체형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65446B2 (en) 2021-07-20
WO2016190685A1 (ko) 2016-12-01
US20180147412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8075A1 (en) Fully implantable modular cochlear implant system
US10321247B2 (en) External component with inductance and mechanical vibratory functionality
CN103781007B (zh) 用于骨传导助听器的可调式磁性系统、装置、部件和方法
US11528567B2 (en) Sound capture focus adjustment for hearing prosthesis
US20100048983A1 (en) Multipath Stimulation Hearing Systems
US20120029267A1 (en) Electromagnetic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US20110046730A1 (en) Implantable microphone system
US20120041515A1 (en) Wireless remote device for a hearing prosthesis
US20150038775A1 (en) Systems, Devices, Components and Methods for Improved Acoustic Coupling Between a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and a Patient's Head or Skull
US20130035540A1 (en) Electromagnetic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CN101460219A (zh) 用于人工耳蜗的扣式处理器
KR101609173B1 (ko) 안경 형태의 인공와우 장치
AU2013312415B2 (en) Electromagnetic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JP7050056B2 (ja) 神経インターフェースへのコネクタを有する頭部装着型ユニット
US20240042205A1 (en) Antenna arrangements
CN110430848A (zh) 通过圆窗进行机械耳蜗刺激的中耳植入物耦合器
EP3409319B1 (en) System for neural hearing stimulation integrated with a pair of glasses
KR20170128017A (ko) 생체 임플란트 장치
US20230355962A1 (en) Advanced surgically implantable technologies
WO2005007049A1 (en) Behind-the-ear speech processor for cochlear implant systems
MAHBOUBI et al. Middle Ear Implantable Hearing Devices: Present and Future
KR20170066203A (ko) 인체 임플란트 장치
WO202400371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hibiting movement of implanted magnetic devices
WO2023170500A1 (en) Implant with magnetic induction antenna
WO2023209457A1 (en) External portion of medical implant with compliant skin-contacting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